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553Y1 -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553Y1
KR200161553Y1 KR2019970005048U KR19970005048U KR200161553Y1 KR 200161553 Y1 KR200161553 Y1 KR 200161553Y1 KR 2019970005048 U KR2019970005048 U KR 2019970005048U KR 19970005048 U KR19970005048 U KR 19970005048U KR 200161553 Y1 KR200161553 Y1 KR 200161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guide
water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891U (ko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2019970005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55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4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with filters placed in or behind 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32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with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 A47J31/4435Heated support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냉온수기의 온수를 이용하여 차류를 직접 추출가능케 하고자 동일자로 본 고안자에 의하여 단자 및 프로브가 있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본 고안은 더 나아가서 중앙에 별도의 온수공을 천설하여 온수저장통이 없이 직접 냉수를 가열하여 주면 별도의 모터작동이 없이도 일정량의 가열된 물이 타이머 작동에 따라 배출되게 하였다.
따라서 온수저장조가 불필요하여 냉온수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화되며, 필요한 차류를 직접 추출하므로 추출기, 전기포트기등의 구입이 필요없게 되어 시간, 공간, 경제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류의 직접 추출가능한 냉온수기
본 고안은 녹차, 원두커피 등의 각종 차류를 직접 추출할 수 있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내부에 냉각기, 온수기, 살균기, 기타 밸브류가 내장된 구조로서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면 일정온도로 가온 또는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녹차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온수를 별도의 컵등에 받아 녹차를 적량 투입후 2∼5분간 방치후 음용토록 되어 있다. 원두커피의 경우에도 온수를 별도로 받아서 원두커피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토록 구성 되어 있는 것이다. 즉, 냉온수기와 보리차, 녹차, 원두커피 등을 추출하는 기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냉온수기에서 충분한 온도의 온수나 냉수가 공급됨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장치들이 별개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 경제적으로 좋지 않은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중앙부에 별도의 착탈식 여과 추출기를 설치하여 냉온수기의 온수를 이용하거나 또는 온수저장조를 거치지 않고 직접 가열된 온수를 제3의 밸브를 통하여 공급토록 하여 원두커피등의 추출이 용이 하도록 구성한 냉온수기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 부분절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동작상태 개념도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설치 상태 정면도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가열부 구성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추출기 나 : 냉온수기 본체
2 : 냉수전 3 : 온수전
4 : 하우징 5 : 가이드
5a : 경사부 6 : 여과조
7 : 포트 8 : 상 안내턱
9 : 여과조 걸림턱 10 : 가열부
11 : 온수배출공 12 : 타이머
13 : 가열장치 14 : 안내도관
15 : 역압 조절부
본 고안은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온수저장조를 통하여 온수를 공급받는 구조와 온수저장조가 필요없이 직가열식의 2가지를 예시하며 제1도에서 제4도는 제1실시예를 제5도에서 제7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본체(나)의 내부에 냉각부, 가열부, 수저장조 및 외부의 냉수전(2) 및 온수전(3)이 설치된 냉온수기에 있어서, 냉온수전(2), (3)의 중앙에 여과조(6)와 포트(7)가 내장될 수 있는 하우징(4)을 갖는 통형 추출기(가)를 안치한 구조로서, 상기한 추출기(가)의 상측에는 온수전(3)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경사부(5a)를 갖는 가이드(5)를 설치하여 회동시 온수전(3)의 수출구하부에 가이드(5)의 선단이 배치되어 배출되는 온수를 여과조로 안내할 수 있게 하며, 상기한 가이드(5)의 하측으로는 상하 안내턱(8), (8a)에 행거(9)가 걸릴 수 있고 깔대기형태의 여과부(6a)를 갖는 여과조(6)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포트(7)의 하부는 가열부(10)가 설치되어 추출된 액을 항시 일정온도로 유지 가능토록 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여과조(6) 하측 배출부(6b)에는 필요시 낙수방지밸브(6c)를 별도로 설치하여 포트(7) 제거후 잔여 낙수가 계속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온수전(3)의 하부로 가이드(5)를 배치하여준 다음(제2도), 온수전(3)을 개방하면 온수가 경사부(5a)를 타고 여과조(6)에 공급되므로 적재된 원두커피 등을 추출하여 포트(7)에 추출액이 적재되는 것이다. 만일 녹차와 같이 어느정도 온수내에 침출의 시간이 필요로 하는 것은 여과조(6)를 상안내턱(8)에서 분리하여 또는 제3a도와 같이 직접 포트(7) 상부로 안치 하거나 포트(7)의 입구부내로 여과부(6a)의 하측이 침지토록 하므로서 필요한 침출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하듯이 중앙에 별도의 추출기(가)가 설치되어 온수를 직접 여과조에 공급토록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냉온수전(2), (3)의 중앙에 별도의 온수 배출공(11)을 천공형성하고, 그 이면에 타이머(12)의 설정시간에 따라 가열되는 가열장치(13)와 접한 안내도관(14)의 선단과 온수배출공(11)을 연결하였으며, 상기한 안내도관(14)의 초입부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역압조절부(15)를 통하여 생수공급부와 연결토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음용할 대상의 양에 따라 타이머(12)를 셋팅하므로서 가열장치(13)에 설정된 시간만큼 가열이 가능토록 하여준다. 가열이 되면 가열된 물이 팽창되어 안내도관과 연결된 온수배출공(11)으로 온수가 배출되어져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이 되는 것이다. 이같은 작동은 타이머의 작동시간에 따라 가열시간이 길게 되면 그 가열시간만큼 가열된 물이 배출되어 음용량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나타나듯이 추출기(가)의 설치로 커피, 녹차등이 냉온수기에서 직접추출이 가능하여 커피추출기등과 같은 장치를 별도구입치 아니하여도 즉시 음용가능하여 공간의 절약, 시간절약 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냉온수기에 대한 특별한 변경이 없이도 설치가능하므로 설치의 간편함도 우수한 것이다.

Claims (3)

  1. 냉온수기본체(나)의 내부에 냉각부, 가열부, 수저장조 및 외부의 냉수전(2)과 온수전(3)이 설치된 냉온수기에 있어서, 냉온수전(2), (3)의 중앙에 여과조(6)와 포트(7)가 내장될 수 있는 하우징(4)을 갖는 통형추출기(가)를 안치한 구조로서, 상기한 추출기(가)의 상측에는 온수전(3)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경사부(5d)를 갖는 가이드(5)를 설치하여 회동시 온수전(3)의 수출구하부에 가이드(5)의 선단이 배치되어 배출되는 온수를 여과조(6)로 안내할 수 있게 하며, 상기한 가이드(5)의 하측으로는 상하안내턱(8), (8a)에 행거(9)가 걸릴 수 있고 깔대기 형태의 여과부(6a)를 갖는 여과조(6)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포트(7)의 하부에는 가열부(10)가 설치되어 추출된 액을 항시 일정온도로 유지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의 직접추출가능한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조(6)의 여과부(6a) 하측 배출부(6b)에 낙수방지밸브(6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의 직접 추출가능한 냉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냉온수전(2), (3)의 중앙에 별도의 온수배출공(11)을 천공형성하고, 그 이면에 타이머(12)의 설정시간에 따라 가열되는 가열장치(13)와 접한 안내도관(14)의 선단과 온수배출공(11)을 연결하였으며, 상기한 안내도관(14)의 초입부는 역류방지를 위한 역압조절부(15)를 통하여 생수공급부와 연결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류의 직접추출가능한 냉온수기.
KR2019970005048U 1997-03-18 1997-03-18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KR200161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048U KR200161553Y1 (ko) 1997-03-18 1997-03-18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048U KR200161553Y1 (ko) 1997-03-18 1997-03-18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891U KR19980060891U (ko) 1998-11-05
KR200161553Y1 true KR200161553Y1 (ko) 1999-12-01

Family

ID=19497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048U KR200161553Y1 (ko) 1997-03-18 1997-03-18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5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16Y1 (ko) 2008-09-08 2010-08-30 배준식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16Y1 (ko) 2008-09-08 2010-08-30 배준식 냉온수기의 전력 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891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145A (en) Tap-off hot water system for electric beverage making device
US4603621A (en) Beverage-making device
US4641012A (en) Thermostat sensing tube and mounting system for electric beverage making device
WO1997007722A1 (fr) Machine a cafe
US3589271A (en) Coffee making apparatus
US4155292A (en) Filter coffee machine
EP1186268B1 (en) Coffee maker
US5865097A (en) Apparatus for heating water, intended for the preparation of hot beverages
KR200161553Y1 (ko) 차류의 직접 추출 가능한 냉온수기
US200301984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hot water or the like
JPH0956597A (ja) コーヒー液抽出装置
US5715742A (en) Single chamber dynamic flow brewing device
KR200161554Y1 (ko) 차류의 직접 추출가능한 냉온수기
US1995081A (en) Electrical percolator attachment for coffee urns
JPS59174120A (ja) コ−ヒ−等の抽出装置
JP2005230218A (ja) 家庭用ティー&コーヒーメーカー
CN114727710A (zh) 用于提供热水的装置
US3380374A (en) Liquid infusion device
KR200342136Y1 (ko) 커피 메이커
JP3888496B2 (ja) 給湯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コーヒー抽出機
JPH08154833A (ja) コーヒー液抽出装置
JPS6135130Y2 (ko)
JPS63197415A (ja) 電気コ−ヒ−沸し器
KR102373004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CA1254052A (en) Beverage m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