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12Y1 - 분류표 - Google Patents

분류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12Y1
KR200452812Y1 KR2020100011392U KR20100011392U KR200452812Y1 KR 200452812 Y1 KR200452812 Y1 KR 200452812Y1 KR 2020100011392 U KR2020100011392 U KR 2020100011392U KR 20100011392 U KR20100011392 U KR 20100011392U KR 200452812 Y1 KR200452812 Y1 KR 200452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dhesive layer
bottom plate
fixed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임호
Original Assignee
이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임호 filed Critical 이임호
Priority to KR2020100011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12Y1/ko
Priority to PCT/KR2011/008021 priority patent/WO20120605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6Tabs detachably mounted on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12Sheets, papers, or cards having edges cut away to facilitate indexing, e.g. thumb cuts on boo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185Enclosures enveloping completely the lab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착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며 부착 후에 보다 견고한 고정성을 가지도록 하며, 아울러 비틀어짐 없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분류표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평면으로는 점착층불도포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고정접착층과 점착층이 각각 도포되며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유도선이 형성되고, 배면으로는 점착층을 도포하되 외곽 모서리면을 따라 점착층불도포면을 형성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펼쳐짐 가능하게 덮혀지며 투명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배면으로는 상기 바닥판의 고정접착층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접착층과 점착층이 각각 도포되며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유도선이 형성되고, 평면으로는 외곽 둘레를 따라 불투명성의 분류창테두리를 도포하여 중앙으로 투명성의 분류창을 형성하는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과 덮개판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의 평면과 상기 덮개판의 배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층에 점착 고정되며 평면으로는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가 표기되고 그 외곽 둘레면에는 점착유도선을 형성한 분류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분류표{classification}
본 고안은 분류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며 부착 후에 보다 견고한 고정성을 가지도록 하며, 아울러 비틀어짐 없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분류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료를 분리하여 보관하는 방법으로 동일 크기로 된 자료들을 예로서 파일이나, 카드, 바인더등을 이용해 분철하여 분리 보관하고 있다. 이때, 각종 사건내용이나 진행사항들을 기재하는 용도별로 그 내용들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류표시표(이하에서는 "분류표"라 칭함)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분류표는 산업의 발달과 함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모양, 색상 그리고 기능 등을 가지며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류표는 주로 낱개로 사용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획일적으로 많은 사람이 원하는 것에만 치중하고, 대량생산으로 이익만을 추구하다보니, 모양과 색상 및 깔끔함 등에서는 우수하지만 다양성이 부족하게 되고, 기능적으로도 단순함을 벗어나지 못한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현대와 같은 정보시대에는 엄청나게 많은 정보나 자료를 정리할 때에는 체계적이고 많은 내용을 감당할 수 있는 분류표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관공서 또는 금융기관 등의 사무실에서는 크기 또는 모양이 비슷한 자료들을 대량적으로 분류하는 편인데, 기존의 단순한 라벨들은 이런 자료들을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식 또한 펼쳐 놓는 방식이 아니라, 책장처럼 꽂아 놓는 방식인데, 평면 부착 방식으로는 라벨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결점 때문에 정리정돈할 때나 찾을 때에 불편함이 많다.
현대와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정리할 때에는 많은 숫자나 문자 내지는 부호 등이 기재되는 대용량의 라벨이 필요에 의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덩구이 컴퓨터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매우 편리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의 분류표는 문자나 숫자를 일상적인 종이에 출력하여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출력된 분류판을 오리기, 풀칠하기, 붙이기 등 여러 가지를 수작업으로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는 번거로운 과정도 문제지만 그 보다도 붙일 때 조금이라도 적정위치를 벗어나 비뚤하게 붙일 경우가 많은 데, 이 경우 정리 후의 상태가 정돈된 느낌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설상 알맞게 부착하였더라도 재정리 등의 이유로 분리하려 한다면 분리하기가 불가능하거나 깔끔하게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 라벨이나 분류판들은 파일에 붙여 사용하는 데, 이를 분리하기가 곤란하면 파일을 폐기하여야 하는 사례도 발생하게 된다. 파일의 가격이 고가는 아니지만 수량이 많을 경우 우 금전적으로도 상당하고, 버리게 됨으로서 아까운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가 되고, 궁극적으로 쓰레기까지 발생시키는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도 13에서와 같이 포켓형 분류판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포켓형 분류판(700)은 투명비닐판(702)을 재료로 하여 분류판(700)을 넣을 수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 세부분을 접합하고, 접합하지 않은 부분으로 분류판(700)을 넣어 라벨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한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포켓형 분류판은 많은 내용의 분류 문자를 삽입할 수 있다는 점과 재정리를 할 경우 내부에 있는 분류판(700)만을 교환함으로서 파일을 낭비함이 없이 손쉽게 정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숫자나 문자가 표시된 분류표지판을 포켓형 투명비닐판(702) 속에 삽입하려 할 때, 분류판(700)의 크기가 포켓형 투명비닐판(702)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하여야만 삽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분류판(700)으로 사용되는 용지가 일반적인 복사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서 넣기도 힘들뿐 아니라 때로는 구겨지는 문제점까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손 쉽게 삽입하려면 크기의 차이를 많이 작게 하여야 하는 데, 이 점 때문에 분류판(700)이 포켓형 투명비닐판(702) 속에서 움직여 비틀어지거나 무질서하게 정리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때에 따라서는 분류판(700)이 포켓형 투명비닐판(702) 외부로 빠져나와 잃어버리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포켓형 투명비닐판(702)은 파일이나 책 등 두꺼운 자료의 옆면이나 표지에서는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좋은 반면에 얇은 책과 바인드 또는 홀드의 옆면에는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라벨과 문자기입 라벨 그리고 포켓형 투명비닐판들의 각 개별적인 문제점들을 종합하여 보면 단순함과 비분리성, 비고정성 등을 들 수 있고, 전반적인 문제점으로는 식별라벨을 정확하게 부착하여 정리하기가 어렵다는 것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문자나 숫자의 기입이 자유로우며, 색상의 처리도 가능한 라벨을 지향토록 한 분류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착 후에 깔끔한 정리가 될 수 있도록 한 분류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착할 때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분류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정리시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분류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라벨의 고정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분류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틀어짐 없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분류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류표에 있어서, 평면으로는 점착층불도포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고정접착층과 점착층이 각각 도포되며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유도선이 형성되고, 배면으로는 점착층을 도포하되 외곽 모서리면을 따라 점착층불도포면을 형성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펼쳐짐 가능하게 덮혀지며 투명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배면으로는 상기 바닥판의 고정접착층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접착층과 점착층이 각각 도포되며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유도선이 형성되고, 평면으로는 외곽 둘레를 따라 불투명성의 분류창테두리를 도포하여 중앙으로 투명성의 분류창을 형성하는 덮개판 및 상기 바닥판과 덮개판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의 평면과 상기 덮개판의 배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층에 점착 고정되며 평면으로는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가 표기되고 그 외곽 둘레면에는 점착유도선을 형성한 분류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의 배면에는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그 배면에 일정간격 마다 홈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중간플레이트 양측으로 좌, 우측플레이트로 나뉘어지도록 분할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는 날개편을 일체로 더 연장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분류창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커버식 덮개판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분류표지판의 한 변을 기준턱에 끼우고 분류판의 점착기준선을 바닥판과 덮개판의 점착유도선에 일치시키기만 하면 분류판을 비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구현한다.
두 번째로 투명창과 테두리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모양과 규격을 유지할 수 있고, 식별을 우수하게 하고, 대분류시에는 색상이나 테두리의 모양에 따라 대분류적인 정리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로 분리가 자유로워서 파일이나 편철 등의 자원을 낭비함이 없이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구성에서 덮개판과 바닥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1의 바닥판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1의 바닥판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 1의 덮개판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1의 덮개판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판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판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점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사용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종래 일반적인 분류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기술토록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구성에서 덮개판과 바닥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100)는 크게 바닥판(10)과, 덮개판(24) 그리고 분류판(3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바닥판(10)은 분류표(100)의 바닥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 3a는 상기 바닥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바닥판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에서와 같이 바닥판(10)의 평면 일측에는 고정접착층(12)이 도포되고, 상기 고정접착층(12)에는 상기 덮개판(24)의 배면 일측이 접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접착층(12)이 도포된 바닥판(10)의 평면 나머지 부분에는 점착층(14)이 도포되며, 상기 점착층(14)으로는 분류판(36)이 점착되어 진다. 이때 상기 바닥판(10)의 평면에는 고정접착층(12)과 점착층(14) 사이로 점착제불도포면(1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분류판(36)을 바닥판(10)과 덮개판(24) 사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류판(36)이 바닥판(10) 평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층(14)에 점착되어 끈적끈적하게 의도하지 않게 붙어버리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의 평면 외곽 둘레면에는 점착유도선(18)이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유도선(18)은 분류판(36)을 바닥판(10) 평면에 점착시킬 때, 분류판(36)이 비틀어지지 않고 곧게 점착될 수 있도록 분류판(36) 점착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10)의 배면에는 분류표(100)를 파일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층(22)을 도포하되, 상기 점착층(22)을 바닥판(10) 배면 전체에 도포하지 않고, 바닥판(10)의 배면 외곽 모서리와, 그 외 배면에 부분적으로 점착제불도포면(2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분류표(100)를 재정리하기 위해 파일에서 떼어낼 때, 점착제불도포면(20)이 형성된 바닥판(10)의 모서리면을 잡고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점착층(22)은 평상시에는 잘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재정리등을 이유로 분류표(100)를 떼어낼 때에는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점착제의 농도를 적절하게 배합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10)의 평면과 배면에는 각각의 간지비닐(미 도시 함)을 덮어 보호토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판(24)은 상기 바닥판(10) 위에 덮혀지며 상기 바닥판(10) 평면에 점착되는 분류판(36)을 덮어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4a는 상기 덮개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덮개판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4)은 투명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하여 그 평면 외곽 둘레면을 따라 불투명성의 색상을 도포하여 분류창테두리(28)를 형성하고, 그 중앙으로 투명성의 분류창(26)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류창테두리(28)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화시켜 중앙의 분류창(26) 형상을 사용자의 요구대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그 색상 역시 무채색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선면성과 화려함을 위하여 유채색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때에 따라서는 형광색을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덮개판(24)의 배면 일측에는 고정접착층(30)이 도포되고, 상기 고정접착층(30)에는 전술한 바닥판(10)의 평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접착층(12)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접착층(12)이 도포된 덮개판(24)의 평면 나머지 부분에는 점착층(32)이 도포되며, 상기 점착층(32)으로는 분류판(36)이 점착되어 진다. 또한 상기 덮개판(24)의 배면 외곽 둘레면에는 점착유도선(34)이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유도선(34)은 분류판(36)을 덮개판(24) 배면에 점착시킬 때, 분류판(36)이 비틀어지지 않고 곧게 점착될 수 있도록 분류판(36) 점착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덮개판(24)의 점착유도선(34) 간격은 전술한 바닥판(10)의 점착유도선(34)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32)이 도포된 덮개판(24)의 배면은 간지비닐(미 도시 함)을 덮어 보호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덮개판(24)과 바닥판(10)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접착층(12, 30)이 끝나는 곳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기준턱(25)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턱(25)은 분류판(36)을 덮개판(24)과 바닥판(10) 사이에 끼워넣을 때, 분류판(36)의 일면이 상기 기준턱(25)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분류판(36)이 덮개판(24)과 바닥판(10) 사이 특정위치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분류판(36)은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 등이 표기되는 판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그 외곽 둘레면에는 점착기준선(40)을 일정간격 유지한 상태로 형성하여 분류판(36)을 바닥판(10)과 덮개판(24) 사이에 끼워넣을 때, 상기 분류판(36)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기준선(40)을 상기 바닥판(10)과 덮개판(24)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점착유도선(18, 34)에 맞추어가며 끼워넣도록 함으로서 분류판(36)을 비틀어짐 없이 곧게 점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분류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토록 한다.
먼저, 고정접합선(12, 30)을 기준으로 해서 덮개판(24)과 바닥판(10) 사이를 벌린 다음, 바닥판(10)의 평면과 덮개판(24)의 배면에 붙어 있는 간지비닐을 제거한 후, 분류판(36)의 일면을 상기 바닥판(10)과 덮개판(24)의 고정접착층(12, 30)이 끝나는 부위에 형성된 기준턱(25)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분류판(36)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기준선(40)을 바닥판(10)과 덮개판(24)의 점착유도선(18, 34)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바닥판(10)과 덮개판(24)의 점착층(14, 22)에 점착 고정시킴으로서 분류판(36)을 비틀어짐 없이 곧게 점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바닥판(10)의 배면에 붙어 있는 간지비늘을 제거한 후, 파일에 붙이고자 하는 위치에 점착시켜 사용토록 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들중에서 분류판(36)은 언급한 바와 같이 단일창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세로방향으로 세분화되게 다수개의 분류창들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도 7에서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세분화되게 다수개의 분류창들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점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사용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200)는 일반적인 파일이 아닌 CD케이스나 노래테이프 등과 같은 케이스(500)에 부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서, 제 2실시 예의 분류표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분류표와 같이 덮개판(24), 분류판(36) 및 바닥판(1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바닥판(10)의 배면에 플레이트(50)를 더 부착시켜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50)의 배면에는 일정간격마다 홈(52)을 형성하여 플레이트를 중간플레이트(54)와, 상기 중간플레이트(54) 양측으로 좌, 우측플레이트(56, 58)로 나뉘어지도록 분할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의 양단부는 상기 플레이트(50) 보다 넓게 제작하여 날개편(11)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중간플레이트(54)와 좌, 우측플레이트(56, 58)의 배면에는 점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바닥판(10)의 양단부에 일체 연장 형성된 날개편(11)의 배면에만 점착층(1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2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를 케이스(500)의 옆면에 부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중간플레이트(54)를 케이스(500)의 옆면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홈(52)을 중심으로 해서 좌, 우측플레이트(56, 58)를 순차적으로 접어 케이스(500)의 상, 하면에 밀착시킨 다음, 바닥판(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된 날개편(11)을 케이스(500)에 점착시켜 사용토록 한다.
{실시 예 3}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분류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분류표(300)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분류표(100)와 같이 동일한 구조 덮개판, 분류판, 받침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덮개판과 받침판의 일면 외곽에 붙임판(60)을 별도로 더 구성시켜, 두께가 얇은 서류봉투(600)등의 측면에 분류표(300)를 부착시켜야 할 때, 상기 붙임판(60)을 서류봉투에 붙임으로서 분류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0: 받침판 12, 30: 고정접착층
14, 20, 32: 점착층 16, 20: 점착층불도포면
18, 34: 점착유도선 24: 덮개판
26: 분류창테두리 36: 분류판
40: 점착기준선

Claims (2)

  1. 분류표에 있어서,
    평면으로는 점착층불도포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고정접착층과 점착층이 각각 도포되며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유도선이 형성되고, 배면으로는 점착층을 도포하되 외곽 모서리면을 따라 점착층불도포면을 형성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펼쳐짐 가능하게 덮혀지며 투명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배면으로는 상기 바닥판의 고정접착층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접착층과 점착층이 각각 도포되며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유도선이 형성되고, 평면으로는 외곽 둘레를 따라 불투명성의 분류창테두리를 도포하여 중앙으로 투명성의 분류창을 형성하는 덮개판 및 ;
    상기 바닥판과 덮개판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의 평면과 상기 덮개판의 배면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층에 점착 고정되며 평면으로는 문자나 숫자 또는 기호가 표기되고 그 외곽 둘레면에는 점착유도선을 형성한 분류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배면에는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그 배면에 일정간격 마다 홈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중간플레이트 양측으로 좌, 우측플레이트로 나뉘어지도록 분할 구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는 날개편을 일체로 더 연장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표.
KR2020100011392U 2010-11-03 2010-11-03 분류표 KR200452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392U KR200452812Y1 (ko) 2010-11-03 2010-11-03 분류표
PCT/KR2011/008021 WO2012060571A1 (ko) 2010-11-03 2011-10-26 분류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392U KR200452812Y1 (ko) 2010-11-03 2010-11-03 분류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812Y1 true KR200452812Y1 (ko) 2011-03-21

Family

ID=4424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392U KR200452812Y1 (ko) 2010-11-03 2010-11-03 분류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2812Y1 (ko)
WO (1) WO201206057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26U (ko) * 1984-08-10 1986-03-31 상훈 앨범 대지
JPH09175069A (ja) * 1995-12-21 1997-07-08 Sansui Kogyo Kk 資料保持台紙
JPH09272288A (ja) * 1996-04-04 1997-10-21 Taiyo:Kk アルバム台紙
JP2008162045A (ja) 2006-12-27 2008-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クジ付きカ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531Y1 (ko) * 1989-08-12 1992-03-05 이용우 앨범대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26U (ko) * 1984-08-10 1986-03-31 상훈 앨범 대지
JPH09175069A (ja) * 1995-12-21 1997-07-08 Sansui Kogyo Kk 資料保持台紙
JPH09272288A (ja) * 1996-04-04 1997-10-21 Taiyo:Kk アルバム台紙
JP2008162045A (ja) 2006-12-27 2008-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クジ付き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0571A1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9028C (en) Index divider label application and alignment k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3503835A (en) Collecting sheet for albums,scrapbooks and the like
CA2467705C (en) Business card stock with peel off labels, and method
US20060290134A1 (en) Project management organizer clip
US9358827B1 (en) Integrated note with binder clip
US5030491A (en) Self-adhesive mounting surface
KR200452812Y1 (ko) 분류표
KR200475848Y1 (ko) 포스트잇 유형의 메모 견출지
KR101101266B1 (ko) 반영구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식메모지 겸용 수첩
JP3164409U (ja) 付箋紙座
JP6143935B1 (ja) 穴付き付箋紙
CN105229717B (zh) 标签条及其制造方法
JP3196226U (ja) 多用途型付箋紙
JP7068125B2 (ja) ラベルセット
CN207330817U (zh) 可显示资讯的无基材胶带
JPH0737899Y2 (ja) ファイル用シート
JPH0390393A (ja) 書籍用の付箋セット
CN207388677U (zh) 一种带有状态指示的便利贴
JP2011183665A (ja) 冊子状封書
CN104053555A (zh) 容易分配页张的便笺本
JP3050821U (ja) 透明フィルムラベルシート
KR100997876B1 (ko) 라벨지
JP3056356U (ja) 製本用背表紙
JPS5820382Y2 (ja) 情報管理用ノ−ト
US20160166028A1 (en) Removable Notepaper and Business Card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