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71A - 냉각탑 - Google Patents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71A
KR20110107571A KR1020100026768A KR20100026768A KR20110107571A KR 20110107571 A KR20110107571 A KR 20110107571A KR 1020100026768 A KR1020100026768 A KR 1020100026768A KR 20100026768 A KR20100026768 A KR 20100026768A KR 20110107571 A KR20110107571 A KR 2011010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cooler
cooling water
hous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3297B1 (ko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주)플라즈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즈마텍 filed Critical (주)플라즈마텍
Priority to KR102010002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29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냉각탑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외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팬이 장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는 외기 흡입구 및 배출되는 외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각된 냉각수가 저장되는 집수조가 형성된 하우징; 냉각기의 냉각수 배출구에 연결된 제 1 냉각수 라인; 제 1 냉각수 라인과 하우징의 집수조를 연결하여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하우징의 집수조로 전달하는 제 2 냉각수 라인; 및 집수조 내의 냉각된 냉각수를 냉각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집수조와 냉각기의 냉각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3 냉각수 라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냉각탑에서는 집수조 내의 냉각수가 팬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고,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하우징의 집수조 내의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어 냉각된다.

Description

냉각탑{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백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탑은 냉동 설비가 구비된 건축물의 옥외에 설치되어 냉동 설비(냉각기)의 냉각에 이용된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장치로서, 크게 냉각수와 외기의 접촉시 발생하는 열전달과 냉각수의 증발 잔열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개방형 냉각탑 그리고 폐회로 상의 냉각수에 뿌려지는 증발수의 증발 잠열을 이용해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는 폐쇄형 냉각탑으로 구분된다.
개방형 냉각탑은 다시 대향류형 냉각탑, 직교류형 냉각탑, 무동력 냉각탑 등으로 나누어지며, 특히 대향류형 냉각탑은 측벽 하단에 개방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충진재를 상향 통과하는 저온의 외부 공기와 상부에 배치된 분사 노즐에서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를 서로 접촉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인 외부 공기와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각수 간의 열전달 및 냉각수의 일부가 공기 중으로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증발 잔열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대향류형 냉각탑은 특히, 겨울철과 같이 외부 공기의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가동하게 되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다량의 미세 수포가 발생하면서 백연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냉각기에서 배출된 냉각수는 냉각탑 내부에서 분사되며, 이후 냉각탑 내부로 유입된 저온의 외부 공기가 접촉하여 냉각된다. 저온의 외부 공기와 접촉할 때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의 일부는 증발하고 증발한 수증기의 온도가 이슬점(dew point) 이하로 내려가 미세한 액적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액적 상태의 냉각수가 공기와 함께 냉각탑 외부로 배출될 때 흰 연기(백연)로 보이게 된다.
위와 같은 백연은 냉각 기능을 마치고 냉각탑에서 배출된 응축수로서 대개 무해하지만, 냉각수가 오염된 것이거나 충진재의 청소 상태가 불량한 경우 해로울 수 있으며, 외관상 오염물질로 오인되어 혐오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외부인들은 이러한 백연을 보고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한편, 냉각탑에서 발생하는 백연은 냉각기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T1)와 외부 대기의 온도(T2)의 차(△T=T1-T2)가 15℃ 이상일 때 발생한다. 특히, 외부 대기의 온도가 낮은 동절기와 같이 냉각탑에서 외부 대기와 냉각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 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백연의 효과적인 제거가 어려우며, 따라서 백연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냉각탑의 백연 처리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냉각탑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백연을 발생시킬 정도로 다습한 상태에서 대기 중에 배출되므로 배출되는 외기와 함께 수증기 상태로 대기 중에 버려지는 냉각수의 양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냉각기 내에서 순환하는 냉각수의 수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냉각수를 주기적으로 보충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백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외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팬이 장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는 외기 흡입구 및 배출되는 외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각된 냉각수가 저장되는 집수조가 형성된 하우징; 냉각기의 냉각수 배출구에 연결된 제 1 냉각수 라인; 제 1 냉각수 라인과 하우징의 집수조를 연결하여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하우징의 집수조로 전달하는 제 2 냉각수 라인; 및 집수조 내의 냉각된 냉각수를 냉각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집수조와 냉각기의 냉각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3 냉각수 라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냉각탑에서는 집수조 내의 냉각수가 팬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고,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집수조 내의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어 냉각된다.
여기서, 제 1 냉각수 라인은 제 3 냉각수 라인과 연결되어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의 일부가 냉각된 냉각수와 함께 냉각기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냉각수 라인 중 제 2 냉각수 라인과 제 3 냉각수 라인 사이의 영역에 제 1 밸브가 설치되어 제 3 냉각수 라인으로의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제 3 냉각수 라인에 설치된 제 1 온도 센서; 및 제 1 온도 센서와 제 1 냉각수 라인의 제 1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니트는 제 1 온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냉각기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하우징 내에 설치된 노즐 조립체; 제 1 냉각수 라인과 노즐 조립체에 연결되어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노즐 조립체로 공급하는 제 4 냉각수 라인; 및 하우징의 집수조와 제 4 냉각수 라인을 연결하여 집수조의 저온의 냉각수를 고온의 냉각수와 함께 노즐 조립체로 유동시키는 제 5 냉각수 라인을 더 포함하여,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하우징 내에서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가 팬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제 2 냉각수 라인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2 밸브; 및 제 4 냉각수 라인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4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가동 중에 제 2 밸브와 제 4 밸브 중 어느 하나의 밸브만이 개방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제 2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와 제 2 및 제 4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온도 센서가 감지된 외부 공기의 온도에 따라 제어 유니트는 제 2 및 제 4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고온의 냉각수와 저온의 외부 공기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 또는 냉각을 위하여 분사되는 냉각수의 온도와 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를 줄일 수 있어 외부의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도 백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냉각기에서 대응 냉각수 라인으로 그리고 집수조에서 대응 냉각수 라인으로 냉각수를 강제 공급(유동)시키는 수단(예를 들어, 펌프)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하지 않았으나, 본 수단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수단의 기능을 쉽게 이해하고 또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100)은 옥외에 설치되며 실내의 냉각기(실내기)와 유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100)은 하우징(103) 및 하우징(103) 내로 외기를 흡인하는 팬(105)을 포함한다.
하우징(103)의 하부에는 외기 흡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팬(105)이 장착되어 있는 외기 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하우징(103)의 하부에는 집수조(11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팬(105)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03) 내로 강제 흡인되며, 이후 외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외부 공기의 경로가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됨).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100)은 냉각기(110)의 냉각수 유입구와 하우징(103)의 집수조(119)를 연결하는 제 3 냉각수 라인(L3), 냉각기(110)의 냉각수 배출구와 제 3 냉각수 라인(L3)을 연결하는 제 1 냉각수 라인(L1) 그리고 제 1 냉각수 라인(L1)과 집수조(119; 실질적으로는 냉각수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 2 냉각수 라인(L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편의상 제 1 내지 제 3 냉각수 라인(L1 내지 L3)을 단일의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제 1 냉각수 라인(L1) 중에서 제 2 냉각수 라인(L2)과 제 3 냉각수 라인(L3) 사이의 영역에는 제 3 냉각수 라인(L3)으로의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밸브(V1)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냉각수 라인(L2)에는 집수조(109)로의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밸브(V2)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 타워(100)는 제 1 냉각수 라인(L1)에 연결된 제 4 냉각수 라인(L4), 제 4 냉각수 라인(L4)에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103)에 장착되어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하우징(103) 내로 분사하는 노즐 조립체(115) 그리고 분사된 냉각수를 흡수하는 충진재 유니트(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냉각수 라인(L1)에는 노즐 조립체(115)로의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밸브(V1)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100)은 집수조(109)와 제 4 냉각수 라인(L4)을 연결하는 제 5 냉각수 라인(L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냉각수 라인(L5)은 제 4 밸브(V4)의 배출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가 제 1 냉각수 라인(L1)과 제 4 냉각수 라인(L4)을 통하여 그리고 집수조(109) 내의 저온의 냉각수가 제 5 냉각수 라인(L5)과 제 4 냉각수 라인(L4)을 통하여 노즐 조립체(115)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후 노즐 조립체(115)를 구성하는 각 노즐(107)을 통하여 충진재 유니트(109) 상으로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고온의 냉각수는 팬(105)에 의하여 하우징(103) 내로 흡인되어 유동하는 저온의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며, 이후 충진재 유니트(109)를 통과하여 집수조(119)로 낙하한다.
집수조(119) 내에 집수된 저온의 냉각수는 집수조(119)와 냉각기(110)를 연결하는 제 3 냉각수 라인(L3)을 통하여 냉각기(110) 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냉각탑(100)의 기능을 하우징(103) 내로 유입되는 외부 대기 온도와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 차이가 큰 동절기와 그 온도 차이가 크지 않은 하절기로 구분하여 설명하며, 부가적인 구조 및 기능을 함께 설명한다.
동절기시의 기능
동절기에는, 제 4 냉각수 라인(L4)에 설치된 제 4 밸브(V4) 및 제 1 냉각수 라인(L1)에 설치된 제 1 밸브(V1)는 닫힌 상태 그리고 제 2 밸브(V2)는 개방된 상태에서, 냉각기(10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제 1 냉각수 라인(L1)과 제 2 냉각수 라인(L2)을 통하여 하우징(103)의 집수조(119) 내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팬(105)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03) 내로 강제 흡인되고, 이후 충진재 유니트(109)를 통과한 상태에서 외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집수조(119) 내의 고온의 냉각수는 저온의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며, 이후 제 3 냉각수 라인(L3)을 통하여 냉각기(110)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집수조(119) 내에서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어 온도가 1차로 낮아지며, 또한 혼합된 냉각수(즉, 집수조(119) 내의 기존 냉각수 및 새로 유입된 냉각수)는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온도가 더욱 낮아진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는, 외부 공기와 차단된 집수조(119) 내로 고온의 냉각수가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고온의 냉각수와 저온의 외부 공기의 접촉시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백연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가 집수조(119) 내에서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된 후, 냉각수가 냉각기의 냉각 기능을 수행할 정도의 온도(예를 들어, 22 내지 32℃)로 낮아지지 않을 경우, 집수조(119)의 냉각수를 추가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집수조(119) 내에서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며, 혼합된 냉각수의 일부는 제 5 냉각수 라인(L5) 및 제 4 냉각수 라인(L4)을 통하여 노즐 조립체(115)로 유동한다. 이후, 노즐 조립체(115)의 노즐(107)을 통하여 분사될 때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며,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 냉각수는 집수조(119) 내로 모여진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집수조(119)에서 공급된 비교적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어 그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따라서 노즐 조립체(115)를 통하여 분사된 경우에도 냉각수와 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예를 들어, 15℃ 이하)가 줄어들어 백연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집수조(119)로부터 냉각기(110)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충분히 냉각된 상태이며, 특히 냉각을 위한 적정 온도(예를 들어, 22 내지 32℃)보다 낮은 온도의 냉각수가 냉각기(1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는,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집수조(119)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냉각수와 함께 냉각기(110)로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제 1 냉각수 라인(L1)에 설치된 제 1 밸브(V1)가 개방되며, 따라서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그 일부가 제 1 및 제 2 냉각수 라인(L1 및 L2)을 통하여 집수조(119) 내로 유입되어 냉각되며, 일부는 제 1 및 제 3 냉각수 라인(L1 및 L3)을 통하여 냉각기(110)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저온의 냉각수(즉, 집수조(119)에서 제 3 냉각수 라인(L3)으로 배출된 냉각수)와 고온의 냉각수는 제 3 냉각수 라인(L3) 내에서 혼합되며, 따라서 냉각기(110)로 유입되는 최종 냉각수는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온도를 갖게 된다.
하절기시의 기능
하절기에서는, 제 1 및 제 2 밸브(V1 및 V2)를 차단한 상태에서 제 4 밸브(V4)만이 개방된다. 따라서, 냉각기(100)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는 제 1 냉각수 라인(L1) 및 제 4 냉각수 라인(L4)을 통하여 노즐 조립체(115)로 공급되며, 이후 각 노즐(107)을 통하여 충진재 유니트(109) 상으로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고온의 냉각수는 팬(105)의 의하여 하우징(103) 내로 흡인되어 유동(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됨)하는 저온의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며, 이후 충진재 유니트(109)를 통과하여 집수조(119)로 낙하한다.
냉각된 냉각수는 제 3 냉각수 라인(L3)을 통하여 냉각기(110)로 공급되며,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새로운 고온의 냉각수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하절기에는, 외부의 대기 온도와 냉각기(110)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 차가 15℃ 이하일 경우에 냉각탑(100)의 노즐 조립체(115)를 통하여 고온의 냉각수가 분사될지라도 백연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100)은 집수조(119)와 냉각기(110)를 연결하는 제 3 냉각수 라인(L3), 특히, 냉각기(110)의 냉각수 유입단 인접 영역에 설치된 제 1 온도 센서(S1) 및 온도 센서(S1)와 제 1 밸브(V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유니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 1 온도 센서(S1)가 냉각기(110)로 유입되는 냉각수(즉, 집수조(109) 및 제 1 냉각수 라인(L1)으로부터 각각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제어 유니트(120)는 제 1 온도 센서(S1)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밸브(V1)를 선택적으로 개폐(즉, 제 1 냉각수 라인(L1)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각수의 유량 조절)함으로써 냉각기(110)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100)은 하우징(103)의 외부(즉, 외부 대기)에 설치된 제 2 온도 센서(S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온도 센서(S2)는 제 2 및 제 4 밸브(V2 및 V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니트(120)에 연결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어 유니트(120)와 각 밸브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 2 온도 센서(S2)가 외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며, 제어 유니트(120)는 제 2 온도 센서(S2)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및 제 4 밸브(V2 및 V4)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즉, 냉각기(11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외부 공기의 온도는 변화하기 때문에 백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제 2 및 제 4 밸브(V2 및 V4)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온도 센서(S2)를 통하여 감지된 외부 공기의 온도가 냉각기(11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 차이가 15℃ 이하(제어 유니트(120)에 설정된 조건으로서, 주로 하절기)일 때, 제어 유니트(120)는 제 2 밸브(V2)를 차단하고 제 4 밸브(V4)를 개방하며, 따라서 냉각수는 제 4 냉각수 라인(L4)을 통하여 노즐 조립체(115)로 유동한다 (이후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
반대로, 제 2 온도 센서(S2)를 통하여 감지된 외부 공기의 온도가 냉각기(11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의 온도 차이가 15℃ 이상일 때(주로 동절기), 제어 유니트(120)는 제 4 냉각수 라인(L4)에 설치된 제 4 밸브(V4)를 막고 제 2 밸브(V2)를 개방하며, 따라서 냉각수는 집수조(119) 내로 직접 유입된다 (이후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
따라서, 작업자가 외부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밸브를 조작할 필요가 없이 냉각탑(100)은 연무 발생 없이 작동될 수 있다.

Claims (8)

  1. 옥외에 설치되며, 실내의 냉각기와 연결된 냉각탑에 있어서,
    외부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팬이 장착되며,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는 외기 흡입구 및 배출되는 외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각된 냉각수가 저장되는 집수조가 형성된 하우징;
    냉각기의 냉각수 배출구에 연결된 제 1 냉각수 라인;
    제 1 냉각수 라인과 하우징의 집수조를 연결하여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하우징의 집수조로 전달하는 제 2 냉각수 라인; 및
    집수조 내의 냉각된 냉각수를 냉각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집수조와 냉각기의 냉각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 3 냉각수 라인을 포함하여,
    집수조 내의 냉각수가 팬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고,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가 하우징의 집수조 내의 저온의 냉각수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냉각수 라인은 제 3 냉각수 라인과 연결되어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의 일부가 냉각된 냉각수와 함께 냉각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냉각수 라인 중 제 2 냉각수 라인과 제 3 냉각수 라인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제 3 냉각수 라인으로의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밸브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3 냉각수 라인에 설치된 제 1 온도 센서; 및
    제 1 온도 센서와 제 1 냉각수 라인의 제 1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제어 유니트가 제 1 온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밸브를 개폐함으로써 냉각기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온도 센서는 냉각기의 냉각수 유입구와 인접하는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6.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설치된 노즐 조립체;
    제 1 냉각수 라인과 노즐 조립체에 연결되어 냉각기에서 배출된 고온의 냉각수를 노즐 조립체로 공급하는 제 4 냉각수 라인; 및
    하우징의 집수조와 제 4 냉각수 라인을 연결하여 집수조의 저온의 냉각수를 고온의 냉각수와 함께 노즐 조립체로 유동시키는 제 5 냉각수 라인을 더 포함하여,
    노즐 조립체를 통하여 하우징 내에서 분사된 고온의 냉각수가 팬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냉각수 라인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2 밸브; 및
    제 4 냉각수 라인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4 밸브를 더 포함하되, 가동 중에는 제 2 밸브와 제 4 밸브 중 어느 하나의 밸브만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8. 제 6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제 2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와 제 2 및 제 4 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제 2 온도 센서가 감지된 외부 공기의 온도에 따라 제어 유니트는 제 2 및 제 4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KR1020100026768A 2010-03-25 2010-03-25 냉각탑 KR10117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68A KR101173297B1 (ko) 2010-03-25 2010-03-25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68A KR101173297B1 (ko) 2010-03-25 2010-03-25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71A true KR20110107571A (ko) 2011-10-04
KR101173297B1 KR101173297B1 (ko) 2012-08-10

Family

ID=4502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768A KR101173297B1 (ko) 2010-03-25 2010-03-25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1900A (zh) * 2019-12-06 2020-03-27 浙江三元纺织有限公司 污水环保型冷却塔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0997B2 (en) 2014-03-25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ing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04498B1 (ko) 2018-11-19 2019-07-26 이상운 냉각탑 전동부재용 안전커버
KR20210102547A (ko) 2020-02-11 2021-08-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백연저감장치, 백연저감냉각탑 및 백연저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890A (ja) 1983-12-07 1985-07-01 Takasago Thermal Eng Co Lts 冷却塔の白煙発生を抑制す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1900A (zh) * 2019-12-06 2020-03-27 浙江三元纺织有限公司 污水环保型冷却塔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297B1 (ko) 201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283B1 (ko) 백연 발생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각탑
KR101102827B1 (ko) 승온식 백연방지시스템
KR101173297B1 (ko) 냉각탑
KR101657011B1 (ko) 냉각방습 배전함
CN104913660B (zh) 减少白烟及功率的高效率逆流式冷却塔及其控制方法
KR20180137660A (ko)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037097B1 (ko)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의 폐열을 이용한 백연방지 시스템
CN208170612U (zh) 一种加湿装置
KR101713145B1 (ko) 백연저감형 냉각탑
KR101170012B1 (ko) 히트펌프형 항온항습기
CN106848889A (zh) 一种自动降温变电柜
KR2015006987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0949853B1 (ko) 폐열을 이용한 백연방지 시스템
KR101451358B1 (ko) 크린룸내 직접분무식 기화가습장치의 습도제어방법
KR200398404Y1 (ko) 공랭식 응축기의 살수장치
KR20160074035A (ko) 응축기를 이용한 백연감소 냉각탑
CN214155111U (zh) 一种计算机网络设备存储柜
CN207335012U (zh) 一种喷雾冷风扇
KR101619464B1 (ko) 백연 현상 발생 방지를 위한 대향류식 냉각탑
KR102043300B1 (ko) 급수부 제어 응축기 타입 백연 방지 냉각탑
CN209068619U (zh) 一种室内机及空调系统
KR101553550B1 (ko) 냉각제습 백연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방법
KR102070685B1 (ko) 백연 저감 냉각탑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37084A1 (zh) 一种雾化排水空调器
CN207635650U (zh) 一种冷水机及制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