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743Y1 - 조리용 집게 - Google Patents

조리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743Y1
KR200454743Y1 KR2020090003126U KR20090003126U KR200454743Y1 KR 200454743 Y1 KR200454743 Y1 KR 200454743Y1 KR 2020090003126 U KR2020090003126 U KR 2020090003126U KR 20090003126 U KR20090003126 U KR 20090003126U KR 200454743 Y1 KR200454743 Y1 KR 200454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ngs
fixing
fixing fram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71U (ko
Inventor
서창석
Original Assignee
서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석 filed Critical 서창석
Priority to KR2020090003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74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7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한 손 전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삶아진 대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건져낼 수 있는 조리용 집게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제 2 고정프레임과, 제 1, 제 2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가지는 본체부와, 제 1, 제 2 고정프레임의 내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제 2 이동프레임과, 제 1, 제 2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압바와, 제 1, 제 2 이동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정축을 가지는 가압부와, "("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 1 종살과, 다수의 제 1 종살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을 가지는 제 1 집게부, 및 ")"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제 1 종살에 간섭되지 않게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 2 종살과, 다수의 제 2 종살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을 가지는 제 2 집게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집게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이 제 1, 제 2 고정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손잡이프레임, "["자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손잡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손잡이프레임, 및 제 2 손잡이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리용 집게{A COOKING TONGS}
본 고안은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량의 음식물을 집을 수 있고, 특히 대량으로 삶아진 국수, 야채 및 고기류 등 또는 기름에 튀긴 음식물을 신속하게 건져 낼 수 있고, 위생을 요하는 음식물들을 옮길 수 있는 조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식당의 주방 및 일반 가정의 주방에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집게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집게들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부가 절개된 환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형성되고, 탄성부재의 양측 하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연장되는 집게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집게부재의 끝단에는 조리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예를 들어 집게부재는 통상적으로 평판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평판형상의 단부에 톱니형상의 돌기들이 다수 형성된다.
도 1은 종래 통상의 집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집게(1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탄성부재(20)와, 탄성부재(20)의 각각의 연장단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파지부재(30)와, 한 쌍의 파지부재(30)의 연장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집게부재(4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게부재(40)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집게(10)의 집게부재(40)에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톱니형상의 돌기(42)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집게는 면 종류의 음식물, 또는 길이가 긴 야채 등의 음식물을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집게는 집게부재가 벌어지는데 한계가 있고, 두 손가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파지력이 약해 대량으로 음식물을 파지할 수 없어 삶을 후, 신속하게 건져야 하는 음식, 예를 들어 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을 집기에는 용이하지 않아 나중에 건져내는 국수는 탄력이 없이 퍼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량의 국수 등을 주 메뉴로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 등과 같은 곳에서는 찾아오시는 손님들에서 동일한 맛을 제공하기 위해 신속하면서도 다량으로 삶은 국수를 건질 수 있는 집게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부,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 및 가압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갈고리형상의 제 1 집게부 및 제 2 집게부를 구비함으로써, 한 손 전체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삶아진 대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건져낼 수 있는 조리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조 손잡이부를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대량으로 파지된 무거운 음식물을 다른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조리용 집게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고정프레임 및 제 2 고정프레임과, 제 1 고정프레임과 제 2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가지는 본체부;
제 1 고정프레임 및 제 2 고정프레임의 내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동프레임 및 제 2 이동프레임과, 제 1 이동프레임 및 제 2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압바와, 제 1 이동프레임 및 제 2 이동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정축을 가지는 가압부;
"("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 1 종살과, 다수의 제 1 종살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을 가지는 제 1 집게부; 및
")"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제 1 종살에 간섭되지 않게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 2 종살과, 다수의 제 2 종살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을 가지는 제 2 집게부;로 이루어진 조리용 집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용 집게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이 제 1 고정프레임 및 제 2 고정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손잡이프레임, "["자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손잡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손잡이프레임 및, 제 2 손잡이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부와, 본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와, 가압부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갈퀴형상의 제 1 집게부 및 제 2 집게부를 구비함으로써, 조리 주인 국수 등과 같은 가늘고 긴 음식물을 대량으로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족발 등과 같은 부피가 있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신속하게 건져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 1 집게부 및 제 2 집게부가 파지한 음식물을 두 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대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건져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집게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집게의 배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집게의 측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집게(100)는, 본체 부(110)와, 본체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압부(120)와, 가압부(12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갈퀴형상의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를 구비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집게(100)는,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손잡이부(150)를 더 구비한다.
먼저, 본체부(1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한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과,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상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연결바(114)를 구비한다.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에는 가이드장공(116a, 116b) 및 고정돌기(118a, 118b)가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16a, 116b)은 연결바(114)에 간섭되지 않는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하부 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고정돌기(118a, 118b)는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하부에 인접한 내측면 상에 돌출 형성된다. 즉, 각각의 고정돌기(118a, 118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바(114)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 즉,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10)에는 가압부(120)가 장착되고, 가압부(120) 및 본체부(110)에는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가 장착된다.
가압부(12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한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과,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의 상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가압바(124)와,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의 하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고정축(126)을 구비한다.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은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내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에는 슬라이드장공(128a, 128b) 및 이동돌기(130a, 130b)가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드장공(128a, 128b)은 고정축(126)에 간섭되지 않는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부 측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에 형성된 슬라이드장공(128a, 128b)에는 각각의 고정돌기(118a, 118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이동돌기(130a, 130b)는 가압바(124)에 간섭되지 않는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의 외측면 상부에 인접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돌기(130a, 130b)는 가이드장공(116a, 116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한편, 제 1 이동프레임(122a) 및 제 2 이동프레임(122b)의 내측면 상에는 장착돌기(132a, 132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어느 하나의 장착돌기(132a, 132b)와 이웃한 고정돌기(118a, 118b)는 인장 스프링(134a, 134b)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돌기(132a, 132b)는 슬라이드장공(128a, 128b) 및 이동돌기(130a, 130b) 사이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압바(124)는 연결바(114)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낮 은 재질, 즉,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집게부(140a)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제 1 종살(142a)과, 다수의 제 1 종살(142a)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144a)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집게부(140b)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제 2 종살(142b)과, 다수의 제 2 종살(142b)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144b)을 구비한다.
다수의 제 1 종살(142a)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부가 고정축(12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 2 종살(142b)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제 1 종살(142a)에 간섭되지 않게 상부가 고정축(12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가 모아질 때 제 1 횡살(144a)의 양단부분은 제 2 집게부(140b) 측으로 만곡되고, 제 2 횡살(142b)의 양단부분은 제 1 집게부(140a) 측으로 만곡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종살(142a) 또는 제 2 종살(142b)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가 모아질 때 마주보는 제 1 종살(142a) 또는 제 2 종살(142b)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조살(146)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는 본체부(11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링크바(148a) 및 한 쌍의 제 2 링크바(148b)를 더 구비한다. 제 1 링크바(148a)의 일단은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하부 일 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링크바(148a)의 타단은 제 1 횡살(144a)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2 링크바(148b)의 일단은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하부 타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링크바(148b)의 타단은 제 2 횡살(144b)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한 쌍의 제 1 링크바(148a) 및 한 쌍의 제 2 링크바(148b)는 가압부(120)를 가압할 때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가 용이하게 모이게 하며, 가압이 상실 되면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가 넓게 벌어지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50)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이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외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손잡이프레임(152)과,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손잡이프레임(15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손잡이프레임(154) 및, 제 2 손잡이프레임(154)의 양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156)를 구비한다. 이러한 손잡이부(150)는 대량을 음식물을 파지할 때 두 손으로 집게(100)를 들 수 있게 하며, 대량의 음식물을 파지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운반할 때 작업자의 손목을 자유롭게 하여 음식물의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바(156)는 연결바(114)와 마찬가지로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 즉,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한편, 손잡이부(150)에 인접한 제 2 링크바(148b)는 제 1 링크바(148a)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아진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를 손잡이부(150)의 대향하는 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즉, 손잡 이부(150)의 대향하는 측으로 기울어진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대량의 음식물을 들어 올릴 때 음식물의 무게중심을 본체부(110)의 하부 및 손잡이부(150) 측으로 유도하여 가압부(120) 측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리용 집게(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대량으로 삶아진 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을 신속하게 건져내기 위해서는, 우선 한 손으로는 손잡이부(150)의 손잡이바(156)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본체부(110)의 연결바(114)와 가압부(120)의 가압바(124)를 동시에 잡은 상태 하에서 집게(100)를 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이 대량으로 삶아진 솥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가압바(124)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바(124), 제 1 이동프레임(122a), 제 2 이동프레임(122b) 및 고정축(126)은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가압부(120)가 상승함에 따라 벌어져 있던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는 제 1 고정프레임(112a) 및 제 2 고정프레임(112b)의 하부로 모이면서 삶아진 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을 파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집게(100)를 솥의 외부 빼낸 후, 가압부(120)에 가했던 압력을 제거하면, 신장되어 있던 인장스프링(134a, 134b)에 의해서 가압바(124), 제 1 이동프레임(122a), 제 2 이동프레임(122b) 및 고정축(126)은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 모아져 있던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는 벌어지면서 파지 하고 있던 음식물을 내려놓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집게(100)는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의 파지용량이 크기 때문에 국수 등과 같은 음식물을 대량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족발 등과 같은 부피가 있는 음식물을 파지하기 용이하다.
또한, 제 1 집게부(140a) 및 제 2 집게부(140b)가 파지한 음식물을 두 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대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건져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통상의 집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집게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집게의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용 집게의 측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조리용 집게 110 : 본체부
120 : 가압부 140a : 제 1 집게부
140b : 제 2 집게부 150 : 손잡이부

Claims (6)

  1. 조리용 집게에 있어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 1 고정프레임 및 제 2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내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동프레임 및 제 2 이동프레임과,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압바와,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고정축을 가지는 가압부;
    "("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상기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 1 종살과, 다수의 상기 제 1 종살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을 가지는 제 1 집게부; 및
    ")"자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부가 상기 제 1 종살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제 2 종살과, 다수의 상기 제 2 종살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횡살을 가지는 제 2 집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집게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손잡이프레임, "["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손잡이프레임에 회전가능하 게 장착되는 제 2 손잡이프레임 및, 상기 제 2 손잡이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집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하부 내측면 상에는 각각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이동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집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 및 상기 제 2 이동프레임의 내측면 상에는 장착돌기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장착돌기와 이웃한 상기 고정돌기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집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 및 상기 제 2 집게부가 모아질 때 상기 제 1 횡살 및 상기 제 2 횡살의 양단부분은 상기 제 2 집게부 및 상기 제 1 집게부 측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 1 종살 또는 상기 제 2 종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집게부 및 상기 제 2 집게부가 모아질 때 마주보는 상기 제 1 종살 또는 상기 제 2 종살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조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집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게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횡살의 양단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제 1 링크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집게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 2 고정프레임의 하부 타측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횡살의 양단에 선회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제 2 링크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링크바의 길이는 상기 제 1 링크바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집게.
KR2020090003126U 2009-03-18 2009-03-18 조리용 집게 KR200454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26U KR200454743Y1 (ko) 2009-03-18 2009-03-18 조리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26U KR200454743Y1 (ko) 2009-03-18 2009-03-18 조리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71U KR20100009471U (ko) 2010-09-29
KR200454743Y1 true KR200454743Y1 (ko) 2011-07-25

Family

ID=4419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26U KR200454743Y1 (ko) 2009-03-18 2009-03-18 조리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7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07Y1 (ko) * 2010-11-08 2011-04-15 임영민 다용도 주방용 집게
KR102414442B1 (ko) * 2020-10-16 2022-06-29 이상필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용 집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482A (ja) * 1999-06-14 2000-12-26 Toho Titanium Co Ltd 掴み力補足装置を備えたト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482A (ja) * 1999-06-14 2000-12-26 Toho Titanium Co Ltd 掴み力補足装置を備えたト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71U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6226A1 (en)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US20090322108A1 (en) Opposed fork food grasping device
US20210022350A1 (en) Taco shell mold
CN201879443U (zh) 一种方便蒸锅
KR200454743Y1 (ko) 조리용 집게
US20060202494A1 (en) Combination spatula and tong device for handling food
US5601323A (en) Cooking tong apparatus
WO2014015042A1 (en)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2900151A (en) Spoon and fork rest for kitchen utensils
CN201022614Y (zh) 带锅隔板升降装置的火锅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KR20100111583A (ko) 주방용 복합집게
EP2140792A1 (en) Handle element, handle or handle cover for a kitchen utensil and kitchen utensil preferably provided with such a handle element
CN208988622U (zh) 一种拼接式厨件连接件
JP2013198710A (ja) 串の食品スライドつまみ具
KR100937551B1 (ko) 밥주걱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KR200315113Y1 (ko) 조작이 용이한 젓가락
KR200357412Y1 (ko) 집게형 주방기구
CN208837738U (zh) 烹调用具的放置结构及烹饪器具
KR200471532Y1 (ko) 튀김 조리기구
KR20120007643U (ko) 조리용 집게
JP3174627U (ja) 食品用ト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