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694Y1 - 암벽 등반용 캠 - Google Patents

암벽 등반용 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694Y1
KR200453694Y1 KR2020090003977U KR20090003977U KR200453694Y1 KR 200453694 Y1 KR200453694 Y1 KR 200453694Y1 KR 2020090003977 U KR2020090003977 U KR 2020090003977U KR 20090003977 U KR20090003977 U KR 20090003977U KR 200453694 Y1 KR200453694 Y1 KR 200453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m
wire cable
shaf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088U (ko
Inventor
신홍연
이춘심
Original Assignee
이춘심
신홍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심, 신홍연 filed Critical 이춘심
Priority to KR2020090003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694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 A63B29/024Climbing ch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케이블과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 고착 및 마감처리를 은납에 의존하지 않고 연결 고착할 수 있는 암벽등반용 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와이어케이블 축의 종단부가 끼워지는 와이어 캡의 외주에는 직경축소분(가) 만큼 눌려져서 외경 축소되는 압착부분(나)과,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2)이 와이어 캡(16)의 내부 안쪽으로 맞닿은 부분에 축소된 외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미압착부분(다)이 형성되어서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되거나,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 끼워진 링(24)이 직경축소된 와이어 캡(16)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되거나, 또는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16) 사이로 연결보조금구(26)가 개재된 채로 압착되어서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구성으로 된 것이다.
암벽등반용 캠, 캠,

Description

암벽 등반용 캠{cam for rock-climb}
본 고안은 암벽등반용 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캠과 견인손잡이 사이로 배치되는 축이 와이어로 형성된 타입에 있어서, 와이어 종단부를 마무리하면서 상기 캠 사이로 개재되는 와이어 캡과 상기 와이어 종단부 사이의 연결상태를 견고한 구조로 개량한 암벽등반용 캠에 관한 것이다.
암벽등반은 매니어 사이에서 장비 없이 맨몸으로 암벽화와 장갑만 착용하고 하는 맨손 등반과, 암벽화를 착용하고 로프와 안전벨트, 캐러비나, 퀵 드로우, 하강기 등의 전용 장비를 이용하여 절벽을 오르내리는 스포츠 클라이밍으로 구분하고 있고, 스포츠 클라이밍의 경우는 인공암벽장비가 시설된 장소에서도 할 수 있어서 최근에는 4 계절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암벽등반에 사용되는 장비로는 상술한 안전벨트, 캐러비나, 퀵 드로우, 하강기 외에도 빌레이, 그리그리, 캠 등등 수없이 많은 종류의 도구가 알려져 있고 지금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캠은 헤드 부분의 직경을 최소로 축소한 채로 암벽 사이의 틈새나 크랙으로 밀어 넣으면, 안에서 헤드 부분이 자체 탄력으로 벌어지면서 틈새나 크랙 사이로 걸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등반중에 클라이머는 캠을 이용하여 별 어려움 없이 임시 확보지점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암벽등반의 필수장비로 취급되고 있다.
종래, 공지된 암벽등반용 캠은 기본적으로 견인손잡이를 지지하는 축의 종단에 교차방향으로 캠축이 배치되고, 이 캠축에는 적어도 2쌍 이상의 캠이 편심되게 축 지지되어서 한쪽 자유단부가 접히거나 벌어지는 형태로 조작되어 있고, 상기 견인손잡이는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캠을 접힌 자세로 연동시킬 수 있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캠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벌어진 자세를 취하도록 탄압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압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견인손잡이를 지지하는 축은 구조적으로는 단독으로 배치된 타입과 쌍으로 배치된 타입으로 구분되어서 캠의 크기에 따라 쌍으로 혹은 단독으로 배치하고 있으나, 어느 것이나 축에는 옆으로 휘어지는 정도의 탄성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케이블을 축의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와이어케이블은 종단부의 마감처리가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다.
암벽등반용 캠의 축으로 사용되는 와이어케이블의 직경은 4mm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4mm 직경의 와이어케이블은 0.5mm 직경의 와이어로 7 X 7 사이즈(와이어 7가닥을 꼬아 1가닥의 와이어케이블을 만들고 다시 7가닥의 와이어케이블을 하나로 꼰 규격)로 꼬아 만들고 있다.
와이어케이블용 와이어는 굵기가 가늘수록 유연성이 양호한 와이어케이블을 제공하지만, 상술한 와이어케이블은 0,5mm 직경의 와이어를 채용하고 있어서 유연성이 좋지 않다.
암벽등반용 캠에서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케이블에 0.5mm 직경의 와이어가 사용되는 이유는. 와이어케이블의 종단부를 은납처리로 마감하기 때문이다.
즉, 와이어케이블의 절단부에서 와이어가 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920℃로 가열하면서 은납을 와이어 사이로 침투시켜 마감하는 것이므로 와이어 직경이 적어도 0.5mm 이상 되어야 열에 의한 물성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종래의 암벽등반용 캠의 와이어케이블은 유연성에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또, 은납처리된 와이어케이블의 종단부에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와이어 캡이 씌워져 고착된다. 이때 와이어 캡과 와이어케이블의 종단부 사이의 연결도 은납을 침투한 채로 기계적 압착을 행하여 일체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은납을 개재한 연결방식은 측정에 따르면 인장강도가 1120Kg을 넘지 못하고 끊어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문제는 끊긴 부분에서 은납이 밀리면서 미끄러진 성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인장강도 1120Kg에 근접하면 와이어 캡의 내부에서 은납이 갑자기 윤활작용을 나타내면서 끊어짐을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은납을 이용한 와이어케이블의 종단부 마감처리는 인장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향상시키는데 큰 장애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와이어케이블과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 고착 및 마감처리를 은납에 의존하지 않고 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유연성이 양호하고 대폭 향상된 인장강도를 갖추도록 개량된 암벽등반용 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심에 와이어케이블 축이 위치하고 그 종단부에는 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연결 고착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에는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손잡이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을 포함하는 암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의 외주에 직경축소분 만큼 와이어 캡에 눌려져 외경 축소되는 압착부분을 형성함과 아울러 축소된 외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미압착부분을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이 와이어 캡의 내부 안쪽과 맞닿은 부분으로 형성되게 하여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중심에 와이어케이블 축이 위치하고 그 종단부에는 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연결 고착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에는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손잡이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을 포함하는 암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의 종단부에 링을 끼우고 와이어 캡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그 내주면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심에 와이어케이블 축이 위치하고 그 종단부에는 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연결 고착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에는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손잡이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을 포함하는 암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 사이로 연결보조금구를 개재시켜 압착함으로써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련된 암벽등반용 캠은 와이어 축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부위를 은납처리하지 않고도 강력하게 연결 고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열에 의한 와이어의 변질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의 암벽등반용 캠에 비하여 더 가느다란 직경의 와이어를 채용할 수 있어서 와이어 축의 유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 캡의 내부에서는 은납에 의한 윤활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연결부위의 인장강도도 크게 향상되어 안전성이 우수한 암벽등반용 캠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암벽등반용 캠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와이어케이블 축(2)을 중심으로 하단부는 매듭링(4)으로 폐쇄된 고리(6)가 형성되어서 트리밍재(8)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2)에는 견인손잡이(10)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편, 그 상측에는 스프링(12)과 스프링시 트(14)가 순차 끼워져 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견인손잡이(10)와 스프링시트(14) 사이는 로드(16)로 연결되어서 스프링시트(14)를 연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는 와이어 캡(16)이 씌워져 마감처리되고, 그 와이어 캡(16)에는 교차방향으로 캠축(18)이 배치되는 한편, 2쌍의 캠(20)이 상기 캠축(18)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스프링시트(14)에서 연장된 캠 와이어(22)를 통하여 상기 견인 손잡이(10)로 연동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암벽등반용 캠은 외형적으로 종래의 암벽등반용 캠과 대동소이하게 된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와이어케이블 축(2)과 와이어 캡(16) 사이의 연결 고착 구조를 다음과 같이 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 와이어 캡(16)을 연결 고착시키는 공정을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는 와이어 캡(16)의 내부로 삽입된 채, 다이(D)에 재치된 콜릿 척(C)의 중심으로 놓인 다음, 상방에서 누름판(P)이 센 힘으로 내리누름에 따라 콜릿 척(C)이 다이(D)의 중심으로 밀려 들러가면서 그 내경이 축소되면서 외이어 캡(16)을 압착하는 것으로 연결 고착되는 것이나, 이때 콜릿 척(C)의 중심 상측에 오목홈(C')을 부가하여 와이어 캡(16)의 외주 일부가 압착되는 일이 없게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관련된 암벽등반용 캠에서는, 와이어케이블 축(2)과 와이어 캡(16) 사이의 연결 고착상태는 도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직경축소분(가) 만큼 와이어 캡(16)의 외주 압착부분(나)이 축소되면서 내측에 놓인 와이어케이블 축(2)의 대응부분을 클램핑하는 한편, 와이어 캡(16)의 외주 일측의 미압착부분(다)은 상기 오목홈(C')으로 말미암아 눌려지지 않는 것이므로 그 내측에 놓인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는 압착되지 않고 그대로 보전됨으로써 상기 압착부분(나)에 해당하는 와이어케이블 축(2)의 직경이 축소된 부분에 비해 큰 직경을 이룸에 따라 상기 직경 축소에 의한 압착력과 함께, 와이어케이블 축(2)의 미압착부분 외경이 와이어 캡(16)의 압착부분 내경에 걸려 지지되는 작용이 더해져 대단히 견고하게 연결 고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2)과 와이어 캡(16) 사이의 연결 고착은 상술한 예로 국한되지 않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 미리 링(24)을 끼우고 도 2로 설명한 압착 공정으로 연결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링(24)은 와이어 캡(16)보다 더 경질의 강철로 된 것을 채용하면 상기 와이어 캡(16)의 내부면으로 상기 링(24)이 파고들게 되어 더욱 강력한 연결 고착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물론, 링(24)은 우선적으로 와이어케이블 축(2)에 연결 고착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이 실시 예에서의 압착 공정은 링(24)과 와이어케이블 축(2) 사이의 연결 고착이 선행되는 2회의 공정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또, 링(24)을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 끼우고 와이어 캡(16)을 씌운 다음 일거에 압착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는 링(24)과 와이어케이블 축(2), 그리고 와이어 캡(16) 사이의 조립 공차가 커지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와이어케이블 축(2)과 와이어 캡(16) 사이의 연결 고착에 관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는 상술한 링(24) 대신에 적당한 형상의 연결보조금구(26)가 개재되어서 압착 공정에 의한 형태 변형으로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16) 사이의 연결 고착이 견고해지도록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암벽등반에 필요한 캠을 구성함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2)과 그 종단부의 와이어 캡(16) 사이를, 은납처리하지 않고 연결 고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열에 의한 와이어의 변질문제가 없다.
이 때문에 본 고안의 암벽등반용 캠은 종래에 비해 더 가느다란 직경의 와이어로 와이어케이블 축(2)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유연성도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은납에 의한 윤활작용이 없는 것이므로 인장강도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실 예로 본 고안에 관련된 암벽등반용 캠의 와이어케이블 축(2)을 0.25mm직경의 와이어로 꼬았을 때, 7 X 19 사이즈에서 직경 4mm의 와이어케이블 축(2)을 얻을 수 있었으며, 얻어진 와이어케이블 축(2)의 인장강도는 1245Kg 으로 측정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암벽등반용 캠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와이어 축과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 고착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와이어 축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고착 구조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와이어 축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고착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와이어 축의 종단부와 와이어 캡 사이의 연결고착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와이어케이블 축 4: 매듭링
6: 고리 8: 트리밍재
10: 견인손잡이 12: 스프링
14: 스프링시트 16: 로드
16: 와이어 캡 18: 캠축
20: 캠 22: 캠 와이어
24: 링 26: 연결보조금구
C: 콜릿 척 C': 오목홈
D: 다이 P: 누름판
가: 직경축소분 나: 압착부분
다: 미압착부분

Claims (3)

  1. 중심에 와이어케이블 축이 위치하고 그 종단부에는 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연결 고착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에는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손잡이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을 포함하는 암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가 끼워진 와이어 캡(16)의 외주에 직경축소분(가) 만큼 눌려져 외경 축소된 압착부분(나)과, 상기 와이어 캡(16)의 내부 안쪽에서 와이어케이블 축(2)이 맞닿는 부분으로 상기 외경 축소된 압착부분(나)의 내경보다 큰 미압착부분(다)이 형성되어서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암벽등반용 캠.
  2. 중심에 와이어케이블 축이 위치하고 그 종단부에는 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연결 고착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에는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손잡이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을 포함하는 암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 끼워진 링(24)의 주변으로 와이어 캡의 내주면 대응 부위가 직경축소에 의해 압착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암벽등반용 캠.
  3. 중심에 와이어케이블 축이 위치하고 그 종단부에는 캠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캠축을 교차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캡이 연결 고착되고, 상기 와이어케이블 축에는 상기 캠을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손잡이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구성을 포함하는 암벽등반용 캠에 있어서,
    와이어케이블 축(2)의 종단부에 개재되는 연결보조금구(26)를 포함하고, 사익 연결보조금구(26)의 주변으로 와이어 캡(16)의 내주면 대응부위가 직경축소에 의해 압착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 고착된 암벽등반용 캠.
KR2020090003977U 2009-04-06 2009-04-06 암벽 등반용 캠 KR200453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977U KR200453694Y1 (ko) 2009-04-06 2009-04-06 암벽 등반용 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977U KR200453694Y1 (ko) 2009-04-06 2009-04-06 암벽 등반용 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88U KR20100010088U (ko) 2010-10-14
KR200453694Y1 true KR200453694Y1 (ko) 2011-05-23

Family

ID=4420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977U KR200453694Y1 (ko) 2009-04-06 2009-04-06 암벽 등반용 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6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00B1 (ko) 2013-12-13 2014-09-11 홍상권 암벽등반용 다이아몬드형 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9993A (en) 1996-12-18 2000-09-19 Youngblood; Gary S. Climbing anchors
EP1557202A1 (en) 2004-01-22 2005-07-27 Black Diamond Equipment AG Improved protection device stem desig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9993A (en) 1996-12-18 2000-09-19 Youngblood; Gary S. Climbing anchors
EP1557202A1 (en) 2004-01-22 2005-07-27 Black Diamond Equipment AG Improved protection device stem desig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88U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712B2 (en) Jointing sleeve component and joint electric wire
JP5920284B2 (ja) 端子付電線
US9660358B2 (en) Contact elemen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device
WO2009057735A1 (ja) 圧着端子、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43873A1 (en) Electrical wire
WO2009057734A1 (ja) 圧着端子、端子付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US9318238B2 (en) Hollow core body for signal transmission cable
WO2015056728A1 (ja) 圧着端子
KR200453694Y1 (ko) 암벽 등반용 캠
CN107431281A (zh) 端子及带端子的电线
JP6062212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WO2015053268A1 (ja)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の加締治具
KR102121714B1 (ko) 케이블 연결용 압축슬리브 및 케이블 연결방법
JP6563168B2 (ja) 圧着端子
JP5119532B2 (ja) アルミ電線用圧着端子
JP2009151943A (ja) 防水機能をもつコネクタ付電線束
WO2015053255A1 (ja) 圧着端子
EP2560239A3 (en) Full tension swaged connector for reinforced cable
JP2007012341A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5076235A (ja) 圧着端子
JP7426224B2 (ja) 超電導線の接続構造および超電導線の接続構造の製造方法、ならびに、超電導マグネッ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27061B2 (ja) 端末が処理されたシールド線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57002A (zh) 用于增强的电缆的张力状态的型锻连接器
EP0392720A2 (en) A whip antenna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49923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