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97Y1 - 실내구획용 패널 - Google Patents

실내구획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97Y1
KR200452497Y1 KR2020080013930U KR20080013930U KR200452497Y1 KR 200452497 Y1 KR200452497 Y1 KR 200452497Y1 KR 2020080013930 U KR2020080013930 U KR 2020080013930U KR 20080013930 U KR20080013930 U KR 20080013930U KR 200452497 Y1 KR200452497 Y1 KR 200452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nel
wall
side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71U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냉동주방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냉동주방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냉동주방설비
Priority to KR2020080013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9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Abstract

실내구획용 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은, 식품가공 처리실을 구획하는 실내구획용 패널에 있어서, 격벽을 수용하기 위하여 격벽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하부안착판과, 상기 하부안착판으로부터 상향절곡되어 격벽 하단 측면을 고정하는 하부돌출측벽으로 이루어진 격벽수용부; 및 상기 하부안착판의 저면(底面)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향절곡 형성되는 지지측벽, 상기 지지측벽 하단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하부오염방지벽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오염방지벽은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을 사용함으로서, 물이 고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고임을 방지함으로써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구획용 패널{PANEL FOR DIVIDING ROOM}
본 고안은 실내구획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로 물이 고여 세균이 번식하거나 먼지가 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내구획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식품가공 공정은 기본적으로 가공할 식재료를 선별하고, 세척한 뒤, 가공하고자 하는 제품의 목적에 맞게 분쇄하고 혼합한 뒤 가열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재료들은 열에 의해 그 재료가 농축되거나 증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농축된 재료 등을 분리하거나 여과 과정을 거쳐 선별하게 된다. 이렇게 선별된 가공식품들은 압착과 건조를 통하여 완제품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 상기와 같은 완제품들을 압출성형을 통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가공 식품 형상으로 제조한다.
이러한 공정이 진행될 때, 식재료를 세척하고 조리하는 등의 과정중에 물이 사용되고, 조리된 상태의 식재료를 농축시키고 증발시키는 동안 사용되었던 물이 공기 중으로 확산된다. 상기와 같이 가공 식품을 만드는 공정에서는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식품 가공 처리실의 위생상태가 조금만 지저분해져도, 수분에 의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과 같은 위해요소들이 쉽게 번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해요소가 공기중에 부유하다가 가공 식품에 유착된 상태로 포장 출하될 경우, 가공식품의 영양분으로 인해 위해요소가 왕성하게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공식품을 섭취한 사람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을 가공하고 처리할 때에는, 식품에 위해요소가 첨가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즉, 식품을 가공하는 각 공정이 진행되는 식품처리실은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지 않도록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식품처리실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과 바닥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며 접하기 때문에 상기 격벽과 바닥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먼지(d)가 내려 앉아 청결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게다가, 식품 가공 공정에서 사용되는 물(w)이 상기 모서리에 유입되면서, 수분을 머금은 먼지(d)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모서리 구석구석까지 청소하기 어렵기 때문에, 매번 청소를 하더라도, 여전히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유리한 조건이 제거되지 않아 식품에 위해요소가 첨가될 위험성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격벽과 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세균이나 곰팡이 등과 같은 식품 위해요소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구획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은, 격벽과 조립되어 실내를 구획하는 실내구획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안착판과, 상기 하부안착판의 양단부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격벽의 하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하부돌출측벽으로 이루어진 격벽수용부; 및
상기 격벽수용부의 상기 하부안착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로부터 하향절곡 형성되는 지지측벽, 상기 지지측벽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오염방지벽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지지부의 상기 하부오염방지벽은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오염방지벽은, 원호형상이거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은 상기 격벽의 상부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판, 상기 상부안착판의 양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상기 격벽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상부돌출측벽, 상부돌출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실내 의 천장에 접하는 상부오염방지벽으로 이루어진 상부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기 상부오염방지벽은, 위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오염방지벽은 원호형상이거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안착판의 폭과 상기 지지판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구획용 패널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측벽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측벽 사이에는 간격유지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돌출측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돌출측벽의 상단부면은 모따기(chamfering)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식품가공 처리실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이 바닥에 설치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5)과 조립되어 실내를 구획하는 실내구획용 패널(100)에 있어서,
상기 격벽(5)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안착판(112)과, 상기 하부안착판(112)의 양단부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격벽(5)의 하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하부돌출측벽(114)으로 이루어진 격벽수용부(110); 및
상기 격벽수용부의 상기 하부안착판(112)의 저면(底面)에 결합되는 지지판(122), 상기 지지판(122)의 양단부로부터 하향절곡 형성되는 지지측벽(124), 상기 지지측벽(124)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오염방지벽(126)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지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지지부(120)의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은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100)과 바닥(1)이 접하는 부위에 위해요소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12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지지측벽(124)은 지지측벽(124)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측벽(124) 사이에 간격유지편(12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수용부(110)는, 상기 하부돌출측벽(114)의 상단부면과 상기 격벽(5)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하부돌출측벽(114) 상단부 외측 모서리를 깎을 수 있다. 상기 격벽(5)이 상기 격벽수용부(110)에 안착된다고 할 때, 격벽(5)과 상기 하부돌출측벽(114) 상단부가 이루는 각은 직각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돌출측벽(114)의 상단부면은 폭이 좁기때문에, 상기 격벽(5)과 하부돌출측벽(114)의 상단부면이 직각을 이루더라도 먼지나 수분이 적층될 염려는 적다. 그러나, 보다 세밀한 공정을 진행하여 극도의 청결을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의 일측에 도시된 확대도처럼 상기 하부돌출측벽(114) 상단부의 외측 모서리를 모따기(chamfering)함으로써, 먼지나 수분이 상기 하부돌출측벽(114) 상단부면에 안착되지 않고, 중력에 의해 상기 먼지나 수분이 밑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을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함으로써, 식품 공정 중에 사용되는 물에 의해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에만 국한되지 않고, 공기와 수분에 노출되어도 반영구적으로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은 상기 하부안착판(112)의 폭과 상기 지지판(122)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격벽수용부(110)와 상기 격벽지지부(120)의 결합면 사이에 먼지가 끼는 것을 최소할 수 있다. 또, 상기 격벽수용부(110)와 상기 격벽지지부(1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하부오염방지벽(126)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격벽지지부(120)의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은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바닥(1)과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이 이루는 각도가 90°이상이 되게하여 상기 바닥(1)과 하부오염방지벽(126)이 접하는 부위에 먼지나 물이 고여 위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막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은, 원호형상이거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오염방지벽(126)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 처리되어 원호형상인 것을 사용하였지만, 도 3b와 같이 하부오염방지벽(126)을 각(α)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에 형성된 각(α)을 둔각으로 하여야 먼지가 끼거나 물이 고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이 천장에 설치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은 하부에 물이 고이거나 먼지가 쌓이는 것 이외에도, 천장(3)과 격벽(5)이 접하는 지점에 위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패널(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100)은, 상기 격벽(5)의 상부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판(132), 상기 상부안착판(132)의 양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 어 상기 격벽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상부돌출측벽(134), 상부돌출측벽(134)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실내의 천장(3)에 접하는 상부오염방지벽(136)으로 이루어진 상부패널(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130)의 상기 상부오염방지벽(136)은, 위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먼지가 상기 천장(3)과 격벽(5) 사이 모서리에 끼이면, 먼지가 공기중에 부유하는 수증기를 흡수하면서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100)에 상부패널(130)을 더 포함함으로써 위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패널(130)의 상부오염방지벽(13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3)으로 갈수록,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상부오염방지벽(136)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원호형상이거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오염방지벽(136)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 처리되어 원호형상인 것을 사용하였지만, 상기 상부오염방지벽(136)을 도 5b와 같이 각(β)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오염방지벽(136)에 형성된 각(β)은 둔각으로 형성되어야 위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에 격벽이 결합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100)을 사용하여 실내를 구획하고자 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130)과 격벽수용부(110) 사이에 격벽(5) 을 설치함으로써, 실내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격벽수용부(110)는 격벽(5)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돌출측벽(114)에 복수개의 구멍(h1)을 이격되게 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공된 구멍(h1)을 통하여, 상기 격벽(5)을 못과 같은 것으로 격벽수용부(110)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돌출측벽(114)에 구멍(h1)을 천공하지 않더라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하부돌출측벽(114)간의 거리를 상기 격벽(5)의 두께 보다 좁게 형성하여 상기 격벽(5)이 상기 격벽수용부(110)에 단단히 끼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은 상기 바닥(1)과 접하는 상기 하부오염방지벽(126) 일측에 복수개의 구멍(h2)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못과 같은 것이 상기 구멍(h2)을 통과하여 상기 바닥(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상부오염방지벽(136)은 천장(3)과 접하는 상부오염방지벽(136)의 일측에 복수개의 구멍(h3)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못과 같은 것이 상기 구멍(h3)을 통과하여 천장(3)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오염방지벽(136) 및 하부오염방지벽(126)은, 각각의 위치에 고정한 뒤, 실리콘과 같은 것으로 실링처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구획용 패널(100)은 상기 상부오염방지벽(136) 및 하부오염방지벽(126)에 별도의 구멍(h2, h3)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바닥(1)과 천장(3)에 고정할 수 있다면, 그 고정 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실내구획용 패널이 바닥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이 바닥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하부오염방지벽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이 천장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른 상부오염방지벽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구획용 패널에 격벽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 3: 천장
5: 격벽 110: 격벽수용부
112: 하부안착판 114: 하부돌출측벽
120: 격벽지지부 122: 지지판
124: 지지측벽 126: 하부오염방지벽
128: 간격유지편 130: 상부패널
132: 상부안착판 134: 상부돌출측벽
136: 상부오염방지벽 d: 먼지
w: 물

Claims (11)

  1. 격벽과 조립되어 실내를 구획하는 실내구획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안착판과, 상기 하부안착판의 양단부로부터 상향절곡되어 상기 격벽의 하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하부돌출측벽으로 이루어진 격벽수용부; 및
    상기 격벽수용부의 상기 하부안착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로부터 하향절곡 형성되는 지지측벽, 상기 지지측벽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오염방지벽으로 이루어지는 격벽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지지부의 상기 하부오염방지벽은 아래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염방지벽은,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염방지벽은, 다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가 안착되는 상부안착판, 상기 상부안착판의 양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어 상기 격벽의 상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상부돌출측벽, 상부돌출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실내의 천장에 접하는 상부오염방지벽으로 이루어진 상부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패널의 상기 상부오염방지벽은, 위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오염방지벽은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오염방지벽은 다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안착판의 폭과 상기 지지판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구획용 패널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측벽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측벽 사이에는 간격유지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출측벽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출측벽의 상단부면이 모따기(chamfer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구획용 패널.
KR2020080013930U 2008-10-20 2008-10-20 실내구획용 패널 KR200452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30U KR200452497Y1 (ko) 2008-10-20 2008-10-20 실내구획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30U KR200452497Y1 (ko) 2008-10-20 2008-10-20 실내구획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71U KR20100004371U (ko) 2010-04-29
KR200452497Y1 true KR200452497Y1 (ko) 2011-03-03

Family

ID=4419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30U KR200452497Y1 (ko) 2008-10-20 2008-10-20 실내구획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438B1 (ko) * 2020-02-24 2022-02-28 주식회사 공간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조립식 경계엣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026A (ja) * 1994-07-26 1996-02-13 Okamura Corp 壁構造
JP2002155620A (ja) 2000-11-21 2002-05-31 Showa Panel System Kk 幅木と壁面との隙間の側方開放部被覆用カバーおよび同カバー付き幅木
JP3505600B2 (ja) * 2000-09-28 2004-03-08 株式会社アーキフォーム 屋内間仕切り用壁下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026A (ja) * 1994-07-26 1996-02-13 Okamura Corp 壁構造
JP3505600B2 (ja) * 2000-09-28 2004-03-08 株式会社アーキフォーム 屋内間仕切り用壁下構造
JP2002155620A (ja) 2000-11-21 2002-05-31 Showa Panel System Kk 幅木と壁面との隙間の側方開放部被覆用カバーおよび同カバー付き幅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71U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6621A1 (en) Dish drying assembly
KR200452497Y1 (ko) 실내구획용 패널
CA3034002A1 (en) Pet crate insert
US20150284937A1 (en) Dish and sink protector
KR101160483B1 (ko) 깔개를 구비한 병아리 운반상자
JP6266553B2 (ja) キッチンシンク及びこれ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
KR101324312B1 (ko)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US9844301B2 (en) Cover for holding tray
KR20120007264U (ko) 주방용 경사 도마
JP6241707B2 (ja) 厨房装置
AU2015101368B4 (en) A Tray
JP2006326244A (ja) 流し台用水切り具
EP1518490A1 (en) Basket for washing drying and storing glasses
US9932164B1 (en) Sponge for insertion into a mud pan
JP3162216U (ja) まな板立て
JP6241706B2 (ja) 厨房装置
KR200446038Y1 (ko) 주방용 도마
KR200468769Y1 (ko) 매립형 식기 건조대
CN211381221U (zh) 餐具篮
JP6808276B2 (ja) 食品製造用建物
KR20090005884U (ko) 싱크대의 싱크
KR200341096Y1 (ko) 청소용구함
JP5762936B2 (ja) 洗面所
KR200473356Y1 (ko) 비누받침대
KR101163955B1 (ko) 공기소통이 가능한 걸레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