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53Y1 -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 Google Patents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53Y1
KR200452953Y1 KR2020090014035U KR20090014035U KR200452953Y1 KR 200452953 Y1 KR200452953 Y1 KR 200452953Y1 KR 2020090014035 U KR2020090014035 U KR 2020090014035U KR 20090014035 U KR20090014035 U KR 20090014035U KR 200452953 Y1 KR200452953 Y1 KR 200452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ver
coupling
support member
coupl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스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스마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스마일
Priority to KR2020090014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가 개시된다. 상기 전용커버는, 인체의 배설부위를 감싸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과 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유연 재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며, 중간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일측에 전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후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의 단부 양쪽 모서리에 상하로 중첩된 한 쌍의 결합밴드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가 한쪽 모서리의 하부 결합밴드와 결합한 상태에서, 양쪽 모서리의 상부 결합밴드와 하부 결합밴드가 각각 결합하여 제 1 및 제 2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기저귀, 커버, 배설물, 허리 밴드, 연신, 고어텍스, 중첩, 통풍, 욕창

Description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Exclusive cover for disposal equipment of excretion}
본 고안은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잘 늘어나며 통풍이 양호한 전용커버에 관련한다.
배설물 처리장치는, 와병 생활 중인 환자나 노인 등이 잠을 자고 있는 상태나 깨어있되 누워 있는 상태에서 타인의 시중 없이 용변을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설물 처리장치 중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제8-322868호에는 측면에서 'L'자 모양의 와변기 케이싱에 대변 센서, 소변 센서와 함께 각종 노즐을 갖춘 구성이 개시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케이싱에 결합하는 기저귀 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저귀 커버는 허리를 하나의 밴드로 감싸기 때문에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특히 잘 늘어나지 않아 착용자가 몸을 뒤척이거나 옆으로 몸을 돌리는 경우 위치가 틀어지게 됨으로써 케이싱으로부터 이탈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잘 늘어나며 통풍이 양호한 전용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인체의 배설부위를 감싸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과 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유연 재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며, 중간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일측에 전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후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의 단부 양쪽 모서리에 상하로 중첩된 한 쌍의 결합밴드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가 한쪽 모서리의 하부 결합밴드와 결합한 상태에서, 양쪽 모서리의 상부 결합밴드와 하부 결합밴드가 각각 결합하여 제 1 및 제 2 허리 밴드를 구성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공의 측면을 구성하는 브리지 중 어느 하나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커버의 재질은 통풍성이 좋고 연신율이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와 결합밴드의 결합 및 상기 결합밴드 간의 결합은 매직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결합밴드로 이루어지는 제 1 허리 밴드와 하부 결합밴드로 이루어진 제 2 허리 밴드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단단하게 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2 허리 밴드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죄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허리 밴드를 구성하는 하나의 결합밴드를 다른 결합밴드로부터 떼어내면 전면부는 여전히 결합밴드에 부착된 상태로 옆으로 젖힐 수 있기 때문에 전면부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면부를 분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용커버 자체가 잘 늘어나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몸을 뒤척이거나 옆으로 돌아눕는 경우에도 전용커버는 돌아가지 않고 늘어나기만 함으로써 최초의 위치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재질의 통풍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의 흐름이 좋아 접촉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가 짓무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용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용커버를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일체의 전용커버(10)는 통풍성이 우수하고 외부로부터 물의 침투는 차단하고 내부로부터 습기는 방출되는 가령 고어텍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용커버(10)는 중간 부분에 배설물 처리장치의 케이싱이 통과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되고, 관통공(12)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전면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면부(19)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부(14)와 후면부(19)는 관통공(12)의 측면을 구성하는 브리지(13, 13')에 의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브리지 중 어느 하나(13)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13a)가 부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통공(12)에 케이싱의 일부가 쉽게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부(14)와 후면부(19)라는 명칭은 각각 전용커버(10)가 케이싱과 결합하는 경우 인체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느냐를 기준으로 명명된 것이다.
삼각형 형상의 전면부(14)의 양쪽 모서리에는 숫 매직테이프(14a, 14b)가 부착된다.
후면부(19)의 양쪽 모서리에는 각각 한 쌍의 결합밴드(15, 16)(17, 18)가 상하로 중첩되어 일체로 연장되며, 이 중 어느 한 쌍의 결합밴드(17, 18)의 전면에는 각각 숫 매직테이프(17a, 18a)가 부착된다. 이와 함께 각 결합밴드(15, 16, 17, 18)의 이면 전체는 암 매직테이프가 부착된다.
또한, 후면부(19)의 중앙에는 수납 주머니(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추 받침대가 끼워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용커버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설물 처리장치는 케이싱(100)과, 실리콘 고무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되고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그 일부가 케이싱(100)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인체의 배 부분을 덮는 제 1 지지부재(200)와 케이싱(100)의 전방에 부착되는 제 2 지지부재(도 2에서 수납 주머니(11)에 끼워지기 덮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싱(100)의 이면에는 배설물 배출관(112)과 물 공급관(114)이 돌출된다.
먼저, 전용커버(10)를 도 1과 같이 펼친 다음, 케이싱(100)에 부착된 제 2 지지부재를 전용커버(10)의 수납 주머니(11)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제 2 지지부재 위에 탄성 재질의 요추 받침대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끼워 넣을 수 있다.
이어, 전용커버(10)의 브리지(13)에 설치된 커넥터(13a)를 분리하고 관통공(12)에 케이싱(100)의 후방부를 끼워넣고, 다시 커넥터(13a)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 관통공(12)의 뒤로 케이싱(100)의 일부와 배설물 배출관(112) 및 물 공급관(114)이 돌출된다.
다음, 하부 결합밴드(17)의 이면에 부착된 암 매직테이프에 전면부(14)의 양쪽 모서리에 부착된 숫 매직테이프(14a, 14b)를 접착하여 전면부(14)를 결합밴드(17)에 부착하여 케이싱(100)의 제 1 지지부재(200)를 덮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면부(14)를 하나의 결합밴드(17)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어, 상부 결합밴드(18)와 상부 결합밴드(16)를 결합하여 인체의 허리 부분 을 감싸는 제 1 허리 밴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 결합밴드(18)에 부착된 숫 매직테이프(18a)를 결합밴드(16)의 이면에 부착된 암 매직테이프에 접착한다.
마지막으로, 하부 결합밴드(17)의 숫 매직테이프(17a)를 하부 결합밴드(15)의 이면에 부착된 암 매직테이프에 접착하여 전면부(14)를 고정함과 동시에 제 2 허리밴드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결합밴드(16, 18)로 이루어지는 제 1 허리 밴드와 하부 결합밴드(15, 17)로 이루어진 제 2 허리 밴드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단단하게 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 2 허리 밴드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를 죄고 있는 상태에서, 결합밴드(15)를 결합밴드(17)로부터 떼어내면 전면부(14)는 여전히 결합밴드(17)에 부착된 상태로 옆으로 젖힐 수 있기 때문에 전면부(14)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면부(14)를 분리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용커버(10) 자체가 잘 늘어나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몸을 뒤척이거나 옆으로 돌아눕는 경우에도 전용커버(10)는 돌아가지 않고 늘어나기만 함으로써 최초의 위치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재질의 통풍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의 흐름이 좋아 접촉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가 짓무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당업 자의 수준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용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용커버를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Claims (4)

  1. 인체의 배설부위를 감싸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인체의 배 부분을 덮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케이싱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며,
    중간 부분에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는 다수의 관이 지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일측에 전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후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에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수납주머니가 형성된 단일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후면부의 단부 양쪽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하로 중첩된 한 쌍의 결합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상기 수납주머니에 수납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케이싱과 제 1 지지부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는 한쪽 모서리의 하부 결합밴드와 결합시키고, 양쪽 모서리의 상부 결합밴드와 하부 결합밴드끼리 각각 결합시켜 제 1 및 제 2 허리 밴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측면을 구성하는 브리지 중 어느 하나에는 해당 브리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넥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용커버의 재질은 통풍성이 좋고 연신율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결합밴드의 결합 및 상기 결합밴드 간의 결합은 매직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KR2020090014035U 2009-10-28 2009-10-28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KR200452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35U KR200452953Y1 (ko) 2009-10-28 2009-10-28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35U KR200452953Y1 (ko) 2009-10-28 2009-10-28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53Y1 true KR200452953Y1 (ko) 2011-03-29

Family

ID=4424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035U KR200452953Y1 (ko) 2009-10-28 2009-10-28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5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38Y1 (ko) * 2001-12-10 2002-03-15 김경훈 집뇨기 착용대
KR20030034551A (ko) * 2001-10-26 2003-05-09 김권봉 기저귀커버 및 그 봉제방법
JP2004195083A (ja) * 2002-12-20 2004-07-15 Crecia Corp テープ留めタイプ紙おむつのサイズ調整用ウエストバン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51A (ko) * 2001-10-26 2003-05-09 김권봉 기저귀커버 및 그 봉제방법
KR200268138Y1 (ko) * 2001-12-10 2002-03-15 김경훈 집뇨기 착용대
JP2004195083A (ja) * 2002-12-20 2004-07-15 Crecia Corp テープ留めタイプ紙おむつのサイズ調整用ウエストバン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9997B1 (ja) 装着用便座
JP5689991B1 (ja) 差込み便器用おむつ
JP2004159948A (ja) 介護用使い捨て便器
KR200452953Y1 (ko) 배설물 처리장치용 전용커버
JP2009183680A (ja) 患者用排泄物処理装置の布カバー
JP5841209B2 (ja) 排泄物分離回収器及び自立支援下着
JPWO2007034774A1 (ja) オムツカバー体
KR100724114B1 (ko) 팬티형 천기저귀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6940147B2 (ja) 介護のための排泄物受けユニット及びこれを装着するための介護用ガーター
JP2020171470A (ja) 介護用排泄物受けユニット及び介護用ガーター
CN210056572U (zh) 一种排泄护理装置
JP2005334562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JP2010259739A (ja) 充気パンツ
JP2004173935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
JP2009011780A (ja) 男性用尿漏れ防止具
JPS5841933Y2 (ja) 成人用おむつカバ−
JP5689995B1 (ja) 差込み便器用おむつ
JP2004173936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JP5689994B1 (ja) 差込み便器用おむつ
JP5735151B1 (ja) 差込み便器用おむつ
JP2004350805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US20080200889A1 (en) Diaper Incontinent Pad Combo DIP-C and Dualie Diaper
JPH0428579Y2 (ko)
JP2007167596A (ja) 男性用尿パットの補助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