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372Y1 - 배관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372Y1
KR200450372Y1 KR2020080003941U KR20080003941U KR200450372Y1 KR 200450372 Y1 KR200450372 Y1 KR 200450372Y1 KR 2020080003941 U KR2020080003941 U KR 2020080003941U KR 20080003941 U KR20080003941 U KR 20080003941U KR 200450372 Y1 KR200450372 Y1 KR 200450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sleeve
insertion hole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832U (ko
Inventor
이재종
Original Assignee
이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종 filed Critical 이재종
Priority to KR2020080003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7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09Joints for pipes with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연통하도록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개구를 갖는 연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유로부와, 상기 각 연결개구에 연통하고 상기 연결유로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피스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유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접속관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관부를 갖는 접속피스와; 안내관부와 상기 안내관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슬리브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관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관부와 상기 고정관부중 어느 일방의 외표면에는 고정관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관부를 통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는 접속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단턱과 상기 접속관부의 종단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과; 상기 접속슬리브가 상기 접속관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상기 접속관띠삽입공과 상기 고정관띠삽입공에 설치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관연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배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관, 접속피스, 접속슬리브, 고정띠

Description

배관연결장치{Duct Connecting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결합단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밀폐링영역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요부단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걸림홈과 걸림돌부영역의 단면도,
도6 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종래의 배관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9는 종래의 배관연결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접속피스 11, 111 : 연결유로부
12, 112 : 접속관부 20 : 접속슬리브
21 : 안내관부 22 : 고정관부
24 : 걸림날개부 30, 130 : 밀폐링
40 : 고정띠 201 : 배관
본 고안은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에 설치되는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에는 공조용 등의 목적으로 배관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배관연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의 배관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배관연결장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티(T)자형태의 접속피스(110)와, 접속피스(110)에 부착된 접착테이프(150)와, 접속피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3개의 밀폐링(130)을 갖고 있다.
접속피스(110)는 연결유로(111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유로부(111)와, 연결유로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된 3개의 접속관부(112)를 갖고 있다.
연결유로부(111)에는 3개의 연결개구(11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관부(112)는 각 연결개구(111b)에 연통하고 연결유로부(111)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피스단턱(112a)을 형성하도록 연결유로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밀폐링(130)은 각 피스단턱(112a)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배관연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링(130)을 각 피스단턱(112a)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배관(1201)을 접속관부(112)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여기서 배관(1201)의 진입은 종단이 밀폐링(130)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다음에 접착테이프(150)로 접속관부(112)와 배관(201)을 결합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배관연결장치에 따르면, 접착테이프(150)로 접속관부(112)와 배관(201)을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배관연결작업이 어렵고(천정사이의 작업공간협소 등) 배관(201)의 밀폐성이 저하된다(접착테이프의 열화에 의해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음)는 문제점이 있었다(이에 따라 분리작업도 복잡하게 됨). 배관의 밀폐성 저하문제는 공기정화환기시스템에 사용되는 배관의 경우 문제가 심각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연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배관의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한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 연통하도록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개구를 갖는 연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유로부와, 상기 각 연결개구에 연통하고 상기 연결유로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피스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유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접속관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관부를 갖는 접속피스와; 안내관부와 상기 안내관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슬리브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관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관부와 상기 고정관부중 어느 일방의 외표면에는 고정관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관부를 통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는 접속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단턱과 상기 접속관부의 종단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과; 상기 접속슬리브가 상기 접속관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상기 접속관띠삽입공과 상기 고정관띠삽입공에 설치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배관과 접속슬리브사이의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속관띠삽입공은 상기 피스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띠삽입공은 상기 슬리브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관과 접속슬리브사이의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단턱과 상기 접속관부의 종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밀폐돌부를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또한 고정띠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관부는 외표면에는 걸림돌부가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관부는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관바디부와, 상기 고정관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표면에 상기 걸림돌부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날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걸림홈과 걸림돌부영역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의 요부단면도이며, 도5는 도2에 도시된 걸림홈과 걸림돌부영역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티(T)자형태의 접속피스(10)와, 접속피스(10)에 결합된 3개의 접속슬리브(20)와, 각 접속슬리브(20)의 내부에 하나씩 설치된 3개의 밀폐링(30)과, 접속피스(10)와 접속슬리브(20)를 연결하는 6개의 고정띠(40)를 갖고 있다.
접속피스(10)는 연결유로(11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유로부(11)와, 연결유로부(11)로부터 연장 형성된 3개의 접속관부(12)를 갖고 있다.
연결유로부(11)에는 3개의 연결개구(1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관부(12)는 각 연결개구(11b)에 연통하고 연결유로부(11)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피스단턱(12a)을 형성하도록 연결유로부(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관부(12)는 외표면에 접속관띠삽입공과 삼각형상단면의 걸림돌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관띠삽입공(12c)은 피스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부(14)는 2개소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관부(12)는 종단에 밀폐돌부(12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슬리브(20)는 안내관부(21)와, 안내관부(21)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 관부(22)를 갖고 있다.
고정관부(22)는 안내관부(21)로부터 연장된 관형태의 고정관바디부(25)와, 고정관바디부(25)로부터 연장 형성된 2개의 걸림날개부(24)를 갖고 있다.
고정관바디부(25)는 안내관부(21)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슬리브단턱(25a)을 형성하도록 안내관부(2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슬리브단턱(25a)에는 밀폐돌부(25b)가 피스단턱(12a)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관바디부(25)는 외표면에 고정관띠삽입공(25c)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관띠삽입공(25c)은 슬리브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날개부(24)는 내표면(접속관부의 대향면)에 걸림홈(24a)이 걸림돌부(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접속슬리브(20)는 걸림돌부(14)가 걸림홈(24a)에 걸림작용을 하도록 접속관부(12)에 결합된다.
밀폐링(30)은 슬리브단턱(25a)과 접속관부(12)의 종단사이에 하나씩 설치된다.
각 고정띠(40)는 접속관띠삽입공(12c)과 고정관띠삽입공(25c)에 설치된다. 고정띠(40)는 와이어밴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링(30)이 슬리브단턱(25a)에 인접 배치되도록 밀폐링(30)을 접속슬리브(20)에 결합한다(도6 참조).
다음에 안내관부(21)로부터 진입시켜 접속슬리브(20)를 배관(201)에 결합한다(도6 참조).
다음에 접속슬리브(20)가 결합된 상태로 배관(201)을 접속관부(12)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여기서 배관(201)의 진입은 종단이 피스단턱(12a)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다음에 접속슬리브(20)를 연결유로부(11)를 향해 가압하여 접속슬리브(20)를 접속관부(12)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접속슬리브(20)의 가압동작은 걸림돌부(14)가 걸림홈(24a)에 걸림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진다(도7 참조).
다음에 접속슬리브(20)가 접속관부(12)를 향해 가압되도록 고정띠(40)를 접속관띠삽입공(12c)과 고정관띠삽입공(25c)에 설치한다. 고정띠(40)가 설치되면 밀폐링(30)은 접속관부(12)의 종단과 밀폐돌부(12b, 25b)에 의해 가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띠(40)의 설치작업에 의해 배관(201)의 각 접속관부(12)에 대한 진입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밀폐링(30)은 슬리브단턱(25a)에 접촉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배관연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배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속관띠삽입공(12c)을 피스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고정관띠삽입공(25c)을 슬리브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배관(201)과 접속슬리브(20)사이의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고정띠에 의한 가압력이 접속관부의 종단이 더욱 더 밀폐링을 가압하고 접속관부의 외표면과 고정관부사이의 공극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작용함).
또한 각 접속관부(12)의 종단 또는 슬리브단턱(25a)에 밀폐돌부(12b, 25b)를 형성함으로써, 배관(201)과 접속슬리브(20)사이의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밀폐링이 변형되면서 배관의 외표면에 더 밀착됨).
또한 접속슬리브(20)의 접속관부(12)에 대한 초기결합상태를 걸림돌부(14)와 걸림홈(24a)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해 유지함으로써, 고정띠(40)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띠의 설치작업에 의해 배관의 각 접속관부에 대한 진입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밀폐링은 슬리브단턱에 접촉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배관연결작업이 용이해지고, 배관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상호 연통하도록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개구를 갖는 연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유로부와, 상기 각 연결개구에 연통하고 상기 연결유로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피스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연결유로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접속관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관부를 갖는 접속피스와;
    안내관부와 상기 안내관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외향의 슬리브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관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관부와 상기 고정관부중 어느 일방의 외표면에는 고정관띠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관부를 통해 상기 접속관부에 결합되는 접속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단턱과 상기 접속관부의 종단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과;
    상기 접속슬리브가 상기 접속관부를 향해 가압되도록 상기 접속관띠삽입공과 상기 고정관띠삽입공에 설치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띠삽입공은 상기 피스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띠삽입공은 상기 슬리브단턱의 일 영역에 내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단턱과 상기 접속관부의 종단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밀폐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부는 외표면에는 걸림돌부가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관부는 상기 안내관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관바디부와, 상기 고정관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표면에 상기 걸림돌부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KR2020080003941U 2008-03-26 2008-03-26 배관연결장치 KR200450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941U KR200450372Y1 (ko) 2008-03-26 2008-03-26 배관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941U KR200450372Y1 (ko) 2008-03-26 2008-03-26 배관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32U KR20090009832U (ko) 2009-09-30
KR200450372Y1 true KR200450372Y1 (ko) 2010-09-29

Family

ID=4153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941U KR200450372Y1 (ko) 2008-03-26 2008-03-26 배관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6081A (zh) * 2019-12-12 2020-03-24 南通中远海运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风管接插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7250U (ko) 1973-08-27 1975-05-10
JPS5253427U (ko) 1975-10-15 1977-04-16
JPH0777293A (ja) * 1993-09-08 1995-03-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波付可撓管用継手
JP2002048276A (ja) 2000-08-02 2002-02-15 Sekisui Chem Co Ltd 管受口と管挿口との接続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7250U (ko) 1973-08-27 1975-05-10
JPS5253427U (ko) 1975-10-15 1977-04-16
JPH0777293A (ja) * 1993-09-08 1995-03-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波付可撓管用継手
JP2002048276A (ja) 2000-08-02 2002-02-15 Sekisui Chem Co Ltd 管受口と管挿口との接続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32U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333B1 (ko) 커튼 월 및 그의 조립방법
EP2759779B1 (en) Ventilation duct coupl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347218Y1 (ko) 배관용 조인트
KR200450372Y1 (ko) 배관연결장치
WO2013012154A1 (ko)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0877141B1 (ko) 합성수지제 환기용 덕트 연결관
JP2006318937A (ja) 埋込型機器
KR200447945Y1 (ko) 배관연결장치
JP2006254571A (ja) 電気接続ボックス及び電気接続ボックス用ボックスカバー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US20170059066A1 (en) Pipe-in-pipe fast installation structure
JP2008116127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接続装置
JP4931625B2 (ja) 管固定具、その管固定具を用いた管固定構造および管固定方法
KR200349613Y1 (ko)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KR200254112Y1 (ko)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KR200383197Y1 (ko) 매입형 전선함
KR20090111186A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0591538B1 (ko) 공기 누설 차단형 환기덕트 연결구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KR20060121029A (ko)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KR20190018858A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JPH04302797A (ja) 管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