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51Y1 - 바비큐구이기 - Google Patents

바비큐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51Y1
KR200455551Y1 KR2020090005575U KR20090005575U KR200455551Y1 KR 200455551 Y1 KR200455551 Y1 KR 200455551Y1 KR 2020090005575 U KR2020090005575 U KR 2020090005575U KR 20090005575 U KR20090005575 U KR 20090005575U KR 200455551 Y1 KR200455551 Y1 KR 200455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barbecue
rotating
rotating body
rot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221U (ko
Inventor
서상협
Original Assignee
서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협 filed Critical 서상협
Priority to KR2020090005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5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비큐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부에 구이대상물에 어떠한 흠집도 내지않고 얹은 상태에서 구이대상물의 구이 조리가 이루어져 구이대상물의 고유의 형태뿐만 아니라 고유의 식감을 극대화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바비큐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바비큐구이기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구이대상물을 취부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가열부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취부된 구이대상물을 구이 조리하는 바비큐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회전관; 및 상기 회전관의 길이방향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고정되고 상단에 구이대상물을 얹은 수 있으면서 구이 조리시 상기 구이대상물에서 배출되는 수분 또는 기름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비큐로스터, 꼬치구이기, 바비큐수반, 바비큐채반

Description

바비큐구이기{Barbecue roaster}
본 고안은 바비큐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부에 구이대상물에 어떠한 흠집도 내지않고 얹은 상태에서 구이대상물의 구이 조리가 이루어져 구이대상물의 고유의 형태뿐만 아니라 고유의 식감을 극대화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바비큐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비큐구이기는 가열부의 전방에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에 음식물을 걸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이 회전되면서 가열부를 통해 조리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바비큐구이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출원인의 기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354228호(명칭: 바비큐 로스터용 꼬치홀더)를 살펴보면, 후방에 가열부가 배치되고,이 가열부의 전방에 직립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는 회전축이 마련되며, 이 회전축 상에 대상 구이물을 취부하여 가열 조리되도록 하는 구이물취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구이물취부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집게가 마련되고, 이 집게에 꼬치 등을 하방으로 직립되게 취부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비큐구이기는 꼬치 구이용으로만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바비큐구이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출원인의 기출원된 공개실용신안 제2009-2368호(명칭: 바비큐구이기)를 살펴보면, 가열부의 전방에 직립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면서 조리물을 취부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바비큐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이 관통 형합되는 관통관과 상기 관통관의 외주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외주부에 배치되어 이 관통관과 복수의 방사살로 연결되는 구이부 및 상기 구이부의 외표면에 마련된 복수의 구이물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형이나 다각면체를 갖는 빵류 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취부한 후 가열부를 통해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구이가 완료된 후에는 취부된 빵류를 구이물취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빵류의 구이가 간편하고 수월하며 신속하게 수행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공하였던 바비큐구이기는 구이대상물에 흠집을 내어 조리함에 따라 구이대상물의 고유 식감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가령, 제안1(등록실용신안 제354228호)의 경우 꼬챙이에 구이대상물을 관통 되게 꽂거나, 또는 제안2(공개실용신안 제2009-2368호)의 경우 회전체에 형성된 방사살에 구이대상물을 꽂는 것과 같이 구이대상물에 흠집을 내어서 구이 조리하는 것으로, 이 경우 육즙을 가진 육류의 구이를 할 경우 꼬챙이에 의해 꽂아진 부분에서 육즙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고유의 육류의 식감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부에 구이대상물에 어떠한 흠집도 내지않고 얹은 상태에서 구이대상물의 구이 조리가 이루어져 구이대상물의 고유의 형태뿐만 아니라 고유의 식감을 극대화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바비큐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비큐구이기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구이대상물을 취부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가열부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취부된 구이대상물을 구이 조리하는 바비큐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회전관; 및 상기 회전관의 길이방향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고정되고 상단에 구이대상물을 얹은 수 있으면서 구이 조리시 상기 구이대상물에서 배출되는 수분 또는 기름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받침부는 상기 회전관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관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고정봉이 마련된 내측환봉; 및 상기 내측환봉 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내측환봉과의 거리 유지 및 상단에 구이대상물을 얹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봉이 마련된 외측환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환봉은 내측환봉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안착봉은 유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착봉에 얹혀진 구이대상물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외부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내측환봉에는 회전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내측환봉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안착봉에 안착된 구이대상물이 회전관측으로 떨어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단속봉;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구이대상물을 취부하는 회전체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가열부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취부된 구이대상물을 구이 조리하는 바비큐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회전관; 및 상기 회전관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관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고정봉이 마련된 내측환봉 및 상기 내측환봉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내측환봉과의 거리 유지 및 상단에 구이대상물을 얹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봉이 마련된 외측환봉으로 구성된 받침부가 마련되되; 상기 받침부는 회전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받침부 사이에는 간격유지 및 고정력을 증폭하는 복수의 간격유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내측환봉에는 회전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내측환봉과 일 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안착봉에 안착된 구이대상물이 회전관측으로 떨어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단속봉;을 더 포함하고, 외측환봉은 내측환봉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안착봉은 유선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착봉에 얹혀진 구이대상물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외부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구성하여, 상기 받침부에 구이대상물에 어떠한 흠집도 내지않고 얹은 상태에서 구이대상물의 구이 조리가 이루어져 구이대상물의 고유의 형태뿐만 아니라 고유의 식감을 극대화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구이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의 일부 분리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비큐구이기는 일단에 노출되도록 가열부(10)가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고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1)과 상기 구동축(11)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 마련된 핀삽입공으로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마련된 축지지핀(12)이 삽입됨에 따라 구동축(11)과 함께 제자리 회전하는 회전축(20), 및 상기 회전축(20)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구이대상물을 취부하는 회전체(10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회전체(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본 출원인의 기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354228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09-2368호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100)는 상기 회전축(20)이 삽입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관(110), 및 상기 회전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마련되고 상단에 구이대상물을 얹을 수 있도록 고정된 받침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관(110)은 회전축(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0)의 다각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령, 상기 회전축(20)이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 회전관(110)도 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20)과 함께 회전되도록 멈춤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관(110)은 회전축(20)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도록 종래와 같이 고정핀(25)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관(110)은 회전축(20)에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삽입될 수 잇으며, 이 경우 회전축(20)의 최하단에 마련되는 회전관(110)이 상기 고정핀(2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120)는 회전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상단에 구이대상물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20)는 회전관(110)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내측환봉(122), 및 상기 내측환봉(122)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외측환봉(124)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관(110)과 내측환봉(122) 사이에는 상기 내측환봉(122)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봉(123)이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내측환봉(122)과 외측환봉(124) 사이에는 구이대상물을 얹을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봉(125)이 형성된다.
즉, 회전관(110)에 고정봉(123)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내측환봉(122)이 고정되며, 상기 안착봉(125)의 일단은 내측환봉(122)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외측환봉(124)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측환봉(124)은 바비큐구이기의 설치상태를 기준으로 내측환봉(122)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회전축(20)의 회전력에 의해 받침부(120)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받침부(120)에 안착된 구이대상물이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안착봉(125)은 구이대상물의 용이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환봉(122)에는 회전관(110)의 길이방향의 일정높이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안착봉(125)에 얹어진 구이대상물이 내측으로 임의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단속봉(126)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회전체가 회전관(110)과 받침부(120)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받침부(120)에 구이대상물을 얹어 구이 조리가 가능함에 따라 구이대상물에 어떠한 흠집을 내지않음으로 구이대상물의 식감을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특징 은 특히 육류의 경우 육즙이 상실되지 않고 육류에 남아 있으므로 그 식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 및 받침부의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회전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받침부(120)가 마련되고, 이 경우, 다수의 받침부(120)에는 받침부(120)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면서 상호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하는 간격유지봉(128)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봉(128)은 내측환봉(122)의 내측에 마련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봉(128)은 다수의 받침부(120)의 간격유지뿐 아니라 안착봉(125)에 얹어진 구이대상물에서 발생한 수분 또는 기름이 표면장력에 의해 안착봉(125) 및 내측환봉(122)을 따라 모여지면서 상기 간격유지봉(128)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더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구이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바비큐구이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바비큐구이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구이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의 일부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 및 받침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회전축 25: 고정핀
110: 회전관 120: 받침부
122: 내측환봉 123: 고정봉
124: 외측환봉 125: 안착봉
126: 단속봉 128: 간격유지봉

Claims (7)

  1.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상부에 구이대상물을 취부하는 회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가열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전달받아 구이대상물을 구이 조리하는 바비큐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회전관; 및
    상기 회전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되 복수개의 고정봉에 의해 상기 회전관에 고정되는 내측환봉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내측환봉에 연결되어 상단에 구이대상물이 얹혀지는 복수개의 안착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봉의 타단에 외측환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환봉의 상부로 상기 안착봉에 취부된 구이대상물이 걸리는 단속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구이대상물에서 배출되는 수분 또는 기름등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 받침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구이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환봉은 내측환봉보다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안착봉에 안착된 구이대상물이 상기 회전축의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착봉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90005575U 2009-05-08 2009-05-08 바비큐구이기 KR200455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75U KR200455551Y1 (ko) 2009-05-08 2009-05-08 바비큐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75U KR200455551Y1 (ko) 2009-05-08 2009-05-08 바비큐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21U KR20100011221U (ko) 2010-11-17
KR200455551Y1 true KR200455551Y1 (ko) 2011-09-15

Family

ID=4420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575U KR200455551Y1 (ko) 2009-05-08 2009-05-08 바비큐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5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16U (ko) * 1992-06-04 1994-01-03 박갑문 전기구이기에 내장되는 구이대상물의 회전장치
KR950024415U (ko) * 1994-02-07 1995-09-13 김영진 회전구이틀
KR200162811Y1 (ko) * 1997-09-25 1999-12-15 전재권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KR200444331Y1 (ko) 2007-09-04 2009-05-07 서상협 바비큐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16U (ko) * 1992-06-04 1994-01-03 박갑문 전기구이기에 내장되는 구이대상물의 회전장치
KR950024415U (ko) * 1994-02-07 1995-09-13 김영진 회전구이틀
KR200162811Y1 (ko) * 1997-09-25 1999-12-15 전재권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KR200444331Y1 (ko) 2007-09-04 2009-05-07 서상협 바비큐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21U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993B2 (en) Skewer holder
US8087352B2 (en) Rotisserie spit
US20170215638A1 (en) Rotisserie And Grill Cylindrical Tumbler
US20090277339A1 (en) Rotisserie grill basket for cooking small food pieces
US20120285338A1 (en) Attachment to barbeque grill
US20050268794A1 (en) Spool rotisserie system
KR200411296Y1 (ko) 회전구이용 구이판
US20100024661A1 (en) Barbecue rack
KR100863801B1 (ko) 테이블 장착용 회전식 구이 장치 및 그 장치가 구성된테이블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200455551Y1 (ko) 바비큐구이기
US20080053425A1 (en) Kabob skewer holder
KR20046827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판 조립체
KR100586746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꼬챙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20160002021U (ko) 바베큐 구이 기능을 갖는 절첩식 숯불 구이기
KR100387391B1 (ko) 꼬치 회전 구이장치
KR200487100Y1 (ko) 캠핑용 파일 드라이브
US20140209084A1 (en) Camp Fire Set
KR20170001500A (ko) 여러 개의 꼬치를 걸어서 조리할 수 있는 꼬치구이용 회전판 및 그 꼬치구이용 회전판이 구비된 꼬치구이대
KR20140140998A (ko) 바비큐 겸용 숯불구이기
KR101756363B1 (ko)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KR100821927B1 (ko) 바비큐 구이기용 쇠꼬치 공자전 장치
KR200321537Y1 (ko) 석쇠
KR200444331Y1 (ko) 바비큐 구이기
KR100549808B1 (ko) 전동식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