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811Y1 -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 Google Patents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811Y1
KR200162811Y1 KR2019970026547U KR19970026547U KR200162811Y1 KR 200162811 Y1 KR200162811 Y1 KR 200162811Y1 KR 2019970026547 U KR2019970026547 U KR 2019970026547U KR 19970026547 U KR19970026547 U KR 19970026547U KR 200162811 Y1 KR200162811 Y1 KR 200162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ink
corner
rot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291U (ko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전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권 filed Critical 전재권
Priority to KR2019970026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81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싱크대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되는 선반에 각종 주방도구 등을 수납한 후 상기 축을 중심으로 선반을 회전시켜 싱크대 내부 깊숙히 수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납된 주방도구 등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선반을 회전시켜 수납된 주방도구 등을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바는 벽코너쪽으로 설치되는 싱크대안에 수납되어 지는 주방도구 등을 손쉽게 수납하거나 꺼내 쓸수 있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본 고안은 회전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싱크대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되는 선반에 각종 주방도구 등을 수납한후 상기 축을 중심으로 선반을 회전시켜 싱크대 내부 깊숙히 수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납된 주방도구 등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선반을 회전시켜 수납된 주방도구 등을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 주방도구(식기, 컵) 등을 수납하기 위해 싱크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상기 싱크대 안의 수납공간은 보통 빈 공간으로 남겨두거나 또는 싱크대 상, 하부 일부에 서랍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공간을 그릇 등의 주방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빈 공간으로 남겨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싱크대 수납공간이 사각형의 빈 공간으로만 남겨져 있어 상기 수납공간에 주방도구 등을 수납하거나 꺼내쓰기 위해서는 몸을 구부린후 팔이나 상체를 싱크대 안쪽으로 들여보내 필요한 주방도구를 찾아 꺼내 쓸수 밖에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싱크대가 벽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 싱크대의 경우는 싱크대안 수납공간의 구석진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수납할 수 없을 뿐더러 구석에 수납된 그릇 등을 꺼내 쓰고자 할 경우 도어쪽에 수납된 그릇 등을 모두 꺼낸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바는 벽코너쪽으로 설치되는 싱크대안에 수납되어 지는 주방도구 등을 손쉽게 수납하거나 꺼내 슬수 있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길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방 벽코너쪽에 설치되어지는 코너 싱크대의 선반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80) 상단과 하단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통공(52)이 형성된 축(20)에 결합되어 상기 축(20) 통공(52)을 횡단한 걸림봉(53)에 안치구(50)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치구(50) 상부로 선반회전구(40)가 장착되는 것과;
상기 선번회전구(40) 외주면에 선반지지판이 결합되는 홈(41)을 형성하고 선반(10)과 선반회전구(4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지지판이 안착되는 안착홈(60)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선반(10)이 일정정도 회전을 한후 멈취질수 있도록 안치구(50) 외주면 일부에 스토퍼(54)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4)가 상기 선반회전구(40)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안내홈(57)에 안내되어 선반회전을 정지토록 하는 선반 회전 멈춤장치와;
로 구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제 2도는 본 고안이 축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 3도는 상기 선반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다 멈춰지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제 4도는 상기 선반이 결합되는 결합장치 및 회전멈춤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 11 : 선반지지판
20 : 축 21 : 높이조절구
23 : 조임구 30 : 축지지대
40 : 선반회전구 41 : 홈
42 : 환형돌기 50 : 안치구
51 : 요홈 52 : 통공
53 : 걸림봉 54 : 스토퍼
56 : 안내돌기 57 : 스토퍼안내홈
60 : 안착홈 61 : 안착돌기
80 : 싱크대
상기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설명부호 30은 싱크대(80) 하단면에 축이 고정되도록 하는 축지지대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싱크대(80)의 회전식 선반(10)은 싱크대(80)를 종단하며 복수개의 통공(52)이 형성되는 축(20)과, 상기 축(20)에 선반(10)이 장착 지지되는 안치구(50)와, 싱기 안치구(50) 상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선반(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반회전구(40)와, 상기 선반회전구(40) 외주면에 형성된 홈(41)에 선반지지판(11)이 결합 지지되어 지는 선반(10)과, 상기 축(20) 상단에 장착되어 싱크대(80)의 높낮이에 맞출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구(21)로 구성된다.
상기 축(20)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축(20)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통공(52)이 복수개 형성되어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통공(52)으로 걸림봉(53)이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걸림봉(53)이 끼워질 수 있도록 안치구(50)를 형성하는바, 상기 안치구(50) 하단부 양단이 막히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홈(58)이 형성되고 상단부 표면에 원형의 요홈(51)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면 일부에 돌출되는 스토퍼지지대(55)가 형성되고 원주면이 상기 스토퍼지지대(55)에 지지되면서 일부가 안치구(50)에 묻혀져 고정지지되는 원형봉 형상의 스토퍼(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치구(50) 상단표면에 형성된 원형의 요홈(5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환형돌기(42)가 하단부에 형성된 선반회전구(40)가 상기 축(20)에 삽입되면서 안치구(50)와 결합되어 지는바, 상기 안치구(50)는 걸림봉(53)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회전이 불가한 반면에 상기 선반회전구(40)는 안치구(50) 상단표면의 요홈(51)에 환형돌기(42)만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선반회전구(40)의 회전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선반(10)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11)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상기 선반회전구(40) 외주면을 따라 깊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 외주면이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는바, 상기 선반회전구(40) 하단 외주면 일부에 상기 안치구(50) 외주면 일부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54)가 안내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도 3과 도4에서 보는바와 같은 안내돌기(56)가 좌우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56) 사이에 스토퍼안내홈(5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선반회전구(40) 하단 외주면에서 상단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61)가 도4에서 보는바와 같이 돌출되면서 상기 안착돌기(61) 사이에 안착홈(60)이 형성되도록 하는바 상기 안착홈(60)에 선반(10)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11)이 끼워져 선반(10)과 상기 선반회전구(40)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축(20)의 통공(52)을 관통한 걸림봉(53)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된 상태의 안치구(50) 및 선반회전구(40)에 의해 원형 등의 형상을 갖는 선반(10)이 안착지지되는바, 상기 선반(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지지판(11)이 상기와 같이 선반회전구(40) 외주면 중앙에 형성된 홈(41)에 끼워져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치구(50)는 걸림봉(53)에 걸려지게 되어 회전을 하지 못하고 고정되며, 상기 선반회전구(40)는 안치구(50) 상단 표면에 형성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요홈(51)을 따라 선반(10)과 연동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선반회전구(40) 상부로 조임구(23) 등을 설치할 수 있는바, 상기 조임구(23)는 선반(10)과 축(20)의 이격을 막음과 동시에 그릇등이 상기 선반(10)에 놓여졌을 경우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조임구(23)는 나사부를 조였다 풀었다하면서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축(20) 상단으로 높이조절구(21)가 부착되는바, 상기 높이조절구(21)는 싱크대(80)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상기 높이조절구(21) 외주면에 돌출되어 절개된 상태의 양면을 나사(22)를 풀거나 조여 상기 높이조절구(21)를 축(20) 상하단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주방 등의 벽(70)코너에 설치되어 있는 싱크대(80)안의 선반(10)을 사용하기 위해 싱크대(80) 도어장착면의 일단에 형성된 도어축(91)을 기점으로 도어(90)를 개방시킨 후 사용하는 선반(10)을 손으로 잡은후 회전을 시키면 상기 선반(10)은 축(20)을 기점으로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선반(10)에 수납된 그릇 등의 필요로 하는 주방도구가 시야에 들어롤 때 까지 선반(10)을 회전 시켜 꺼내 쓸 수 있게 된다.
이때 선반(10)이 자유회동을 하게 되면 수납된 그릇 등의 주방도구가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선반(1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선반회전구(40) 하단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안내돌기(56) 및 스토퍼안내홈(57)이 일정각(예를 들어180도)회전 되면 안추기(50)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스토퍼(54)가 상기 안내돌기(56)에 의해 안내되어 스토퍼안내홈(57)에 걸려져 더 이상 회동될 수 없게 된다.
다시 선반(10)을 회동시키기위해 선반(10)을 일정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안내홈(57)에서 스토퍼(54)가 이탈되면서 안내돌기(56)을 따라 완전이탈되어 선반(10)의 회전이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코너 싱크대(80)의 형상에 따라 선반(10)의 형상을 달리 할 수 있는바, 예를들어 (a)도와 같이 사각형상에서 1/4이 잘려나간 형상의 싱크대(80)의 경우 선반(10)의 형상을 270도만 형성된 원형으로 하여 축(20)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선반(10)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도어(90)를 개방한후 선반(10)을 좌우로 회동시키면 손쉽게 싱크대(80) 안쪽에 수납된 주방도구들도 꺼내 쓰거나 수납할 수 있으며, (b)도와 같이 정사각형상의 싱크대(80)의 경우 선반(10)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c)도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싱크대(80)가 설치되고 전면 일측면에 타싱크대(81)가 설치되어 일측면에 도어(90)를 장착하기 어려운 경우 전면 타측면에 도어(90)를 장착한 후 상기 직사각형 싱크대(80) 안에 반원형의 선반(10)을 축(20)에 고정설치하게 되면 전면 타측면에 설치된 도어(90)를 개방후 상기 반원형 선반(10)을 회전시켜 필요로 하는 주방도구 등을 꺼내 쓰거나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게 의하면, 주방벽(70)의 구석진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 싱크대(80)를 설치할 경우 상기 코너 싱크대(80)의 형상에 따라 회전가능한 270도 원형성반, 또는 360도 원형선반, 180도 원형선반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어 구석에 위치한 코너 싱크대(80)의 구석에 수납된 주방도구등도 선반(10)에 수납하여 회전시켜 도어(90) 앞으로 인출한 후 꺼내 쓰거나 수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코너 싱크대(80)의 선반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주방 벽코너쪽에 설치되어지는 코너 싱크대의 선반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80) 상단과 하단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통공(52)이 형성된 축920)에 결합되어 상기 축(20) 통공(52)을 횡단한 걸림봉(53)에 안치구(50)가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안치구(50) 상부로 선반회전구(40)가 장착되는 것과;
    상기 선반회전구(40) 외주면에 선반지지판(11)이 결합되는 홈(41)을 형성하고 선반과 선반회전구(40)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지지판(11)이 안착되는 안착홈(60)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선반(10)이 일정정도 회전을 한후 멈춰질수 있도록 안치구(50) 외주면 일부에 스토퍼(54)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4)가 상기 선반회전구(40)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안내홈(57)에 안내되어 선반(10)회전을 정지토록 하는 선반 회전 멈춤장치와;
    로 구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회전구(40) 외주면 중앙에 홈(41)이 형성되고 상기 홈(41)에 선반지지판(11)이 결합되면서 상기 선반지지판(11)이 선반회전구(40)에 고정되도록 하단외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안착홈(60)이 형성되도록 안착돌기(61)가 형성되어 선반회전구(40)와 선반(10)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회전구(40) 하단 외주면에 안내돌기(56)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돌기(56) 사이에 스토퍼안내홈(57)이 형성되어 상기 안치구(50) 외주면 일측면부에 형성된 스토퍼(54)가 상기 스토퍼안내홈(57)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선반(10) 및 선반회전구(40)의 일정각 회전후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10)은 코너 싱크대(80)의 형상에 따라 360°, 270°, 180°원형선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코너 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KR2019970026547U 1997-09-25 1997-09-25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KR200162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47U KR200162811Y1 (ko) 1997-09-25 1997-09-25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47U KR200162811Y1 (ko) 1997-09-25 1997-09-25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91U KR19990013291U (ko) 1999-04-15
KR200162811Y1 true KR200162811Y1 (ko) 1999-12-15

Family

ID=1951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547U KR200162811Y1 (ko) 1997-09-25 1997-09-25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8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298B1 (ko) 2006-04-06 2006-11-28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거실 다용도 구조물
KR200455551Y1 (ko) * 2009-05-08 2011-09-15 서상협 바비큐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929B1 (ko) * 2021-06-08 2023-07-13 한규진 서랍 회전 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서랍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298B1 (ko) 2006-04-06 2006-11-28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내부 거실 다용도 구조물
KR200455551Y1 (ko) * 2009-05-08 2011-09-15 서상협 바비큐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91U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197B1 (en) Multipurpose suction-type connection seat
US7537409B2 (en) Locking device
CN114144284A (zh) 工具抓持装置
US20210378433A1 (en) Curved Curtain Rod
KR200162811Y1 (ko) 코너싱크대의 회전식 선반
US6386494B1 (en) Bath towel hanger base with a strong suction disc
JP4941972B2 (ja) 中皿の上昇機構を備えた容器
US3701450A (en) Self-holding tube end closures
JP2003194455A (ja) 冷蔵庫ドアのハンドル組立体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JP7487669B2 (ja) 棒状部材の固定具
GB2246291A (en) Tray for garden table
JPH0415111Y2 (ko)
JP2571522Y2 (ja) 家具用蝶番
KR102199823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0253100Y1 (ko) 청소용 자루걸레
JPS61151608U (ko)
KR200155658Y1 (ko)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
KR200230536Y1 (ko) 받침대가 부설된 냄비
KR0130829Y1 (ko) 분리조립식 직립수저통
KR102293813B1 (ko) 샤워기 거치홀더
JP2562534Y2 (ja) 首振り式アジャスタ
KR200488020Y1 (ko) 낚시용 다용도 받침대
WO2001060200A1 (en) Brush holder, use of the brush holder, brush and brush set
KR102233113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