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16A -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 Google Patents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16A
KR20190000516A KR1020170079613A KR20170079613A KR20190000516A KR 20190000516 A KR20190000516 A KR 20190000516A KR 1020170079613 A KR1020170079613 A KR 1020170079613A KR 20170079613 A KR20170079613 A KR 20170079613A KR 20190000516 A KR20190000516 A KR 2019000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bedding
topper
bas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승문
Original Assignee
호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승문 filed Critical 호승문
Priority to KR102017007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516A/ko
Priority to PCT/KR2017/010482 priority patent/WO2018235996A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2Making upholstery from waddings, fleeces, m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different in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5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모 재질의 파일을 침구의 충전재로 사용하도록 하여, 침구의 내구성 및 탄력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모로 구성되는 파일을 포함하되, 파일은 고밀도로 베이스에 직립되도록 구성되므로, 침구의 내구성, 탄력성 보온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FILLER FOR BEDING AND TOPP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을 침구의 충전재로 사용하도록 하여, 침구의 내구성 및 탄력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Pile)은 연속적인 루프편(loop stitch)의 형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파일로 제조되는 파일직물은 두껍고 탄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모직, 견직, 면직, 화섬직물 등에 이용되어 카펫, 의자 커버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카펫의 경우, 베이스와, 베이스에 결합되는 파일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베이스는 바닥사가 니트식으로 짜여져 구성되고, 파일사는 면 등으로 구성되어 바닥사에 결합된다. 파일사는 베이스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있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침구는 휴식을 취하기 위한 필수적인 수단으로, 이불, 패드, 배개, 방석, 매트리스, 요, 토퍼(Topper) 등이 있다. 특히 토퍼는 두께가 보통 10cm 이하인 얇은 매트리스를 일컫는 것으로, 침대 매트리스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침대 매트리스 위에 얹어서 사용하는 보완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퍼는 푹신한 쿠션을 주기 위하여 목화 솜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솜, 거위털 등을 충전재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토퍼는 장시간 사용시 충전재 조직이 눌려지고, 형태가 파손되어 토퍼의 원형유지가 어렵고, 토퍼의 본래의 기능이 저하되어 이상적인 쿠션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만일, 파일사를 면보다 탄성이 좋은 양모로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제조한 파일직물을 침구의 충전재로 사용하게 되면, 침구 본래의 기능인 쿠션 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침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내부에 솜 등의 충전재를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구의 내구성 및 탄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8637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0289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모 재질의 파일을 침구의 충전재로 사용하도록 하여, 침구의 내구성 및 탄력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구 충전재에 있어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파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위사와 경사가 편직 또는 제직되면서 직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일은 양모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에 꼬아진 상태로 상부로 둘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침구 충전재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부는 침대에 올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침구 충전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하부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침구 충전재와 상기 하부매트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침구 충전재에 있어서, 양모로 구성되는 파일을 포함하되, 파일은 고밀도로 베이스에 직립되도록 구성되므로, 침구의 내구성, 탄력성 보온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퍼에 있어서, 침구 충전재 및 그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하부매트를 포함하므로, 침대 매트리스를 교체하지 않고, 간단하게 쿠션감과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가 침대에 올려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100)는 베이스(110) 및 파일(12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바닥사 즉, 복수 개의 위사와 경사가 편직 또는 제직 공정을 거쳐 직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위사와 경사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의 합성섬유를 원사로 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면을 포함하는 공지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120)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베이스(110)의 상면을 따라 바닥사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파일(120)은 베이스(110)의 위사 또는 경사에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양모를 루프 형태로 형성한 후, 이를 세워진 상태로 베이스(110)에 제직하여 베이스(110)의 위사 또는 경사에 꼬아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파일(120)은 베이스(1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임의로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또는 세탁 과정에서 파일(120)의 털 빠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파일(120)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베이스(110)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또는 접착사가 제직되고, 열을 가하여 접착제 또는 접착사에 파일(120)이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파일(120)은 베이스(110)에 고밀도로 직립되므로, 파일(12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받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120)은 양모로 구성되는데, 양모는 꼬불꼬불한 크림프(Crimp) 형태로 구성되므로, 탁월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호 인접한 파일(120)들 사이의 두터운 공기층으로 인한 보온성이 커지게 되므로, 이러한 양모로 구성되는 침구 충전재(100)는 탄력성, 보온성 및 통기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모로 제조되므로, 위생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침구에 적용되므로, 위생이 중요시되어, 별도의 워싱 단계를 거쳐서 양모의 불순물이 최대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가 침대에 올려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10)는 예를 들면 침대(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침구 충전재(100), 하부매트(200) 및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침대(1)는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가구로서, 탄성을 갖는 매트리스(2)를 지지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토퍼(10)는 10cm 이하의 얇은 패드 형상으로, 주로 매트리스(2)의 상부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매트리스(2)를 이용하는 동안 매트리스(2)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거나 매트리스(2)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구성이다.
침구 충전재(100)는 양모를 함유하는 것으로, 이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침구 충전재(100)는 매트리스(2)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위치된다.
하부매트(200)는 침구 충전재(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라텍스, 메모리폼,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침구 충전재(10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매트(200)와 침구 충전재(100)는 밸크로, 단추, 밴드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호 견고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커버부(300)는 침구 충전재(100)와 하부매트(200)를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300)는 울프루프(Wool Proof) 가공 처리하여 침구 충전재(100)의 양모가 커버부(30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300)는 지퍼가 구비되어, 커버부(300)를 용이하게 분리 세탁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300)는 그 하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우레탄 등의 도트 처리가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토퍼(10)는 침대(1)의 매트리스(2)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매트리스(2) 없이, 온돌바닥 등에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토퍼 100: 침구 충전재
110: 베이스 120: 파일
200: 하부매트 300: 커버부

Claims (4)

  1. 침구 충전재에 있어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파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위사와 경사가 편직 또는 제직되면서 직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일은 양모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에 꼬아진 상태로 상부로 둘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침구 충전재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부는 침대에 올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 충전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하부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침구 충전재와 상기 하부매트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 충전재를 포함하는 토퍼.
KR1020170079613A 2017-06-23 2017-06-23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KR20190000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13A KR20190000516A (ko) 2017-06-23 2017-06-23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PCT/KR2017/010482 WO2018235996A1 (ko) 2017-06-23 2017-09-22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13A KR20190000516A (ko) 2017-06-23 2017-06-23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16A true KR20190000516A (ko) 2019-01-03

Family

ID=6473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13A KR20190000516A (ko) 2017-06-23 2017-06-23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00516A (ko)
WO (1) WO2018235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88A (ko) * 2020-03-12 2021-09-27 오광태 양모 질감을 갖는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050A (ja) * 1998-07-03 2000-01-25 Aono Pile Kk 立毛性に優れ、抜けにくい袋織の片面・両面パイル織物
NZ519226A (en) * 2002-05-28 2004-02-27 Hiromasa Shibazaki Layered fabric including embedded therapeutic
DE07763125T1 (de) * 2006-02-02 2009-02-19 MMI-IPCO, LLC, Lawrence Überzüge für viskoelastische schaumstoffmatratzen
KR100910945B1 (ko) * 2007-10-16 2009-08-0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고탄성 쿠션재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KR101466641B1 (ko) * 2013-10-04 2014-11-28 주식회사 메리퀸 원단의 파일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88A (ko) * 2020-03-12 2021-09-27 오광태 양모 질감을 갖는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5996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6697B1 (en) Ergonomic mattress pad with polyester fill
US7434281B1 (en) Pillow having anti-wrinkling properties
JP2014501597A (ja) 補強用挿入部材および高密度ステッチ領域を有するマットレス
SE413070B (sv) Textilt sitt- och liggunderlag
JP2012081094A (ja)
US3188137A (en) Removable upholstery cover for furniture
KR101622618B1 (ko) 에어룸 거위털 페더베드 토퍼
KR20190000516A (ko) 침구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토퍼
EP1946679A1 (en) Mattress and upholstery covers
KR101261476B1 (ko) 침장용 쿠션포
CN113271822A (zh) 组合式休息用结构
JP3217102U (ja) 抗滑り性のための微起毛生地を用いた補助寝具
KR200454148Y1 (ko) 장기간 탄력성의 유지가 가능한 침구 물품, 방석 물품 및 의자매트 물품
KR102331789B1 (ko) 에어룸 온돌마루 인체공학디자인 보온기능성 토퍼
JPH0542819Y2 (ko)
CN210204271U (zh) 羽绒丝护颈鹅毛枕
CN217907050U (zh) 一种抗菌防螨床垫
JP2006296737A (ja) 座布団
CN214048260U (zh) 一种羽绒床垫
CN105686506A (zh) 一种拆分式按摩床单
CN107997445B (zh) 一种具有竹凉席面料的坐具
KR20210026237A (ko) 분리가 용이한 기능성 베개
CN105832070A (zh) 一种拆分式保健按摩床单
JP3962141B2 (ja) 乳幼児用マット
KR20200016123A (ko) 대나무 돗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