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592Y1 - 건축용 판넬지지대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92Y1
KR930005592Y1 KR2019910002956U KR910002956U KR930005592Y1 KR 930005592 Y1 KR930005592 Y1 KR 930005592Y1 KR 2019910002956 U KR2019910002956 U KR 2019910002956U KR 910002956 U KR910002956 U KR 910002956U KR 930005592 Y1 KR930005592 Y1 KR 930005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ner pipe
fixing
pipe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2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224U (ko
Inventor
남정록
Original Assignee
남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록 filed Critical 남정록
Priority to KR2019910002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592Y1/ko
Publication of KR920018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판넬지지대
제1도는 종래의 건축용 판넬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건축용 판넬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건축용 판넬지지대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건축용 판넬지지대를 보인 측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제6a도는 조임력을 해소시켜 지지대의 길이를 가변시의 상태도이고 제6b도는 지지대의 길이를 고정시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측파이프 11 : 내측파이프
12 : 조절부재 13 : 고정부재
14, 14a : 안착홈 15, 15a : 고정판
16 : 브라켓트 17 : 조절손잡이
18 : 체결핀 19 : 고정구
20 : 장공 12 : 고정편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를 간단히 하여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제작원가를 절감시키도록함과 동시에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판넬지지대는 건축기공사시 천정면, 또는 다층 건물일 경우 각층의 바닥면을 콘크리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판넬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건축용 판넬 지지대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외측파이프(1)와, 상기 외측파이프(1)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 하 슬라이드 작동되는 내측파이프(2)와, 이들의 연결부위에 구비되고 내측파이프(2)의 길이를 가변 조절하는 조절구(3)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측파이프(1)는 하부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바닥면에 접면되는 고정판(4)과, 상부의 외주연으로 후술할 조절구(3)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5)와, 그리고, 상기 나사부(5)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장공(6)을 갖추고 있고, 또한, 내측파이프(2)는 상부끝단에 구비되고 판넬(P)에 접면되는 고정판(4a)과,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조절구(3)의 고정핀(7)이 삽입되는 다수의 체결공(8)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구(3)는 상기한 외측파이프(1)의 나사부(5)에 나사체결되고 양측면으로 조절손잡이(P)가 구비되어 외측파이프(1)의 장공(6)을 통해 내측파이프(2)의 체결공(8)에 끼워져 체결되는 고정핀(7)을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대를 사용시에는 고정핀(7)을 외측파이프(1)의 장공(6)을 통하여 내측파이프(2)의 체결공(8)에 끼워 고정하므로서 지지대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체결공(8)과 체결공(8)의 사이의 범위에서 미세한 길이 조절을 할 경우에는 조절손잡이(9)를 이용하여 조절구(3)을 상향으로 작동시키므로서 고정핀(7)이 장공(6)내에서 상승되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는 내,외측파이프(1)(2)를 단순히 횡방향으로 끼워지는 고정핀(7)으로만 고정하기 때문에 판넬(P)이 받는 하중이 거의 대부분 고정핀(7)에만 집중되어 고정핀(7)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내측파이프(2)에는 고정핀(7)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8)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있으므로서 이의 체결공 부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등 그 지지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지지대를 사용시 길이를 가변할 경우에는 고정핀(7)을 뽑고 내측파이프(2)를 상,하 작동시켜서 임의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고정핀(7)을 장공(6)을 통해 체결공(8)에 삽입체결하여야만 하고, 또한, 조절구(3)를 돌려주어 미세한 길이조절을 재차행하여야 하는 등 그 길이조절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지지대를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하여 지지대를 다수로 적층할시에도 본체는 원통형인데 반하여 양측, 고정판(4)(4a)은 단순히 사각형상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로 적층되는 지지대가 쉽게 굴러 떨어지는 등 운반 및 보관상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지지대의 길이 조절을 간편히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관을 편리하도록 하는 건축용 판넬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외측파이프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희동작동에 의해 상, 하 작동되는 고리형상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이의 고정부재로 하여금 내측파이프를 고정토록하고, 또한, 내,외측 파이프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고정판의 각면에는 안착홈을 갖추므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지지대를 상세히 표시한 것으로, 이는 외측파이프(10)와, 상기 외측파이프(10)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되는 내측파이프(11)와, 또한, 상기 외측파이프(10)의 일측상단에 구비되는 조절부재(12)와, 이의 조절부재(12)에 의해 내측파이프(1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로 구성된다.
즉, 외측파이프(10)는 상부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면서, 하부 끝단에 구비되고 각면으로 안착홈(14)을 갖는 사각형상의 고정판(15)과, 상부 일측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조절 조절부재(12)가 나사조립되는 브라켓트(16)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파이프(10)의 개구를 통하여 중공부에 삽입되는 내측파이프(11)는 상부 끝단에 역시 각면에 안착홈(14a)을 갖는 사각형상의 고정판(15a)을 갖추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되므로서 지지대 전체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절부재(12)는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브라켓트(16)에 나사조립되고 하단에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조절 손잡이(17)와, 상단에는 고정부재(13)가 체결핀(18)으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는 내측파이프(11)의 외주연에 끼워져 구비되고 일정한 경사를 갖는 고리형의 고정구(19)와, 이의 고정구(19)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장공(20)을 갖는 고정편(21)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제6a도에서와 같이 조절부재(12)의 조절손잡이(17)를 역회전시켜 고정부재(13)를 하강시키면 고정구(19)의 내연은 내측파이프(11)의 외주연으로 약간 이격되어 고정력이 해소하게되고, 이상태에서 내측파이프(11)를 상,하 슬라이드 작동시켜 지지대의 전체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사용시에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임의의 길이로 조정된 다수의 지지대들을 사용하여 건축용 판넬(P)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한 다음 제6b도에서와 같이 조절부재(12)를 다시 회전시켜 고정부재(13)를 상승시키게 되면, 고정부재(13)의 고정구(19)는 대가선방향으로 상승되어 내주연이 내측파이프(11)의 외주연에 밀착 고정되므로서 판넬(P)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대의 길이를 미세하게 상,하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부재(12)를 적당하게 조절하여, 즉, 내측파이프(11)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을 정도만의 고정력으로만 고정하여 인의적으로 내측파이프(11)를 상,하 작동시켜 길이를 조절한 다음 전술한 바와같이 내측파이프(11)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재(13)의 고정구(19)는 내측파이프(11)의 외주연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파지하고 있으므로서 내측파이프(11)의 상단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는 것만큼 더욱 대각선 방향으로 조임이 되어 고정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천정면을 콘크리트 공사시 판넬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고정력이 증대되므로서 그만큼 지지대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내측파이프에는 종래와 같은 체결공이 배제되므로서 내측파이프의 견고성이 그만큼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시에도 종래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는 고정핀을 일일히 끼웠다 뺏다할 필요없이 조절부재만을 회전조절하면 지지대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수 가 있게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을 보관하기 위하여 다수의 적층할 시에도 상,하 고정판의 각면에 안착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수로 적층되는 내,외측파이프가 각 고정판의 안착홈에 안착되므로서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량의 지지대를 안전하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건축공사의 천정면을 콘크리트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판넬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부끝단에 각면으로 안착홈을 갖는 고정판과 상부 일측단에 조절부재가 나사조립되는 브라켓트를 갖춘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 작동되고 상부 끝단에 각면으로 안착홈을 갖는 고정판을 갖춘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브라켓트에 나사조립되고 하단에 조절 손잡이를 구비한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상단에 체결핀으로 체결되고, 일측에 내측파이프의 외주연에 끼워져 구비되는 고리 형의 고정구와 타측에 조절부재가 체결되는 장공을 가지는 고정편을 일체형으로 갖춘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지지대.
KR2019910002956U 1991-03-04 1991-03-04 건축용 판넬지지대 KR930005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956U KR930005592Y1 (ko) 1991-03-04 1991-03-04 건축용 판넬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2956U KR930005592Y1 (ko) 1991-03-04 1991-03-04 건축용 판넬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24U KR920018224U (ko) 1992-10-17
KR930005592Y1 true KR930005592Y1 (ko) 1993-08-23

Family

ID=1931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2956U KR930005592Y1 (ko) 1991-03-04 1991-03-04 건축용 판넬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65B1 (ko) * 2012-07-17 2015-02-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소음 방지용 서포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74B1 (ko) * 2001-10-23 2004-10-06 한국산업안전공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하중 지지장치
KR100802169B1 (ko) * 2007-08-10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쟈키베이스와 서포트의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65B1 (ko) * 2012-07-17 2015-02-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소음 방지용 서포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24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096A (en) Raised floor supporting structure
US3087206A (en) Floating floor anchor
KR930005592Y1 (ko) 건축용 판넬지지대
EP0874943B1 (en) Bar system
KR200245819Y1 (ko)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구조
US5122019A (en) Wall covering installation system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200365562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KR200173856Y1 (ko) 나사봉을 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중 너트 결속 구조
KR200155658Y1 (ko) 냉장고의 높이조절장치
KR200246812Y1 (ko) 델타판넬 시스템
KR200336902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JPH09273292A (ja) 二重床用パネルの支持脚
KR102092620B1 (ko) 건식 시공용 욕조 받침대
JPS642951Y2 (ko)
KR200175150Y1 (ko) 모니터용기능성선반
JPS5942930Y2 (ja) 家具固定装置
JP2002021303A (ja) 高防振性の床支持脚
GB2333568A (en) Adjustable double nut fastening mechanism
KR19990022559U (ko) 케이블트레이지지용브래킷의각도조절장치
KR200416870Y1 (ko) 조절구가 구비된 테이블 밑판
JPH0384149A (ja) 間仕切壁用高さ調整装置
JPH08173256A (ja) ビルトイン機器の据付装置
KR200372306Y1 (ko) 보강용 클린룸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