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16Y1 -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16Y1
KR200450016Y1 KR2020080012205U KR20080012205U KR200450016Y1 KR 200450016 Y1 KR200450016 Y1 KR 200450016Y1 KR 2020080012205 U KR2020080012205 U KR 2020080012205U KR 20080012205 U KR20080012205 U KR 20080012205U KR 200450016 Y1 KR200450016 Y1 KR 200450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er
cold
water tank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053U (ko
Inventor
배준식
Original Assignee
배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식 filed Critical 배준식
Priority to KR2020080012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는 온수통의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고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빠른 시간에 온수를 가열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온수를 가열하고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데 따른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수통의 온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대용량으로 설치하여 순간적으로 온수통에서 온수를 생산하도록 하고, 평상시는 온수통의 히터를 구동시키지 않아 전력을 최대한 절감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평상시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다가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빠른 시간에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온수통에 계속 온수를 채워주어야 하는 방식보다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냉온수기, 온수, 히터, 전력절감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Power saving apparatus of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본 고안은 생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는 온수통의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고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빠른 시간에 온수를 가열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온수를 가열하고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데 따른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10)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통(20)에 담긴 생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밸브(11)에서 배출하거나, 생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밸브(12)에서 배출시키게 되며, 상기 냉온수기(1)에는 생수통(20)의 생수를 일정량 채워지는 냉수통(40)과 온수통(30)을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 냉수통(40)에는 외측으로 냉각코일(41)이 감겨져 있어 냉장 싸이클로부터의 냉각열로 생수를 냉각시키게 되고, 온수통(30)에는 히터(31)가 설치되어 생수를 가열시키게 된다.
이러한 냉온수기(10)는 전기를 사용하여 냉각코일(41)에서 냉각열이 발생하게 하거나, 히터(31)에서 가열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냉온수기(10)에서 사용 하는 전력량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영업장에서 사용하는 냉온수기는 냉수와 온수를 자주 이용하게 되나, 가정용에서 구비하고 있는 냉온수기는 냉수를 자주 이용하고, 온수는 가끔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가정용 냉온수기에서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극히 한정되고 제한적이며, 횟수나 량이 많지 않은 것으로, 이같이 가끔 사용하는 온수 공급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온수통(30)의 온수를 가열시키는 것은 상당한 전력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냉온수기(10)에서 일정한 온도의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냉수통(40) 또는 온수통(30)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지속적으로 소비되어야 하는 것으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냉수는 소비전력에 합당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나, 가끔 사용하게 되는 온수는 사용치 못하고 다시 가열시키는데 상당한 전력을 사용하게 되어, 낭비의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냉온수기(10)의 온수통(30)에 설치되어 온수를 만드는 히터(31)는 장시간 구동으로 인한 과열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고, 또한 온수 밸브(11)를 누르면 즉시 온수가 배출되므로, 어린아이가 모르고 온수밸브(11)를 누를 경우 어린아이가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서 온수통의 온수를 계속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제공하는 방식은 가정에서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어 전력의 낭비요인이 되므로, 냉온수기의 온수를 가열할 때 사용하는 전력량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서 시간에 관계없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온수통에 채워진 일정량의 물을 가열시키게 되나, 실제적으로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므로, 평상시 온수통의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도록 하고, 필요시에만 순간적으로 온수를 가열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수통의 온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대용량으로 설치하여 순간적으로 온수통에서 온수를 생산하도록 하고, 평상시는 온수통의 히터를 구동시키지 않아 전력을 최대한 절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평상시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다가 온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빠른 시간에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온수통에 계속 온수를 채워주어야 하는 방식보다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정용 냉온수기에서 평상시 온수를 생산하여 저장해놓지 않고,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최단 시간에 온수를 만들어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온수 통의 히터 가열시간을 줄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기존 냉온수기와 대비할 때 온수 배출 시간은 기존 냉온수기보다 늦으나, 온수가 필요한 때만 온수를 만들어 배출하게 되므로, 항시 온수를 구비하고 있는 기존 방식과 대비할 때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단 온수가 필요할 때 순간 온수기와 같은 기능으로 온수를 만들어 배출하여야 하므로, 온수가 배출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채워진 생수를 가열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를 대용량으로 교체하여 빠른 시간에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토록 하되 상기 대용량 히터는 정해진 시간만 작동되게 한다.
본 고안은 가정용 냉온수기의 온수통에 채워진 온수를 대용량의 히터로 즉시 가열하여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기존 온수통의 히터에 비하여 높은 가열 효과를 갖는 대용량의 히터를 설치하되 상기 대용량 히터는 온수버튼이 눌릴 때 작동되게 하고, 상기 대용량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은 타이머에 의해 공급이 차단되게 하는 한편 온수통의 온수 온도와 온수량을 체크하는 센서의 입력에 의해서도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냉온수기는 평상시 온수통의 온수를 가열시키지 않은 채로 있다가, 온수버튼이 눌리면 온수통의 대용량 히터를 가열시켜 빠른 시간에 온수를 가열시켜 배출되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온수를 만들어 대기하다가 배출하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필요할 때만 온수를 만들어 배출시키는 본 고안이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온수통의 대용량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은 타이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타이머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강제로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온수통에는 온수 온도를 체크하는 센서와 온수량을 체크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온수온도가 설정온도가 되거나 온수량이 부족할 경우 강제로 대용량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온수버튼이 눌리면 발광다이오드 등의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온수가 가열되고 있음을 표시해주는 한편 온수 가열이 완료되면 표시소자를 오프시키거나 별도의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온수 사용이 가능함을 알리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가정용 냉온수기(10)에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통(30)에 관한 것으로, 온수통(30)에서 온수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형태가 아닌 필요할 때 순간적으로 생산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온수통(30)에 대용량 히터(50)를 설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2분 이내의 시간에 충분한 온도로 온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대용량 히터(50)에 인가되는 전원은 콘트롤러(60)에서 단속될 수 있도록 하되 콘트롤러(60)는 타이머(70)와 온도센서(61) 그리고 수위센서(62)의 입력을 받아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콘트롤러(60)는 타이머(70)로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강제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온도센서(61)에 의해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었을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수위센서(62)에 의해 온수통(30)에 생수가 채워지지 않았을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온수버튼(63)의 눌림을 콘트롤러(60)에서 인식하여 대용량 히터(50)로 전원을 공급시키는 한편 표시소자(80)를 통하여 온수가 가열되고 있음을 표시하여 온수가 가열되는 동안 기다릴 수 있도록 하고, 온수 가열이 완료되면 표시소자(80)를 이용하여 온수 공급이 준비되었음을 표시함으로써 온수를 뽑아 쓸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평상시 냉수통(40)의 냉수만 일정온도로 냉장되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온수통(30)에는 평상시 생수만 채워져 있다가 온수버튼(63)이 눌리는 순간 대용량 히터(50)를 구동시켜 빠른 시간에 온수통(30)의 생수를 가열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온수가 필요한 때에만 온수를 가열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평상시 온수통(30)의 대용량 히터(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온수통(30)에는 생수만 채워져 있게 되고, 대용량 히터(50)가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온수를 만드는데 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루 종일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대용량 히터(50)는 하루 종일 작동하지 않아, 기존과 같이 종일 일정온도의 온수를 준비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전력 사용량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온수를 사용코저 하는 경우에는 온수버튼(63)을 누르면 되고, 온수버 튼(63)이 눌리면 콘트롤러(60)는 타이머(7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대용량 히터(50)에 전원을 공급하여 대용량 히터(50)에서 빠른 시간에 온수통(30)의 생수를 가열시켜 일정 온도의 온수로 만들도록 한다.
여기서 대용량 히터(50)는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열량을 내게 되어 빠른 시간에 온수통(30)의 생수를 가열시키게 되는 것으로, 타이머(70)로 설정된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온수를 가열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강제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대용량 히터(50)가 장시간 발열로 인한 화재위험을 없애도록 한다.
그리고 기존의 냉온수기(10)는 적은 용량의 히터(31)를 사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온수를 만들게 되고, 온수가 식게 되면 다시 히터(31)를 작동시켜 온수를 가열시키게 되는 것인데 반하여, 본 고안은 대용량 히터(50)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온수를 만들어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가정용 냉온수기(10)와 같이 온수의 사용빈도가 적을 경우 본 고안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한편 온수통(30)의 온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과열되거나, 온수통(30)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강제로 대용량 히터(50)의 작동을 차단시켜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버튼(63)을 눌러 대용량 히터(50)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과, 대용량 히터(50)의 작동이 완료되어 적정온도의 온수 배출이 가능한 경우를 각각 표시소자(0에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충분히 가열된 온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온수버튼(63)을 누른 후 대용량 히터(50)로 온수를 가열하는 시간동안 온수 사용을 기다리는 단점이 있으나, 그 시간이 2분이 이내로 상당히 짧은 반면 온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력을 사용하게 되어, 전력소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가정용 냉온수기 사시도
도 2는 가정용 냉온수기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온수기 11,12 : 밸브
30 : 온수통 31 : 히터
40 : 냉수통 50 : 대용량 히터
60 : 콘트롤러 61 : 온도센서
62 : 수위센서 63 : 온수버튼
70 : 타이머 80 : 표시소자

Claims (1)

  1. 가정용 냉온수기(10)의 온수통(30)에 생수를 가열시키는 대용량 히터(50)를 설치하고, 상기 대용량 히터(50)에는 콘트롤러(30)에서 전원 공급을 단속하게 하며, 상기 콘트롤러(30)는 온수버튼(63)의 눌림시 전원을 공급하되 타이머(70)로 설정된 시간 동안만 공급되게 하고, 상기 콘트롤러(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온도센서(61)의 과열 감지시나 수위센서(62)의 저수위 감지시 차단되게 하며, 상기 콘트롤러(60)는 대용량 히터(50)의 작동과 온수 배출 상태를 표시소자(80)로 표시되게 하는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KR2020080012205U 2008-09-08 2008-09-08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KR200450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05U KR200450016Y1 (ko) 2008-09-08 2008-09-08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05U KR200450016Y1 (ko) 2008-09-08 2008-09-08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53U KR20100003053U (ko) 2010-03-17
KR200450016Y1 true KR200450016Y1 (ko) 2010-08-30

Family

ID=4419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05U KR200450016Y1 (ko) 2008-09-08 2008-09-08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1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5578A (ja) * 1991-03-25 1992-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貯水式冷温水器
KR19990066388A (ko) * 1998-01-26 1999-08-16 이광원 냉,온수기
KR200161553Y1 (ko) 1997-03-18 1999-12-01 김철호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5578A (ja) * 1991-03-25 1992-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貯水式冷温水器
KR200161553Y1 (ko) 1997-03-18 1999-12-01 김철호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KR19990066388A (ko) * 1998-01-26 1999-08-16 이광원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53U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2711B2 (ja) 衛生洗浄装置
CN104433795A (zh) 一种管线机
KR100836450B1 (ko) 스팀발생장치의 스케일증착 방지방법
KR200450016Y1 (ko)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KR101579440B1 (ko) 가스 보일러의 온수 재 출탕시 온수온도 편차 보정방법
JP4448804B2 (ja) 加熱調理器
CN102240174A (zh) 一种饮水机
JP4036180B2 (ja) 電気湯沸かし器
KR101598538B1 (ko) 난방수 열을 이용한 온수 예열방법
JP2006349219A (ja) リモコン装置
JP6464637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207484136U (zh) 一种蒸气设备
JP6060025B2 (ja) ふろ給湯装置
KR101086173B1 (ko) 스팀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6101B1 (ko) 스팀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3599026B2 (ja) 給湯装置
KR20010008272A (ko) 냉장고의 냉온수장치 결합구조
KR20080003140U (ko) 벽난로의 온수공급장치
JP2006349320A (ja) リモコン装置
KR20100074094A (ko) 열효율이 높은 전기에너지 절약형 온수통
JP2007120825A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16114306A (ja) 暖房装置
JP3770188B2 (ja) 給湯装置
KR0131069Y1 (ko) 자동판매기의 온수탱크 온도 유지회로
JPH05300831A (ja) 電気ポ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