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29Y1 - 트윈스프링 체결구 - Google Patents

트윈스프링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29Y1
KR200450429Y1 KR2020080014102U KR20080014102U KR200450429Y1 KR 200450429 Y1 KR200450429 Y1 KR 200450429Y1 KR 2020080014102 U KR2020080014102 U KR 2020080014102U KR 20080014102 U KR20080014102 U KR 20080014102U KR 200450429 Y1 KR200450429 Y1 KR 200450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win
twin spring
roll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03U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김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2020080014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2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 B42B5/103Devices for assembling the elements with the stack of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윈스프링 체결구에 있어서, 구동축 지지판(6)상에 삼각형 구도로 축설치된 세 개의 풀리들(10)(12)(14)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외향 계수톱니(16a)들이 형성된 벨트(16)를 체결 구성하며, 펀칭구멍들이 하방 위치한 제본대상물(B)이 이송되는 이송지지판(4)의 하측에는 트윈스프링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트윈스프링 안내로를 따라 이송되는 트윈스프링(T)이 벨트(16)의 계수톱니(16a)들에 끼워지며 상하 위치조정 가능한 풀리(14)에서 트윈스프링(T)이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도록 안내되고, 풀리(14)에 연동 회전하는 압박롤(26)에 의해서 눌리면서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은 트윈스프링(T)이 완전 삽입 및 체결되게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트윈스프링을 삽입 체결함에 있어 에러없이 정확한 체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igure R2020080014102
트윈스프링, 제본대상물, 펀칭구멍, 삽입, 체결

Description

트윈스프링 체결구{Twin spring binder}
본 고안은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본 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에러 없이 트윈스프링을 체결시키는 트윈스프링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 달력 등 많은 제본 대상물이 트윈스프링(twin spring)이라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체결(binding)되고 있다. 이러한 트윈스프링은 가는 철사를 지그재그로 밴딩하여 반원을 벌려 놓은 듯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C"자모양의 고리를 옆으로 연속하여 이어놓은 듯한 모양으로 되어 있어 체결시 제본대상물에 형성된 펀칭 구멍에 맞추고 누르면 체결이 완료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코일스프링과 같이 한쪽 끝을 제본대상물의 첫 번째 구멍으로 삽입하여 돌려서 다음 번 구멍에 순차적으로 끼워서 체결하는 방식에 비해 불편함을 덜 수 있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제본대상물들이 트윈스프링으로 제본되고 있다. 상기 트윈스프링은 트윈 링(twin ring) 또는 더블링(double ring) 또는 더블스프링(double spring)으로도 불리어진다.
상기 트윈스프링을 이용하여 제본 대상물을 체결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 의 종래의 예는 등록실용신안 제0117504호(1998.02.10)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트윈스프링을 일정한 길이로 이송시키고 정지된 상태에서 커터날을 이용하여 일정길이로 트윈 스프링을 절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절단된 트윈 스프링을 기준판 위치까지 이송하고, 작업자에 의해 제본 대상물이 기준판에 맞춰 세팅되면, 세팅된 제본대상물의 펀칭 구멍에 상기 트윈스프링이 삽입되면서 압축됨에 의해 제본 완료물이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윈스프링 체결장치는 트윈스프링을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하고 체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러가 발생된다. 즉 제본 대상물의 펀칭구멍에 트윈스프링이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하는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트윈스프링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윈스프링을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삽입 및 체결시에 에러발생을 줄이고 정확한 체결이 가능한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트윈스프링 체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윈스프링 체결 구에 있어서, 구동축 지지판(6)상에 삼각형 구도로 축설치된 세 개의 풀리들(10)(12)(14)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외향 계수톱니(16a)들이 형성된 벨트(16)를 체결 구성하며, 펀칭구멍들이 하방 위치한 제본대상물(B)이 이송되는 이송지지판(4)의 하측에는 트윈스프링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트윈스프링 안내로를 따라 이송되는 트윈스프링(T)이 벨트(16)의 계수톱니(16a)들에 끼워지며 상하 위치조정 가능한 풀리(14)에서 트윈스프링(T)이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도록 안내되고, 풀리(14)에 연동 회전하는 압박롤(26)에 의해서 눌리면서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은 트윈스프링(T)이 완전 삽입 및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압박롤(26)의 하부에는 후방부가 상향경사지게 절곡된 탄지플레이트(32)가 장치되어서 제본대상물(B)을 압박롤(26)측으로 근접 안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압박롤(26)의 하류부에는 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선회 및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로와 측방롤(30)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롤(26)과 측방롤(30)은 롤원주면에서 탄성재질 외피(26a)(30a)가 피복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본대상물의 펀칭구멍에 트윈스프링을 삽입 체결함에 있어 에러없이 정확한 체결이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겉지공급부(110), 속지공급부(120), 이송부(130), 스프링 계수부(140), 스프링 체결부(150), 적재부(160)를 구비하며, 이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 선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10-0835075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트윈스프링 체결을 위한 제본대상물은 겉지와 속지로 구성하며, 초기에 겉지는 겉지 공급부(110)의 적재공간에 적재되어 있으며, 속지는 속지공급부(120)의 적재공간에 적재된다. 또 겉지와 속지에는 트윈스프링의 길이 및 간격에 동일하게 펀칭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겉지공급부(110)에서는 일정주기로 겉지를 이송부(130)로 공급한다. 겉지가 공급되는 타이밍에 맞게 속지공급부(120)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일정단위의 속지를 잡을 수 있는 위치까지 속지를 공급하게 된다.
작업자는 일정단위의 속지를 집어서 이송 중에 있는 겉지의 상부면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후 겉지와 속지로 된 제본대상물은 이송부(130)에 의해서 스프링 체결부(150)로 이송된다.
이송부(130)에 의해서 제본 대상물이 스프링 체결부(150)까지 이송되는 동안에, 별도의 스프링 공급장치(미도시됨)로부터는 하나로 쭉이어진 트윈스프링이 스 프링 계수부(140)로 공급되어서 계수되고 절단된다. 즉 스프링 계수부(140)는 트윈스프링을 일정 길이로 계수하여 절단기로 절단한 후에 스프링 체결부(150)에 절단된 트윈스프링을 공급한다.
스프링 체결부(150)는 절단된 트윈 스프링을 제본 대상물에 삽입 결합하는 체결동작을 수행하고 그 제본 완료물을 적재부(160)로 배출하며, 본 고안에서의 트윈스프링 체결구(2)에 해당하는 장치부이다.
적재부(160)에서는 스프링 체결부(150)에서의 제본 완료물을 교차적으로 적재한다. 즉 한번은 그대로 적재하고, 다음번은 뒤집어 적재하는 방식으로 스프링이 체결된 부분이 연속하여 맞닿지 않도록 적재해준다.
도 2는 도 1의 스프링 체결부(150)의 주요부에 해당하는 본 고안의 트윈스프링 체결구(2)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트윈스프링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트윈스프링 체결구(2)는 제본대상물의 이송을 지지하는 이송지지판(4)의 하측상면 최근방에 구동축 지지판(6)을 연직되게 설치하며, 이송지지판(4)의 하측단에는 절곡 걸림턱(8a)을 갖는 스프링이송 안내브라켓(8)이 설치되어 트윈스프링 안내로를 형성하면서 트윈스프링(T)의 이송을 안내한다.
구동축 지지판(6)상에는 기어이빨을 갖는 세 개의 풀리(10)(12)(14)가 삼각형 구도로 축설치되고, 세 개의 풀리(10)(12)(14)를 빙두른 벨트(16)가 체결되게 구성한다. 벨트(16)는 트윈스프링을 일정길이로 계수하기 위한 외향 계수톱니(16a)들과 각 풀리의 기어이빨과 이물림하기 위한 내향 이빨들을 갖는다.
세 개의 풀리(10)(12)(14)중 구동풀리(10)는 구동축 지지판(6)의 후면에 설치된 구동모터(13)와 벨트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삼각형 구도의 밑변 양단에 위치한 구동풀리(10)와 피동풀리(14)간에는 도 1의 스프링 계수부(140)에 포함된 절단기(18)가 설치된다. 또 절단기(18)의 인접 하류에는 벨트(16)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눌려주는 압지롤(20)이 설치되어서 절단기(18)에서 트윈스프링을 절단시 절단되어질 부위의 트윈스프링(T)이 요동없도록 잡아준다.
삼각형 구도의 밑변 양단에 위치된 풀리(10)(14)들중 우측의 풀리(14)는 그 상부에 풀리(14)의 상하위치를 조정하는 승강조정볼트(22)가 설치된다. 승강조정볼트(22)는 풀리(14)의 축부와 일체화되게 장치되므로 풀리(14)에 체결된 벨트(16)가 트윈스프링(T)을 적절하게 눌려줄 정도가 되도록 높낮이 조절되어진 후 위치고정된다.
또 풀리(14)의 하류 근방에는 압박롤(26)이 설치되며, 풀리(14)와는 고무재질의 연결링(28)으로 체결된다. 그러므로 압박롤(26)은 풀리(14)와 함께 연동회전하게 된다. 압박롤(26)은 롤 원주면에서 탄성재질 외피(26a)가 피복형성된다.
그리고 압박롤(26)의 하부저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후방부가 상향경사지게 절곡된 탄지플레이트(32)가 장치되어서 제본대상물(B)을 압박롤(26)측으로 근접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압박롤(26)의 하류부에는 트윈스프링(T)의 벌어진 부위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선회 및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로와 측방롤(30)이 형성되게 구성한다.
상기 경사이송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지지판(4)의 하단 측면에 장착되어 트윈스프링(T)의 진행방향으로 점점 전방 상향경사 형성된 경사안내편(34)과, 고정부재(24)에 장착되며 측방롤(30)에 인접하여서 트윈스프링(T)의 상부가 더 이상올라오지 못하게 막아주는 상부 지지편(36)으로 구성한다. 상기 측방롤(26)은 축이 상류부의 압박롤(36)의 축과 연직하는 아이들롤러로서 롤원주면에서 탄성재질 외피(26a)가 피복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은 제본대상물(B)에 절단된 트윈스프링(T)을 삽입 체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4 및 도 5는 풀리(14)와 압박롤(26)을 후방관점에서 본 요부 도면이고, 도 6은 압박롤(26) 및 측방롤(30)을 상방관점에서 본 요부 도면이며, 도 7은 측방롤(30)의 측단면도이다.
삼각형 구도로 된 세 개의 풀리(10)(12)(14)가 구동함에 따라 절단기(18)에서 절단된 트윈스프링(T)은 스프링이송 안내브라켓(6)에 의해 형성된 트윈스프링 안내로의 상방을 경유하는 벨트(16)의 외향 계수톱니(16a)에 끼워져 이송을 하게 되며 상하 위치조정 가능한 하류측의 풀리(14)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트윈스프링(T)이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도록 안내된다.
그후 상기 풀리(14)와 연결링(28)으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압박롤(26)측으로 트윈스프링(T)이 진행되고 이송지지판(4)상에서 좌에서 우로 이송되는 제본대상물(B)은 도 5에 도시된 같이 후방부가 상향경사지게 절곡된 탄지플레이트(32)의 상면을 지나면서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들이 압박롤(26)측으로 근접 안내되므로 트원스프링(T)이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완전 삽입이 되어진다.
압박롤(26)의 하류부에서는 아이들롤러인 측방롤(30)과 경사안내편(34) 및 상부지지편(36)으로 된 경사이송로에 의해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트윈스프링(T)의 벌어진 부위가 후방에서 하방으로 향하도록 선회 및 이송되어지면서 벌어진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한다. 즉 전방상향 경사진 안내하는 경사안내편(34)와 측방롤(30)의 트윈스프링(T)의 측면상부를 누름에 따라 트윈스프링(T)의 벌어진 부위가 선회하되 상부지지편(36)에 의해 막힌 상태로 안정적으로 선회를 하여서 후방에 위치한 트윈스프링(T)의 벌어진 부위가 하방으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측방롤(30)을 통과한 트윈스프링(T) 체결된 상태의 제본대상물(B)은 후단에 있는 프레스(미도시됨)로 이동하고, 상기 프레스에 의해서 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서로 맞붙어 체결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스에 의한 압축동작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스프링 체결부의 주요부에 해당하는 본 고안의 트윈스프링 체결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트윈스프링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

Claims (4)

  1.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스프링 체결구에 있어서,
    구동축 지지판(6)상에 삼각형 구도로 축설치된 세 개의 풀리들(10)(12)(14) 외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외향 계수톱니(16a)들이 형성된 벨트(16)를 체결 구성하며, 펀칭구멍들이 하방 위치한 제본대상물(B)이 이송되는 이송지지판(4)의 하측에는 트윈스프링 안내로가 형성되고 상기 트윈스프링 안내로를 따라 이송되는 트윈스프링(T)이 벨트(16)의 계수톱니(16a)들에 끼워지며 상하 위치조정 가능한 풀리(14)에서 트윈스프링(T)이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도록 안내되고, 풀리(14)에 연동 회전하는 압박롤(26)에 의해서 눌리면서 제본대상물(B)의 펀칭구멍에 자리 잡은 트윈스프링(T)이 완전 삽입 및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압박롤(26)의 하부에는 후방부가 상향경사지게 절곡된 탄지플레이트(32)가 장치되어서 제본대상물(B)을 압박롤(26)측으로 근접 안내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체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박롤(26)의 하류부에는 트윈스프링의 벌어진 부위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선회 및 이송시키는 경사이송로와 측방롤(30)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체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압박롤(26)과 측방롤(30)은 롤 원주면에서 탄성재질 외피(26a)(30a)가 피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체결구.
KR2020080014102U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체결구 KR200450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02U KR200450429Y1 (ko)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02U KR200450429Y1 (ko)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03U KR20100004503U (ko) 2010-05-03
KR200450429Y1 true KR200450429Y1 (ko) 2010-10-01

Family

ID=4419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102U KR200450429Y1 (ko)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2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292A (ja) 1984-10-04 1986-05-01 笹岡 武徳 多穴積層紙綴込装置
KR20010017501A (ko) * 1999-08-12 2001-03-05 윤종용 디지털방송 수신카드 인터페이스장치
JP2008213168A (ja) 2007-02-28 2008-09-18 Max Co Ltd コイル成形機及び用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292A (ja) 1984-10-04 1986-05-01 笹岡 武徳 多穴積層紙綴込装置
KR20010017501A (ko) * 1999-08-12 2001-03-05 윤종용 디지털방송 수신카드 인터페이스장치
JP2008213168A (ja) 2007-02-28 2008-09-18 Max Co Ltd コイル成形機及び用紙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03U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479B1 (ko) 커트지 송급 장치
US7942406B2 (en) Roll feeder
US11077694B2 (en) Post-processing device
CN110121428B (zh) 骑马装订系统
GB2267460A (en) Apparatus for manually binding pads of perforated sheets of various sizes with wire binding elements.
CN100577540C (zh) 装订设备和印刷品装订方法
KR200450429Y1 (ko) 트윈스프링 체결구
CN206476569U (zh) 一种分卡输送机
KR100918510B1 (ko)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JP4259661B2 (ja) 中綴製本機への折丁集積体供給システム
JP5069914B2 (ja) パン生地巻上装置
JP2019127389A (ja) フィーダーと該フィーダーを組込んだ投入機
US7988138B2 (en) Gatherer stitcher with variable chain pitch
JP5377677B2 (ja) カット紙送給装置
US20150119223A1 (en) Sheet folding apparatus and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CN110946303B (zh) 一种烟叶编织用自动上料装置
JP2008143640A (ja) 給紙ホッパ
CN207389744U (zh) 折后药品说明书传送机构
CN206476459U (zh) 一种收料装置
US757209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rinted end product comprised of one or more printed product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462305B2 (ja) 用紙処理装置
US9617095B1 (en) Spool and spindle guide system
JP6656659B2 (ja) 用紙綴じ装置
US84137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tacks composed of printed products
JP5311230B2 (ja) 折丁搬送方法および折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