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656A -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656A
KR20110053656A KR1020090110277A KR20090110277A KR20110053656A KR 20110053656 A KR20110053656 A KR 20110053656A KR 1020090110277 A KR1020090110277 A KR 1020090110277A KR 20090110277 A KR20090110277 A KR 20090110277A KR 20110053656 A KR20110053656 A KR 2011005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weight
lo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866B1 (ko
Inventor
나승유
신대정
김진영
원용관
이배호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8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착탈식의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 하중감지센서의 변형량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측정물의 무게를 계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데이터 연산부의 동작을 시행하기 위한 입력부 및 데이터 연산부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전자저울.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ttachable Electronic Scale Cas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착탈식의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 매체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는 넓게 보급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필요성과 간편한 휴대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항시 휴대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통신 및 메시지 전송 이외의 용도로도 많이 사용된다. 특히, 반도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단말기 메인보드의 회로 집적화가 향상됨으로써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단말기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단말기에 새롭게 부가되는 기능들은 대부분이 오락 및 정보 수신 매체로의 활용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현대인들은 소비문화에서 소비자의 권리를 중요시함에 따라서 소비 객체의 정확한 정보 및 신뢰를 요구하는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예컨대 소비자들은 음식점의 음식 및 기타 물건에 대한 신뢰있는 정량을 원하면서 또 이러한 것을 확인하고 싶은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신이 섭취하는 음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기를 원한다. 즉, 섭취하는 음식의 칼로리 등을 계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인들이 음식물의 칼로리를 숙지하고 있는 것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본인이 섭취하는 음식물의 무게를 알 수 있기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착탈식의 외장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 하중감지센서의 변형량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측정물의 무게를 계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데이터 연산부의 동작을 시행하기 위한 입력부 및 데이터 연산부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연산부는 하중감지센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류 인가부, 전류 인가부에서 인가되고 하중감지센서를 통해서 피드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디지털 신호를 무게량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시키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중감지센서는 변형량 감지 저항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산부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열량 변환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감지센서가 탑재된 외장 케이스를 이용하여 무게 측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외장 케이스는 단말기로부터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에 용이하고, 단말기 자체의 무게 및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무게 측정시 피측정물이 안착되는 계량판이 단말기의 부하를 주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피측정물의 단순한 무게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정보도 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실시예에 의한 외장 케이스(100) 및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은 하중감지센서(150), 데이터 연산부(120) 및 제 1 커넥터(140)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외장 케이스(100)의 결합을 위한 제 2 커넥터(240) 및 결합홈(214)을 구비한다.
외장 케이스(100)는 단말기(2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하중감지센서(15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탑재하고 있다.
하중감지센서(150)는 무게 측정을 위한 소자이다. 일례로 하중감지센서(15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 방식의 변형량 감지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중감지센서(150)는 금속 탄성체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탄성체의 변형량(스트레인)을 전기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소자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중감지센서(150)는 외장 케이스 일면의 중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외장 케이스(100)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수직바(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직바(112)는 단말기(200)와의 결합을 위해서 내측에 결합바(114)를 포함한다. 결합바(114)는 단말기(200)의 결합홈(214)과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바(114)를 통해서 외장 케이스(100)는 단말기(200)에 착탈될 수 있다. 결합바(114)는 외장 케이스(100)의 일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에서 형성된다. 이는 외장 케이스(100)에 하중감지센서(150) 및 데이터 연산부(120)가 배치된 것을 감안한 것으로, 결합바(114)는 하중감지센서(150) 및 데이터 연산부(120)의 최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된다. 외장 케이스(100)의 수직바(112) 및 결합바(114)는 외장 케이스(100)를 단말기(200)에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데이터 연산부(120)는 외장케이스(100)의 일면에 제 1 도전패턴(132)을 통하 여 하중감지센서(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1 도전패턴(132)은 와이어를 이용할 수 있고, 도전 물질이 패터닝 된 회로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연산부(120)는 하중감지센서(150)의 변형량을 감지하여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류인가부(122), 증폭부(124), 컨버터(126) 및 연산처리부(128)로 구성될 수 있다.
전류인가부(122)는 입력부(260)를 통한 제어신호에 의해서 하중감지센서(150)에 전류를 인가한다. 그리고 증폭부(124)는 하중감지센서(150)를 경유하여 피드백(feed back)되는 전류를 증폭한다. 즉, 증폭부(124)는 저항의 변형량 값을 크게 하여 좀 더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한 것이다. 컨버터(126)는 증폭부(124)를 경유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컨버터(126)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연산처리부(128)로 인가된다. 연산처리부(128)는 디지털 신호를 무게값으로 환산한다.
외장 케이스(100)의 일면은 무게 측정을 위한 피측정물이 올려지는 계량판(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40)는 외장 케이스(100)를 이용하여 무게 측정을 시행할 경우에 외장 케이스(100)와 단말기(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1 커넥터(140)는 제 2 도전패턴(134)을 통하여 데이터 연산부(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도전패턴(134)은 와이어를 이용할 수 있고, 도전물질이 패터닝 된 회로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기 본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결 합바(114)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240)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40)와 대응되는 제 2 커넥터(240)를 구비한다.
입력부(260)는 무게측정을 위한 동작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단말기(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60)는 새로운 입력 패드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단말기의 숫자 패드 등 기존의 입력 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무게 측정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LCD창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60) 및 표시부(250)는 제 2 커넥터(240)를 통해서 데이터 연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 케이스를 단말기에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장 케이스(100)는 단말기(200)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외장 케이스(100)의 결합바(114)는 및 단말기(200)의 결합홈(240)과 결합됨으로써 외장 케이스(100)는 단말기(200)의 일면에 합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외장 케이스(100)를 휴대하기 위해서 단말기(200)에 물리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외장 케이스(100)의 물리적인 결합은 단말기(200)의 통신 기능 및 그 외의 기능에 대해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100)의 물리적인 착탈은 사용자의 선택사항이다. 따라서, 전자 저울을 위한 하중압력센서(150)를 단말기 본체가 아닌 외장 케이스(100)에 탑재함으로써 단말기 자체의 부피 및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전자저울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 현이 가능하다.
도 5는 무게 측정을 위해서 외장 케이스를 단말기에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커넥터(140,240)들 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외장 케이스(100)는 단말기(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입력부(260), 데이터 연산부(120), 하중압력센서(150) 및 표시부(250) 등이 접속된다. 이에 따라 입력부(260)에 의한 동작으로 상술한 무게 측정 기능이 수행된다.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 피측정물(미도시)은 외장 케이스(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계량판(110)에 안착된다. 따라서 피측정물의 하중이 단말기(200)에 부하를 미치지 않는다. 즉, 전자저울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단말기(200)는 직접적인 부하를 미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 내부의 반도체 소자 및 액정 패널 등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게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저울 메뉴를 선택한다(S601). 저울 메뉴의 선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60)의 조작을 통해서 시행될 수 있다. 저울 메뉴가 선택되기 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대기 또는 사용자에 의한 다른 동작을 시행할 수 있다.
저울 메뉴가 선택되면 데이터 연산부(120)에 의해서 하중감지센서(150)가 구동된다(S602). 즉, 전류인가부(122)는 변형량 감지 저항체로 구성된 하중감지센 서(150)의 저항값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하중감지센서(150)로 전류를 인가한다.
이어서 하중감지센서(150)의 초기화를 확인한다.(S603). 즉, 하중감지센서(150)의 초기 저항값을 측정하여 하중감지센서(150)가 정상적인 값을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하중감지센서(150)의 영점 조정을 시행하고(S604), 하중감지센서(150)의 영점이 조정되어 있는 경우 무게 측정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한다(S605). 무게 측정은 하중감지센서(150)에서 피드백되는 전류량을 검출하고 증폭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무게값에 대응되는 신호를 표시부(250)에 표시할 수 있다(S606).
더 이상의 저울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저울 메뉴를 종료할 수 있다(S607).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계량판(110)에 올려지는 피측정물의 무게를 계속해서 측정하기 위해서 데이터 처리과정이 연속적으로 시행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하중감지센서를 이용한 무게 측정을 위한 데이터 연산부를 외장 케이스에 탑재한 것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반해 데이터 연산부는 단말기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집적회로로 구성되는 데이터 연산부는 단말기에 메인보드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메인보드의 제작시 데이터 연산부의 회로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은 하중감지센서(150), 메모리부(329)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산부(320), 입력부(260) 및 표시부(250)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연산부(320)는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329)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측정되는 음식물의 무게값에 따른 열량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입력부(260)를 통해서 저울 메뉴를 선택하고, 음식물의 열량 변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60)의 동작이 수행되면 표시부(250)는 메모리부(329)에 저장된 음식물의 열량 변환표의 리스트 목록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측정하려고 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표시부에 출력되는 리스트에서 선택한다. 그리고, 음식물의 무게 측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와 동시에 연산처리부(328)는 측정된 무게값을 메모리부(329)에 저장된 열량 변환표를 기준으로 음식물의 열량을 계산한다. 이렇게 변환된 음식물의 열량 정보는 표시부(250)를 통해서 표시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 사용자는 단순히 물체의 무게를 측정할 뿐만이 아니라 음식물 등의 정보를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섭취하는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어서, 건강 및 다이어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 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 및 외장 케이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무게 측정을 위해 외장 케이스를 단말기에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게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장 케이스 150 : 하중감지센서
120, 320 : 데이터 연산부 122 : 전류인가부
124 : 증폭부 126 : 컨버터
128 : 연산처리부 200 : 단말기
250 : 표시부 260 : 입력부

Claims (7)

  1. 단말기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외장 케이스;
    상기 하중감지센서의 변형량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측정물의 무게를 계산하는 데이터 연산부;
    상기 데이터 연산부의 동작을 시행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데이터 연산부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하중감지센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류 인가부;
    상기 전류 인가부에서 인가되고, 상기 하중감지센서를 통해서 피드백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무게량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화시키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센서는 변형량 감지 저항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외장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하중감지센서와 접속되며,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에 탑재되고,
    상기 입력부 및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는 상기 하중감지센서와 접속되는 제 1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 2 커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열량 변환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처리부의 출력에 해당하는 무게값에 따라서 음식물의 열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90110277A 2009-11-16 2009-11-16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8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77A KR101081866B1 (ko) 2009-11-16 2009-11-16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77A KR101081866B1 (ko) 2009-11-16 2009-11-16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56A true KR20110053656A (ko) 2011-05-24
KR101081866B1 KR101081866B1 (ko) 2011-11-09

Family

ID=4436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277A KR101081866B1 (ko) 2009-11-16 2009-11-16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74A1 (ko) * 2015-05-21 2016-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6149B (zh) * 2014-12-15 2016-10-05 双胞胎(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猪用发酵饲料
KR20160138819A (ko) 2015-05-26 2016-12-06 김화겸 계량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474A1 (ko) * 2015-05-21 2016-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866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2096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weighing function and electronic weighing system using same
CN103221796A (zh) 用于加压槽的压力传感器配置
CN208043221U (zh) 共享体脂秤及共享体脂秤系统
KR101081866B1 (ko) 착탈이 가능한 전자저울 외장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40168836A1 (en) Weighing scale adapted for allowing a user to find an optimal weighing position on the scale
EP2081000A1 (en) Pressure-sensing apparatus
US20200383522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973445A (zh) 一种基于云服务的智能电子秤系统
CN205352530U (zh) 一种多功能电子秤
CN209764251U (zh) 一种人体秤
JP2001346784A (ja) 運動量計付き携帯/phs
CN109506756A (zh) 电子秤组件、电子秤组合方法与组合电子秤
WO2002084568A1 (en) Electronic weight scale, weight management system and weight management method
TW201738537A (zh) 稱重系統、手持裝置及手持裝置組件
CN201016801Y (zh) 语音电子秤
US20220099476A1 (en) Scales, such as for use with cooking appliances
CN211131105U (zh) 一种尿流计检测底座
CN203287089U (zh) 具有新型输入方式的人体健康秤
CN213276435U (zh) 带电子体重秤的平板电脑
CN210953050U (zh) 一种婴儿喂养数据的监测统计系统
KR200389845Y1 (ko) 휴대폰 거치형 디지털 체중계
CN111076802A (zh) 有电子秤的通讯产品
WO2021221540A2 (en) Portable scale
JP2018146515A (ja) 電子秤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KR19990064707A (ko) 음식물의 열량을 측정하는 저울 및 그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