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72B1 - 자수용 바늘 - Google Patents

자수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72B1
KR101917372B1 KR1020180033118A KR20180033118A KR101917372B1 KR 101917372 B1 KR101917372 B1 KR 101917372B1 KR 1020180033118 A KR1020180033118 A KR 1020180033118A KR 20180033118 A KR20180033118 A KR 20180033118A KR 101917372 B1 KR101917372 B1 KR 101917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handle
needle body
need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서윤
Original Assignee
송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서윤 filed Critical 송서윤
Priority to KR1020180033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에 이용되는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늘은, 자수용 원단에 실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실이 원단에 고정되게 안내하는 바늘 본체와 사람이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손잡이와 바늘 본체는 각각 내부에 실의 안내 통로가 되는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바늘 본체는 길이 방향의 제1 단부가 손잡이의 제1 안내공의 일 단부에 삽입되어 손잡이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결합되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는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첨단으로 형성되고, 제2 단부에는 바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관통하며 실이 제2 안내공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제3 안내공이 형성되며, 바늘 본체와 손잡이에는 각각 바늘 본체 및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외부로 개방되는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가 서로 일렬로 형성되고,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는 실이 외부와 제1 및 제2 안내공 사이에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제2 개방부는 제3 안내공과 대향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수용 바늘{Needle for Embroidery}
본 발명은 자수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수용 원단의 일측으로부터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을 통과시키고 그 구멍을 통하여 다시 실을 복귀시킴으로써 원단에 실의 루프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의 자수에서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을 원단에 통과시키는 데 사용되는 바늘에 관한 것이다.
자수는 직물이나 망으로 이루어지는 원단에 실을 고정시켜서 원단의 일측 표면에 배치되는 실의 패턴과 색상의 조합으로 다양한 문양이나 도형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수에는 원단에 실을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있고, 그러한 방법에 따라 독특한 질감을 나타내거나 표현할 수 있는 형태가 달라지며, 자수 작업의 방법도 달라진다.
자수 방법의 하나로서 자수용 원단의 일측으로부터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실을 통과시키고 그 구멍을 통하여 다시 실을 복귀시킴으로써 원단에 실의 루프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자수에 이용되는 바늘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는 미국 특허 제4103631호(문헌 1) 및 미국 특허 제5117772호(문헌 2)에서는 이러한 자수 기법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는데, 문헌 1에서 개시하는 바늘의 발명에 관한 사항 및 그 도면을 참고하여 자수의 방법 및 이 자수에 종래로부터 이용되어 오고 있는 바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문헌 1의 바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인 도 1과 일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바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바늘은 원단(도 3의 1)을 관통하여 원단에 실(2)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실(2)이 원단(1)에 고정되게 안내하는 바늘 본체(110)와 사람이 파지하는 손잡이(120)로 이루어져 있다.
바늘 본체(110)와 손잡이(120)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이들은 모두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실(2)이 안내되는 제1 안내공(111)과 제2 안내공(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늘 본체(110)가 손잡이(120)의 하단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바늘 본체의 제2 안내공(111)은 손잡이의 제1 안내공(121)과 연결되어 있다.
실(2)은 실타래로부터 손잡이 상단의 홀(122)을 통하여 순차로 제1 및 제2 안내공(121, 111)으로 안내되고 바늘 본체(110)의 선단(11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본체(110)의 선단(113)에는 바늘 본체(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원형의 제3 안내공(1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실(2)은 제3 안내공(114)을 통하여 바늘 본체(110)의 측면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바늘 본체의 선단(113)은 뾰족한 첨단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절개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늘(100)에 실(2)이 끼워진 상태에서의 자수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뾰족하게 형성되는 바늘 본체의 선단(113)으로 원단(1)에 구멍을 내어 바늘 본체(110)를 원단(1)에 관통시키면 실(2)도 바늘 본체(110)와 함께 원단(1)을 관통하여 이면에 놓이게 되고, 바늘 본체(110)를 다시 당겨서 원단(1)의 상면 위로 나오게 빼내면 실(2)이 바늘 본체(110)로부터 풀려나가면서 원단(1)의 이면에 루프(loop)을 형성하게 된다.
바늘 본체(110)를 원단(1)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도 3에서 화살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바늘 본체(110)를 원단(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앞선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원단(1)의 이면에는 루프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원단의 상면에는 실(2)이 바늘 본체(110)의 이동 방향에 따른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실(2)은 바늘 본체(110)가 관통하여 형성한 원단(1)의 구멍에서 서로 겹쳐져 원단(1) 및 실(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자수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2)을 도 1에 도시한 상태로 바늘(100)의 안내공들에 삽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한, 작업 방법을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실(2)을 바늘(100)에 끼우기 위한 도구로서, 삽입용 와이어(3)를 마련한다. 삽입용 와이어(3)는 스프링강을 겹쳐서 형성되며, 선단(4)이 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삽입용 와이어(3)의 선단(4)을 바늘(100)의 선단(113)으로부터 삽입하여 손잡이의 홀(1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키고, 실(2)을 삽입용 와이어의 선단(4)에 관통시킨다. 이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삽입용 와이어(3)를 후퇴시키면 그 선단(4)이 와이어의 제1 및 제2 안내공(121, 111)을 따라 이동하여 바늘 본체의 선단(113)으로 빠져나온다.
이 때, 실(2)도 삽입용 와이어의 선단(4)에 걸린 상태로 바늘 본체(110)의 선단(113)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와서, 실(2)은 실타래로부터 바늘의 제1 및 제2 안내공(121, 111)을 따라 연장되며, 실(2)의 선단이 바늘 본체의 선단(113)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삽입용 와이어(3)를 외측으로부터 바늘 본체(110)의 선단에 형성된 제3 안내공(114)을 통하여 선단(113)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실(2)의 선단을 삽입용 와이어(3)의 선단에 관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삽입용 와이어(3)를 당기면 실(2)의 선단은 제3 안내공(114)을 따라 바늘 본체의 선단(113) 외측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1에 도시된 상태이다.
이로써 자수를 위하여 실(2)을 바늘(100)에 배치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문헌 1이나 문헌 2의 바늘은, 실을 바늘에 배치하기 위하여 삽입용 와이어를 이용하여야 하며, 특히 일차로 삽입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실을 손잡이의 단부로부터 바늘 본체로 관통시키는 작업을 하고, 이어서 다시 삽입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바늘 본체 선단의 안내공으로 관통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수에서는 바늘에 실을 배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실의 종류나 색상을 달리하여 패턴을 형성하고자 실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을 계속해야 하므로 다른 자수 기법에 비하여 조작이 쉬운 자수에서 작업을 불편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문헌 1: 미국 특허 제4103631호 문헌 2: 미국 특허 제5117772호
본 발명은 자수에서 원단에 실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실이 이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바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수 작업을 위하여 바늘에 실을 배치하는 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의 바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늘에 실을 배치하는 데 있어서 실을 안내하는 별도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실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의 바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수에서 실을 원단에 통과시킬 때 원단의 상면으로부터 이면으로 통과시키는 작업 및 이면으로부터 상면으로 복귀시키는 작업에 맞추어 바늘과 실 사이에 적절한 마찰력이 인가될 수 있는 구성의 바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자수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바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늘은,
자수용 원단에 실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실이 원단에 고정되게 안내하는 바늘 본체와 사람이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손잡이와 바늘 본체는 각각 내부에 실의 안내 통로가 되는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바늘 본체는 길이 방향의 제1 단부가 손잡이의 제1 안내공의 일 단부에 삽입되어 손잡이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결합되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는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첨단으로 형성되고, 제2 단부에는 바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관통하며 실이 제2 안내공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제3 안내공이 형성되며,
바늘 본체와 손잡이에는 각각 바늘 본체 및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외부로 개방되는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가 서로 일렬로 형성되고,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는 실이 외부와 제1 및 제2 안내공 사이에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제2 개방부는 제3 안내공과 대향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늘의 구성에 따르면, 자수용 실을 바늘에 배치할 때에 먼저 실의 선단을 바늘 본체의 제3 안내공에 관통시킨 후에 실의 나머지 부분을 바늘 본체의 제2 개방부 및 손잡이의 제1 개방부를 따라 바늘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한 후에, 손잡이의 단부측에서 제1 개방부에 끼우고 실의 선단을 잡아 당기면 실이 제1 및 제2 개방부를 통하여 실의 안내 통로가 되는 제1 및 제2 안내공에 삽입된다.
이로써 자수용 실을 바늘에 배치하여 자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실을 바늘에 배치하는 작업이 매우 쉽게 간단히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부가적 특징의 하나로서, 바늘 본체는 금속 패널의 폭방향 양 측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들 사이의 중심부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어 형성되고, 폭방향 양 측부의 단부 사이는 개방되어 제2 개방부를 이루며, 폭방향 양 측부 사이의 중심부는 제2 단부에서 첨단을 이루며 제3 안내공이 마련되는 것인 바
바늘 본체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안내공과 제2 개방부를 갖춘 바늘 본체를 비교적 간단한 가공에 의해 마련할 수 있으며, 바늘 본체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 특징으로서, 제3 안내공은 바늘 본체의 제2 단부측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제1 단부측 테두리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제3 안내공으로부터 절개되는 바늘 본체의 소재가 제1 단부측으로 접혀서 제2 안내공의 표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접힌 부분이 제1 단부측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바늘 본체를 원단에 통과시킬 때에 실은 제3 안내공이 제1 테두리에 접촉하는데, 제1 테두리가 직선으로 형성되어 실과 제3 안내공 사이의 마찰이 증대되어 실을 바늘 본체에 고정 상태로 두기가 용이하게 된다. 다만, 제1 테두리가 직선으로 형성되어도 절단에 의해 예리한 모서리가 형성되지 고 절단되는 소재를 접어서 제1 테두리를 형성하므로 예리한 모서리에 의해 실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역으로, 바늘 본체를 원단으로부터 빼어 복귀시킬 때에 실은 대체로 직선으로 연장되면서 제3 안내공의 제2 테두리에 접촉하는데 제2 테두리가 실의 단면 형태에 상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므로 실과 제2 테두리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하여 실이 제3 안내공을 통과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자수에 익숙하지 않은 비숙련자라도 자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바늘 본체의 외측 둘레는 손잡이의 제1 안내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바늘 본체를 손잡이의 제1 안내공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바늘 본체의 제2 개방부 또는 손잡이의 제1 개방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바늘 본체와 손잡이가 서로 결합되고, 바늘 본체는 손잡이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바늘 본체를 손잡이에 결합할 때에 손잡이와 바늘 본체가 탄성 변형되므로 탄성 변형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바늘 본체와 손잡이가 잘 체결되는 것은 물론이고, 손잡이로부터 바늘 본체를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바늘 본체나 손잡이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문헌 1의 바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문헌 1의 바늘로 자수용 원단에 자수를 시행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문헌 1의 바늘에 삽입용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 C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D-D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선 E-E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의 종단면도로서, 실을 삽입하는 상태를 순차로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2는 바늘을 원단으로 통과시킬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용 바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바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바늘은, 자수용 원단에 실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실이 원단에 고정되게 안내하는 바늘 본체(10)와 자수 작업에서 사람이 파지하는 손잡이(20)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20)는 목재를 회전 절삭하여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측 표면(21)은 길이 방향으로 사람이 파지하기 용이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서 손잡이(20)는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하지만,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손잡이(2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의 제1 단부(21)로부터 제2 단부(22)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손잡이 내부를 관통하는 실의 안내 통로로서 제1 안내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안내공(23)은 원통형의 공간을 이루고, 자수용 실이 압축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개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방부(25)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손잡이의 외측 표면(24)으로부터 내측의 제1 안내공(23)으로 향하여 손잡이의 직경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개방부(25)는 손잡이(20)의 전체 길이에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은 자수용 실이 압축되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늘 본체(10)는 두께 1㎜ 이하의 얇은 금속 패널을 굴곡하고 절단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의 횡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늘 본체(10)는 폭이 좁고 길게 연장되는 금속 패널에서 폭 방향의 양 측부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폭 방향의 양 단부가 서로 맞닿지 않고 단부 사이가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폭 방향의 양 측부(12)와 그 사이의 중심부(11)는 서로 예각을 일고, 이들이 둘러싸는 공간이 바늘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실의 안내 통로로서의 제2 안내공(15)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안내공(15)은 바늘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바늘 본체의 길이 방향 제1 단부(16)와 선단으로 형성되는 제2 단부(17)에서 개방되어 있다.
양 측부(12)의 폭방향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중심부(11)와 대향하는 쪽에 제2 안내공(15)이 외부와 통하는 제2 개방부(13)를 형성하여, 이 제2 개방부(13)를 통하여 실이 제2 안내공(15)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개방부(13) 역시 손잡이의 제1 개방부(25)와 마찬가지로 실이 압축되어 통과될 수 있는 폭을 갖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바늘 본체(10)는 제1 단부(16)로부터 제2 단부(17)까지 횡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에서 하나의 모서리를 절단한 것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대체로 제2 안내공(15)은 삼각형의 단면을 갖고 있지만, 바늘 본체(10)를 원형 단면을 갖되 둘래의 일부가 절개되어 실이 통과하는 제2 개방부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형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실이 제2 개방부를 통과할 때에 마찰이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과 함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늘 본체(10)의 제2 단부(17)에서는, 양 측부(12)가 경사지게 절단된 형태로 되어 있고, 중심부(11)는 선단이 예각을 이루어 첨단을 이룸으로써, 제2 단부(17)는 전체적으로 원단에 구멍을 낼 수 있는 도구를 이루고 있다.
바늘 본체의 제2 단부(17)에서 중심부(11)에는 제3 안내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안내공(18)은 제1 또는 제2 안내공(21, 13)과 같이 다른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형성되는 공간은 아니며, 바늘 본체의 중심부(11)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안내공(18)은 바늘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 즉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늘 본체의 중심부(11)에 형성되어 양 측부(12) 사이의 제2 개방부(13)와는 대향하게 되어 있다.
바늘 본체의 제2 단부(17)의 선단측의 제1 테두리(18-1)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늘 본체의 제1 단부(16)측, 즉 제1 테두리(18-1)의 반대측의 제2 테두리(18-2)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늘 본체를 이루는 금속 패널의 일부를 절단하하여 제3 안내공(18)을 형성하면서, 절단되는 부분을 제1 단부(16)측을 향하여 접어서 제2 안내공(15)의 표면에 맞대어, 접힌 부분(19)이 제3 안내공(18)의 직선의 제2 테두리(8-2)를 이루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바늘 본체(10)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 패널을 절단 및 굴곡하여 마련하지만,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 마련되는 바늘 본체(10)와 손잡이(20)는 바늘 본체의 제1 단부(16) 측를 손잡이(20)의 제2 단부(22)에서 제1 안내공(23)으로 삽입하여 서로 체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렇게 체결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의 제1 안내공(23)의 직경은 바늘 본체(10)의 둘레에 접하는 외접원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0)는 제1 개방부(25)에 의해 테두리가 절개되어 있으므로 그 내부의 제1 안내공(23)보다 직경이 큰 바늘 본체(10)를 삽입하면 손잡이(20)의 제1 안내공(23)이 탄성적으로 확장되고, 바늘 본체(10)는 양 측부(12)가 서로 다가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삽입된 바늘 본체(10)의 외측 표면과 손잡이(20)의 제1 안내공(23)의 표면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여 바늘 본체(10)가 손잡이(20)에 결합된다.
바늘 본체(10)를 손잡이(10)에 삽입할 때에는 바늘 본체의 제2 개방부(13)가 손잡이의 제1 개방부(25)와 일렬로 되도록 둘레 방향의 위치를 맞추어 삽입한다. 結 따라 조립된 바늘에서 제1 개방부(25)와 제2 개방부(13)는 서로 연속되어 실이 삽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바늘에 실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수용 실(2)의 선단(5)을 바늘 본체의 제3 안내공(18)으로 관통시킨다.
자수용 실이 굵기가 굵은 털실인 경우에는 선단을 뾰족하게 만들어 제3 개방부(18)로 바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가는 실의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삽입용 와이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실의 선단(5)이 제3 안내공(18)을 통과하여 바늘의 외부로 돌출되면, 손으로 실의 선단(5)을 파지한 후에, 실타래로부터 실을 풀어서 바늘 본체의 제2 단부(17)로부터 손잡이의 제1 단부(21)로, 즉 바늘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배치한다.
이 때, 실(2)은 손잡이와 바늘 본체의 제1 및 제2 개방부(25, 13)에 인접하게 놓이게 되고, 일점 쇄선으로 실(2)을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제1 단부(21)쪽에서 실을 당겨 제1 개방부(25)에 약간 끼워지게 한 후에 바늘 본체(10)의 제3 안내공(18)으로부터 돌출된 실의 선단(5)을 잡아 당기면, 이점 쇄선으로 실(2)을 도시한 바와 같이, 실(2)은 손잡이와 바늘 본체의 제1 및 제2 안내공(23, 15)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로써 실(2)은 자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종래 기술의 바늘에서는 실을 바늘에 배치하기 위하여 삽입용 와이어를 바늘의 안내공을 통하여 관통시킨 후에 그 선단을 벌려서 실을 끼우고 잡아 당기는 복잡한 작업을 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바늘에서는 바늘 본체의 선단측에 실을 끼운 후에 바늘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실을 배치하여 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실이 바늘의 안내공들에 삽입되어 배치되므로,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실을 배치할 수 있다.
자수 작업을 할 때 실(2)이 바늘 본체의 제3 안내공(18)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원단(1)은 틈이 없는 중실의 소재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통상의 자수에서는 원단으로서 직물이 사용되고 직물은 섬유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원단(1)을 첨단으로 형성된 바늘 본체의 제2 단부(17)로 가압하면 약한 힘으로도 바늘 본체(10)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도 11에서는 바늘 본체(10)가 원단(1)을 통과하면 실의 선단(2)이 바늘의 위쪽을 향하게 되어 직선으로 형성된 제3 안내공의 제2 테두리(18-2)에서 꺽인 상태로 원단(2)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보여주고 잇다.
실(2)과 원단(1) 사이에도 마찰력이 작용하지만, 실(2)은 제3 안내공의 제2 테두리(18-2)에서 꺽인 상태이므로 제2 테두리(18-2)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실(2)이 바늘에 대해 풀려나가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원단(1)의 구멍을 통과한다.
이어서, 바늘을 후퇴시킬 때의 상태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바늘을 후퇴시킬 때에는 실(2)은 원단(1)의 이면측으로부터 원단을 관통하여 반대측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놓이게 된다.
바늘을 후퇴시키는 동작에 의해 실(2)은 주로 제3 안내공의 제1 테두리(18-1)와 접촉하는 상태로 되고, 제1 테두리(18-1)는 실의 단면 형태에 맞추어 반원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실(2)과 제3 안내공(18) 사이에는 큰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바늘을 후퇴시키는 동작에서 실(2)은 제1 내지 제3 안내공(23, 15, 18)을 따라 안내되면서 실 타래로부터 풀려나가고 원단(2)의 이면측에 루프를 남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늘을 이용한 자수에서는 바늘이 원단(2)에 구멍을 형성하면서 이면측으로 향하는 동작에서는 실(2)이 풀리지 않고 바늘에 고정되고, 바늘을 후퇴시키는 동작, 즉 원단(1)으로부터 빼내는 동작에서는 실(2)이 바늘에 고정되지 않고 안내공을 따라 풀려나가게 되므로, 자수 작업에서 바늘을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고 초보자가 자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늘의 구성과 작용 및 이를 이용한 자수 작업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의 변경과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1: 자수용 원단 2: 자수용 실
10: 바늘 본체 15: 제2 안내공
13: 제2 개방부 18; 제3 안내공
20: 손잡이 23: 제1 안내공
25: 제1 개방부

Claims (4)

  1. 자수에 이용되는 바늘로서,
    자수용 원단에 실이 통과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실이 원단에 고정되게 안내하는 바늘 본체와 사람이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손잡이와 바늘 본체는 각각 내부에 실의 안내 통로가 되는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바늘 본체는 길이 방향의 제1 단부가 손잡이의 제1 안내공의 일 단부에 삽입되어 손잡이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결합되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는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첨단으로 형성되고, 제2 단부에는 바늘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관통하며 실이 제2 안내공으로부터 외부로 안내되는 제3 안내공이 형성되며,
    바늘 본체와 손잡이에는 각각 바늘 본체 및 손잡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안내공 및 제2 안내공이 외부로 개방되는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가 서로 일렬로 형성되고,
    제1 개방부 및 제2 개방부는 실이 외부와 제1 및 제2 안내공 사이에서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제2 개방부는 제3 안내공과 대향하는 방향에 마련되는 것인 바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늘 본체는 금속 패널의 폭방향 양 측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들 사이의 중심부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어 형성되고, 폭방향 양 측부의 단부 사이는 개방되어 제2 개방부를 이루며, 폭방향 양 측부 사이의 중심부는 제2 단부에서 첨단을 이루며 제3 안내공이 마련되는 것인 바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 안내공은 바늘 본체의 제2 단부측 테두리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제1 단부측 테두리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제3 안내공으로부터 절개되는 바늘 본체의 소재가 제1 단부측으로 접혀서 제2 안내공의 표면에 맞닿아 배치되어 접힌 부분이 제1 단부측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인 바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늘 본체의 외측 둘레는 손잡이의 제1 안내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바늘 본체를 손잡이의 제1 안내공에 삽입하여 결합할 때 바늘 본체의 제2 개방부 또는 손잡이의 제1 개방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바늘 본체와 손잡이가 서로 결합되고, 바늘 본체는 손잡이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인 바늘.
KR1020180033118A 2018-03-22 2018-03-22 자수용 바늘 KR101917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18A KR101917372B1 (ko) 2018-03-22 2018-03-22 자수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118A KR101917372B1 (ko) 2018-03-22 2018-03-22 자수용 바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72B1 true KR101917372B1 (ko) 2019-01-24

Family

ID=6527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18A KR101917372B1 (ko) 2018-03-22 2018-03-22 자수용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753A (ko) 2021-03-22 2022-09-29 송서윤 자수용 바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631A (en) 1977-05-20 1978-08-01 Sharon Mae Gray Embroidery punch
KR870000488Y1 (en) * 1985-05-25 1987-02-16 Han Mu Yol Knitting machine
US5117772A (en) 1990-11-23 1992-06-02 The Punch Connection Punch embroidering tool
CN204919017U (zh) * 2015-07-08 2015-12-30 际华三五零二职业装有限公司 一种皮革缝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631A (en) 1977-05-20 1978-08-01 Sharon Mae Gray Embroidery punch
KR870000488Y1 (en) * 1985-05-25 1987-02-16 Han Mu Yol Knitting machine
US5117772A (en) 1990-11-23 1992-06-02 The Punch Connection Punch embroidering tool
CN204919017U (zh) * 2015-07-08 2015-12-30 际华三五零二职业装有限公司 一种皮革缝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753A (ko) 2021-03-22 2022-09-29 송서윤 자수용 바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7049B2 (ja) 手芸用ニードルパンチセット、手芸用ニードルパンチャー、および手芸用補助具
KR101917372B1 (ko) 자수용 바늘
US5165582A (en) Sewing machine threading guide and method
JP6842459B2 (ja) 改善された編み針並びに丸編み針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150361602A1 (en) Piercing Crochet Hook
KR102504012B1 (ko) 자수용 바늘
US20090085268A1 (en) Handicraft work assisting device
US3893602A (en) Needle threader
US4603560A (en) Apparatus for removing snags from fabric
US5103746A (en) Embroidery
KR20190094289A (ko) 카펫류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니들 조립체
KR920003254B1 (ko) 여러가닥의 실로 십자뜨기 봉합부를 형성하는 십자뜨기 재봉틀
JP5378580B1 (ja) ニードルパンチャー
WO20190465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KNITTING NEEDLE
US1469906A (en) Tufting needle
US1863466A (en) Loop-forming needle
US3566452A (en) Button holder
US4423894A (en) Carpet-knotting instrument
JP7486159B2 (ja) 手芸針
EP0424585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mbroidery
JPS60863Y2 (ja) ミシンのル−パ用糸通し器
JP3156742U (ja) 迅速に糸通しのできるミシン針
US5588568A (en) Eyelet threader
JP2873225B2 (ja) 長円状針孔を有する縫製針のための糸通し片
RU22364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шива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