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68Y1 -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68Y1
KR200450068Y1 KR2020100003214U KR20100003214U KR200450068Y1 KR 200450068 Y1 KR200450068 Y1 KR 200450068Y1 KR 2020100003214 U KR2020100003214 U KR 2020100003214U KR 20100003214 U KR20100003214 U KR 20100003214U KR 200450068 Y1 KR200450068 Y1 KR 200450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ransfer tape
tape dispenser
guide
gui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문준
Original Assignee
인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3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68Y1/ko
Priority to PCT/KR2011/001748 priority patent/WO201112277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 B41J29/3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for cancelling or correcting errors by over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사테이프로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를 통해 가이드팁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가이드팁을 경유하는 필름이 권취되어 상호 연동되는 공급롤 및 권취롤이 포함된 케이스 및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가이드팁을 은폐 또는 노출시키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전사테이프 디스펜서에 따르면, 케이스의 개구부측 양측면에 절곡 된 가이드라인을 형성하고,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이동되는 슬라이드커버를 상하 대칭되게 구비하여 가이드팁의 일측 및 타측을 은폐 또는 노출시킴으로써, 필름으로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전사테이프 디스펜서{Transfer tape dispenser}
본 고안은 전사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테이프로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전사테이프는 수정 테이프, 글루 테이프, 데코레이션 테이프 및 형광 테이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수정테이프는 잘못 쓴 글씨 등을 지우개로 지울 수 없는 경우 은폐시켜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전사테이프 중 하나인 수정테이프를 나타낸 것으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에 흰색의 점착막이 도포된 필름(20)을 공급하는 공급롤(30), 개구부로 돌출되며 필름(2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팁(50) 및 케이스(10) 내부에서 공급롤(30)과 연동되며 필름(20)이 가이드팁(50)을 거쳐서 감기는 권취롤(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가이드팁(50)을 지나는 필름(20)이 종이의 면과 마찰을 일으키면 점착막이 종이에 점착되어 오기 등을 은폐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전사테이프에서 외부로 노출된 필름(20)의 점착막에 먼지나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어, 점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전사테이프는 대부분 볼펜, 지우개, 기타 필기구와 함께 필통에 보관하게 되는데, 날카로운 볼펜 등에 의해 점착막이 벗겨지는 등의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의 외주면에 커버(8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하고, 커버(80)를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가이드팁(50)의 선단부가 은폐 또는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커버(80)는 가이드팁(50)의 일측만 은폐시킬 수 있으므로, 타측에 존재하는 필름(20)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의 개구부측 양측면에 절곡 된 가이드라인을 형성하고,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이동되는 슬라이드커버를 상하 대칭되게 구비하여 가이드팁의 일측 및 타측을 은폐 또는 노출시킴으로써, 필름으로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는, 공급롤과 권취롤이 수용된 중공의 그랩부와 상기 그랩부에서 연장되고 단부에 가이드팁이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랩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중공의 커버지지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커버지지부에 구비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커버지지부의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지지부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커버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로부터 커버지지부의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지지부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2측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지지부의 양 측면에는 오목하게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는 제1측면부에 커버지지부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상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제2측면부에 커버지지부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하부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은, 절곡 형성되어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상부가이드라인과 복수의 하부가이드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돌기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돌기로 이루어지고, 상비 하부돌기부는 상기 하부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라인의 전방부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선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중심선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는 중심선에 대하여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라인의 전방부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선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중심선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는 중심선에 대하여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라인과 하부가이드라인은 양단에 더 깊게 오목하게 형성된 정지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전사테이프 디스펜서에 따르면, 케이스의 개구부측 양측면에 절곡 된 가이드라인을 형성하고,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이동되는 슬라이드커버를 상하 대칭되게 구비하여 가이드팁의 일측 및 타측을 은폐 또는 노출시킴으로써, 필름으로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사테이프는 수정 테이프, 글루 테이프, 데코레이션 테이프 및 형광 테이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종래 기술과 용이하게 대비될 수 있도록 수정 테이프를 일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사테이프 디스펜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100), 케이스(100) 내부에 흰색의 점착막이 도포된 필름(150)을 공급하는 공급롤(110), 개구부로 돌출되며 필름(150)이 경유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팁(140), 케이스(100) 내부에서 공급롤(110)과 연동되며 필름(150)이 가이드팁(140)을 경유한 후 감기는 권취롤(120), 공급롤(110) 및 권취롤(120)이 상호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벨트(130) 및 케이스(100)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가이드팁(140)을 은폐 또는 노출시키는 슬라이드커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전반부를 형성하는 중공의 커버지지부(102)와 후반부를 형성하는 중공의 그랩부(101)로 이루어지며, 그랩부(101)에는 공급롤(110), 권취롤(120) 및 공급롤(110)과 권취롤(120)에 연결된 연결벨트(130)가 수용된다.
상기 연결벨트(130)에 의한 연결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에 연결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지지부(102)는 그랩부(101)에서 연장 형성되어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그랩부(101)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된다.
그리고, 커버지지부(102)의 양 측면에는 중심선(L)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가이드라인이 형성되는데, 절곡 형성되어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루어지는 상부가이드라인(171, 172) 및 하부가이드라인(173, 174)으로 이루어진다.
상부가이드라인(171, 172)의 전방부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선(L)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중심선(L)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는 중심선(L)에 대하여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부가이드라인(173, 174)의 전방부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선(L)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중심선(L)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는 중심선(L)에 대하여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가이드라인(171, 172)과 하부가이드라인(173, 174)은 양단에 더 깊게 오목하게 형성된 정지홈(180)이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드커버(200)는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로 이루어진다.
상부커버(210)는 상면부(211)와, 상면부(211)로부터 커버지지부(102)의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지지부(102)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1측면부(213)와, 상기 상면부(211)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전면부(2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측면부(213)에 커버지지부(102)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부가이드라인(171, 172)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돌기부(271, 272)가 구비된다.
하부커버(220)는 하면부(221)와, 하면부(221)로부터 커버지지부(102)의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지지부(102)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2측면부(223)와, 상기 하면부(221)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전면부(22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측면부(223)에 커버지지부(102)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하부가이드라인(173, 174)에 각각 삽입되는 하부돌기부(273, 274)가 구비된다.
그래서, 상부돌기부(271, 272)를 상부가이드라인(171, 172)에 각각 결합시키고, 상부커버(210)를 커버지지부(102)에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하부돌기부(273, 274)를 하부가이드(173, 174)에 각각 결합시키고, 하부커버(220)를 커버지지부(102)에 결합시킨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200)를 커버지지부(102)에 결합시킨 후 힘을 가하면 가이드라인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200)를 일측으로 힘을 가하면,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되어 상부돌기부(271, 272) 및 하부돌기부(273, 274)가 각각 개구부 쪽의 정지홈(180)에 삽입되면서 더 이상 이동이 되지 않고 슬라이드커버(200)가 가이드팁(140)을 은폐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사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을 때 가이드팁(140)을 경유하는 필름(150)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커버(200)를 타측으로 힘을 가하면, 개구부 쪽의 정지홈(180)에 삽입되었던 상부돌기부(271, 272) 및 하부돌기부(273, 274)가 정지홈(18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서,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된 후 그랩부(101) 쪽의 정지홈(180)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팁(140)을 노출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사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가이드라인(171, 172)을 중심선(L)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를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또한 하부가이드라인(173, 174)을 중심선(L)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를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슬라이드커버(200)가 가이드라인(171, 172, 173, 174)을 따라 이동된 후의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의 사이 각이 크지 않게 되므로 이에 맞추어 그랩부(101)의 수직 폭이 작게 형성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210) 및 하부커버(220)에 돌기부(271, 272, 273, 274)를 각각 두 개씩 형성하여 가이드라인(171, 172, 173, 174)에 결합시키므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드커버(200)가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슬라이드커버(200)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커버(210) 및 하부커버(220)의 후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꼭지점 부분(A 부분)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것은 공정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커버(200)가 일체로 성형 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라이드커버(200)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왕복 이동 시에 가이드라인을 이탈할 가능성이 떨어지며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흰색의 점착막이 도포된 필름(150)을 구비한 수정테이프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름(150)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글루테이프, 장식재가 도포된 데코레이션 테이프 및 형광물질이 도포된 형광 테이프 등에도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커버를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스 101: 그랩부
102: 커버지지부 110: 공급롤
120: 권취롤 140: 가이드팁
171, 172, 173, 174: 가이드라인 200: 슬라이드커버
210: 상부커버 211: 상면부
213: 제1측면부 215: 제1전면부
220: 하부커버 221: 하면부
223: 제2측면부 225: 제2전면부
271, 272: 상부돌기부 273, 274: 하부돌기부

Claims (5)

  1. 공급롤과 권취롤이 수용된 중공의 그랩부와 상기 그랩부에서 연장되고 단부에 가이드팁이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랩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중공의 커버지지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커버지지부에 구비되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커버지지부의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지지부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커버는 하면부와, 상기 하면부로부터 커버지지부의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지지부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제2측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지지부의 양 측면에는 오목하게 가이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는 제1측면부에 커버지지부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상부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제2측면부에 커버지지부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하부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은,
    절곡 형성되어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상부가이드라인과 복수의 하부가이드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돌기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돌기로 이루어지고, 상비 하부돌기부는 상기 하부가이드라인에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라인의 전방부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선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중심선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는 중심선에 대하여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라인의 전방부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중심선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중심선에 대하여 전방부가 이루는 경사는 중심선에 대하여 후방부가 이루는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라인과 하부가이드라인은 양단에 더 깊게 오목하게 형성된 정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KR2020100003214U 2010-03-29 2010-03-29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KR200450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14U KR200450068Y1 (ko) 2010-03-29 2010-03-29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PCT/KR2011/001748 WO2011122774A2 (ko) 2010-03-29 2011-03-14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14U KR200450068Y1 (ko) 2010-03-29 2010-03-29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068Y1 true KR200450068Y1 (ko) 2010-09-03

Family

ID=4447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214U KR200450068Y1 (ko) 2010-03-29 2010-03-29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0068Y1 (ko)
WO (1) WO201112277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1954A (zh) * 2018-06-05 2019-12-13 株式会社蜻蜓铅笔 涂膜转印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1528B2 (en) 2019-09-19 2024-05-14 Fujicopian Co., Ltd. Coating transfer to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250Y1 (ko) * 1999-08-17 2000-03-15 유광호 수정테이프 선단 보호구
KR200327616Y1 (ko) * 2003-06-16 2003-09-26 안용진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KR200357875Y1 (ko) * 2004-04-08 2004-07-31 정철 수정테이프 고정 보호캡
KR20090079826A (ko) * 2008-01-18 2009-07-22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코팅필름 전사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250Y1 (ko) * 1999-08-17 2000-03-15 유광호 수정테이프 선단 보호구
KR200327616Y1 (ko) * 2003-06-16 2003-09-26 안용진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KR200357875Y1 (ko) * 2004-04-08 2004-07-31 정철 수정테이프 고정 보호캡
KR20090079826A (ko) * 2008-01-18 2009-07-22 플러스 스테이셔너리 가부시키가이샤 코팅필름 전사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1954A (zh) * 2018-06-05 2019-12-13 株式会社蜻蜓铅笔 涂膜转印具
DE102019115182B4 (de) 2018-06-05 2023-09-21 Tombow Pencil Co., Ltd. Beschichtungsfilmübertrag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774A2 (ko) 2011-10-06
WO2011122774A3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742B2 (en) Marker holder and eraser
CN100413708C (zh) 转印器
KR100313654B1 (ko) 도포구
KR200450068Y1 (ko)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KR20190004647A (ko) 도막 전사구
US10585244B2 (en) Optical fiber holding member and fusion machine
KR200492780Y1 (ko) 화이트보드 멀티툴
JPWO2013180101A1 (ja) 塗膜転写具
JP2011073182A (ja) 塗膜転写具
ZA200205570B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substance applied to a support tape in the form of a film to a substrate.
TW201623028A (zh) 多芯筆具
JP2016101732A (ja) 転写具
KR101573831B1 (ko) 수정 기능을 갖는 필기구
JP6488750B2 (ja) 転写具
KR200200921Y1 (ko) 오기 수정용 테이프의 이탈방지 장치
KR20090034192A (ko) 수정테이프
KR20120021902A (ko) 깔끔이 수정테이프 점착기
WO2019172134A1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450069Y1 (ko) 역회전이 방지되는 전사테이프 디스펜서
USD978244S1 (en) Ballpoint pen
USD572756S1 (en) Mechanical pencil
KR200440391Y1 (ko) 판지 필통
JP2008207511A (ja) 磁石付き文房具
KR200251679Y1 (ko) 오기 수정용 테이프의 전사장치
WO2018193812A1 (ja) 2軸ボール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