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364Y1 - 구명 및 부력복 - Google Patents

구명 및 부력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364Y1
KR200449364Y1 KR2020080001169U KR20080001169U KR200449364Y1 KR 200449364 Y1 KR200449364 Y1 KR 200449364Y1 KR 2020080001169 U KR2020080001169 U KR 2020080001169U KR 20080001169 U KR20080001169 U KR 20080001169U KR 200449364 Y1 KR200449364 Y1 KR 200449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sewing
endothelial
mesh
s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682U (ko
Inventor
손미향
Original Assignee
손미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미향 filed Critical 손미향
Priority to KR2020080001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36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3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다, 하천, 호수에서의 낚시 및 요트 등의 레저나 해양공사 등의 작업시에 착용하고 수난에 처했을 때 수난자의 신체를 수면에 뜨게 하는 수난구호용 기능성 부력복에 관한 것으로서, 등판부와 양쪽 전면판부 및 소매부로 구성되어지는 구명복에 있어서 등판부 중앙을 세로로 나누고 등판부 하부의 3부지점에 가로로 나누어 각각 재봉결착선에 의하여 네 부분의 부력부재내입부를 등판부에 구비하고, 양쪽 전면판부의 하부 3부지점과 소매부 팔꿈치부를 가로로 또한 나누어 그 나누어진 부력부재의 결착용 재봉의 결착선을 각각 네 부분으로 부력부재 내입부를 구비한 다음, 각 부위별로 구획되어진 부력부재 내입부에 적층 된 다수의 합성수지 부직포를 내입하여 결착한 후 내피와 내피망사부를 재봉결착선을 따라 재봉결착하여 준 다음 내피와 내피망사부를 외피와 재봉결착시켜 줌으로써 구명복의 제작이 완료되는데 상기와 같은 방식의 구명복은 착용감이 일반의류처럼 뛰어나면서도 활동기능 또한 우수하여 수난상황에서 효과적인 실질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수난구호용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에 관한 고안이다.
부력복, 부력의, 구명조끼, 부력부재, 합성수지 부직포.

Description

구명 및 부력복{LIFESAVING AND BUOYANT FORCE SUIT}
본 고안은 수난에 처했을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수난구호용 부력복에 관한 것으로, 부력복 내부를 상체의 운동역학구조에 따라 등판부를 네 부분으로 구획하고 전면부와 소매부를 각각 네 부분으로 구획등분하여 외피와 내피 사이에 부력부재내입부를 각 구획부분별로 구비한 다음 부력부재인 합성수지 부력포지를 각 구획부분별 내입 크기에 맞도록 재단하여 다수개를 적층하여 내입 후 적층부력포지의 상측선단부와 하측선단부에 일정한 방법으로 결착부를 형성하여 외피와 내피 사이에 결착고정시켜 줌으로써 각 구획부분별로 내입 된 적층부력포지의 부분별 부력작용에 의해 강력한 부력작용력이 생성되며 신체착용감이 뛰어나 수상에서도 자력 구호적 활동기능성이 보장됨으로써 부력복의 기능적 효율성을 배가시켜주는 수난 구호용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난구호용 부력복에 있어서 종래에는 수난에 처했을 경우에 수난자가 수면상에 뜨는 부문에 주안점을 두고 발포PE수지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력을 얻기 위하여 뚜께 10~20m/m의 부력패드를 제조하여 부력복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결착 함으로써 부력복의 착용자가 물속에 들어갔을시 발포PE부력패드의 부력에 의하여 인체가 물에 뜨는 힘을 얻는 구조로 제조하여 사용하여 왔음으로 인하여 구명의 내부에 상체의 운동역학구조와는 조화되지 않는 부력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수난자가 수면상에 효과적인 자력 구제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파도나 물살의 운동력에 내맡겨질 수밖에 없고 평상시에 해상 또는 수상에서 작업복으로 사용하기가 사실상 힘든 상황에 따른 부력복의 실질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본 안출의 부력복을 착용했을 경우 일반의류를 입은 것과 같은 편안한 착용감과 수난시에도 일반의류 착용시와 같은 상체활동성에 의한 자력구제력이 담보되게 하여 용이한 수난 극복을 위해 조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해상이나 수상에서 작업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난구호용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명복제작에 있어서 등판부와 전면부 및 소매부로 구분 지은 다음 등판부는 네 등분하고 전면부 좌.우측부는 각 2등분하고 좌.우소매부도 각기 2등분으로 구획하여 외피와 내피 사이에 부력부재 내입부를 각 등분 구획별로 구비한 후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박판형의 연질의 PE부력포지를 다수개로 적층하여 각 등분 구획별 내입부의 치수에 맞게 재단한 다음 내입하여 결착고정시켜준 후 각 등분구획선을 재봉하여 줌으로써 제작이 완료되어 수난시에 기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난구호용 기능성 부력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구명복을 실제에 적용시킴으로써 각 부력부재 내입부 별로 내입 된 다수 개의 적층부력포지와 포지 사이로 부력층이 여러 개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20m/m부력패드 하나를 사용할때 생기는 부력에 비하여 200%이상의 부력생성이 증명됨에 따른 각 단위 내입부별로 강력한 부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상체운동역학구조에 맞는 등분구획별 내입부 구비방식으로 인한 몸에 달라붙는 착용성과 자력구제적 활동성이 담보되는 수난구호용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구명 및 부력복에 의해 제조되는 부력복은 외피(10)와 망사내피(20)와 부력포지(40)와 내피(30)로 구성되며, 첨부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피(10)는 등판부(10a)를 중심으로 우소매부(10e)와 좌소매부(10d) 그리고 전면우측부(10c) 및 전면좌측부(10d)로 구획되며, 첨부도면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피(30)와 망사내피(20)는 재봉결착선(30a)(30b)에 의해서 우상등판부(20a), 좌상등판부(20b), 우하등판부(20c), 좌하등판부(20d)와 우상전면부(21c), 좌상전면부(21a), 우하전면부(21d), 좌하전면부(21b) 및 우상소매부(22c), 좌상소매부(22a), 우하소매부(22d), 좌하소매부(22b)로 구획되는데, 합성수지 재질의 박판 부력포지(41)를 다수개 적층한 적층된부력포지(40)를 각 부위의 크기와 형상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 각 부위에 맞게 재단된 적층된부력포지(40)를 먼저 망사내피(20)에 재봉결착하는데, 적층된부력포지(40) 상측횡단부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따로 재봉결착 될 수 있도록 박음질결착부(42a)를 형성하고, 적층된부력포지(40)의 하측횡단부도 좌측부와 우측부에 박음질결착부(42b)를 형성한 다음 박음질결착부(42b)의 양쪽 가장자리부위에 적층된부력포지(40)가 관통되도록 펀칭하여 각각 두 개의 펀칭선(43a)(43b)을 형성하는 단계; 박음질결착부(42b)의 양측에 형성된 펀칭선(43a)(43b)에 면 끈을 통과시켜 망사내피(20)와 연결하고 박음질결착부(42b)를 따라 재봉함으로써 면 끈도 적층된부력포지(40)와 같이 재봉되게하여 적층된부력포지(40)가 망사내피(20)와 결착되도록 하는 단계; 내피(30)의 재봉결착선(30a)(30b)을 따라 내피(30)와 망사내피(20)를 재봉결합하는 단계; 망사내피(20)와 결착된 내피(30)의 외부재봉결착선(30c)을 따라 외피(10)와 재봉결착하는 단계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구명 및 부력복(70) 제작이 완료되는데, 부력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얇은 부력포지(41)를 많이 적층하게 되면 일정 두께부터는 박음질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얇은 부력포지(41)를 더 많이 적층하여 부력성능을 월등히 높이면서도 적층된부력포지(40)가 망사내피와 원활히 결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된부력포지(40)의 박음질결착부(42b) 양쪽을 천공하여 구멍을 내고 면 끝을 삽입하여 박음질결착부(42b)가 면 끈에 감싸지도록 한 다음, 면 끈을 망사내피와 결착하고 면끈과 박음질결착부(42b)를 박음질 하는 것이다.
도 2에서 재봉결착선(30a)(30b)에 의해서 우상등판부(20a), 좌상등판부(20b), 우하등판부(20c), 좌하등판부(20d)와 우상전면부(21c), 좌상전면부(21a), 우하전면부(21d), 좌하전면부(21b) 및 우상소매부(22c), 좌상소매부(22a), 우하소매부(22d), 좌하소매부(22b)로 나누어지는데 이것은 적층 된 부력포지(40)를 각 부위별로 내입결착고정 하였을 때 상체의 인체역학적 운동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최대한의 활동력이 발휘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진 것이다.
도 2와 같이 구획된 각 부위에 도 4와 같은 형식으로 적층 된 부력포지(40)가 크기와 형상에 맞도록 재단되어 망사내피(20) 각 부위별로 재봉결착 되는데, 적층 된 부력포지(40)가 좌하전면부(21b)에 재봉결착 되는 것을 일례로 설시하여 보면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박판의 부력포지(41)를 다수 개 적층하여 사각형상의 적층된 부력포지(40)를 구비한 다음 망사내피(20)의 좌하전면부(21b)에 재봉결착하는데 적층 된 부력포지(40)의 상측횡단부는 다수 개로 적층 된 부력포지(40) 상측횡단부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따로 분리되어 재봉결착 될 수 있도록 박음질결착부(42a)를 형성시키고 적층된 부력포지(40)의 하측횡단부는 하측횡단부의 좌측과 우측의 박음질결착부(42b)의 양쪽 가장자리부위에 각각 두 개의 펀칭선(43a)(43b)을 적층 된 부력포지(40)의 하측횡단부의 각 박음질결착부(42b)의 양쪽 가장자리 부위 전체가 동시에 뚫리도록 펀칭하여준 뒤 좌측과 우측의 양쪽 박음질 결착부(42b)의 양 끝단부의 면 끈을 통과시켜 망사내피(20)와 연결하여 박음질결착부(42b)를 따라 재봉결착하여 줌으로써 망사내피(20)와 적층 된 부력포지(40)와의 좌하전면부(21b) 재봉결착이 완료되는데, 상기의 방식으로 부력포지(41)를 적층하여 도 6과 같은 적층단면을 형성하는 적층된 부력포지(40)를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각 부위별로 결착하여 줌으로써 수면상에서는 부력포지 적층부(44)의 부력포지(41)와 부력포지(41) 사이에 다수개의 부력층이 형성되어 하나의 구획마다 강한 부력이 발생되고 수개의 구획 즉, 등판부(20a)(20b)(20c)(20d), 전면부(21a)(21b)(21c) (21d), 소매부(22a)(22b)(22c)(22d)에서는 더욱 강한 부력이 발생됨으로 어떠한 수상의 조건하에서도 부유력이 우수하다.
망사내피(20)와 각 부위별로 적층 된 부력포지(40)의 재봉결착이 완료되면 내피(30)와 망사내피(20)가 내피(30)의 각 재봉결착선(30a)(30b)을 따라 재봉결합된 후 다시 망사내피(20)와 내피(30)가 결착 된 것을 외피(10)와 내피(30)의 외부재봉결착선(30c)을 따라 재봉결착하여 줌으로써 구명복(70) 제작이 완료된다.
도 7은 제작이 완료된 기능성 부력복(7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부력복은 부유력이 뛰어나면서도 상체역학구조적인 분리구획에 따른 적층구조의 부력부재를 내입하여 수난에 처했을 시에도 활동성이 뛰어나 자력구제적 수난극복에 조력할 수 있는 수난구호용 기능성 구명복 및 부력복(7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부력복 외피의 분리전개도,
도 2는 부력복 망사내피의 분리전개도,
도 3은 부력복 내피의 분리전개도,
도 4는 적층된 부력포지의 사시도,
도 5는 적층된 부력포지의 각 부위별 결착상태도,
도 6은 부력포지가 결합 된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완성된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외피 (10a)--등판부
(10b)--전면좌측부 (10c)--전면우측부
(10d)--좌소매부 (10e)--우소매부
(20)--망사내피 (20a)--우상등판부
(20b)--좌상등판부 (20c)--우하등판부
(20d)--좌하등판부 (21a)--좌상전면부
(21b)--좌하전면부 (21c)--우상전면부
(21d)--우하전면부 (22a)--좌상소매부
(22b)--좌하소매부 (22c)--우상소매부
(22d)--우하소매부 (30)--내피
(30a)(30b)--재봉결착선 (30c)--외부 재봉결착선
(40)--적층 된 부력포지 (41)--부력포지
(42a)(42b)--박음질결착부 (43a)(43b)--펀칭선
(44)--부력포지 적층부 (70)--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

Claims (2)

  1. 구명 및 부력복에 있어서,
    외피(10)와 망사내피(20)와 부력포지(40)와 내피(30)로 구성되며,
    외피(10)는 등판부(10a)를 중심으로 우소매부(10e)와 좌소매부(10d) 그리고 전면우측부(10c) 및 전면좌측부(10d)로 구획;
    내피(30)와 망사내피(20)는 재봉결착선(30a)(30b)에 의해서 우상등판부(20a), 좌상등판부(20b), 우하등판부(20c), 좌하등판부(20d)와 우상전면부(21c), 좌상전면부(21a), 우하전면부(21d), 좌하전면부(21b) 및 우상소매부(22c), 좌상소매부(22a), 우하소매부(22d), 좌하소매부(22b)로 구획;
    합성수지 재질의 박판 부력포지(41)를 다수개 적층한 적층된부력포지(40)를 각 부위의 크기와 형상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
    각 부위에 맞게 재단된 적층된부력포지(40)를 망사내피(20)에 재봉결착하는 단계;
    내피(30)의 재봉결착선(30a)(30b)을 따라 내피(30)와 망사내피(20)를 재봉결합하는 단계;
    망사내피(20)와 결착된 내피(30)의 외부재봉결착선(30c)을 따라 외피(10)와 재봉결착하는 단계;
    의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
  2. 제 1항에 있어서,
    적층된부력포지(40)를 망사내피(20)에 재봉결착할 때, 적층된부력포지(40) 상측횡단부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따로 재봉결착 될 수 있도록 박음질결착부(42a)를 형성하고, 적층된부력포지(40)의 하측횡단부도 좌측부와 우측부에 박음질결착부(42b)를 형성한 다음 박음질결착부(42b)의 양쪽 가장자리부위에 적층된부력포지(40)가 관통되도록 펀칭하여 각각 두 개의 펀칭선(43a)(43b)을 형성하고 박음질결착부(42b)의 양측에 형성된 펀칭선(43a)(43b)에 면 끈을 통과시켜 망사내피(20)와 연결하고 박음질결착부(42b)를 따라 재봉함으로써 면 끈도 적층된부력포지(40)와 같이 재봉되게하여 적층된부력포지(40)가 망사내피(20)와 결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
KR2020080001169U 2008-01-25 2008-01-25 구명 및 부력복 KR200449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69U KR200449364Y1 (ko) 2008-01-25 2008-01-25 구명 및 부력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69U KR200449364Y1 (ko) 2008-01-25 2008-01-25 구명 및 부력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82U KR20090007682U (ko) 2009-07-29
KR200449364Y1 true KR200449364Y1 (ko) 2010-07-05

Family

ID=4129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169U KR200449364Y1 (ko) 2008-01-25 2008-01-25 구명 및 부력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3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323A1 (ko) * 2012-05-25 2013-11-28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무변형선을 이용한 부력복 및 부력복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38B1 (ko) * 2012-10-16 2014-06-09 손미향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28Y1 (ko) 1998-06-09 2001-12-28 현 용 이 구명복용부력제
KR20020042728A (ko) * 1999-10-19 2002-06-05 월커 존 허버트 작용성 중합체 표면의 제조
KR100463941B1 (ko) 2002-11-28 2004-12-31 권혁만 부력을 갖는 수영복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5815A (ko) * 2006-04-27 2007-10-31 이용재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28Y1 (ko) 1998-06-09 2001-12-28 현 용 이 구명복용부력제
KR20020042728A (ko) * 1999-10-19 2002-06-05 월커 존 허버트 작용성 중합체 표면의 제조
KR100463941B1 (ko) 2002-11-28 2004-12-31 권혁만 부력을 갖는 수영복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5815A (ko) * 2006-04-27 2007-10-31 이용재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323A1 (ko) * 2012-05-25 2013-11-28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무변형선을 이용한 부력복 및 부력복 제작방법
KR101344238B1 (ko) * 2012-05-25 2013-12-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무변형선을 이용한 부력복 및 부력복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82U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494B2 (en) Puncture and cut resistant material
US5178163A (en) Support belt
US4669991A (en) Swimming glove
WO2008118070A1 (en) Material for a drysuit
KR200449364Y1 (ko) 구명 및 부력복
US9101815B2 (en) Watersport hiking support system
JP5156728B2 (ja) 衣服
KR100927681B1 (ko) 기능성 구명 및 부력복의 제조방법
JP2017525866A (ja) スポーツ用衣類用の肩ストラップ
US6206744B1 (en) Insulated flotation garments
JPH1077505A (ja) 浮揚性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低密度半完成製品
KR200242728Y1 (ko) 구명복용부력제
KR200451803Y1 (ko) 부력복
JP3179272U (ja) 浮体付き胸付きズボン
KR200386473Y1 (ko) 수영복용 부력체
JP2013213306A (ja) スポーツ用ウェア
JP2000080504A (ja) 浮揚性衣服および浮揚性縫製材
JP2004526880A5 (ko)
JPH0435381Y2 (ko)
WO2020003455A1 (ja) 背負い鞄用救命胴体及び背負い鞄用救命胴体の使用方法
JP3057644U (ja) 衣 服
JP3049431U (ja) マリンスーツ
KR101041342B1 (ko) 부력복용 부력부재 제조방법
KR101041244B1 (ko) 부력복용 부력부재 제조방법
CN214774387U (zh) 一种半穿孔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