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148Y1 -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 Google Patents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48Y1
KR200454148Y1 KR2020080016527U KR20080016527U KR200454148Y1 KR 200454148 Y1 KR200454148 Y1 KR 200454148Y1 KR 2020080016527 U KR2020080016527 U KR 2020080016527U KR 20080016527 U KR20080016527 U KR 20080016527U KR 200454148 Y1 KR200454148 Y1 KR 200454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sheet
cushion
artificia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316U (ko
Inventor
박시일
Original Assignee
박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일 filed Critical 박시일
Priority to KR2020080016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4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feathers, down or similar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inflatab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8Quilting;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은,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쿠션시트; 상기 쿠션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상부 탄력보강부; 및 상기 쿠션시트의 하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하부 탄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와 상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padding cloth)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쿠션시트 및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감싸는 내피; 및 상기 내피 위를 감싸는 외피;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은 침구 물품 또는 방석 물품의 내부의 여러 겹의 솜들을 천에 대고 누벼서 솜이 뭉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므로, 솜의 뭉침이 없고 공기집들이 서로 완충작용을 하여 뛰어난 쿠션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시간이 지나도 탄력성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침구, 방석, 매트, 패드, 누빔, 누빔 질, 솜, 천연솜, 인조솜, 쿠션, 에어백, 소파매트, 의자매트

Description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Bedclothes articles, cushion articles and chair mat articles showing a continuing resilience}
본 고안은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넣는 여러 겹의 솜들을 각각 천으로 덧대고 누빔 질을 함으로써 솜이 뭉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한편 솜과 쿠션재의 빈틈들에 생성된 수많은 공기집들이 에어백처럼 서로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여, 사람이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솜의 뭉침 현상이나 탄력성이 줄어드는 일이 없이 수면, 공부, 여가 활동 등의 일상생활을 영위할 때 언제나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내려온 온돌 문화의 영향으로 방바닥에 까는 요와 이불 그리고 방석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사람들이 잠잘 때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요와 이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침구로서, 이 중 요는 목화솜 또는 인조솜을 두툼하게 넣고 내피 및 외피(커버)를 씌워 사용해 오고 있으나, 종래의 요는 얼마 지나지 않아 탄력이 완전히 없어져 딱딱해지고, 솜 끼리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울퉁불퉁해지기 때문에 안락함과 포근함이 생명인 침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최근 서구식 생활습관이 널리 자리 잡으면서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침구류가 매트와 패드라고 할 수 있다. 매트는 침대 제작회사에서 스프링으로 만든 매트리스 위에 안락함을 주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스펀지, 발포 라텍스 및 메모리 폼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발포 라텍스나 메모리 폼은 직접 사람의 피부와 접촉할 경우 피부염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통은 천으로 만든 커버 안에 넣어서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피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발포 라텍스나 메모리 폼은 쿠션이 좋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솜과 같은 특유의 포근함과 부드러움을 줄 수 없으며, 무엇보다 일반 서민들이 쉽게 구입하기 어려운 고가라는 것이 문제이다.
그 밖에 패드(pad)로 사용하는 얇은 차렵이불 종류는 가격이 저렴하여 서민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기는 하지만, 두께가 얇고 쿠션이 없어서 안락함과 포근함을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공통적인 고유문화로서 방석을 널리 사용해 왔는데, 방석 또한 처음에는 쿠션이 좋아 안락함을 줄 수 있지만, 조금 사용하다 보면 얼마 지나지 않아서 탄력이 완전히 없어져 딱딱해지고, 솜이 뭉쳐서 울퉁불퉁해지므로 방석이 갖는 주기능인 탄력성과 푹신함 그리고 온도차단기능이 거의 없어져 버리는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침구 제품 및 방석 제품과 달리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솜의 탄력성이 죽지 않고 뭉치지 않아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침구 물품과 방석 물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침구 물품과 방석 물품 안의 솜이 뭉치지 않고 항상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솜 부재를 덧댐 천에 대고 누빔 질로 고정시켜서 솜의 뭉침과 그로 인한 탄력성 저하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에어백 효과를 이용하여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은,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쿠션시트; 상기 쿠션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상부 탄력보강부; 및 상기 쿠션시트의 하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하부 탄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와 상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一面)에 결합된 덧댐 천(padding cloth)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쿠션시트 및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감싸는 내피(內皮); 및 상기 내피 위를 감싸는 외피(外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은,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쿠션시트; 상기 쿠션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상부 탄력보강부; 및 상기 쿠션시트의 하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하부 탄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와 상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一面)에 결합된 덧댐 천(padding cloth)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쿠션시트 및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감싸는 내피(內皮); 및 상기 내피 위를 감싸는 외피(外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침구 물품과 방석 물품은 안에 든 솜들이 항상 원위치에 변형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솜 부재와 덧댐 천을 실로 꿰매 누벼서 서로 지지 결합시키므로 오랜시간 사용하더라도 솜이 뭉치거나 울툴불퉁해지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본 고안에 따른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은 장시간 사용에 불구하고 탄력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솜 부재와 쿠션재 안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공기집들이 일종의 에어백과 같은 구실을 하여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오랫동안 푹신푹신하고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효과를 이용하여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1)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침구 물품(1)에 관한 구성은 방석 물품에도 그대로 적용되므로,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침구 물품(1)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침구 물품(1)은 천으로 된 외피(2) 안에 내피(3)가 있고, 그 내피(3)안에 복수개의 시트들이 적층된 구조(4)로 되어 있다. 도1에서 침구 물품(1)을 일단 요 혹은 매트의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의 대상 물품은 반드시 요나 매트리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형태에 상관없이 내부에 여러 겹의 솜과 쿠션재들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침구 물품들(이부자리 및 베개)과 방석 물품에 대해서 모두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1에서 도면부호 2a는 외피(2)의 상면을 표시하고, 2b는 외피(2)의 측면을 표시한다.
도2는 도1의 침구 물품(1)의 내부의 단면 적층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침구 물품(1)은 외피(2)와 내피(3)안에 내부 적층구조(4)가 감싸지며, 상기 내부 적층구조(4)는 크게 나눠서 쿠션시트(70)를 중심으로 그 위와 아래에 각각 여러 겹의 솜으로 된 층들로 이루어진 상부 탄력보강부(5)와 하부 탄력보강부(6)가 적층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2에서 상기 쿠션시트(70)는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며, 발포 라텍스, 스펀지, 메모리 폼 등의 재질들 중의 어느 하나 혹은 2개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시트(70)는 얇은 판(板)상 혹은 시트(sheet)형태로 만들어지며, 침구 물품(1)의 중앙에서 형태와 위치를 잡아주는 일종의 뼈대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은 상기 쿠션시트(70)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탄력보강부(5)를 2~5개 정도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10,20,30,40)로 구성하고, 쿠션시트(70)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탄력보강부(6)를 2~4개 정도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50,60)로 구성한다. 특히 사람이 눕거나 깔고 앉을 때 사람의 신체와 가장 가깝게 맞닿게 되는 제일 위의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는 천연 목화솜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최대한 사람의 피부에 친화적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는 천연 목화솜을 틀어 만든 천연솜 부재(11)와 상기 천연솜 부재(11)에 천을 덧대 누빔 질로 고정시키는 부드러운 재질의 덧댐 천(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 개 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즉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20), 제3상부 탄력보강시트(30) 및 제4상부 탄력보강시트(40)는 각각 인조 솜으로 만든 인조솜 부재(21,31,41)에 덧댐 천(22,32,42)을 대고 누빔 질로 꿰매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도2에는 상기 제1내지 제4상부 탄력보강시트들(10,20,30,40)의 천연솜 부재(11) 혹은 인조솜 부재(21,31,41)의 한쪽 면에만 덧댐 천(12,22,32,42)을 댄 것으로 되어 있지만, 천연솜 혹은 인조솜 부재들(11,21,31,41)의 양쪽 면에 모두 덧댐 천을 대고 누빔질을 해서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여기서 인조 솜이란 폴리에스터 또는 글라스 울 등과 같이 천연 목화솜 이외에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솜 형태로 탄력성이 있도록 제작한 소재들을 말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70)의 하방으로는 2겹 내지 4겹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이 배치된다. 도2에는 2겹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50,60)이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1하부 탄력보강시트(50)와 제2하부 탄력보강시트(60)는 각각 인조솜 부재(51,61) 및 그 인조솜 부재에 천을 덧대고 누빔 질로 고정시킨 덧댐 천(52,62)으로 구성된다. 하부 탄력보강시트들(50,60)도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10,..,40)과 마찬가지로 인조솜 부재의 한쪽 면에만 덧댐 천을 댈 수도 있고, 혹은 인조솜 부재의 양쪽 면에 모두 덧댐 천을 댈 수도 있다. 도2에서 도면부호 2c는 침구류 외피(2)의 하면을 가리킨다.
도3은 도2에서 침구류 물품의 내부 구조 중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4 및 도5는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에 누빔 질을 하여 천연 목화솜 부재(11)를 덧댐 천(12)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서 천연솜 혹은 인조솜을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에 적용하면서도 솜들이 제자리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는 비결은 바로 각각의 솜 부재들을 덧댐 천에 누빔 질로 고정시키는 것에 있다. 종래의 방석과 침구 제품들은 내피 안에 솜을 채워넣기만 할 뿐이고 그 솜을 일정한 형태로 방석 혹은 침구류 제품 안에서 계속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조금만 쓰고 나면 솜이 뭉쳐서 울퉁불퉁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솜을 시트 형태로 펼쳐 만든 솜 부재를 각각 부드러운 재질의 덧댐 천에 접촉시키고 솜 부재를 실로 누빔 질하여 덧댐 천에 꿰매 고정시킴으로써 솜을 안정적으로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게 되었다.
도3 및 도4를 참고하면,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를 구성하는 천연솜 부재(11)는 천연 목화솜을 넓게 펼친 형태이며, 이 천연솜 부재(11)의 상하 양면 혹은 한쪽 면에 덧댐 천(12)을 대고(도3 참고), 바늘(80)에 실(81)을 꿰어서 천연솜 부재(11)와 덧댐 천(12)을 꿰매 누비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시킨다(도4 참조). 이때 상기 천연솜 부재(11)를 덧댐 천(12)과 누비는 것은 어떠한 형태라도 좋으나, 작업의 편의성과 효과를 고려하여 원형 혹은 사각형의 형태로 누빔 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빔 질을 한 각각의 누빔 부분(13)의 크기는 원형일 경우 직경이 5~10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각형일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5~10cm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의 확대도와 도5를 참고하면, 천연 솜 부재(11)와 덧댐 천(12)은 누비실(14)에 의한 누빔 질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6은 도2의 침구 물품의 내부 구조 중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20)에 누빔 질을 하여 인조솜 부재(21)를 덧댐 천(22)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다. 도3 내지 도5에서 천연솜 부재(11)를 덧댐 천(12)에 누빔 질로 결합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나머지 탄력보강시트들도 인조솜 부재를 덧댐 천에 누빔 질로 결합시킨다. 도6을 참고하면,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20)를 구성하는 인조솜 부재(21)는 덧댐 천(22)과 맞댄 상태에서 누빔 질로 고정시킨다. 도6에서 도면부호 24는 누비실을 가리킨다.
도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내부 적층구조물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내피(3)에 넣고 외피(2)로 포장하여 침구류 물품을 완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천연 솜을 이용한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와 나머지 제2 내지 제4 상부 탄력보강시트들(20,30,40)이 쿠션시트(70)위에 순서대로 배치되며, 상기 쿠션시트(70)의 아래쪽에는 제1하부 탄력보강시트(50)와 제2하부 탄력보강시트(60)가 배치된다. 이들 쿠션시트(70)와 탄력보강시트들은 모두 적층된 상태 그대로 내피(3)에 들어가 형태가 잡아지며, 내피(3)위에 다시 외피(2)가 씌워진다. 도7에서 도면부호 2d 및 3d는 각각 지퍼 라인을 가리키며, 2e 및 3e는 각각 지퍼를 가리킨다. 도면에 제시된 내피(3) 및 외피(2)의 형태와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 밖에 다양한 형태로 내피와 외피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은 내부 적층구조물을 내피(3)에 넣은 상태에서 누빔 질을 하여 내피(3)안의 적층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내피(3)안에 탄력보강시트들과 쿠션시트(70)를 넣은 상태로 두어도 되지만, 더 나아가서 내피(3)안에 탄력보강시트들과 쿠션시트를 넣은 뒤 내피(3) 전체를 밖에서 실로 누빔 질을 하여 한번 더 단단하게 위치를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피(3)안에 모든 시트들을 넣은 상태에서 누빔 질을 해두면 솜들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 계속 유지될 수가 있어서 차후에 다소 거칠게 침구 물품 또는 방석 물품을 사용하더라도 솜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8에서 도면부호 3f는 내피(3)안에 쿠션시트와 탄력보강시트들을 넣은 상태에서 실로 누빔 질을 한 것을 가리킨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에 있어서, 각 탄력보강시트 및 쿠션시트의 사이에 공기가 채워진 빈틈들이 에어백 구실을 하여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솜 혹은 인조솜(31,41)과 쿠션시트(70)의 내부에는 원래 빈틈들이 많아서 많은 공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공기들이 있는 부분은 공기집(31a,41a,70a)으로 일종의 에어백(airbag)과 같은 구실을 하게 된다. 솜 부재들을 덧댐 천에 대고 누빔 질로 고정시킨 결과, 솜 부재의 안에 형성된 공기집들은 그 위치가 계속적으로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 깔고 앉아 압력을 가하더라도 솜 안의 공기집 자체가 없어지지 않으며,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복원되어 계속 탄력성과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쿠션시트(70) 자체는 원래부터 탄력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무거운 압력이 가해졌더라도 압력이 제거되고 나면 원래대로 복원되어 탄력성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다.
본 고안은 솜과 쿠션시트 안에 포함된 다수의 공기집들과, 솜 부재와 덧댐 천이 접촉한 상태에서 그 사이의 빈틈에 만들어진 다수의 공기층들이 완충작용을 일으키면서, 마치 에어백이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뛰어난 탄력성과 쿠션감 및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목화솜을 사용하지 않고 인조솜 만으로 탄력보강시트들을 구성한 것을 도시한다. 앞서 도2 내지 도9에는 천연솜을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에 이용하였지만, 작업의 편의성 및 원가절감을 위하여 천연솜을 사용하지 않고 인조솜 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0에서는 상부탄력시트들(10′,20′,30′)과 하부 탄력시트들(40′,50′)을 모두 인조솜 만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함을 도시하였다. 즉, 도10에 도시된 내부 적층구조는 제일 위에 천연 솜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2 내지 도9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석 물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내지 도10에는 요나 매트 혹은 매트리스와 같은 침구 물품들을 대상으로 본 고안의 구성을 소개하였지만, 도11에는 본 고안의 구조를 방석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은 침구 물품과 방석 물품에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방석의 경우에는 침구 물품의 경우보다 넓이가 작아진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도1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석 물품(100)은 외피(120)가 내피(130)를 감싸며, 내피(130)안에는 쿠션시트(70)의 위쪽으로 제1 내지 제4상부 탄력보강시트들(10,20,30,40)이 위치하고, 쿠션시트(70)의 아래쪽으로는 제1 및 제2하부 탄력보강시트들(50,60)이 위치한다. 미설명부호 120a는 외피의 상면을 가리키고, 120b는 외피의 하면을 가리킨다.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은 크게 상, 중, 하의 3단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중 상단(上段) 구조는 외피천, 천연 목화솜, 중간의 부드러운 천들 및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4~6겹의 시트들로 구성되며, 중단(中段)구조는 스펀지, 발포 라텍스, 실리콘 등의 인조 쿠션재로 구성되고, 하단(下端)구조는 위 상단 구조와 마찬가지의 2~3겹 시트층과 하단 외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고탄력 솜의 양면에 천을 덧대어 직경 5~10cm 정도의 크기로 누빈 것을 여러 겹 쌓고 중간에 스펀지 등의 쿠션재를 넣어 보완시켜서 각 층에 생성된 수많은 공기집들이 일종의 에어백들로 작용하여 상하 좌우 서로 완충작용을 해주므로 탄력회복 및 쿠션성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은 라텍스나 스펀지 등의 화학제품이 결코 흉내 낼 수 없는 솜 특유의 포근함과 부드러움을 그대로 살릴 수 있어 우리의 전통침구인 요, 이불을 보다 한층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으며, 서양식 매트 혹은 패드를 대신해 안락함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침구 물품과 방석 물품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을 그대로 소파나 의자의 매트부분에 적용하여 소파매트 또는 의자매트 등의 물품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소파매트와 의자매트는 소파나 의자의 형태로 된 매트리스를 말하기도 하고, 또는 소파나 의자의 일부분으로 사람이 깔고 앉아 사람의 신체가 닿는 쿠션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이러한 소파매트 및 의자매트는 모두 사람이 깔고 앉아 생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물건들로서 쿠션감이 좋아야만 하는 물품들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소파매트와 의자매트는 금세 딱딱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쿠션시트와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내피와 외피에 넣어 소파매트 또는 의자매트를 만들면 쿠션감이 좋고, 오래도록 탄력성이 저하되지 않는 우수한 물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은 기존 솜을 넣은 제품들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솜의 뭉침 현상을 작은 크기의 누빔으로 완전하게 해결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솜으로 만든 침구제품들이 세탁이 불가능했었던 것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침구 물품 등은 다층 구조의 누빔층을 가지므로 전체 또는 한 겹씩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효과를 정리하면, 우선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통침구인 요, 이불 등은 딱딱하고 솜의 뭉침이 있어 그동안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침구 물품을 이용하면 모든 사람들의 잠자리가 포근한 휴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을 적용한 방석, 쿠션 등의 물품들과 소파 매트, 의자매트 등은, 기존의 구입한 지 몇 달이 지나지 않아 곧 탄력이 없어져 버리는 딱딱한 방석들과 달리, 장기간 이용하여도 지속적으로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방석으로 모든 사람들이 널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1)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침구 물품(1)의 내부의 단면 적층도이다.
도3은 도2에서 침구 물품의 내부 구조 중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4 및 도5는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10)에 누빔 질을 하여 천연 목화솜 부재(11)를 덧댐 천(12)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다.
도6은 도2의 침구 물품의 내부 구조 중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20)에 누빔 질을 하여 인조솜 부재(21)를 덧댐 천(22)에 고정시킨 것을 도시한다.
도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내부 적층구조물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내피(3)에 넣고 외피(2)로 포장하여 침구 물품을 완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8은 내부 적층구조물을 내피(3)에 넣은 상태에서 누빔 질을 하여 내피(3)안의 적층구조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및 방석 물품에 있어서, 각 탄력보강시트 및 쿠션시트의 사이에 공기가 채워진 빈틈들이 에어백 구실을 하여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천연 목화솜을 사용하지 않고 인조솜 만으로 탄력보강시트들을 구성한 것을 도시한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석 물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침구물품 2: 외피
2a: 외피 상면 2b: 외피 측면
2d: 지퍼라인 2e: 지퍼
2c: 외피 하면 3: 내피
3d: 지퍼라인 3e: 지퍼
3f: 누비결속부 4: 내부 적층구조
5: 상부 탄력보강부 6: 하부 탄력보강부
10, 20, 30, 40: 상부 탄력보강시트
10a: 천연솜 부재 20a, 30a, 40a, 50a: 인조솜 부재
10b, 20b, 30b, 40b, 50b: 덧댐 천
11: 천연목화솜 부재 12, 22, 32, 42, 52, 62: 덧댐 천
13, 23: 누빔 부분 14, 24, 34, 44: 누비실
21, 31, 41, 51, 61: 인조솜 부재 30a, 31a, 41a, 70a: 공기집
70: 쿠션시트 80: 바늘
81: 실 100: 방석 물품
120: 외피 120a: 외피 상면
120b: 외피 하면 130: 내피

Claims (19)

  1.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쿠션시트;
    상기 쿠션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상부 탄력보강부; 및
    상기 쿠션시트의 하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하부 탄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와 상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一面)에 결합된 덧댐 천(padding cloth)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쿠션시트 및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감싸는 내피(內皮); 및
    상기 내피 위를 감싸는 외피(外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의 각각은, 솜 부재를 그에 대응되는 덧댐 천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누비실로 꿰매서 누빔 질을 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솜 부재를 상기 덧댐 천에 결합하는 누빔 질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하되, 원형의 직경 또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5~10c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부는,
    천연 목화솜으로 이루어진 천연 목화솜 부재와 상기 천연 목화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을 포함하는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 및
    인조 솜으로 이루어진 인조 솜 부재와 상기 인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을 포함하는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는 상기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와 상기 쿠션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부는,
    천연 목화솜으로 이루어진 천연 목화솜 부재와 상기 천연 목화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을 포함하는 상부 천연솜 탄력보강시트; 및
    각각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인조솜 부재와 상기 인조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은 2~5개의 개수로 적층되며, 상기 천연솜 탄력보강시트와 상기 쿠션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부는, 각각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인조솜 부재와 상기 인조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은 2~5개의 개수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인조솜 부재와 상기 인조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천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하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은 2~4개의 개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는 스펀지, 발포 라텍스, 메모리 폼 및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 쿠션재료 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10.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쿠션시트;
    상기 쿠션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상부 탄력보강부; 및
    상기 쿠션시트의 하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하부 탄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와 상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一面)에 결합된 덧댐 천(padding cloth)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쿠션시트 및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감싸는 내피(內皮); 및
    상기 내피 위를 감싸는 외피(外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의자매트 물품.
  11. 탄력성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된 쿠션시트;
    상기 쿠션시트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상부 탄력보강부; 및
    상기 쿠션시트의 하부에 적층된 복수 개의 하부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된 하부 탄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탄력보강시트들 및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와 상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一面)에 결합된 덧댐 천(padding cloth)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쿠션시트 및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을 적층된 상태 그대로 감싸는 내피(內皮); 및
    상기 내피 위를 감싸는 외피(外皮);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시트들과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의 각각은, 솜 부재를 그에 대응되는 덧댐 천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누비실로 꿰매서 누빔 질을 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솜 부재를 상기 덧댐 천에 결합하는 누빔 질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하되, 원형의 직경 또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5~10c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부는,
    천연 목화솜으로 이루어진 천연 목화솜 부재와 상기 천연 목화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을 포함하는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 및
    인조 솜으로 이루어진 인조 솜 부재와 상기 인조 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을 포함하는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탄력보강시트는 상기 제1상부 탄력보강시트와 상기 쿠션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부는,
    천연 목화솜으로 이루어진 천연 목화솜 부재와 상기 천연 목화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을 포함하는 상부 천연솜 탄력보강시트; 및
    각각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인조솜 부재와 상기 인조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은 2~5개의 개수로 적층되며, 상기 천연솜 탄력보강시트와 상기 쿠션시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력보강부는, 각각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인조솜 부재와 상기 인조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 천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은 2~5개의 개수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탄력보강시트들은, 각각 인조솜으로 이루어진 인조솜 부재와 상기 인조솜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덧댐천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하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인조솜 탄력보강시트들은 2~4개의 개수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는 스펀지, 발포 라텍스, 메모리 폼 및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 쿠션재료 들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방석 물품.
KR2020080016527U 2008-12-12 2008-12-12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KR200454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27U KR200454148Y1 (ko) 2008-12-12 2008-12-12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527U KR200454148Y1 (ko) 2008-12-12 2008-12-12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16U KR20100006316U (ko) 2010-06-22
KR200454148Y1 true KR200454148Y1 (ko) 2011-06-17

Family

ID=4445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527U KR200454148Y1 (ko) 2008-12-12 2008-12-12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193B1 (ko) 2013-01-04 2014-09-22 이상철 기능성 방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79B1 (ko) * 2018-01-26 2020-03-02 주식회사 포플린 누빔선이 없는 차렵이불 및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201U (ko) * 1992-01-09 1993-08-20 김권주 복원력을 갖는 이불속
KR200165577Y1 (ko) 1999-07-13 2000-02-15 주식회사시몬스침대 탄력이 강화된 침대용 매트리스지
KR20010065577A (ko) * 1999-12-30 2001-07-11 김기범 광석 선별기용 스크린 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52946B1 (ko) 2006-01-16 2006-12-01 주식회사 자미온하우스 돌침대용 침대요
KR20090009251U (ko) * 2008-03-11 2009-09-16 주식회사 그랜드침대 스펀지와 화이버솜이 내장된 매트리스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8201U (ko) * 1992-01-09 1993-08-20 김권주 복원력을 갖는 이불속
KR200165577Y1 (ko) 1999-07-13 2000-02-15 주식회사시몬스침대 탄력이 강화된 침대용 매트리스지
KR20010065577A (ko) * 1999-12-30 2001-07-11 김기범 광석 선별기용 스크린 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652946B1 (ko) 2006-01-16 2006-12-01 주식회사 자미온하우스 돌침대용 침대요
KR20090009251U (ko) * 2008-03-11 2009-09-16 주식회사 그랜드침대 스펀지와 화이버솜이 내장된 매트리스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193B1 (ko) 2013-01-04 2014-09-22 이상철 기능성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316U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029B1 (en) Sleep fabric layer with individually pocketed coils
CA2869685C (en) Customizable pillow
TWI674861B (zh) 一種包括間隔織物的床墊及其相關方法
US4924541A (en) Bed pad, an automobile seat pad, a pillow or a similar cushionlike item
WO2014047396A1 (en) Mattress with user adjustable comfort features
WO2005104905A1 (ja) クッション材
USRE48673E1 (en) Seating sofa with laminated readily reboundable cooling-effect seating cushions
KR200454148Y1 (ko)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KR20220059988A (ko) 통기성과 편안함을 개선시킨 매트리스 토퍼
US20220408935A1 (en) Two-sided hybrid mattress topper
KR20090003445U (ko) 기능성 매트리스
JP3152904U (ja) 寝装用軽量積層品
JP2005193007A (ja) 敷き布団
US20240099474A1 (en) Improved cushioning material
CN211722514U (zh) 采用复合纤维及中空立体交织技术的保健型床垫
CN212438102U (zh) 枕头
JP7162789B2 (ja)
KR20190000516A (ko)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CN211092848U (zh) 一种座包结构及具有该座包结构的座椅
JP2005110872A (ja) マットレス装置
JP2024047117A (ja) 層状物品、層状敷材、折り畳み式層状敷材、及び装着物品
US20240130538A1 (en) Cover for a body support cushion
JP3203480U (ja) 敷きパッド
US20220395108A1 (en) Mattress
US20090202827A1 (en) Varied density fiber bed and feather bed and improved fi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