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458Y1 - 장식용 실 말이봉 - Google Patents

장식용 실 말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458Y1
KR200452458Y1 KR2020080011575U KR20080011575U KR200452458Y1 KR 200452458 Y1 KR200452458 Y1 KR 200452458Y1 KR 2020080011575 U KR2020080011575 U KR 2020080011575U KR 20080011575 U KR20080011575 U KR 20080011575U KR 200452458 Y1 KR200452458 Y1 KR 200452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decorative
knot
ro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256U (ko
Inventor
다다시게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나이토쇼지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쇼지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나이토쇼지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to KR2020080011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45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4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Landscapes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실 말이봉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심체용 실에 장식실을 감아 볼륨이 있는 실뭉치를 감아 엮는데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한 강성을 가져 가볍고 사용 중 구부러지지 않으며, 단부에 걸림홈이나 걸림구멍을 가져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견고히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장식, 뜨개, 뜨개질, 말이봉, 튜브, 봉

Description

장식용 실 말이봉{Decoration string rolling tube}
본 고안은 장식용 실 말이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사, 고무끈, 실, 뜨개끈 이나 신축성이 없는 실, 끈 등의 심체(芯 )용 실에, 세사가 길게 전체 길이에 걸쳐 꼬아 넣어진 장식용 실을 감는데 사용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예 교실 등에서는 변형 뜨기의 일종으로서, 심체(芯 )가 되는 고무사를 스트로우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통과시키고, 타단의 외주에 고무사의 인출단을 점착 테이프로 고정한 상태로, 스트로우 외주면에 별도의 장식실을 감고 감긴 부분을 차례대로 심체용 실로 이동시켜 심체용 실에 장식실을 감아 엮는 수예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장식용 실을 사용하는 수예에 대해서 선행 기술문헌을 검색했으나, 조합 방법에 관해서는 하기 특허문헌 1의 집게손가락을 사용하는 것 뿐이었다. 또 뜨개바늘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2와 같은 장치적인 손뜨개 도구가 있었지만 그밖에는 평범한 뜨개바늘의 개량에 불과하였다. 아울러 장식용 실로서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특허문헌 3의 깃털을 꼬아 넣은 편물용 실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0-3465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평9-29144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실공소62-17500호 공보
상기 장식용 실을 사용하는 수예는 극히 최근에 시작된 것이므로 장식용 실 뜨개에 관한 선행 기술문헌을 검색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장식용 실을 사용하는 상기 수예를 하기 위해 스트로우를 이용할 경우, 상기와 같이 심체(芯 )가 되는 고무사를 스트로우에 접착 테이프로 고정하기는 하지만, 접착이 완전하지 않아 작업 도중에 고무사가 스트로우로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무사의 응력으로 스트로우가 구부러지거나 아예 접히는 등 확실한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한 강성을 가져 가볍고 사용 중 구부러지지 않으며, 단부에 걸림홈이나 걸림구멍을 가져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견고히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장식용 실 말이봉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말이봉의 외주면에는, 말이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나란한 다수의 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하되 슬릿의 형태를 취하며 서로에 대해 이격 배치된 제 1걸림홈 및 제 2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2걸림홈은, 말이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소정폭의 슬릿 형 홈으로써 상호 나란하되 상기 제 1걸림홈과 제 2걸림홈의 연장 길이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걸림홈에는 상기 심체용 실을 제 2걸림홈의 내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걸림홈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걸림홈입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걸림홈은, 말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매듭부를 갖는 상기 심체용 실을 통과시키되 상기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 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을 통과시키되 상기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 작되며 일정한 강성을 가져 가볍고 사용 중 구부러지지 않으며, 단부에 걸림홈이나 걸림구멍을 가져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견고히 고정 지지할 수 있으므로, 신축성이 큰 고무사, 고무끈 또는 신축성이 약간 있는 실, 뜨개끈 또는 신축성이 없는 실, 끈 등의 심체용 실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용이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제 1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한 강성을 가지고 필요한 길이로 절단되어 중공관(1a)을 이루고, 해당 중공관(1a)의 일단에 필요한 폭과 깊이를 가진 걸림홈(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걸림홈(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심체용 실(3)의 매듭부(4)를 걸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고무사인 필요 직경의 심체용 실(3)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되, 심체용 실(3)의 첫단에 이중으로 매듭지어 만들어진 매듭부(4)를 상기 걸림홈(2)으로 걸어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말이봉(1)의 내부를 통과한 심체용 실(3)의 매듭부(4)는, 일단 말이봉(4) 외주면 바깥쪽으로 꺼내어져 상기 걸림홈(2)에 걸리게 세팅되고 이 상태로 심체용 실(3)의 끝단부는 말이봉(1)의 타단에서 당겨져 필요한 길이만큼 꺼내어져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 1실시예의 말이봉(1)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심체용 실(3)을 말이봉(1)으로 통과시키되 심체용 실(3)의 매듭부(4)를 상기 걸림홈(2)에 지지시킨 상태로 타단부를 말이봉(1)의 외부로 꺼내고, 그 꺼낸 부분에 인입 정지도구(5)를 협지하여 말이봉(1) 안의 심체용 실(3)을 긴장 상태로 세팅한다.
그 후, 왼손으로 장식용 실 말이봉(1)을 쥐고, 장식용 실(6)(예를 들면, 바탕실(6a)과, 상기 바탕실(6a)에 그 중간부가 감겨 연속적으로 엮여 유지되는 기모사(起毛絲)(6b)로 이루어짐)의 첫단을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로, 오른손으로 장식용 실(6)을 말이봉(1)에 필요한 횟수만큼 감는다.
이어서 상기 말이봉(1)에 감겨 있는 장식용 실(6)을, 말이봉(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정지도구(5)가 위치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장식용 실(6)이 말이봉(1)으로부터 벗어나 심체용 실(3)로 옮겨가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 즉, 장식용 실(6)을 말이봉(1)에 감는 작업과 말이봉(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도 5에 도시한 실뭉치(8)를 만든다.
도 5는 필요한 길이만큼 감아 엮어서 만든 실뭉치(8)에서의 심체용 실(9) 양단에 크고 작은 2개의 장식구슬(10,11)을 설치하여 실막음을 수행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막음이라 함은 상기 심체용 실(9)을 감은 장식용 실(6)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행위이다.
도 6은 상기 심체용 실(9)의 양단을 접속하여 전체를 환형으로 만든 실뭉치(12)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실뭉치(12)에서는 기모사(13b)를 바탕실(미 도시)에 꼬아서 엮고, 해당 장식용 실의 기모사(13b)에 장식조각(14)을 산재 고정시킨 특징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5)은, 상기 제 1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으로 또한 말이봉(15)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돌기(16)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제 2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5)은, 그 외주면에 말이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돌기(16)를 가지기 때문에 손에 쥐었을 때 적당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어 장식용 실(6)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외주면에 감겨진 장식용 실(6)을 매끄럽고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제 3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7)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 중공관(17a)의 일단에서 두 개의 걸림홈 즉, 제 1걸림홈(18a)과 제 2걸림홈(18b)을 갖는다. 상기 제 1걸림홈(18a)과 제 2걸림홈(18b)은 일정폭의 슬릿의 형태를 취하며 중공관(17a)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1걸림홈(18a)의 길이는 제 2걸림홈(18b)의 길이보다 짧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실 말이봉(17)은, 두 개의 걸림홈(18a,18b)을 가지므로,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심체용 실(19)을 제 1,2걸림홈(18a,18b)에 동시에 수용되도록 하되 매듭부(20)를 제 1걸림홈(18a)에 걸 수 있다. 따라서 심체용 실(19)을 장식용 실 말이봉(17)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7)은, 심체용 실(19) 첫단의 매듭 부(20)를 제 1걸림홈(18a)에 걸어 배치하고, 제 2걸림홈(18b)을 통해 말이봉(17) 외부로 꺼내어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말이봉(17)을 쥔 손으로 심체용 실(19)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과 달리 인입 정지도구(5)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심체용 실(19)이, 매듭부(20)가 제 1걸림홈(18a)에 걸려 있는 상태로 당겨지므로, 매듭부(20)가 제 1걸림홈(18a)의 내부로 보다 깊이 삽입되어 작업 중 제 1걸림홈(18a)으로부터 매듭부(20)가 분리될 염려가 없다.
도 12에 도시한 제 4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1)은, 상기한 제 3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7)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제 4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실 말이봉(21)은 제 1걸림홈(18)과, 상기 제 1걸림홈(18)에 대응 위치하는 제 2광폭걸림홈(18b1)을 가진다. 상기 제 1걸림홈(18)과 제 2광폭걸림홈(18b1)은 말이봉(21)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특히 상기 제 2광폭걸림홈(18b1)에는 걸림홈입구부(18b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입구부(18b11)는 제 2광폭걸림홈(18b1)으로 삽입되는 심체용 실(미도시)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상기 걸림홈입구부(18b11)는 제 2광폭걸림폼(18b1)보다 넓은 폭을 갖는 슬릿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와 같이 제 4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1)에는 걸림홈입구부(18b1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컨데 심체용 실(19)의 매듭부(20)를 바깥쪽으로 하여 제 1걸림홈(18a)에 걸고, 다음으로 제 2광폭걸림홈(18b1)에 삽입할 때 걸림홈입구부(18b11)의 도움으로 삽입이 쉽다. 그리고 제 2광폭걸림홈(18b1)의 폭이 어느정도 좁으므로 바깥쪽으로 꺼내어진 심체용 실의 나오는 위치가 일정하다.
도 13에 도시한 제 5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2)은, 제 3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17)에 구비되어 있는 제 2걸림홈(18b)을 열쇠형으로 변형한 예이다. 즉 제 5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2)은, 상기 제 2걸림홈(18b)을 대신하는 제 2열쇠형걸림홈(18b2)을 갖는다.
상기 제 2열쇠형걸림홈(18b2)은 일정폭을 가지며 제 1걸림홈(18a)과 나란하게 연장된 후 연장단부가 ㄷ 자로 굴곡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와 같이 제 2열쇠형걸림홈(18b2)이 굴곡됨에 의해 걸림돌기(18b21)와 제 3부분걸림홈(18b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심체용 실(19)의 매듭부(20)를 바깥쪽으로 하여 제 1걸림홈(18a)에 끼운 후, 제 2열쇠형걸림홈(18b2)에서는 걸림돌기(18b21)에 의해 형성된 제 3부분걸림홈(18b22)에서 심체용 실(19)을 바깥쪽으로 꺼내어, 제 3부분걸림홈(18b22)과 중공관(22a) 일단의 개구테두리(22a1) 사이에서 안팎으로 여러 번 감아서 건 후, 다시 제 2열쇠형 걸림홈(18b2)에서 심체용 실(19)을 꺼내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체용 실(19)을 장식용 실 말이봉(22)의 외주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제 6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3)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 중공관(23a)의 일단에 걸림구멍(24)을 갖는다.
상기 제 6실시예에서의 장식용 실 말이봉(23)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부(26)를 갖는 심체용 실(25)을 말이봉(23) 외부에서 걸림구멍(24)을 통해 중 공관(23a) 안으로 집어넣어 매듭부(26)가 걸림구멍(24)에 걸리게 한 상태로, 심체용 실(25)을 당겨 심체용 실(25)이 장식용 실 말이봉(23)의 타단부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되도록 세팅하여 사용한다.
상기 세팅 방법 이외에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체용 실(25)의 첫단을 걸림구멍(24)과 중공관(23a)의 일단의 개구 테두리(23a1)에 환형으로 질러넣어 결착부(27)를 이루게 할 수 도 있다. 상기 제 6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심체용 실을 보다 지지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제 7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8)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 중공관(28a)의 일단에 걸림홈(29)을, 타단에는 걸림구멍(30)을 갖는다. 제 7실시예의 장식용 실 말이봉(28)은 상기와 같이 걸림홈(29)과 걸림구멍(30)을 모두 갖기 때문에, 걸림홈(29)과 걸림구멍(39)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의 장식용 실 말이봉은 새로운 수예품을 만들 수 있게 함으로써 수예 인구 및 수예용품 업계의 확대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하게 그 선단의 걸림홈을 도시한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걸림홈에 심체를 건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을 사용하여 장식실을 심체에 감은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장식실을 감기 시작한 부분과 끝나는 부분에 정지 도구를 심체에 배치한 실뭉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감은 후에 심체의 양단을 연결한 환형의 실뭉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축방향의 돌기의 미끄럼 방지 부분을 외주면에 설치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동일하게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외주면의 양쪽에 대면하여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을 마련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일하게 그 두 부분의 걸림홈을 도시한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양쪽에 설치되는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에 심체를 건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걸림홈이 입구를 넓게 안을 좁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걸림홈이 열쇠형으로 마련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는 걸림홈이 중공관의 안쪽 치수면을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 걸림 구멍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동일하게 그 선단의 걸림 구멍을 도시한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6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걸림 구멍에 고무심 실을 건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일하게 걸림 구멍을 이용하여 고무심 실을 묶은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단에 걸림홈, 타단에 걸림 구멍이 마련된 본 고안의 제7실시예의 장식실 뜨개바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말이봉 1a:중공관 2:걸림홈
3:심체용 실 4:매듭부 5:인입정지도구
6:장식용 실 6a:바탕실 6b:기모사
8:실뭉치 9:심체용 실 10:장식구슬
11:장식구슬 12:실뭉치 13b:기모사
14:장식조각 15:말이봉 16:돌기
17:말이봉 17a:중공관 18a:제 1걸림홈
18b:제 2걸림홈 18b1:제 2광폭걸림홈 18b11:걸림홈입구부
18b2:제 2열쇠형 걸림홈 18b21:걸림돌기 18b22:제 3부분걸림홈
19:심체용 실 20:매듭부 21,22,23,28:말이봉
22a1:개구테두리 22a:중공관 23a:중공관
23a1:개구 테두리 24:걸림구멍 25:심체용 실
26:매듭부 27:결착부 28a:중공관
29:걸림홈 30:걸림구멍

Claims (8)

  1.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이봉의 외주면에는, 말이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나란한 다수의 선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3.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하되 슬릿의 형태를 취하며 서로에 대해 이격 배치된 제 1걸림홈 및 제 2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걸림홈은, 말이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소정폭의 슬릿형 홈으로써 상호 나란하되 상기 제 1걸림홈과 제 2걸림홈의 연장 길이는 상이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걸림홈에는 상기 심체용 실을 제 2걸림홈의 내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걸림홈 보다 넓은 폭을 갖는 걸림홈입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걸림홈은, 말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후 한번 이상 절곡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7.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 매듭부를 갖는 상기 심체용 실을 통과시키되 상기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실용 실 말이봉.
  8.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그 내부로 심체(芯 )용 실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외주면에 장식용 실을 감을 수 있는 일정 길이의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그 일단부에는,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을 통과시키되 상기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매듭부를 갖는 심체용 실의 매듭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실 말이봉.
KR2020080011575U 2007-11-27 2008-08-28 장식용 실 말이봉 KR200452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575U KR200452458Y1 (ko) 2007-11-27 2008-08-28 장식용 실 말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7-00009153 2007-11-27
KR2020080011575U KR200452458Y1 (ko) 2007-11-27 2008-08-28 장식용 실 말이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56U KR20090005256U (ko) 2009-06-01
KR200452458Y1 true KR200452458Y1 (ko) 2011-03-02

Family

ID=4129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575U KR200452458Y1 (ko) 2007-11-27 2008-08-28 장식용 실 말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4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454A (ko) 2021-08-19 2023-02-28 장정환 다중 골판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8133U (ko) 1973-12-10 1975-07-26
JPS58117790U (ja) 1982-02-05 1983-08-11 我喜屋 良明 編針
JPS63123685U (ko) 1987-02-04 1988-08-11
JPH0535866U (ja) * 1991-10-11 1993-05-14 通夫 竹島 手芸用装飾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8133U (ko) 1973-12-10 1975-07-26
JPS58117790U (ja) 1982-02-05 1983-08-11 我喜屋 良明 編針
JPS63123685U (ko) 1987-02-04 1988-08-11
JPH0535866U (ja) * 1991-10-11 1993-05-14 通夫 竹島 手芸用装飾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56U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368B2 (en) Hair holder with elastic friction member
US2808632A (en) Combination knot and retaining means therefor
US3105243A (en) Tassel construction
JP2010132373A (ja) 収縮性スプ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超低収縮繊維体の製造方法
KR200452458Y1 (ko) 장식용 실 말이봉
US2422358A (en) Yarn bobbin
JP2010261130A (ja) 巻編器具
US20120211021A1 (en) Hairstyling Device
JP6498834B1 (ja) 弾性変形可能な紐
JP5827110B2 (ja) 釣り用糸通し具および携帯用糸通しセット
JP6259721B2 (ja) 金属線巻付けテープ材及び被覆長尺材
JP3139514U (ja) 飾り糸巻編み棒
US2860902A (en) Means for mechanically tying knots
JP2009201508A (ja) 糸巻
CN108754964B (zh) 一种纱线扩展方法及设备
KR101917372B1 (ko) 자수용 바늘
US4293157A (en) Split cable grip clos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2040320B1 (ko) 요비선 꼬임 및 미끄럼 방지기구
KR20110011499U (ko) 낚시대 장착형 줄감개
KR200453874Y1 (ko) 국기대
CN110284255B (zh) 一种针织物编织盘
RU2683657C2 (ru) Катушка для вязания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KR20170061617A (ko) 낚싯대
JP7123371B2 (ja) はしご編み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