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712Y1 - 결빙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결빙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712Y1
KR200454712Y1 KR2020080017183U KR20080017183U KR200454712Y1 KR 200454712 Y1 KR200454712 Y1 KR 200454712Y1 KR 2020080017183 U KR2020080017183 U KR 2020080017183U KR 20080017183 U KR20080017183 U KR 20080017183U KR 200454712 Y1 KR200454712 Y1 KR 200454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 generator
housing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846U (ko
Inventor
이식용
신장호
황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71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0Removing frost by spraying with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2Removing frost by hot-fluid circulating system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system
    • F25D21/125Removing frost by hot-fluid circulating system separate from the refrigerant system the hot fluid being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빙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 관통하며 연장 설치되는 물 공급 호스; 하우징 내부에서 물 공급 호스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급수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 급수 펌프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급수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 하우징을 관통한 스팀 발생기의 배출측에 연장 설치되는 스팀 배출 호스; 스팀 배출 호스의 연장 단부에 결합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급수 펌프 및 스팀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가동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스팀 발생기는 케이싱; 급수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예열시키도록 케이싱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취되는 예열 튜브; 케이싱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 파이프; 예열 튜브로부터 예열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스팀 배출 호스로 배출하도록, 케이싱 내부에서 전열 파이프를 감싸며 권취되는 가열 튜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냉동 또는 냉장 장치의 보수 작업시 동결된 부분을 빠르게 해동시켜 신속하게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결빙 제거 장치, 스팀 발생기, 스팀, 펌프

Description

결빙 제거 장치{DEFROSTER}
본 고안은 결빙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냉동 또는 냉장 장치의 보수 작업시 동결된 부분을 빠르게 해동시켜 신속하게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결빙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 또는 냉동 장치는 소정의 냉동 사이클을 따라 냉매를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냉기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공급하여 수납된 저장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시켜 저장식품이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일련의 냉기 흐름 과정에서 냉각기 주변에 분포하는 저온의 냉기와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를 순환하면서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에 수납된 수납물과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온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냉각기 주변의 스팀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후 과포화 상태의 스팀은 냉각기 주변 공기속에 더 이상 스팀 상태로 존재하지 못하고 냉각기 표면에서 이슬로 맺히게 되며, 이 이슬은 냉각기 표면에서 동결되어 성에로 변하게 된다.
그러나, 냉동 또는 냉장 장치가 고장 및 작동 불량에 의해 이를 보수해야 하 는 경우 반드시 성에를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냉동 또는 냉장 장치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결빙 제거 장치가 없어 드라이기 등을 대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드라이기 등의 전열기구는 열풍 분사구의 크기 및 형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냉장고의 드레인 홀 같은 입구가 좁은 부위에는 직접적으로 열풍을 분사시키기가 어렵고 넓은 면적을 제상시킬 때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냉동 또는 냉장 장치의 보수시 신속하게 결빙을 제거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하고, 빠르게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빙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결빙 제거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 관통하며 연장 설치되는 물 공급 호스; 하우징 내부에서 물 공급 호스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급수 펌프; 하우징 내부에서 급수 펌프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급수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 하우징을 관통한 스팀 발생기의 배출측에 연장 설치되는 스팀 배출 호스; 스팀 배출 호스의 연장 단부에 결합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급수 펌프 및 스팀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가동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스팀 발생기는 케이싱; 급수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예열시키도록 케이싱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취되는 예열 튜브; 케이싱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 파이프; 예열 튜브로부터 예열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스팀 배출 호스로 배출하도록, 케이싱 내부에서 전열 파이프를 감싸며 권취되는 가열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기의 외부를 감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고, 단열재는 글라스울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급수 펌프를 가동 제어하는 위상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의 온도에 따라 가동 제어할 수 있도록, 스팀 발생기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급수 펌프 및 스팀 발생기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점등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결빙 제거 장치에 따르면, 냉동 또는 냉장 장치의 보수시 신속하게 결빙을 제거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하고, 빠르게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결빙 제거 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결빙 제거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장치(1) 는 크게 스팀 발생부(2)와 스팀 분사부(3)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팀 발생부(2)는 하우징(10), 물 공급 호스(20), 급수 펌프(30), 스팀 발생기(40) 및 제어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급수 펌프(30), 스팀 발생기(40), 제어기(70) 및 연결 배관 및 전선등을 수용할 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며. 휴대가 간편하도록 상측에 손잡이(5)가 구비될 수 있다.
물 공급 호스(20)는 하우징(10)의 일면을 관통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 펌프(30)의 흡입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물 공급 호스(20)의 연장 단부에는 급수 펌프(30)에 의해 물을 흡입시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25)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 펌프(30)는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물 공급 호스(20)를 통해 흡입한 물을 스팀 발생기(40)로 공급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 펌프(30)는 공급되는 전원의 위상 제어를 통해 스팀 발생기(40)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형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스팀 발생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팀 발생기(40)는 급수 펌프(30)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케이싱(41), 예열 튜브(42), 전열 파이프(43), 가열 튜브(44) 및 단열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41)은 전열 파이프(43) 및 가열 튜브(44)를 수용하기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열 파이프(43)에 의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열전도성의 금속체로 이루어진다.
예열 튜브(42)는 급수 펌프(30)의 토출측을 연결하여 급수 펌프(30)로부터 공급된 물을 예열시킬 수 있도록 케이싱(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취되어 구성된다.
전열 파이프(43)는 상기한 제어기(7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열을 가하도록 케이싱(41) 내부에 연장 설치된다.
가열 튜브(44)는 예열 튜브(42)에 연결되어 예열 튜브(42)를 통해 예열된 상태로 공급된 물을 고온의 스팀 상태로 가열하여 배출하도록 케이싱(41) 내부에서 전열 파이프(43)를 감싸며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단열재(45)는 예열 튜브(42)가 권취된 케이싱(41)을 감싸 스팀 발생기(40)에 발생된 열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하우징(10) 내부에서 스팀 발생기(40) 주변이 발생된 열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열재(45)는 글라스울인 것을 예시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스팀 발생기(40)는 케이싱(41)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는 열을 이용해 물을 예열시킴과 아울러, 글라스울을 이용해 외부를 감싸 스팀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기(70)는 온/오프 스위치(71), 위상 제어기(72), 온도 감지 센서(73) 및 점등 램프(74)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오프 스위치(71)는 하우징(10)의 덮개 부분에 설치되어, 전원 단자(AC-CORD)를 통해 공급된 전원이 급수 펌프(30) 및 스팀 발생기(40)의 전열 파이프(43)로 전달될 수 있도록 온/오프 제어한다.
위상 제어기(72)는 온/오프 스위치(71) 일측에 다이얼 버튼 형태로 형성되어, 다이얼 버튼을 돌려 급수 펌프(30)로 공급되는 전원의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스팀 발생기(40)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제어하여 결국 토출되는 스팀의 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온도 감지 센서(73: 도 5 참조)는 스팀 발생기(40)의 케이싱(41)에 설치되어, 스팀 발생기(40)의 케이싱(41)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한 온/오프 스위치(71)에 의해 스팀 발생기(40)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점등 램프(74)는 온/오프 스위치(71) 일측에 설치되어, 점등되며 급수 펌프(30)와 스팀 발생기(40)의 가동 상태를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스팀 배출 호스(50)는 하우징(10)을 관통하는 스팀 발생기(40)의 가열 튜브(44)의 배출측 단부에 연장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팀 배출 호스(50)는 사용상 편리하도록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분사 노즐(60)은 스팀 배출 호스(50)의 연장 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분사 노즐(60)은 냉동 또는 냉장 장치 내부의 결빙 부위에 스팀을 분사하여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제작되어 좀더 쉽게 결빙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결빙 제거 장치(1)는 구성을 단순화시켜 휴대가 용이하고, 스팀 발생기(40)를 통해 열손실 없이 신속하게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켜 냉동 및 냉장 장치 수리시 선행되는 결빙 제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빙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결빙 제거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결빙 제거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팀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스팀 발생기의 측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결빙 제거 장치 2: 스팀 발생부
3: 스팀 분사부 5: 손잡이
10: 하우징 20: 물 공급 호스
25: 필터 30: 급수 펌프
40: 스팀 발생기 41: 케이싱
42: 예열 튜브 43: 전열 파이프
44: 가열 튜브 45: 단열재
50: 스팀 배출 호스 60: 분사 노즐
70: 제어기 71: 온/오프 스위치
72: 위상 제어기 73: 온도 감지 센서
74: 점등 램프

Claims (5)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관통하며 연장 설치되는 물 공급 호스;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물 공급 호스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급수 펌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급수 펌프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
    상기 하우징을 관통한 상기 스팀 발생기의 배출측에 연장 설치되는 스팀 배출 호스;
    상기 스팀 배출 호스의 연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급수 펌프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가동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기는,
    케이싱;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 공급된 물을 예열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나선 형태로 권취되며 감싸는 예열 튜브;
    상기 케이싱 내부에 연장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 파이프; 및
    상기 예열 튜브로부터 예열되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스팀을 상기 스팀 배출 호스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전열 파이프를 나선 형태로 권취되며 감싸는 가열 튜브;를 포함하는 결빙 제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스팀 발생기의 외부를 감싸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글라스울인 것을 포함하는 결빙 제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급수 펌프를 가동 제어하는 위상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결빙 제거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의 온도에 따라 가동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스팀 발생기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결빙 제거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펌프 및 상기 스팀 발생기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점등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결빙 제거 장치.
KR2020080017183U 2008-12-26 2008-12-26 결빙 제거 장치 KR200454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83U KR200454712Y1 (ko) 2008-12-26 2008-12-26 결빙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83U KR200454712Y1 (ko) 2008-12-26 2008-12-26 결빙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846U KR20100006846U (ko) 2010-07-06
KR200454712Y1 true KR200454712Y1 (ko) 2011-07-22

Family

ID=4445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183U KR200454712Y1 (ko) 2008-12-26 2008-12-26 결빙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61A (ko) 2020-03-31 2021-10-08 이식용 스팀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79B1 (ko) * 2011-11-21 2013-09-09 계양전기 주식회사 스팀 해빙기 및 그의 구동제어방법
KR200468766Y1 (ko) * 2012-04-16 2013-09-02 이식용 결빙 제거 장치
CN106052227A (zh) * 2016-07-28 2016-10-26 桂林爱明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速冻食品生产中冷凝器的气体冲吹除霜装置及其应用
KR101811429B1 (ko) * 2017-07-04 2017-12-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백연 및 안개 제거장치
KR102557144B1 (ko) * 2021-03-04 2023-07-18 황종성 스팀 해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181A (ko) * 1999-01-30 2000-08-16 전상길 상,하수도용 스팀 해빙기
KR20070010518A (ko) * 2005-07-19 2007-01-24 전치문 스팀발생을 위한 재가열 히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2181A (ko) * 1999-01-30 2000-08-16 전상길 상,하수도용 스팀 해빙기
KR20070010518A (ko) * 2005-07-19 2007-01-24 전치문 스팀발생을 위한 재가열 히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61A (ko) 2020-03-31 2021-10-08 이식용 스팀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846U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712Y1 (ko) 결빙 제거 장치
ES2396589T3 (es) Máquina de refrigeración y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la misma
KR20070062847A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및 제상 방법
RU2585722C1 (ru) Наружный модуль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US6128438A (en) Inflammable cleaning fluid heating apparatus
KR20130095974A (ko) 히터가 구비된 제빙기용 냉매파이프
US4086780A (en) Refrigerating apparatus, in particular two-temperature refrigerator
KR20210015213A (ko) 스팀 해빙기
CN108120211A (zh) 一种冰箱自动除霜系统及具有其的冰箱
JP2002174483A (ja) 冷却装置
JPS6050257B2 (ja) 冷凍装置
JP2010181085A (ja) 冷却貯蔵庫
CN106917253A (zh) 干衣机
KR20210121961A (ko) 스팀 발생기
JPH11237163A (ja) 冷却貯蔵庫
KR100407306B1 (ko) 냉장고의 고내급수관 어셈블리
KR100209651B1 (ko) 냉장고용 증발기의 제상장치
KR100676972B1 (ko) 냉장고 온수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2007100988A (ja) 冷凍機用除氷装置
KR200291642Y1 (ko) 증발기용 제상장치
KR200328254Y1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JP2006153312A (ja) 冷蔵庫
KR100288263B1 (ko) 냉장고의제상장치
JP2002107049A (ja) 冷蔵庫
JPH0640782U (ja) チェスト型冷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