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312B1 -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312B1
KR101324312B1 KR1020110084691A KR20110084691A KR101324312B1 KR 101324312 B1 KR101324312 B1 KR 101324312B1 KR 1020110084691 A KR1020110084691 A KR 1020110084691A KR 20110084691 A KR20110084691 A KR 20110084691A KR 101324312 B1 KR101324312 B1 KR 10132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anel
floor
sanitary
construction metho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035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냉동주방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냉동주방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냉동주방설비
Priority to KR102011008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3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1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볼트공(22)이 형성된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구비하고, 앵커볼트(10)가 설치된 바닥체(1)에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배치하되,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에 앵커볼트(10)가 끼워지면서 바닥용 수평 패널(20)이 바닥체(1)에 고정되도록 하는 패널 배치단계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는 앵커볼트(10) 돌출부위를 절단하는 앵커볼트 절단단계와;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앵커볼트(10)의 상단을 연마하여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연마단계를 포함하여, 바닥체(1)가 위생 바닥으로 마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체의 표면을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용 수평 패널로 마감하여 위생 바닥을 형성함에 따라, 바닥 청소, 바닥 세정, 바닥에 대한 위생처리 등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바닥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바닥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오염물질이 응집/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의료시설의 수술실이나 무균실, 반도체 생산 등에 요구되는 산업현장의 클린룸, 두부와 같은 식품가공공장의 위생룸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Cleaning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panel}
본 발명은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체의 표면을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소재의 바닥용 수평 패널로 마감하여 위생 바닥을 형성함에 따라, 바닥 청소, 바닥 세정, 바닥에 대한 위생처리 등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바닥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바닥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오염물질이 응집/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의료시설의 수술실이나 무균실, 반도체 생산 등에 요구되는 산업현장의 클린룸, 두부와 같은 식품가공공장의 위생룸에 적용될 수 있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나 시멘트 소재 등으로 시공되는 건물의 바닥은 별도의 마감시공 없이 콘크리트나 시멘트 소재가 그대로 노출되거나, 목재나 타일 소재로 된 바닥재나 장판지에 의해 마감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 시공과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72234호 "마루바닥 시공방법 및 그 마루바닥 구조", 등록번호 제10-0751516호 "금속 타일과, 이를 구비하는 공장용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115702호 "시공이 용이한 바다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나 시멘트로 마감처리된 건물의 바닥이나, 장판지나 목재/타일 소재 등으로 된 바닥재로 마감처리된 건물의 바닥은 소재의 특성상 표면이 균일하지 않아 미세먼지, 미세 오염물질, 수분 등이 바닥 표면에 부착되어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와 같이 바닥 표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 미세 오염물질에 의해 바닥이 오염되거나, 바닥 표면의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 번식하면서 공간이 전체적으로 오염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바닥을 청소하거나 세정하게 되더라도 표면이 균일하지 않아 청소나 세정 효율이 그리 높지 않아 청결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클린룸이나 위생룸을 형성시키는 구조물 내부의 청결도나 위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기술들은 현재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클린룸이나 위생룸을 이루는 바닥 청결도나 위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에는 관심이 미약한 실정이다. 그러나, 클린룸이나 위생룸을 이루는 바닥에 미세 오염물질이 부착되거나, 바닥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나 미생물 등이 번식하게 되면 클린룸과 위생룸의 청결도와 위생도를 크게 떨어뜨리므로, 린룸이나 위생룸을 이루는 바닥 청결도나 위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스테인리스 강 소재의 바닥용 수평 패널로 마감된 위생 바닥을 제공하여 바닥 청소, 바닥 세정, 바닥에 대한 위생처리 등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져 바닥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청소/세정/위생처리가 용이한 위생 바닥에 의해 바닥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오염물질이 응집/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의료시설의 수술실이나 무균실, 반도체 생산 등에 요구되는 산업현장의 클린룸, 두부와 같은 식품가공공장의 위생룸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생 바닥에 트렌치(trench)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배수가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바닥 위생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볼트공(22)이 형성된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구비하고, 앵커볼트(10)가 설치된 바닥체(1)에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배치하되,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에 앵커볼트(10)가 끼워지면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이 바닥체(1)에 고정되도록 하는 패널 배치단계와;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는 상기 앵커볼트(10) 돌출부위를 절단하는 앵커볼트 절단단계와; 상기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바닥체(1)가 위생 바닥으로 마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을 연마하여 상기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방수성 및 내부식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을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 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마하여, 상기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이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과 동일한 방향의 결을 가진 연마면(1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용접단계에서 상기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스테인리스 강용 아크 용접봉으로 용접하되, 아르곤 용접과 CO₂용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용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다수개의 타공홈(21)을 형성시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부가 개방된 트렌치(trench)(2)를 상기 바닥체(1)에 형성하여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 표면의 수분이나 물이 상기 트렌치(2)로 집수되도록 하되,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상기 트렌치(2)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정해진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판체로 이루어지고, 정해진 간격으로 배수공(42)이 형성된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을 더 구비하여 상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을 상기 트렌치(2)에 정해진 높이로 걸림고정하여 상기 트렌치(2)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은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보다 낮은 표면 높이를 가져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 표면의 수분이나 물이 상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로 유도되면서 트렌치(2)로 집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의해 형성되는 위생 바닥의 정해진 위치에 격벽(5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격벽(50)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격벽고정체(6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격벽고정체(60)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이격 거리가 커지는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을 가져 상기 격벽(50) 주위로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서 상기 격벽고정체(60)는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격벽(50)을 지지하게 되는 격벽지지편(64)과; 상기 격벽지지편(64)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6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의 바닥용 수평 패널로 마감된 위생 바닥의 제공으로 바닥 전체 부위에 걸쳐 균일한 표면 특성이 유지되고, 바닥이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이루게 됨에 따라, 바닥 청소, 바닥 세정, 바닥에 대한 위생처리 등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바닥의 청결도도 향상되고, 바닥을 수시로 청소/세정/위생 처리함으로써 바닥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오염물질이 응집/부착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의료시설의 수술실이나 무균실, 반도체 생산 등에 요구되는 산업현장의 클린룸, 두부와 같은 식품가공공장의 위생룸에 두루 적용되어 수술실, 무균실, 클린룸, 위생룸의 청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위생 바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위생 바닥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위생 바닥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바닥 시공방법, 크린룸, 위생룸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패널 배치단계, 앵커볼트 절단단계, 용접단계, 연마단계를 거쳐 바닥체(1)가 위생 바닥으로 마감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체(1)에 적용되는 기술이나, 바닥체(1)의 소재가 콘크리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패널 배치단계는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바닥체(1)의 표면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다수개의 볼트공(22)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방수성 및 내부식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바닥체(1)에는 다수개의 앵커볼트(10)가 정해진 간격으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에 앵커볼트(10)가 끼워지면서 바닥용 수평 패널(20)이 바닥체(1)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바닥체(1)의 표면 전체부위를 덮게 되는데, 다수개의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하나 이상의 행과 열을 이루며 연속해서 이어져 다수개의 바닥용 수평 패널(2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앵커볼트 절단단계는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는 앵커볼트(10) 돌출부위를 절단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앵커볼트(10) 돌출부위의 절단은 커팅 기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용접단계는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단계이다. 앵커볼트(10)와, 앵커볼트(10)가 관통하는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 사이에 미세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접을 통해 미세 틈새를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방수기능이 향상되고,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 연결부위로 물이나 미세먼지, 미세 오염물질이 유입되거나 끼이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바닥의 청결도와 위생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접단계에서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이 용접부위에 의해 서로 결합됨에 따라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 간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스테인리스 강용 아크 용접봉을 사용하여 아르곤 용접하거나, CO₂용접하게 되는데, 용접봉의 종류나 용접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연마단계는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을 연마하여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의해 형성되는 위생 바닥이 표면 전체부위에 걸쳐 수평면을 유지하는 동시에 표면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연마단계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을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 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마하여,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이 바닥용 수평 패널(20)과 동일한 방향의 결을 가진 연마면(10')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의해 형성되는 위생 바닥의 표면이 전체부위에 걸쳐 균일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걸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쳐 바닥체(1) 표면을 위생 바닥으로 마감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바닥 전체 부위에 걸쳐 균일한 표면 특성이 유지되고, 바닥이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이루게 되어 바닥 청소, 바닥 세정, 바닥에 대한 위생처리 등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바닥의 청결도도 향상되며, 바닥을 수시로 청소/세정/위생 처리함으로써 바닥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물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오염물질이 응집/부착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의료시설의 수술실이나 무균실, 반도체 생산 등에 요구되는 산업현장의 클린룸, 두부와 같은 식품가공공장의 위생룸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수술실, 무균실, 클린룸, 위생룸의 청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위생 바닥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다수개의 타공홈(21)을 형성시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개의 타공홈(21)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 전체부위에 걸쳐 다수행과 열을 이루며 배치되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공홈(21)은 5mm의 깊이로 펀칭되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위생 바닥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위생 바닥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상부가 개방된 트렌치(trench)(2)를 바닥체(1)에 형성하여 바닥용 수평 패널(20) 표면의 수분이나 물이 트렌치(2)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닥의 청결도와 위생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트렌치(2)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된다.
한편, 정해진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판체로 이루어지는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이 트렌치(2)에 정해진 높이로 걸림고정되어 트렌치(2)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하는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은 정해진 간격으로 배수공(42)이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은 바닥용 수평 패널(20)보다 낮은 표면 높이를 가져 바닥용 수평 패널(20) 표면의 수분이나 물이 트렌치용 수평 패널(40)로 원활하게 유도되면서 트렌치(2)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은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의해 형성되는 위생 바닥의 정해진 위치에 격벽(5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간이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데, 격벽(50)은 위생 바닥 표면에 설치되는 격벽고정체(60)에 고정 지지된다. 이와 같은 격벽고정체(60)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이격 거리가 커지는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을 가지는 것으로, 하부오염방지편(62)에 의해 격벽(50) 주위로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격벽고정체(60)는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격벽(50)을 지지하게 되는 격벽지지편(64)과, 격벽지지편(64)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66)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격벽고정체(6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2497호 "실내구획용 패널"을 참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바닥체 2 : 트렌치
10 : 앵커볼트 10' : 연마면
20 : 바닥용 수평 패널 21 : 타공홈
22 : 볼트공 40 : 트렌치용 수평 패널
42 : 배수공 50 : 격벽
60 : 격벽고정체 62 : 하부오염방지편
64 : 격벽지지편 66 : 간격유지편

Claims (12)

  1. 볼트공(22)이 형성된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구비하고, 앵커볼트(10)가 설치된 바닥체(1)에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을 배치하되,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에 앵커볼트(10)가 끼워지면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이 바닥체(1)에 고정되도록 하는 패널 배치단계와;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볼트공(22)을 관통하는 상기 앵커볼트(10) 돌출부위를 절단하는 앵커볼트 절단단계와;
    상기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여,
    바닥체(1)가 위생 바닥으로 마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을 연마하여 상기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연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방수성 및 내부식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을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표면 결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마하여,
    상기 앵커볼트(10)의 절단된 상단이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과 동일한 방향의 결을 가진 연마면(1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에서 상기 앵커볼트(10)와 바닥용 수평 패널(20)의 연결부위를 스테인리스 강용 아크 용접봉으로 용접하되,
    아르곤 용접과 CO₂용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용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다수개의 타공홈(21)을 형성시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트렌치(trench)(2)를 상기 바닥체(1)에 형성하여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 표면의 수분이나 물이 상기 트렌치(2)로 집수되도록 하되,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은 상기 트렌치(2)의 폭방향 양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정해진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판체로 이루어지고, 정해진 간격으로 배수공(42)이 형성된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을 더 구비하여
    상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을 상기 트렌치(2)에 정해진 높이로 걸림고정하여 상기 트렌치(2)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은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보다 낮은 표면 높이를 가져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 표면의 수분이나 물이 상기 트렌치용 수평 패널(40)로 유도되면서 트렌치(2)로 집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용 수평 패널(20)에 의해 형성되는 위생 바닥의 정해진 위치에 격벽(5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50)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격벽고정체(6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격벽고정체(60)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이격 거리가 커지는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을 가져 상기 격벽(50) 주위로 물이 고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고정체(60)는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격벽(50)을 지지하게 되는 격벽지지편(64)과;
    상기 격벽지지편(64)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하부오염방지편(62)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편(6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KR1020110084691A 2011-08-24 2011-08-24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KR10132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91A KR101324312B1 (ko) 2011-08-24 2011-08-24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691A KR101324312B1 (ko) 2011-08-24 2011-08-24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35A KR20130022035A (ko) 2013-03-06
KR101324312B1 true KR101324312B1 (ko) 2013-11-01

Family

ID=4817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691A KR101324312B1 (ko) 2011-08-24 2011-08-24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80B1 (ko) * 2018-09-05 2019-06-13 변민혁 물놀이 시설물 및 수경시설물의 바닥부 방수패널 구조물
KR102238276B1 (ko) 2019-11-04 2021-04-09 주식회사 플로아테크 건축용 바닥패널 및 상기 바닥패널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926A (ja) * 1992-10-26 1994-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浮き床下地及び浮き床
JP2003056168A (ja) 2001-08-21 2003-02-26 Toppan Printing Co Ltd 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57306A (ja) 2004-08-19 2006-03-02 Ahresty Corp フロアパネル
KR20080108893A (ko) * 2007-06-11 2008-12-16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926A (ja) * 1992-10-26 1994-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浮き床下地及び浮き床
JP2003056168A (ja) 2001-08-21 2003-02-26 Toppan Printing Co Ltd 床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57306A (ja) 2004-08-19 2006-03-02 Ahresty Corp フロアパネル
KR20080108893A (ko) * 2007-06-11 2008-12-16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80B1 (ko) * 2018-09-05 2019-06-13 변민혁 물놀이 시설물 및 수경시설물의 바닥부 방수패널 구조물
KR102238276B1 (ko) 2019-11-04 2021-04-09 주식회사 플로아테크 건축용 바닥패널 및 상기 바닥패널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35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349B2 (en) In-floor track assembly for sliding panels with built-in drainage system
KR101830498B1 (ko) 조립식 욕실 바닥
US9617723B2 (en) Trench drain
US20120023658A1 (en) Perimeter drainage system for showers
US20120079652A1 (en) Reversible low profile shower base
KR101324312B1 (ko) 수평 패널을 이용한 위생 바닥 시공방법
US20080005835A1 (en) Steel Drain
DE202009005060U1 (de) Anschlussrahmen für einen Bodenablauf und Bodenablauf
JP6587428B2 (ja) 入浴設備及びこれに用いる組立浴槽体
JP5274942B2 (ja) フロアマット
KR200452497Y1 (ko) 실내구획용 패널
EP0973981B1 (en) A system for suspension of sound-absorbing elements and a method for cleaning of the elements
US9806508B2 (en) Electrical device box for mounting in a clean room
JP6661313B2 (ja) 業務用流し台
KR101261760B1 (ko) 스테인레스 배수 트랜치
EP2302143B1 (en) Gutter drain
CN213836948U (zh) 一种淋浴房门地漏连接结构
JP7122598B2 (ja) 床パン
JP3996433B2 (ja) 排水溝形成用管および排水溝形成方法
KR100743608B1 (ko) 주방의 바닥면 구조
AU2016101521A4 (en) Drains
KR20060098600A (ko) 건축물의 이중 바닥구조
JP2001037361A (ja) 養豚用の育成ケージ床及びそれを使用した育成ケージ
EP3237706A2 (en) Swimmingpool
US1824180A (en) Flo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