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13Y1 - 램프 - Google Patents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13Y1
KR200450613Y1 KR2020100004200U KR20100004200U KR200450613Y1 KR 200450613 Y1 KR200450613 Y1 KR 200450613Y1 KR 2020100004200 U KR2020100004200 U KR 2020100004200U KR 20100004200 U KR20100004200 U KR 20100004200U KR 200450613 Y1 KR200450613 Y1 KR 200450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ulb
lamp
lead wire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기영
Original Assignee
공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기영 filed Critical 공기영
Priority to KR2020100004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2Circular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8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 H01J5/60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for fastening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벌브의 발광부와 베이스를 땜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 중 벌브와 인접한 리드선의 땜납부분이 램프의 장시간 점등사용으로 인해 발생된 열 또는 초기 점등시 고전압 인가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훼손되고, 훼손된 부분으로 노출된 리드선의 선단부에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벌브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램프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도록 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램프{Lamp}
본 고안은 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벌브의 발광부와 베이스를 땜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리드선 중 벌브와 인접한 리드선의 땜납부분이 램프의 장시간 점등사용으로 인해 발생된 열 또는 초기 점등시 고전압 인가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훼손되고, 훼손된 부분으로 노출된 리드선의 선단에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벌브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램프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도록 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백열등, 할로겐 램프, 가스 방전등 등 현재까지 여러가지 종류의 램프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 같은 램프들은 대부분 범용성과 호환성을 위해 내부에 발광부를 수용하고 진공 또는 봉입가스로 채워진 벌브(bulb)의 상단에 소위 '에디슨 베이스'를 벌브와 일체로 장착하여 '에디슨 베이스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위 전구형 램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부분절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단면도 이다. 가스 방전등의 한 일종인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전원을 공급하는 에디슨 베이스 소켓(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베이스(120)와, 내부에 발광부(111)를 갖으며 상기 베이스(120)에 결합형성되는 벌브(110)와, 상기 베이스(120)로부터 상기 벌브(110)의 발광부(111)까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한 쌍의 리드선(130a, 13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벌브(110)는 경질 유리나 석영 유리제로, 베이스(120)와 결합되는 나선부분에 하나의 오목부(113)를 구비한 나선형 벌브 액세스부(112)가 형성되고, 내부에 방전관(1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방전관(115)(Arc tube)에는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상기 방전관(115)의 내부에는 전극(116)이 위치하고, 벌브(110)의 정수리 부분에는 내부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딤플(117)이라고 부른다. 이 딤플(117)에 방전관(115)과 연결된 지지대(118)가 부착된다. 이 지지대(118)는 철사 같은 것으로 방전관(115)의 위치를 확고히 잡아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베이스(120)는 나사식(E형)의 베이스로 중앙부에 관통홀(124)을 갖는 아일렛(123)과, 이 아일렛(123)의 관통홀(124)과 대응하는 동일한 관통홀(124)을 갖는 유리제의 절연부(122)를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벌브 액세스부(112)와 나사결합되는 베이스 액세스부(121)를 갖는다. 또한, 벌브(110)의 베이스(120) 측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11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두 개의 리드선(130a, 130b)이 도출되어 있다. 이 중 한쪽의 리드선(130b)은 베이스의 아일렛(123)과 절연부(122)에 구비된 관통홀(124)에 삽입되어 아일렛(123)의 외부로 인출된 후 이 아일렛(123)의 외면에 땜납(140) 되어 상기 아일렛(1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리드선(130a)은 벌브(110)의 벌브 액세스부(112)와 베이스(120)의 베이스 액세스부(121) 사이 오목부(1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오목부(113) 하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 후 이 오목부(113)와 베이스 액세스부(121) 사이로 유입된 땜납(140)에 의해 베이스 액세스부(1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오목부(113)와 베이스 액세스부(121)와의 사이에 용융되어 유입된 땜납(140)은 경화됨으로써 상기 벌브 액세스부(112)와 베이스 액세스부(121)를 서로 일체화시켜 벌브(110)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포함한 램프에 있어서는 초기 램프의 점등을 위해 인가되는 고전압으로 열이 발생하거나, 램프를 장시간 점등 사용시 발광부(111)에서 나오는 고열에 의해 베이스(1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오목부(113)와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사이에 유입된 땜납(140)이 녹아 차츰 소실되게 되며, 소실된 땜납(140)으로 인해 리드선(130a)의 선단부가 도 1의 확대부(A')와 같이 노출되게 된다. 이렇게 노출된 리드선(130a)의 선단부와 베이스(120)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함에 따라 전류가 안정적으로 흐르지 못하게 되고, 이 스파크에 의해 유리로된 벌브(110) 표면이 깨지는 등 벌브(110)가 파손된다. 또한, 상기 벌브(110)의 오목부(113)와 베이스 액세스부(121) 사이로 유입된 땜납(140)에 의해 벌브(110)가 베이스(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었으나, 땜납(140)이 열에 의해 녹아 소실되면서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격에 의해 벌브(110)와 베이스(120)가 유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벌브, 베이스 및 리드선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램프의 초기 점등시 또는 램프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고열이 발생하여도 리드선의 단락을 방지하여 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함은 물론, 벌브의 표면파손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리드선이 위치한 오목부와는 별도로 또 다른 오목부를 구비하여 이 오목부와 대응하는 베이스 액세스부 사이에 충분한 땜납을 유입시켜 벌브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는 램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는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내부에 발광부를 갖으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형성되는 벌브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벌브의 발광부까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한 쌍의 리드선으로 이루어진 램프에 있어서, 상기 벌브는 상기 리드선이 인출되는 나선형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두 개의 오목부를 대응하도록 구비한 벌브 액세스부를 형성하되, 이 벌브 액세스부와 상기 베이스의 결합시 하나의 오목부에는 상기 리드선 중 한쪽의 리드선이 이 오목부와 베이스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 후 선단이 베이스 상측을 향하여 벌브와 이격되게 베이스의 외면에 인동용접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오목부와 베이스의 사이에는 용융된 땜납을 유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벌브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벌브 액세스부와 나사결합하는 베이스 액세스부의 상단에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관통홀로 연결된 아일렛에 상기 리드선 중 다른 한쪽의 리드선이 인동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램프의 초기 점등시 고전압 인가로 발생하는 고열 또는 램프의 장시간 사용으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해 땜납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땜납 소실로 노출된 리드선의 선단부와 베이스 사이에서 발생하던 스파크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함은 물론, 스파크에 의한 벌브의 표면파손을 방지하여 램프의 수명을 연장하여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리드선이 위치한 오목부와는 별도로 또 다른 오목부를 구비하여 이 오목부와 대응하는 베이스 액세스부 사이의 공간에 충분한 땜납을 유입시켜 벌브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부분절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부분절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요부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된 기술이거나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기능이 동일한 경우에는 동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부분절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요부 확대단면도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램프(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베이스(120)와, 내부에 발광부(111)를 갖으며 상기 베이스(120)에 결합형성되는 벌브(110)와, 상기 베이스(120)로부터 상기 벌브(110)의 발광부(111)까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한 쌍의 리드선(130a, 130b)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100)는 상기 벌브(110)와 베이스(120)의 구조를 개선하여 램프(100)의 초기 점등시 또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고열이 발생하여도 리드선(130a)의 단락(short circuit)을 방지하여 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함은 물론, 벌브(110)의 표면파손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이 연장된 램프(100)를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내부에 발광부(111)를 갖으며 한쪽이 돌출연장되어 형성된 벌브 액서스부(112)의 외면에 두 개의 오목부(113a, 113b)를 구비한 벌브(110)와, 이 벌브(110)의 오목부(113a, 113b)를 적어도 일부 덮도록 결합되는 베이스(120)와, 상기 베이스(120)로부터 상기 벌브(110)의 발광부(111)까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한 쌍의 리드선(130a, 130b)으로 구성된다.
상기 벌브(110)는 상기 리드선(130a, 130b)이 인출되는 나선형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두 개의 오목부(113a, 113b)를 대응하도록 구비한 벌브 액세스부(112)를 형성하되, 이 벌브 액세스부(112)와 상기 베이스(120)의 결합시 하나의 오목부(113a)에는 상기 리드선 중 한쪽의 리드선(130a)이 이 오목부(113a)와 베이스(120)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 후 선단이 베이스(120) 상측을 향하여 벌브(110)와 이격되게 베이스(120)의 외면에 인동용접(150)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오목부(113b)와 베이스(120)의 사이에는 용융된 땜납(140)을 유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벌브(110)가 베이스(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0)는 상기 벌브 액세스부(112)와 나사결합하는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상단에 절연부(122)를 사이에 두고 관통홀(124)로 연결된 아일렛(123)에 상기 리드선 중 다른 한쪽의 리드선(130b)이 인동용접(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113a, 11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브 액세스부(112)의 외면과 수직방향으로 벌브 액세스부(112)를 따라 길게 홈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벌브 액세스부(112)의 외면에 두 개 형성된 오목부(113a, 113b)중 하나의 오목부(113a)에는 도 2의 확대부(A)와 같이 이 오목부(113a)에 의해 벌브 액세스부(112)와 후술할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벌브(110)와 이격되게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외면에 베이스 액세스부(121)와 인동용접(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리드선(130a, 130b) 중 한쪽의 리드선(130a)이 구비된다. 이때, 이 리드선(130a)은 땜납보다 강도가 좋고 용융온도가 높은 인동용접(150)에 의해 나선형의 베이스 액세스부(121) 외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인동용접(150)의 특성상 모재(母材)인 베이스 액세스부(121)가 녹아 용입(鎔入)되거나 용접시 고열의 용접온도로 인해 벌브(110)가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리드선(130a)이 벌브(110)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나선형의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나선등에 인동용접(150)된다. 인동용접(150)은 동에 인을 첨가한 인동용접재료를 사용하는데 용융온도와 강도가 높으므로 램프(100)의 초기 점등시 고전압에 의한 고열이나 발광부(111)에 의한 고열에도 견디는 힘이 좋으므로 리드선(130a)과 베이스 액세스부(1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을 정도의 소량 용접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리고 도 2의 확대부(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오목부(113b)에 의해 벌브 액세스부(112)와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충분한 땜납(140)을 유입시켜 벌브(110)가 베이스(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 특히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액세스부(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 액세스부(112)에 형성된 오목부(113a, 113b)의 일부를 덮도록 결합형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액세스부(121)는 하단이 고광도(高光度)의 대용량(Watt) 발광부(111)를 수용하기 위해 벌브(110)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직경이 커진 벌브 액세스부(112)가 결합되도록 벌브(110) 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길이가 연장된 나선형태의 확장부(1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램프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벌브(110)의 벌브 액세스부(112)와 상기 베이스(120)의 베이스 액세스부(121)를 나사결합하되, 벌브 액세스부(112)의 상단으로 노출된 한 쌍의 리드선(130a, 130b) 중 한쪽의 리드선(130a)을 벌브 액세스부(112)의 오목부(113a)를 통해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하단 또는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확장부(121') 하단으로 인출시켜 베이 액세스부(121) 상측방향으로 벌브(110)와 이격되게 베이스 액세스부(121) 또는 확장부(121')의 외면에 베이스 액세스부(121) 또는 확장부(121')와 인동용접(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다른 쪽의 리드선(130b)은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상단에 절연부(122)를 사이에 두고 관통홀(124)로 연결된 아일렛(123)의 외면에 인동용접(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램프(100)초기 점등시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한 고열이나 램프(100)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발광부(111)에서 발행하는 고열에 의해 인동용접(150)이 소실됨이 없고, 종래 땜납(140) 소실로 노출된 리드선(130a)의 선단부에서 발생하던 스파크도 발생하지 않아 전류가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됨은 물론, 벌브(110)의 표면파손이 없어 램프(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한쪽의 리드선(130a)이 통과된 오목부(113a)를 제외한 다른 쪽의 오목부(113b)에는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하단이나 확장부(121')의 하단을 통해 충분한 땜납(140)을 유입시켜 벌브(110)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확고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램프 110: 벌브
111: 발광부 112: 벌브 액세스부
113, 113a, 113b: 오목부 115: 방전관
116: 전극 117: 딤플
118: 지지대 120: 베이스
121: 베이스 액세스부 121': 확장부
122: 절연부 123: 아일렛
124: 관통홀 130a, 130b: 리드선
140: 땜납 150: 인동용접

Claims (2)

  1.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120)와, 내부에 발광부(111)를 갖으며 상기 베이스(120)에 결합형성되는 벌브(110)와, 상기 베이스(120)로부터 상기 벌브(110)의 발광부(111)까지 전기적으로 결선하는 한 쌍의 리드선(130a, 130b)으로 이루어진 램프(100)에 있어서,
    상기 벌브(110)는 상기 리드선(130a, 130b)이 인출되는 나선형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두 개의 오목부(113a, 113b)를 대응하도록 구비한 벌브 액세스부(112)를 형성하되, 이 벌브 액세스부(112)와 상기 베이스(120)의 결합시 하나의 오목부(113a)에는 상기 리드선 중 한쪽의 리드선(130a)이 이 오목부(113a)와 베이스(120)의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된 후 선단이 베이스(120) 상측을 향하여 벌브(110)와 이격되게 베이스(120)의 외면에 인동용접(150) 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오목부(113b)와 베이스(120)의 사이에는 용융된 땜납(140)을 유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벌브(110)가 베이스(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120)는 상기 벌브 액세스부(112)와 나사결합하는 베이스 액세스부(121)의 상단에 절연부(122)를 사이에 두고 관통홀(124)로 연결된 아일렛(123)에 상기 리드선 중 다른 한쪽의 리드선(130b)이 인동용접(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액세스부(121) 하단은 밝기가 400W 이상의 대용량 발광부(111)를 수용하기 위해 벌브(110)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직경이 커진 벌브 액세스부(112)가 결합되도록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확장부(1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KR2020100004200U 2010-04-21 2010-04-21 램프 KR200450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00U KR200450613Y1 (ko) 2010-04-21 2010-04-21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00U KR200450613Y1 (ko) 2010-04-21 2010-04-21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613Y1 true KR200450613Y1 (ko) 2010-10-15

Family

ID=4447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00U KR200450613Y1 (ko) 2010-04-21 2010-04-21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06Y1 (ko) * 2020-07-09 2022-10-12 공기영 차열판이 설치된 메탈 할라이드 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70Y1 (ko) * 2000-10-10 2001-09-29 (주) 맥코이교역 발광다이오드 램프
JP2005122970A (ja) * 2003-10-15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管球
JP2008218161A (ja) * 2007-03-02 2008-09-18 Ssec Kk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の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70Y1 (ko) * 2000-10-10 2001-09-29 (주) 맥코이교역 발광다이오드 램프
JP2005122970A (ja) * 2003-10-15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管球
JP2008218161A (ja) * 2007-03-02 2008-09-18 Ssec Kk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の接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06Y1 (ko) * 2020-07-09 2022-10-12 공기영 차열판이 설치된 메탈 할라이드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7115A (ja) 外側エンベロープを有する電球形蛍光ランプ及びその作製方法
US7598662B2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lamp with an adhering unit to improve luminous efficiency
JPH10334792A (ja) 環形蛍光ランプ
KR200450613Y1 (ko) 램프
US8330370B2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mproved thermal management
US7973479B2 (en) Discharge lamp
JP4780281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US20090134762A1 (en) Electric discharge lamp
JP2006310076A (ja) 管型白熱電球
CN101203936B (zh) 卤素白炽灯及制造此种灯的方法
CN101153699B (zh) 紧凑的抛物线型反射器灯
KR102317224B1 (ko) 전구 스템
KR200424939Y1 (ko) 형광등 탈부착용 전자식 안정기
JP2006286378A (ja) 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装置
US8896205B1 (en) Quartz light
JP2006080079A (ja) 白熱ランプ
JP2010182487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5459051B2 (ja) セラミック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2010257848A (ja) 車輌用前照灯
JP5187652B1 (ja) 高ワットセラミック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3937109B2 (ja) 安定器内蔵形高圧放電ランプ
JPS5941566Y2 (ja) けい光ランプ装置
US8508113B2 (en) Hybrid compact fluorescent lamp fixing method
KR200443716Y1 (ko) 메탈 할라이드 램프
JP2702765B2 (ja) ヒューズ内蔵白熱電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