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213A - 스팀 해빙기 - Google Patents

스팀 해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213A
KR20210015213A KR1020190093723A KR20190093723A KR20210015213A KR 20210015213 A KR20210015213 A KR 20210015213A KR 1020190093723 A KR1020190093723 A KR 1020190093723A KR 20190093723 A KR20190093723 A KR 20190093723A KR 20210015213 A KR20210015213 A KR 2021001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heater
control un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966B1 (ko
Inventor
유현명
서해성
Original Assignee
유현명
서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명, 서해성 filed Critical 유현명
Priority to KR102019009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9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22B1/28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the water being fed by a pump to the reservoi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4Devices for thawing frozen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36Arrangements for sheathing or casing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기능적으로 합리적이며, 휴대와 운반이 용이한 콤팩트한 구조이면서, 세척시 반사되는 물기 및 내부의 누수가 발생하여도 안전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히터의 열기가 제어부에 전달됨을 차단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며, 공급되는 원수의 결빙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스팀으로 결빙 관로를 녹인 후나 세척을 할 때 세척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게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개량한 스팀 해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팀 해빙기{Thawing device using steam}
본 발명은 휴대와 운반이 용이한 콤팩트한 스팀 해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 해빙기는 물을 가열한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스팀 해빙기는 겨울철에 수도관의 결빙을 녹이는데 사용되거나, 오염된 자동차 및 기계장치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 해빙기로서 등록특허 제10-1168583호 "자동 배출형 스팀 해빙기"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 내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 해빙기는 많은 양의 물을 동시에 히터로 가열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스팀발생이 어려우며,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많은 양의 물이 동시에 가열되어 수증기가 다량 생성됨에 따라 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저장탱크는 이러한 높은 내부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고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그 형태 또한 크므로 보관 및 취급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및 운반이 편리하고 적은 양의 물을 데워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해빙기가 제안되었다.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060684호 "스팀 해빙기의 작동제어 방법"과, 등록특허 제10-1391660호 "스팀 해빙기" 및 등록특허 제10-1171689호 "전자동 스팀기" 가 이에 해당하며, 이들 스팀 해빙기는 하우징, 스팀발생관, 이 스팀발생관으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스팀발생기 및 히터를 감싸 보호하는 함체, 외부의 물을 스팀발생관으로 공급하는 펌프, 외부의 물과 펌프를 연결하는 물공급관, 스팀발생관에서 발생된 스팀을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배출호스, 히터와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 해빙기들은 소량의 물만을 가열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히터의 외부를 감싸도록 권선된 스팀발생관을 보호하는 함체가 슬림한 직육면체 형태이며, 하우징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탱크가 필요하지 않도록 물공급관 직접 외부의 물과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스팀 해빙기에 의하면, 슬림한 직육면체 형태의 함체 내부에 배치한 스팀발생관에 펌프를 이용하여 직접 외부의 물을 소량으로 공급하여 주기 때문에 신속한 스팀 생성이 가능하며,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많은 열이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물 저장탱크가 필요하지 않아 휴대와 운반이 용이하도록 콤팩트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스팀 해빙기는 장점이 있음에도, 내부의 습기 및 히터의 열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컨트롤부의 오동작이 발생하고, 물 공급라인의 결빙 역시 불안정하여 고장이 발생함은 물론 세척제의 공급이 불가능하였으며, 물 공급 및 스팀 배출용 부속품을 별도록 보관 및 관리하여야 하므로 불편하고 분리시킨 부속품의 분실로 재차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68583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06068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391660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17168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함과 부족에 대해, 구조가 단순하고 기능적으로 합리적이며, 휴대와 운반이 용이한 콤팩트한 구조이면서, 세척시 반사되는 물기 및 내부의 누수가 발생하여도 안전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히터의 열기가 컨트롤부에 전달됨을 차단하여 오동작됨을 방지하며, 공급되는 원수의 결빙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스팀으로 결빙 관로를 녹인 후나 세척을 할 때 세척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게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스팀 해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스팀 해빙기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받침대 및 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권선된 스팀발생관, 이 스팀발생관으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 상기 스팀발생관 및 히터를 감싸 보호하는 함체, 외부의 물을 스팀발생관 입구로 공급하는 펌프, 외부의 물과 펌프를 연결하는 물공급호스, 스팀발생관의 출구로 공급되는 스팀을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배출호스, 히터와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는 수직 상태로 절곡된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에는 테두리부분에 커버의 일측을 나사 결합시키면서 온도 및 에러코드를 나타내는 표시부, 스팀량 조절레버, 스팀스위치, 잔수제거스위치 및 스팀배출호스를 연결하는 소켓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판에는 테두리부분에 커버의 타측을 나사 결합시키면서 출입구가 천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의 후면판에 형성된 출입구 안쪽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양측면이 커버에 나사 결합하면서 누전차단기, 물공급호스를 연결하는 소켓이 장착되고 전원공급선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며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내부판이 마련되며; 상기 스팀배출호스의 선단에 접속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갖는 분사건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대의 전면판 및 후면판의 하단 모서리부분에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며; 상기 내부판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비산되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하우징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제2 통풍구가 형성되어 받침대에 장착되는 제어부에 외부공기가 전달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건의 하측에는 스팀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스팀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마개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어 세척액을 스팀과 함께 분사시키는 세제용기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통풍구 내측에 외부 공기를 제어부에 강제로 전달하여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팬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판에 DC전원소켓을 장착하고, 이 DC전원소켓에 접속되는 단자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타측에 용기에 담기 세척용수의 결빙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갖는 외부발열체를 마련하고, 상기 외부발열체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외부발열체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소량의 물을 신속하게 데워 스팀을 발생시키키므로 대기시간이 현저하게 줄고 해빙 및 세척에 따른 스팀량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제어부의 과열방지를 위한 제1 통풍구는 내부판 상단에 형성됨으로써 스팀 사용시 비산되는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고, 사용 중 제2 통풍구 및 내부의 누수가 발생하여도 받침대의 하측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배수공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안전하며, 받침대의 후면판과 내부판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전원공급선, 간편하게 분리되는 물공급호스 및 스팀배출호스 그리고 분사건 등의 부속품을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분실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면서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에 장착된 팬은 제2 통기공으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제어부를 냉각시키면서 히팅발생관을 가열시키는 히터의 방출 열기를 제1 통풍구로 배출시키므로 안전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건에 세제용기를 장착할 경우 세척액이 스팀과 함께 분출되므로 더욱 세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절기에는 외부발열체의 히터로 용기에 담기 세척용수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위치를 통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용이하게 제어되며, 하절기에는 분리하여 수용공간에 보관하여 분실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배면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커버를 분리하고 내부의 일부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해빙기의 분리형 외부발열체의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받침대(11) 및 커버(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권선된 스팀발생관(13), 이 스팀발생관(13)으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14), 상기 스팀발생관(13) 및 히터(14)를 감싸 보호하는 함체(15), 외부의 물을 스팀발생관(13) 입구로 공급하는 펌프(16), 외부의 물과 펌프(16) 사이를 연결하는 물공급호스(17), 스팀발생관(13)의 출구로 공급되는 스팀을 하우징(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배출호스(24), 히터(14)와 펌프(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팀 해빙기의 기본 기술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핵심기술은 하우징(10)의 받침대(11)를 개량하여 부속품 수납공간(100)을 제공하여 분실방지 및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작업중 비산되는 수분의 유입 방지 및 내부의 수분 누수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수공(113)을 마련하며, 제어부(19)의 과열방지를 위한 통풍구의 형성 및 팬(6)을 마련하고, 공급용수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착탈식 외부발열체(32)를 마련하며, 스팀 토출시 세척액을 함께 분사하여 세척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분사건(30)에 탈부착되는 세제용기(5)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받침대(11)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수직 상태로 상향 절곡된 전면판(111) 및 후면판(1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11)에는 양측 수직방향의 절곡된 테두리부분에 커버(12)의 일측을 나사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지면서 온도 및 에러코드를 나타내는 표시부(20), 스팀량 조절레버(21), 스팀스위치(22), 잔수제거스위치(23) 및 스팀배출호스(24)를 탈부착시키는 소켓(25)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20)는 온도 및 에로코드를 표시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70~90℃ 범위의 온도를 표시하게 되며, 히터(14)이 과열방지센서의 작동 및 펌프(16)의 불량 등이 발생할 때 점멸상태로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량 조절레버(21)는 3~4 단계로 구분하여 결빙된 관을 해동시키거나 세차, 생활용품 세척 및 청소 등에 적합한 스팀분출량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스위치(22)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치를 눌러 ON시키면 제어부(19)를 통해 펌프(16)을 작동시키고, 펌프(16)의 작동으로 히팅발생관(13)으로 물을 유입시킨 후 배출되는 동안 지연시킨 후 히터(14)의 가열 열기로 물을 데워 스팀을 생성시키게 되고, 스팀스위치(22)를 한번 더 누르면 OFF되어 히터(14)에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잔수제거스위치(23)는 동절기에 잔류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물공급호스(17)를 제거한 후 펌프(16)를 1~2분 작동시켜 히팅발생관(13)에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25)은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용캡 또는 원터치 타입을 이용하여 스팀배출호스(24)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후면판(112)에는 양측 수직방향의 절곡된 테두리부분에 커버(12)의 타측을 나사 결합시키면서 출입구(113)가 천공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받침대(11)의 후면판(112)에 형성된 출입구(113) 안쪽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양측면이 커버(12)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판(117)이 장착된다.
상기 내부판(117)이 후면판(112)보다 안쪽에 장착되므로써 그 사이가 도 6에서와 같이 부속품을 수용시킬 수 있는 수납공간(1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112)에는 누전차단기(26), 물공급호스(27)를 편리하게 연결 및 분리시키는 소켓(28)이 장착되고 전원공급선(29)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28)은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용캡 또는 원터치 타입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스팀배출호스(24)의 선단에 접속되어 해동 및 세척을 위해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311)을 갖는 분사건(3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건(30)의 하측에는 스팀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스팀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마개(4)가 마련되고, 상기 분사건(30)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세척액을 스팀과 함께 분사시키는 세제용기(5)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1)의 전면판(111) 및 후면판(112)의 하단 모서리부분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의 결로 및 누수 등의 발생으로 수분이 발생되면 외부로 즉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13)이 천공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판(117)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비산되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 통풍구(1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제2 통풍구(115)가 형성되어 받침대(12)에 장착되는 제어부(19)에 외부공기가 전달되어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12)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통풍구(115) 내측에 외부 공기를 제어부(19)에 강제로 전달하여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팬(6)이 더 장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팬(6)은 제어부(19)의 컨트롤에 의해어 제어부(19)의 주변온도가 60~70℃에 도달하면 작동하여 제어부(19)를 냉각시키고 40℃로 하강하면 정지되며 스팀발생이 이루어질 때에는 연속으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제어부(19)에 직류전원장치(SMPS)를 마련하고, 상기 직류전원장치(SMPS)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부판(117)에 DC전원소켓(31)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C전원소켓(31)에 접속되는 단자(321)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용기(7)에 채워진 세척용수의 결빙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322)를 타측에 형성시킨 외부발열체(3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DC전원소켓(31)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 및 단락시켜 외부발열체(32)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외부발열체용 스위치(8)가 내부판(117)에 장착되어 사용의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물공급호스(17)의 일단을 소켓(28)에 연결하고 타단을 용기(7)에 수용된 세척용수에 유입시키며, 이어서 스팀배출호스(24)의 일단을 소케(25)에 타단을 분사건(30)에 각각 연결하고, 이어서 전원공급선(29)에 전원을 인가한 후 누전차단기(26)를 ON시키면 스팀을 제공하기 위한 준비 상태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해동 및 세척을 위해 스팀스위치(22)를 누르면 신호가 제어부(19)로 전달되고, 제어부(19)는 즉시 펌프(16)만을 작동시켜 물공급호스(17)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히팅발생관(13)을 거처 스팀배출호스(24) 및 분사건(30)의 노즐(311)로 분출시키게 되며, 상기 노즐(311)로 물이 배출되기 시작할 때부터 제어부(19)는 히터(1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히터(14)의 발생열로 스팀배출호스(24)으로 이동하는 물을 데워 스팀을 만들게 되고, 발생된 스팀을 분사건(30)의 노즐(311)로 분출시켜 해동 및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동절기의 경우 용기(7)에 수용된 세척용수의 동결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의 외부발열체(32)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발열체(32)는 단자(321)를 후면판(112)에 장착된 DC전원소켓(31)에 접속시키고 히터(322)를 용기(7)에 채워진 세척용수에 입수시켜 영하의 날씨에 결빙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세척용수의 결빙을 방지시키는 히터(322)의 열량은 용기(7)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결빙되지 않을 정도의 열량이면 가능하다.
또한, 사용중에 스팀량 조절레버(21)를 조작하여 스팀의 분출량 및 토출 속도를 3~4 단계 중 강약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해동 및 세척하고자 하는 피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할 때 세제가 필요하면 분사건(30)에 체결된 마개(4)를 분리시킨 후 세척액를 담은 세제용기(5)를 체결하여 사용하면 스팀의 분출과정에서 함께 혼합되어 분출되므로 보더 더 청결하게 세척 가능한 것이다.
이어서 해동 및 세척 작업을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재차 스팀스위치(22)를 눌러 제어부(19)가 히터(14) 및 펌프(16)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스팀의 분출이 정지된다.
또한, 해동 및 세척 작업이 완료된 후 보관할 때 특히 통절기에는 잔류 수분이 결빙될 수 있으므로 물공급호스(17)를 분리시킨 다음 잔수제거스위치(23)의 작동 및 제어부(19)를 통해 펌프(16)를 1~2분 작동시켜 히팅발생관(13)에 잔존하는 수분을 배출시키면 재사용이 가능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해동 및 세척 과정에서 비산되는 수분 일부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부의 결로로 수분이 빌생되면 받침대(11) 전면판(20) 및 후면판(112)의 절곡된 모서리부분에 천공된 다수의 배수공(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항상 안전한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히팅발생관(13)을 가열시키는 히터(14)의 열기는 커버(12)의 측면에 형성된 제1 통풍구(115) 및 내부판(117)에 천공된 제1 통풍구(114)를 통해 자연 대류를 통해 방출되어 제어부(19)를 냉각시키게 되고, 내부에 고열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즉시 제어부(19)가 팬(6)을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19)로 전달시켜 제어부(19)를 냉긱시켜 온도 상승을 방지하므로 항상 안전하게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든 해빙 및 세척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세척용수를 데우는 외부발열체(32), 물공급호수(17), 스팀배출호스(24) 및 분사건(30)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이들 부속품 및 전원공급선(29)은 도 6에서와 같이 수납공간(100)에 정리하여 보관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재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받침대
12: 커버 13: 히팅발생괸
14: 히터 15: 함체
16: 펌프 17: 물공급호수
19: 제어부
20: 제어부 21: 스팀량 조절레버
22: 스팀스위치 23: 잔수제거스위치
24: 스팀배출호스 25: 소켓
26: 누전차단기 27: 물공급호스
28: 소켓 29: 전원공급선
30: 분사건 31: DC전원소켓
111: 전면판 112: 후면판
113: 출입구 114: 제1 통풍구
115: 제2 통풍구 116: 배수공
117: 내부판 311: 노즐
321: 단자 322: 히터
4; 마개 5: 세제용기
6: 팬 7: 용기

Claims (5)

  1. 직육면체 형상으로 받침대(11) 및 커버(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권선된 스팀발생관(13), 이 스팀발생관(13)으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14), 상기 스팀발생관(13) 및 히터(14)를 감싸 보호하는 함체(15), 외부의 물을 스팀발생관(13) 입구로 공급하는 펌프(16), 외부의 물과 펌프(16) 사이를 연결하는 물공급호스(17), 스팀발생관(13)의 출구로 공급되는 스팀을 하우징(10)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배출호스(24), 히터(14)와 펌프(1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는 수직 상태로 절곡된 전면판(111) 및 후면판(1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판(111)에는 테두리부분에 커버(12)의 일측을 나사결합시키면서 온도 및 에러코드를 나타내는 표시부(20), 스팀량 조절레버(21), 스팀스위치(22), 잔수제거스위치(23) 및 스팀배출호스(24)를 연결하는 소켓(25)이 장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판(112)에는 테두리부분에 커버(12)의 타측을 나사결합시키면서 출입구(113)가 천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11)의 후면판(112)에 형성된 출입구(113) 안쪽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양측면이 커버(12)에 나사결합되면서 누전차단기(26), 물공급호스(27)를 연결하는 소켓(28)이 장착되고 전원공급선(29)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결합시키며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100)을 제공하는 내부판(117)이 마련되며;
    상기 스팀배출호스(24)의 선단에 접속되어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311)을 갖는 분사건(30)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대(11)의 전면판(111) 및 후면판(112)의 하단 모서리부분에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13)이 천공되며;
    상기 내부판(117)의 상측에는 외부로부터 비산되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열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1 통풍구(11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제2 통풍구(115)가 형성되어 받침대(12)에 장착되는 제어부(19)에 외부공기가 전달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해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건(30)의 하측에는 스팀 이동통로와 연결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스팀이 외부로 배출됨을 방지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마개(4)가 마련되고, 상기 분사건(30)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세척액을 스팀과 함께 분사시키는 세제용기(5)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해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통풍구(115) 내측에 외부 공기를 제어부(19)에 강제로 전달하여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팬(6)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해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에 직류전원장치(SMPS)를 마련하고;
    상기 직류전원장치(SMPS)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부판(117)에 DC전원소켓(31)을 장착하고;
    상기 DC전원소켓(31)에 접속되는 단자(321)를 일측에 형성하면서 용기(7)에 채워진 세척용수의 결빙을 방지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322)를 타측에 형성시킨 외부발열체(32)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해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전원소켓(31)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 및 단락시켜 외부발열체(32)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외부발열체용 스위치(8)가 내부판(117)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해빙기.
KR1020190093723A 2019-08-01 2019-08-01 스팀 해빙기 KR10223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23A KR102239966B1 (ko) 2019-08-01 2019-08-01 스팀 해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23A KR102239966B1 (ko) 2019-08-01 2019-08-01 스팀 해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13A true KR20210015213A (ko) 2021-02-10
KR102239966B1 KR102239966B1 (ko) 2021-04-14

Family

ID=7456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23A KR102239966B1 (ko) 2019-08-01 2019-08-01 스팀 해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914A (ko) * 2021-03-04 2022-09-14 황종성 스팀 해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256B1 (ko) 2022-04-30 2023-01-26 서범석 배관 해빙용 스팀노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53U (ja) * 1991-09-04 1993-03-23 岩田塗装機工業株式会社 吸上式静電ハンドスプレーガン
KR100857803B1 (ko) * 2007-05-30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060684B1 (ko) 2010-11-29 2011-08-31 방현식 스팀 해빙기의 작동제어방법
KR101114876B1 (ko) * 2011-10-21 2012-02-15 주식회사 모뉴엘 강제 급기 냉각 구조를 갖는 컴퓨터
KR101168583B1 (ko) 2011-08-11 2012-07-26 최말숙 증기 자동 배출형 스팀 해빙기
KR101171689B1 (ko) 2011-11-02 2012-08-06 남상록 전자동 스팀기
KR101391660B1 (ko) 2011-11-01 2014-05-07 방현식 스팀해빙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053U (ja) * 1991-09-04 1993-03-23 岩田塗装機工業株式会社 吸上式静電ハンドスプレーガン
KR100857803B1 (ko) * 2007-05-30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060684B1 (ko) 2010-11-29 2011-08-31 방현식 스팀 해빙기의 작동제어방법
KR101168583B1 (ko) 2011-08-11 2012-07-26 최말숙 증기 자동 배출형 스팀 해빙기
KR101114876B1 (ko) * 2011-10-21 2012-02-15 주식회사 모뉴엘 강제 급기 냉각 구조를 갖는 컴퓨터
KR101391660B1 (ko) 2011-11-01 2014-05-07 방현식 스팀해빙기
KR101171689B1 (ko) 2011-11-02 2012-08-06 남상록 전자동 스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914A (ko) * 2021-03-04 2022-09-14 황종성 스팀 해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966B1 (ko)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66B1 (ko) 스팀 해빙기
WO2014119887A1 (ko) 스노우 아이스 제빙기
CN1890033B (zh) 改进的零件清洗装置
KR101478681B1 (ko) 액화 제설장치
KR101505132B1 (ko) 세차기의 동결방지장치
KR200454712Y1 (ko) 결빙 제거 장치
CN209809077U (zh) 一种全自动奶瓶清洗消毒烘干一体机
JP7043060B2 (ja) タイヤ消毒装置及びタイヤ消毒方法
AU2020100855A4 (en) Low-temperature drying and spraying equipment
KR20150004555A (ko) 세제 분사 방식의 고압세척 장치
CN105972660A (zh) 一种抽油烟机的油污清洗系统
JP2017137036A (ja) 電動車両用の解氷装置
KR20210025782A (ko) 동절기 동파 예방을 위한 스팀 발생기의 스팀분사호스내 습기 및 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07571A (ko) 냉각탑
KR20110130318A (ko) 산불진화 및 방역차량의 동파방지장치
US20190048793A1 (en) System for storing and delivering an auxiliary liqui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or to part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motor vehicle
CN107597667B (zh) 压力清洗机
CN109124321B (zh) 蒸汽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KR200444433Y1 (ko) 결빙 제거 장치
KR200426504Y1 (ko) 액체농약 살포겸용 입자비료 살포기
KR101909325B1 (ko) 노즐용 초음파 세척장치
CN213778277U (zh) 一种水冷管排水结构
JP7284531B2 (ja) タイヤ消毒装置及びタイヤ消毒方法
KR20210121961A (ko) 스팀 발생기
KR102051745B1 (ko) 전자동 스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