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44Y1 - 팝콘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팝콘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44Y1
KR200453844Y1 KR2020110002722U KR20110002722U KR200453844Y1 KR 200453844 Y1 KR200453844 Y1 KR 200453844Y1 KR 2020110002722 U KR2020110002722 U KR 2020110002722U KR 20110002722 U KR20110002722 U KR 20110002722U KR 200453844 Y1 KR200453844 Y1 KR 200453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corn
pot
heating
rotating shaft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달
Original Assignee
김영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달 filed Critical 김영달
Priority to KR2020110002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2Aerated, foamed, cellular or porous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팝콘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실과 조리실로 구분되는 케이스와;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고 내솥과 외솥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솥 내부에 히터가 내장된 가열냄비를 포함하여 구성된 팝콘 조리 장치에 있어서,
기계실과 연결되게 조리실 상부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의 끝단에 수평상으로 가열냄비를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끼움홀이 구비된 브라켓을 가열냄비의 외솥 측면부에 결합하고, 후단 하측에 장방형의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의 선단부를 끼움홀에 끼워 용접 결합하며, 연결구의 외측으로 중간파이프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중간파이프와 지지파이프를 용접 결합하며, 지지파이프의 하측부에서 스토퍼를 나사조립하여 스토퍼의 끝단이 안내홀에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가열냄비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브라켓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을 지지파이프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여 가열냄비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축을 조리실의 상부격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리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제 1 회전축의 하단에 걸림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걸림돌부가 끼워지는 장홀이 상부에 구비된 봉형태의 제 2 회전축을 제 1 회전축의 하부에 끼워 결합하고, 제 2 회전축의 하부에 팝콘을 교반하기 위한 회전익을 수평상으로 핀결합하며,
경사면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뚜껑을 제 2 회전축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 2 회전축에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세정이 용이한 지지파이프를 통해 전선이 배선됨에 따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고, 팝콘 조리시 부풀어 오르는 팝콘에 의해 뚜껑이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팝콘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가열냄비 내부에 오래 남아있으면서 팝콘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냄비 내부에 많은 양의 팝콘이 존재하여 부하로 작용할 때 회전익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되어 모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팝콘을 교반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열냄비 내부와 조리실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팝콘 조리 장치{Pop corn device}
본 고안은 팝콘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이 용이한 지지파이프를 통해 전선이 배선됨에 따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고, 팝콘 조리시 부풀어 오르는 팝콘에 의해 뚜껑이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팝콘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가열냄비 내부에 오래 남아있으면서 팝콘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냄비 내부에 많은 양의 팝콘이 존재하여 부하로 작용할 때 회전익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되어 모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팝콘을 교반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열냄비 내부와 조리실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팝콘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팝콘은 히터가 설치된 팝콘 조리 장치의 가열냄비에 옥수수와 소금, 기름 등을 넣어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 옥수수가 부풀려 터지면서 튀겨지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팝콘 조리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정의 높이와 폭을 이루면서 사각 또는 원형으로 케이스(1)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이중 구조로 히터(13)가 내설 된 가열냄비(10)를 지지축(21)을 이용하여 케이스(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한다.
케이스(1)는 기계실(2)과 조리실(3)로 구분되고, 케이스(1)의 전면 상단에는 기능제어를 위한 다수의 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냄비(10)는 내솥(11)과 외솥(12)이 이중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솥(12) 내부에 가열용 히터(13)가 내장되어 내솥(11)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조리실(3) 상부로 부터 소정길이 지지축(21)이 연장형성되고, 이 지지축(21)의 끝단에 지지대(20)가 수평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대(20)의 일측에는 경첩(16)에 의해 가열냄비(10)의 일단이 결합된다.
지지대(20)의 타측에는 걸림쇠(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열냄비(1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쇠(22)에 걸려지는 걸림고리(1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고리(14)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걸림고리(14)를 걸림쇠(22)에 걸거나 이탈시킬 수 있는 손잡이(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20)의 전,후단에는 각각 뚜껑(23)이 경첩(2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열냄비(10)의 개구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축(21)의 내부로 회전축(25)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25)의 하부 끝단에는 회전축(25)과 함께 회전하면서 가열냄비(10) 내부에 존재하는 팝콘을 교반시키는 회전익(26)이 수평상으로 설치되고, 회전축(25)의 상부 끝단은 기계실(2)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8)와 연결된다.
구동모터(18)의 회전력은 미도시된 기어에 의해 회전축(25)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계실(2)로 부터 가열냄비(10)의 일측을 연결하는 주름관(17) 내부로 전선이 배선되어 히터(13)로 구동전원이 공급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팝콘 조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걸림고리(14)가 걸림쇠(22)에 걸려지도록 하여 가열냄비(10)가 지지대(20)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23)을 통해 가열냄비(10) 내부에 팝콘 원료와 버터를 투입하고 히터(13)로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시키게되면,
히터(13)의 열에 의해 가열냄비(10) 내부에 존재하는 팝콘 원료가 튀겨지면서 부풀어오르게되고, 그 부풀어 오르는 팝콘은 도 3 과 같이 뚜껑(23)을 개방시키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조리실(3) 바닥에 쌓이게되는 것이며, 팝콘 조리시 회전익(26)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가열냄비(10) 내부의 팝콘 원료가 잘 교반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팝콘 조리장치는 가열냄비(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주름관(17)에 내포된 채 조리실(3)의 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주금관의 사이 사이에 팝콘을 조리하는 데 발생 되는 기름이 튀면서 묻어 지저분해지게 되는 것이며, 기름때와 같은 이 물질들이 주금관에 심하게 묻을 경우에는 팝콘을 사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심한 혐오감을 느끼게 하므로서, 팝콘의 판매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가열냄비(10) 내부에서 조리된 팝콘은 뚜껑(23)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20)에 가로막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지지대(20)에 의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 많은 양의 팝콘이 회전익(26)의 회전에 부하로 작용하게되어 회전익(26)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면서 구동모터(18)에 과부하가 인가되어 결국에는 구동모터(18)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많은 양의 팝콘이 그때그때 가열냄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남아있게 되므로 많은 양의 팝콘이 타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가열냄비(10) 주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어서 조리 후 가열냄비를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정이 용이한 지지파이프를 통해 전선이 배선됨에 따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고, 팝콘 조리시 부풀어 오르는 팝콘에 의해 뚜껑이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팝콘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가열냄비 내부에 오래 남아있으면서 팝콘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냄비 내부에 많은 양의 팝콘이 존재하여 부하로 작용할 때 회전익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되어 모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팝콘을 교반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열냄비 내부와 조리실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팝콘 조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기계실과 조리실로 구분되는 케이스와;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고 내솥과 외솥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솥 내부에 히터가 내장된 가열냄비를 포함하여 구성된 팝콘 조리 장치에 있어서,
기계실과 연결되게 조리실 상부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의 끝단에 수평상으로 가열냄비를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끼움홀이 구비된 브라켓을 가열냄비의 외솥 측면부에 결합하고, 후단 하측에 장방형의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의 선단부를 끼움홀에 끼워 용접 결합하며, 연결구의 외측으로 중간파이프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중간파이프와 지지파이프를 용접 결합하며, 지지파이프의 하측부에서 스토퍼를 나사조립하여 스토퍼의 끝단이 안내홀에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가열냄비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브라켓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을 지지파이프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여 가열냄비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축을 조리실의 상부격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리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제 1 회전축의 하단에 걸림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걸림돌부가 끼워지는 장홀이 상부에 구비된 봉형태의 제 2 회전축을 제 1 회전축의 하부에 끼워 결합하고, 제 2 회전축의 하부에 팝콘을 교반하기 위한 회전익을 수평상으로 핀결합하며,
경사면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뚜껑을 제 2 회전축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 2 회전축에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세정이 용이한 지지파이프를 통해 전선이 배선됨에 따라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고, 팝콘 조리시 부풀어 오르는 팝콘에 의해 뚜껑이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팝콘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가열냄비 내부에 오래 남아있으면서 팝콘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열냄비 내부에 많은 양의 팝콘이 존재하여 부하로 작용할 때 회전익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되어 모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팝콘을 교반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열냄비 내부와 조리실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팝콘 조리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팝콘 조리 장치에 적용된 가열냄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팝콘 조리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냄비와 지지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냄비와 지지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된 가열냄비의 회전상태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표기하여 중복되는 도면 부호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기계실(2)과 조리실(3)로 구분되는 케이스(1)와; 조리실(3) 내부에 설치되고 내솥(11)과 외솥(12)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솥(12) 내부에 히터(13)가 내장된 가열냄비(10)를 포함하여 구성된 팝콘 조리 장치에 있어서,
기계실(2)과 연결되게 조리실(3) 상부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40)의 끝단에 수평상으로 가열냄비(10)를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끼움홀(51)이 구비된 브라켓(50)을 가열냄비(10)의 외솥(12) 측면부에 결합하고, 후단 하측에 장방형의 안내홀(42)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42)의 선단부를 끼움홀(51)에 끼워 용접 결합하며, 연결구(42)의 외측으로 중간파이프(47)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중간파이프(47)와 지지파이프(40)를 용접 결합하며, 지지파이프(40)의 하측부에서 스토퍼(53)를 나사조립하여 스토퍼(53)의 끝단이 안내홀(42)에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가열냄비(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브라켓(50)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43)을 지지파이프(40)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여 가열냄비(10)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기계실(2)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6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축(61)을 조리실(3)의 상부격벽(6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리판(6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제 1 회전축(61)의 하단에 걸림돌부(62)를 돌출 형성하며, 걸림돌부(62)가 끼워지는 장홀(64)이 상부에 구비된 봉형태의 제 2 회전축(63)을 제 1 회전축(61)의 하부에 끼워 결합하고, 제 2 회전축(63)의 하부에 팝콘을 교반하기 위한 회전익(65)을 수평상으로 핀결합하며,
경사면(73)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뚜껑(72)을 제 2 회전축(6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 2 회전축(63)에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팝콘 조리장치는 세정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 'J'자 형태의 지지파이프(40)를 도 4 와 같이 조리실(3) 내부에 설치하고, 그 지지파이프(40)의 끝단에 가열냄비(10)를 회동 작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를위해, 기계실(2)과 연결되게 조리실(3)의 상부격벽(66)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지지파이프(40)를 설치하고, 끼움홀(51)이 중앙부에 구비된 브라켓(50)을 가열냄비(10)의 외솥(12) 측면부에 용접 또는 나사로서 결합하며, 후단 하측에 장방형의 안내홀(42)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42)의 선단부를 끼움홀(51)에 끼워 용접 결합하며, 연결구(42)의 외측으로 중간파이프(47)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중간파이프(47)와 지지파이프(40)를 용접 결합하며, 지지파이프(40)의 하측부에서 스토퍼(53)를 나사조립하여 스토퍼(53)의 끝단이 안내홀(42)에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가열냄비(10)가 결합된 브라켓(50)이 지지파이프(4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연결구(42)의 후측 하단에 장방형의 안내홀(42)을 형성하고, 이 연결구(42)의 선단부를 끼움홀(51)에 끼워 용접 결합하며, 상기 연결구(42)가 수용되는 중간파이프(47)를 지지파이프(40)의 단부에 끼워 용접 결합하므로서, 브라켓(50)이 지지파이프(4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도면과 같이 지지파이프(40)의 하측으로 부터 스토퍼(53)를 나사 조립하여 스토퍼(53)의 끝부분이 안내홀(42)에 끼워지도록 하여 브라켓(50)이 안내홀(42)의 허용각도 만큼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가열냄비(10)가 수작업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브라켓(50)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43)을 지지파이프(40)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는데, 리턴스프링(43)의 제 1 끝단(44)을 브라켓(50)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나사(46)에 걸고, 제 2 끝단(45)을 지지파이프(40)의 하부에 끼워져 설치된 스토퍼(53)의 헤드(54)에 걸어 설치하여 리턴스프링(43)의 탄성이 브라켓(50)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스토퍼(53)의 끝부분이 안내홀(42)에 끼워져 있으므로 가열냄비(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고, 가열냄비(10)를 수작업으로 회전시켰다가 손을 놓게되면 안내홀(42)의 길이만큼 가열냄비(10)가 회전하였다가 다시 스토퍼(53)가 안내홀(42)의 끝단에 걸려질때까지 리턴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가열냄비(10)가 원위치로 회전하여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히터(13)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은 기계실(2)과 연통되는 지지파이프(40) 내부를 통해 배선하여 연결구(41)를 통해 인출하여 외솥(12) 내부로 연결하는 것이며, 이와같이 지지파이프(40)를 이용하여 전선 배선과 가열냄비(10)의 설치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되므로 그만큼 가열냄비(10)의 주변부품 수를 줄여주어 가열냄비(10)의 세척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기계실(2)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6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축(61)을 조리실(3)의 상부격벽(66)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분리판(6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제 1 회전축(61)의 하단에 걸림돌부(62)를 돌출 형성하며, 걸림돌부(62)가 끼워지는 장홀(64)이 상부에 구비된 봉형태의 제 2 회전축(63)을 제 1 회전축(61)의 하부에 끼워 결합하고, 제 2 회전축(63)의 하부에 팝콘을 교반하기 위한 회전익(65)을 수평상으로 핀 결합한다.
구동모터(60)의 동력으로 제 1 회전축(61)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걸림돌부(62)를 통해 제 2 회전축(63)으로 전달되어 회전익(65)이 회전하면서 내솥(11) 내부의 팝콘을 교반하게 되는 것이며, 혹시라도 내솥(11) 내부에 많은 양의 팝콘이 존재하여 회전익(65)의 회전에 부하로 작용하게되면 제 2 회전축(63)이 장홀(64)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회전하여 회전익(65)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되고, 이에의해 구동모터(60)가 과부하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회전축(63)에 안내되어 상하로 움직이도록 뚜껑(72)을 제 2 회전축(63)에 끼워 결합하는데, 뚜껑(72)의 중심에 제 2 회전축(63)에 끼워지는 가이드봉(7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70)의 하단에는 뚜껑(72)이 결합되는 결합단부(71)가 수평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회전축(63)에 끼워진 가이드봉(70)에 뚜껑(72)을 설치하게되면 뚜껑(72)의 자중에 의해 뚜껑(72)이 가열냄비(10)의 상부를 밀폐하게되고, 가열냄비(10)에서 팝콘이 조리되어 부풀어 오르게되면 팝콘에 의해 뚜껑(72)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팝콘이 가열냄비(1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가열냄비(10)에서 조리된 팝콘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73)이 뚜껑(72)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조리된 팝콘의 배출이 원활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14는 내솥(11)의 바닥면에 설치된 히터(13)에 밀착하도록 설치되는 단열판을 나타내며, 단열판(14)을 설치함에 따라 히터(13)의 열이 내솥(11)으로 손실없이 빠르게 전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히터(13)의 열이 과도하게 외솥(12)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케이스, 2: 기계실,
3: 조리실, 10: 가열냄비,
11: 내솥, 12: 외솥,
13: 히터, 40: 지지파이프,
41: 연결구, 42: 안내홀,
43: 리턴스프링, 50: 브라켓,
51: 끼움홀, 53: 스토퍼,
54: 헤드, 60: 구동모터,
61: 제 1 회전축, 62: 걸림돌부,
63: 제 2 회전축, 64: 장홀,
65: 회전익, 70: 가이드봉,
71: 결합단부, 72: 뚜껑,
73: 경사면,

Claims (1)

  1. 기계실(2)과 조리실(3)로 구분되는 케이스(1)와; 조리실(3) 내부에 설치되고 내솥(11)과 외솥(12)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외솥(12) 내부에 히터(13)가 내장된 가열냄비(10)를 포함하여 구성된 팝콘 조리 장치에 있어서,
    기계실(2)과 연결되게 조리실(3) 상부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40)의 끝단에 수평상으로 가열냄비(10)를 일정각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끼움홀(51)이 구비된 브라켓(50)을 가열냄비(10)의 외솥(12) 측면부에 결합하고, 후단 하측에 장방형의 안내홀(42)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42)의 선단부를 끼움홀(51)에 끼워 용접 결합하며, 연결구(42)의 외측으로 중간파이프(47)를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중간파이프(47)와 지지파이프(40)를 용접 결합하며, 지지파이프(40)의 하측부에서 스토퍼(53)를 나사조립하여 스토퍼(53)의 끝단이 안내홀(42)에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가열냄비(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브라켓(50)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형 리턴스프링(43)을 지지파이프(40)의 단부에 끼워 결합하여 가열냄비(10)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기계실(2)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6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 회전축(61)을 조리실(3)의 상부격벽(6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리판(6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제 1 회전축(61)의 하단에 걸림돌부(62)를 돌출 형성하며, 걸림돌부(62)가 끼워지는 장홀(64)이 상부에 구비된 봉형태의 제 2 회전축(63)을 제 1 회전축(61)의 하부에 끼워 결합하고, 제 2 회전축(63)의 하부에 팝콘을 교반하기 위한 회전익(65)을 수평상으로 핀결합하며,
    경사면(73)이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뚜껑(72)을 제 2 회전축(63)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 2 회전축(63)에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콘 조리 장치.
KR2020110002722U 2011-04-01 2011-04-01 팝콘 조리 장치 KR200453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22U KR200453844Y1 (ko) 2011-04-01 2011-04-01 팝콘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22U KR200453844Y1 (ko) 2011-04-01 2011-04-01 팝콘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844Y1 true KR200453844Y1 (ko) 2011-05-30

Family

ID=4448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722U KR200453844Y1 (ko) 2011-04-01 2011-04-01 팝콘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744B2 (ja) * 1986-06-23 1995-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ポツプコ−ン製造装置
KR200234736Y1 (ko) 1999-03-25 2001-09-25 김형섭 팝콘 제조기
KR20020034736A (ko) * 2000-11-03 2002-05-09 이계안 벨로우즈 포밍 액튜에이터를 이용한 하이드로포밍법
JP7036744B2 (ja) 2016-05-27 2022-03-15 ロンバス システムズ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空飛行の無人航空機及び物体を追跡するレーダ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744B2 (ja) * 1986-06-23 1995-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ポツプコ−ン製造装置
KR200234736Y1 (ko) 1999-03-25 2001-09-25 김형섭 팝콘 제조기
KR20020034736A (ko) * 2000-11-03 2002-05-09 이계안 벨로우즈 포밍 액튜에이터를 이용한 하이드로포밍법
JP7036744B2 (ja) 2016-05-27 2022-03-15 ロンバス システムズ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空飛行の無人航空機及び物体を追跡するレーダ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0098B (zh) 自動炒菜機
KR101640493B1 (ko) 드럼식 조리기
EP0432615B1 (fr) Appareil de pétrissage et de cuisson
CN103006035B (zh) 烹饪器具
EP3435825B1 (fr) Cuiseur à air chaud
KR200466194Y1 (ko)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US7614108B2 (en) Pan cleaner
US5027697A (en) Rotating oblique basket frier for cyclic immersion cooking
JP5998151B2 (ja) 攪拌ブレードを備える食品調理機器
JP2019098149A (ja) 自動回転ポットを有するガスオーブン型調理器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216097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조립방법
CN106901587B (zh) 家用烹饪设备
KR102087713B1 (ko) 전기 튀김기
KR101286504B1 (ko) 튀김기
RU2750451C2 (ru)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KR20110014875A (ko) 회전국솥의 교반장치
KR200453844Y1 (ko) 팝콘 조리 장치
KR101167254B1 (ko) 곡물 볶음기
JP2004188030A (ja) 無洗米用炊飯装置
CN107296510B (zh) 上盖组件和烹饪器具
KR102103085B1 (ko) 자동 조리기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CN210871021U (zh) 一种炒菜机及炒菜铲
CN210748851U (zh) 旋转式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