KR200456050Y1 - 프레임 백 - Google Patents

프레임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050Y1
KR200456050Y1 KR2020100001813U KR20100001813U KR200456050Y1 KR 200456050 Y1 KR200456050 Y1 KR 200456050Y1 KR 2020100001813 U KR2020100001813 U KR 2020100001813U KR 20100001813 U KR20100001813 U KR 20100001813U KR 200456050 Y1 KR200456050 Y1 KR 200456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g
scarf
outer frame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351U (ko
Inventor
백성기
Original Assignee
(주)우리지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지앤에스 filed Critical (주)우리지앤에스
Priority to KR2020100001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05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을 여러 개의 구성으로 분리 제작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디자인이나 패션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은, 바닥부와 외관부 및 손잡이가 구비된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 삽입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다양한 무늬를 갖는 스카프와, 상기 외부 프레임 내의 스카프를 외부 프레임이 내측 바닥에 밀착시키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가방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방의 각 구성을 각각 별도 제작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방이 더럽거나 이물질이 묻을 경우 상기 가방의 각 구성을 별도 세탁가능하여 세척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프레임 백의 각 구성 중 스카프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자의 디자인이나 패션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으며, 유행이 지난 스카프 및 기타 목도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카프 및 목도리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프레임 백{Frame Bag}
본 고안은 여성용 핸드백 타입 가방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가방을 여러 개의 구성으로 분리 제작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디자인이나 패션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백에 관한 것이다.
가방은 물건을 수납하는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의상과 함께 중요한 패션용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여성용 가방인 핸드백은 패션에 민감하여,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디자인 추세에 부응하여,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물건을 수납하도록 하는 가방(10)의 본체 및, 가방(10)을 들거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한 손잡이에 다양한 무늬를 가지는 형태의 스카프(20)를 묶어 가방에 포인트를 줌으로써, 디자인 및 패션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가방 등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방은 하나의 단품으로 이루어진 가방에 단순히 스카프를 묶는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패션에 변화를 다양하게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의상과 가방과의 조화를 맞추거나, 계절에 맞도록 연출하여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및 스카프와 고정판이 서로 조립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백에 다양한 무늬를 갖는 스카프를 교체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되었다.
결국, 본 고안의 목적은 가방을 여러 개의 구성으로 분리 제작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디자인이나 패션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은,
필요한 물건을 수납하는 종래의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가방의 본체를 형성하는 외관부와, 상기 외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외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는 물건을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갖는 내부 프레임이 삽탈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측 사이에는 가방의 디자인이나 패션을 연출하도록 무늬가 도안된 스카프가 구비되고,
상기 스카프가 구비된 외부 프레임 내에는 상기 스카프를 외부 프레임의 바닥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외부 프레임의 외관부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띠 형상인 복수개의 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직교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은, 바닥부와 외관부 및 손잡이가 구비된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 삽입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다양한 무늬를 갖는 스카프와, 상기 외부 프레임 내의 스카프를 외부 프레임이 내측 바닥에 밀착시키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가방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방의 각 구성을 각각 별도 제작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방이 더럽거나 이물질이 묻을 경우 상기 가방의 각 구성을 별도 세탁가능하여 세척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프레임 백의 각 구성 중 스카프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자의 디자인이나 패션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으며, 유행이 지난 스카프 및 기타 목도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스카프 및 목도리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의 구조를 분리한 상태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을 조립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가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백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레임 백(100)은 상기 프레임 백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백 내에 물건을 수납가능한 외부 프레임(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는 상기 프레임 백의 외관을 형성하며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는 내부 프레임(120)이 삽탈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내측과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외측 사이에는 프레임 백(100)의 디자인이나 패션을 다양하게 연출하도록 하는 다양한 무늬가 도안된 스카프(130)가 구비되며, 상기 스카프가 구비된 외부 프레임 내에는 내부 프레임과 더불어 스카프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상기 스카프를 외부 프레임 내측 바닥에 밀착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판(140)이 삽입 구비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백(100) 내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백이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 백의 본체를 형성하는 외관부(112)와, 상기 외관부의 상부에는 프레임 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113)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바닥부(111)는 프레임 백(100)의 하부를 형성함은 물론,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 및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외관부(112)는 띠 형상인 복수개의 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직교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프레임 백의 디자인이나 패션을 연출하는 스카프(130)가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관부(112)의 각 프레임 즉,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위치하는 각 프레임은 프레임 백(100)의 외관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본 고안의 프레임 백(100)에 스카프(1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바닥부(111)에 평행하는 외부 프레임 외관부(112) 상단의 일정 부분(예를 들면, 프레임 백의 가로 방향 말단)에 고리(미도시)를 구비하고, 그를 통해 스카프를 통과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120)에는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등의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2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수납부(121)의 재질, 크기, 모양 및 형상은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양측부에는 상기 펼쳐져 있는 내부 프레임을 말아서 내부 프레임(120)을 원형 형상으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양측부를 붙었다 떼어졌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암,수 벨크로가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카프(130)로 프레임 백(100)의 디자인이나 패션을 다양하게 연출하기 위하여, 상기 스카프의 표면에는 다양한 무늬 및 그림, 글자 등의 문양이 도안된다.
상기 고정판(140)은 외부 프레임(110) 내에 위치하는 스카프(130)를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바닥판(111)에 눌러서 밀착 고정하도록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지며, 상기 고정판(140)은 바닥판의 형상과 흡사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백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은, 먼저 프레임 백(100)의 구성 중 하나인 스카프(130)을 바닥에 펼쳐 놓고 나서 상기 펼쳐진 스카프(130)의 상부에 복수개의 수납부(121)를 갖는 내부 프레임(120)을 올려 놓는다. 이 때, 상기 내부 프레임(1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부가 자유단 상태이므로 상기 내부 프레임의 양측부에 결합된 암,수 벨크로를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프레임은 원형 형상으로 말아진다. 상기 원형 형상으로 말아진 내부 프레임(120)을 펼쳐진 스카프(130)의 상부 중앙에 올려 놓고 상기 스카프의 각 모서리를 들어올려서 상기 내부 프레임을 감쌈은 물론, 상기 내부 프레임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스카프의 각 모서리를 살짝 묶는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백(100) 외부 프레임(110)의 바닥부(111)에 평행하는 외부 프레임 외관부(112) 프레임의 상단 일정 부분(예를 들면, 프레임 백의 가로 방향 말단)에 고리가 구비된 경우에는, 고리를 통해 스카프를 통과시킴으로써, 프레임 백에 스카프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내부 프레임(120)이 감싸진 스카프(130)를 외부 프레임(110) 내로 삽입하면,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측 사이에 스카프가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 프레임의 바닥부(111)와 상기 내부 프레임의 저면이 밀착되는 상태로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120)을 감싸고 있는 스카프(130)의 각 모서리를 푼 다음, 상기 스카프의 외측부분을 외부 프레임(110)의 외부로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내부 프레임(120) 내에 고정판(140)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판을 외부 프레임(110)의 바닥부(111)에 놓음으로써, 상기 고정판은 내부 프레임과 더불어 외부 프레임 내에 스카프(130)가 유동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암,수 벨크로를 분리한 후 내부 프레임을 외부 프레임(110)의 외관부(112)에 밀착시키도록 조절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관부(112)의 형상 즉, 프레임 백(100)의 외관형상으로 형성하고 나서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암,수 벨크로를 다시 붙인다.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카프(130)의 외측부분을 이리저리 당기면서 상기 스카프의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함과 함께,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상기 스카프의 외측부분 중 일부는 외부 프레임의 외관부(112)에 묶어 고정하고, 나머지 스카프의 외측부분은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사이로 넣어 위치시킴으로써, 프레임 백(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조립이 완료된 프레임 백(100)은 상기 외부 프레임(110)의 외관부(112)를 통해 보여지는 다양한 문양의 스카프(130)에 의해 전체적인 프레임 백의 디자인이나 패션이 다양하게 연출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관부 내로 물건을 수납하고/수납하거나, 상기 내부 프레임(120)의 각 수납부(121)로 물건을 수납한 후, 상기 프레임 백의 손잡이(113)를 손으로 잡고 들고 다니거나 어깨에 걸어 매고 다니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프레임 백은, 가방의 각 구성을 각각 별도 제작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방이 더럽거나 이물질이 묻을 경우 상기 가방의 각 구성을 별도 세탁가능하여 세척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프레임 백의 각 구성 중 스카프를 가방을 사용하는 사람의 자의 디자인이나 패션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할 수도 있으며, 유행이 지난 스카프 및 기타 목도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카프 및 목도리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백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태양과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 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가방 110: 외부 프레임
111: 바닥부 112: 외관부
113: 손잡이 120: 내부 프레임
121: 수납부 130: 스카프
140: 고정판

Claims (2)

  1. 물건을 수납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가방의 본체를 형성하는 외관부와, 상기 외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외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 프레임 내에는 물건을 수납하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갖는 내부 프레임이 삽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측 사이에는 가방의 디자인이나 패션을 연출하도록 무늬가 도안된 스카프가 구비되고,
    상기 스카프가 구비된 외부 프레임 내에는 상기 스카프를 외부 프레임의 바닥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백.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의 외관부는 띠 형상인 복수개의 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직교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백.
KR2020100001813U 2010-02-20 2010-02-20 프레임 백 KR200456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13U KR200456050Y1 (ko) 2010-02-20 2010-02-20 프레임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13U KR200456050Y1 (ko) 2010-02-20 2010-02-20 프레임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51U KR20110008351U (ko) 2011-08-26
KR200456050Y1 true KR200456050Y1 (ko) 2011-10-10

Family

ID=4559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813U KR200456050Y1 (ko) 2010-02-20 2010-02-20 프레임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0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422B1 (ko) * 2012-10-17 2014-03-12 임규병 가방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장치
KR101860225B1 (ko) * 2016-11-01 2018-05-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쇼핑 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29A (ja) 1999-02-16 2000-09-05 Kokuyo Co Ltd 収納用仕切
JP2005035608A (ja) 2003-07-15 2005-02-10 Raibu:Kk 紙/ビニールバッグ用多機能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929A (ja) 1999-02-16 2000-09-05 Kokuyo Co Ltd 収納用仕切
JP2005035608A (ja) 2003-07-15 2005-02-10 Raibu:Kk 紙/ビニールバッグ用多機能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422B1 (ko) * 2012-10-17 2014-03-12 임규병 가방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장치
KR101860225B1 (ko) * 2016-11-01 2018-05-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쇼핑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351U (ko) 201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9620U (ko) 안경걸이가 형성된 의복
US20170280793A1 (en) Convertible garment bag
KR200456050Y1 (ko) 프레임 백
JP6106816B2 (ja) 簡易着付け式着物
CN208151741U (zh) 一种多功能脏衣篮
JP3175830U (ja) 鞄用持ち手
KR200465652Y1 (ko) 가변 가능한 다목적 휴대용 가방
KR101747135B1 (ko) 체인저블 핸드백
KR101221708B1 (ko) 넥타이
KR20110007570U (ko) 스프링후크를 이용한 탈부착식 가방
KR101823664B1 (ko) 골프 백
CN205568494U (zh) 分体式被套结构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JP3219756U (ja) 着物
KR20140002801U (ko) 보자기형 가방
KR200481235Y1 (ko) 고정용 스트랩을 갖는 가방
KR102523218B1 (ko) 분해조립이 자유롭고 규격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가로형 모바일폰 파우치
KR101508674B1 (ko) 장식용 커버가 구비된 입체형 가방
KR20180131796A (ko) 손잡이 형태가 변하는 다기능 형태의 가방
JP3123955U (ja) ベルト付スリッパ
TWM474337U (zh) 寵物背包改良結構
KR200431213Y1 (ko) 등판부의 분리가 가능한 배낭
KR200247195Y1 (ko) 다용도 가방
CN203914284U (zh) 一种家纺布套
JP3115008U (ja) 人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