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937Y1 -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 Google Patents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937Y1
KR200453937Y1 KR2020100010567U KR20100010567U KR200453937Y1 KR 200453937 Y1 KR200453937 Y1 KR 200453937Y1 KR 2020100010567 U KR2020100010567 U KR 2020100010567U KR 20100010567 U KR20100010567 U KR 20100010567U KR 200453937 Y1 KR200453937 Y1 KR 200453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splay
alarm
display unit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100010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electrical contro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65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0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using a microprocessor
    • G01G23/3721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using a microprocessor with particular representation of the result, e.g. graph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중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되,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을 표시하는 중량표시부; 중량표시부의 중량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버튼; 선별기준 중량을 입력받는 기준중량 입력부; 적어도 2개의 신호를 표시하는 알람 표시부; 및, 측정된 중량과 선별기준 중량의 차이를 구하여 중량 차이에 따라 알람 표시부가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중량 표시 방향이 가능한 저울에 의하여,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에서도 표시부를 읽을 수 있으며, 무게 측정뿐만 아니라 특정 무게를 가지는 물체를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 A weight scale with a display showing numbers in any direction }
본 고안은 전환 버튼에 의해 중량 표시의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전환 버튼은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측정된 중량이 기준 중량과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알람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울의 기능은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저울에 물체를 올려놓으면 하중센서에 의해 물체의 중량을 측정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해, 저울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접시 모양의 탑재부, 및, 물체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구비한다.
특히, 전자저울은 하중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계량치를 결정하고, 계량치를 디지털로 표시한다. 이를 위해, 전자저울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계량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때, 전자저울의 표시부는 탑재부와 같은 상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는 저울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를 읽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런데 전자저울의 표시부는 어느 한 방향에서만 똑바로 읽을 수 있도록 중량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와 반대편에 서 있는 사람의 경우, 전자저울의 표시부에 표시된 중량 표시를 거꾸로 보아야 한다.
이런 경우, 물건을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가운데에 저울을 놓고 서로 마주보면서 저울을 보게 되면, 한 사람만 똑바로 볼 뿐 다른 사람은 반대로 보인다. 또, 저울의 앞뒤를 반대로 놓고 이용하면 사용자도 무게 표시를 거꾸로 읽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지정할 수 있는 기술의 일례가 [일본실용신안 1994-45214호(1994.11.16. 공개)](이하 선행기술 1)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스위치의 특정한 조작에 의해 표시부의 표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에서, 표시부에 나타나는 계측값의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 등 조작 스위치는 압력식 스위치가 이용된다. 그러나 압력식 스위치는 물체 등에 의해 눌려졌을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 관련없이 스위치가 조작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피측정물의 탑재부와 중량 표시부가 동일 편면 상에 있으면, 탑재부에 올려진 물체에 의해 스위치가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환 버튼에 의해 중량 표시의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전환 버튼은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목적은 측정된 중량이 기준 중량과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알람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되,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을 표시하는 중량 표시부; 상기 중량표시부의 중량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버튼; 선별기준 중량을 입력받는 입력버튼; 적어도 2개의 신호를 표시하는 알람 표시부; 및, 측정된 중량과 상기 선별기준 중량의 차이를 구하여 상기 중량 차이에 따라 상기 알람 표시부가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있어서, 상기 전환버튼은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있어서, 상기 알람 표시부는 제1 및 제2의 알람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되,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2 알람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있어서, 상기 알람 표시부는 제1, 제2, 및, 제3의 알람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되,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크고 제2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2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2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3 알람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있어서, 상기 알람신호는 색상 램프 신호 또는 소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의하면, 정전용량 방식의 전환 스위치에 의하여 중량 표시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정방향 뿐만 아니라 역방향에서도 표시부를 읽을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는 스위치 조작이 되지 않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의하면, 측정된 중량이 기준 중량과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알람 신호를 표시함으로써 무게 측정뿐만 아니라 특정 무게를 가지는 물체를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중량 표시를 방향 전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중량과 선별기준 중량 차이에 따라 알람신호를 달리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의 구성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울(10)은 탑재부(20), 중량 표시부(31), 스위치부(40), 하중센서(50),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알람 표시부(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탑재부(20)에 측정할 물체를 탑재하고, 하중센서(50)에 의해 물체의 중량이 측정된다. 하중센서(50)의 출력은 제어부(60)에 입력된다. 즉, 제어부(60)는 측정된 중량을 하중센서(50)로부터 입력받는다.
제어부(60)는 입력되는 데이터(측정된 중량)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중량 표시부(31)에 표시한다. 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ASIC(주문형 반도체) 등 하나의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실시될 수 있다.
중량 표시부(31)는 측정된 중량을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LCD 등으로 구현된다. 도 1과 같이, 중량 표시부(31)는 탑재부(20)와 동일한 면에 설치된다.
중량 표시부(31)는 전환버튼(41)에 의해 중량표시 방향을 전환한다. 일례로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량 표시부(3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중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중량 표시부(31)가 정방향으로 중량을 표시하면, B 방향 위치에서 정상으로 중량을 읽을 수 있는 반면, A 방향 위치에서 중량의 숫자를 거꾸로 읽게 된다. 이때, 전환버튼(41)을 누르면 도 3b와 같이 중량 표시부(31)는 역방향으로 중량을 표시한다. 이 경우, A 방향 위치에서 정상으로 중량을 읽을 수 있는 반면, B 방향 위치에서는 중량의 숫자가 거꾸로 보이게 표시된다.
전환버튼(41)은 원터치 버튼으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는 계측자(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으면 스위치가 작동되어, 중량표시 방향을 변환한다.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는 인체의 일부분(손가락)이 닿으면 인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스위치가 온(on)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체가 아닌 물체가 전환버튼(41)을 누른다하더라도 스위치(또는 전환버튼)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전환버튼(41)은 탑재부(20)에 탑재된 물체에 의해 눌려진다하더라도 방향전환이 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관련없이 스위치가 조작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버튼(42)은 선별기준 중량을 입력받는다. 선별기준 중량은 사용자(또는 계측자)가 선별하고자 하는 중량값이다. 예를 들어, 무게가 30g 인 물건을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 선별기준 중량은 30g 이다.
또, 알람 표시부(32)는 적어도 2개의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알람 표시부(32)는 색상 램프 또는 소리출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색상 램프인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색상 램프(LED 등)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또는 녹색)의 2가지 색상이나, 빨간색, 파란색(또는 녹색), 황색 등 3가지 색상으로 구성한다. 소리의 경우도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소리로 구별한다. 예를 들어, 개구리 소리, 개소리, 까치 소리 등 서로 다른 소리로 구별한다.
제어부(60)는 측정된 중량과 상기 선별기준 중량의 차이를 구하여 중량 차이에 따라 알람 표시부(32)가 서로 다른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먼저, 2가지의 알람신호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에 의해, 알람 표시부(32)는 제1 및 제2의 알람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되,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2 알람신호를 표시한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측정된 중량과 선별기준 중량 차이를 계산한다(S10). 그리고 선별기준 중량 대비 중량의 차이의 비율이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1). 제1 임계비율은 2%, 5%, 10% 등으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임계비율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출력하고(S22), 제1 임계비율보다 크면 제2 알람신호를 출력한다(S24). 앞서 예와 같이, 색상 램프인 경우, 제1 알람신호는 파란색(또는 녹색) 신호이고, 제2 알람신호는 빨간색 신호이다. 즉, 선별기준 중량이 어느 비율이상 되면 빨간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선별하려는 무게가 아님을 알림신호로 알려준다.
다음으로, 3가지의 알람신호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알람 표시부(32)는 제1, 제2, 및, 제3의 알람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되,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크고 제2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2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2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3 알람신호를 표시한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측정된 중량과 선별기준 중량 차이를 계산한다(S10). 그리고 선별기준 중량 대비 중량의 차이의 비율이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21).
제1 임계비율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출력하고(S22), 제1 임계비율보다 크면 다시 제2 임계비율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3). 제2 임계비율보다 작으면 제2 알람신호를 출력하고(S24), 제2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3 알람신호를 출력한다(S25). 앞서 예와 같이, 색상 램프인 경우, 제1 알람신호는 파란색(또는 녹색) 신호이고, 제2 알람신호는 황색 신호이고, 제3 알람신호는 빨간색 신호이다. 즉, 선별기준 중량이 어느 비율이상 되면 황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선별하려는 무게인지를 재차 확인하라는 경고신호로 알려주고. 그 보다 더 큰 비율이상이면 빨간색으로 표시함으로 선별하려는 물건이 아님을 알린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전환 버튼에 의해 중량 표시의 방향을 전환하되, 상기 전환 버튼은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측정된 중량이 기준 중량과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알람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울 20 : 탑재부
31 : 중량표시부 32 : 알람표시부
40 : 스위치부 41 : 전환버튼
42 : 입력버튼 50 : 하중센서
60 : 제어부

Claims (5)

  1. 중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되,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에 있어서,
    중량을 표시하는 중량 표시부;
    상기 중량표시부의 중량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버튼;
    선별기준 중량을 입력받는 입력버튼;
    적어도 2개의 신호를 표시하는 알람 표시부; 및,
    측정된 중량과 상기 선별기준 중량의 차이를 구하여 상기 중량 차이에 따라 상기 알람 표시부가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표시부는 제1 및 제2의 알람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되,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2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알람신호는 소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버튼은 정전용량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표시부는 제1, 제2, 및, 제3의 알람신호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되,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1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1 임계비율 보다 크고 제2 임계비율 보다 작으면 제2 알람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중량 차이가 상기 선별기준 중량 대비 제2 임계비율 보다 크면 제3 알람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신호는 색상 램프 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KR2020100010567U 2010-10-14 2010-10-14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KR200453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67U KR200453937Y1 (ko) 2010-10-14 2010-10-14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67U KR200453937Y1 (ko) 2010-10-14 2010-10-14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937Y1 true KR200453937Y1 (ko) 2011-06-07

Family

ID=4448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567U KR200453937Y1 (ko) 2010-10-14 2010-10-14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93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427A (ja) * 1983-08-25 1985-03-13 Tanita Seisakusho:Kk 電子秤
JPS6228619A (ja) * 1985-07-31 1987-02-06 Teraoka Seiko Co Ltd デイジタル表示秤
US20070002084A1 (en) * 2005-07-04 2007-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427A (ja) * 1983-08-25 1985-03-13 Tanita Seisakusho:Kk 電子秤
JPS6228619A (ja) * 1985-07-31 1987-02-06 Teraoka Seiko Co Ltd デイジタル表示秤
US20070002084A1 (en) * 2005-07-04 2007-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1231B (zh) 照明或显像系统中的基于按钮的颜色导航方法和设备
US7202424B2 (en) Balance control system for weight scales
TW201634084A (zh) 用於可調整的啞鈴系統的重量感應基座
CN103140821B (zh) 输入装置和配置有输入装置的电子设备
WO2009078455A1 (ja) 玉型形状測定装置
JP2016090238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KR200453937Y1 (ko) 중량 표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저울
JP4330927B2 (ja) 流量センサ
JP5352385B2 (ja) 組合せ秤
US11408762B2 (en) Electronic weighing scales with user-configurable check weigh func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H02226074A (ja) 計測装置
KR1009957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104021A (ko) 운동량 측정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CN105249972A (zh) 具有触摸屏的人体健康检测装置
KR20110053656A (ko)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30117290A1 (en) Digital meter for use of current and voltage
JP2008035406A (ja) 検出センサ
JP2010102089A (ja) 表示装置
KR100682044B1 (ko) 휴대용 알에프 파워 측정기
JP7267875B2 (ja) 一次元測定機
JP4133221B2 (ja) デジタル表示装置
JP4827244B2 (ja) 検出センサ、そのセンサヘッド及び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US20060250268A1 (en) Parameter value indicator for a parameter-measuring device
JP6181814B1 (ja) 重量計測装置
JP2008076118A (ja) 変位センサ及びセンサ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