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815A -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 Google Patents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815A
KR20070105815A KR1020060076851A KR20060076851A KR20070105815A KR 20070105815 A KR20070105815 A KR 20070105815A KR 1020060076851 A KR1020060076851 A KR 1020060076851A KR 20060076851 A KR20060076851 A KR 20060076851A KR 20070105815 A KR20070105815 A KR 2007010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ist
bent
curved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952B1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8192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058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filed Critical 이용재
Publication of KR2007010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놀이에서 사용하는 안전용 부력보조복의 형태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력보조복을 착용하고 수상 레져스포츠 또는 몰놀이 할때, 움직임이 자유롭고 착용감이 편한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부력보조복의 허리부분을 신체역학적 꺾임을 고려하고, 또한 이러한 꺾임을 경제적이면서도 성형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열로 성형한 표면부와 부력 보충재를(PE폼)를 수용하여 외피와 봉재토록 하는 내피로 마감하는 다중 구조형태를 취함으로서 부력보조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후 좌우 구부림 비틀림등의 활동을 자유롭게 해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omitted}
도1은 발명에 의한 외관사시도.
도2a,2b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과 후면 상태도.
도3a,3b는 본 발명에 의한 굴곡부의 단면도.
도4는 발명에 의한 부력보조복의 굴곡부의 또 다른 상태도.
도5는 발명에 의한 부력보조복의 착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표면부 11: 가슴부
12: 허리부 13: 굴곡부
14: 기부 15: 보조부력재
20: 외피 30: 내피
40: 멜빵 50: 테두리띠
본 발명은 물놀이나 수상 레져레포츠에 사용하는 안전용 부력보조복에 관한 것으로, 수영을 못하거나 수상레져를 즐길 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착용하는 구명 조끼의 형태이고, 특히 천으로 양쪽을 마감하고 내피에 고체식 부력재를 넣어서 부력을 확보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부력보조복에 적용되는 것이다.
현재 구명조끼의 형태로 사용되는 부력보조복은 대부분 합성수지를 발포한 스티로폴이나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고체식 부력보족복으로 제공되고, 또한 안전한 부력을 확보하기 위해 삽입하는 부력재가 두꺼워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로운 활동을 하기가 거북하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고체식 부력보조재가 두꺼운 상태에서 가슴과 허리부분까지 모두 감싸여지는 형태로 제작되고 이러한 것을 착용한 후 물속이 들어갈 경우에는 부력에 의하여 부력보조복은 물에 뜰려고 하고 이를 착용한 사람은 가라 앉을려고 함으로 대부분 부력보조복이 머리쪽으로 치고 올라오게 됨으로 대부분 몸에 꽉조인 상태를 유지함으로 됨으로 이러한 부력보조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유도한다는 것이 불편한 것이고, 특히 안거나 할 경우에는 대부분 허리의 꺾임이 이루어지나 이럴 경우에는 상당한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고체식 부력보조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체식 부력재를 인체역학적 꺾임을 고려하여 가슴부와 허리부를 열로 연속으로 굴곡되어지게 성형한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에 합지되어지는 외피와 상기 외피와 봉재되어지는 내피로 구분하고, 상기 가슴부는 굴곡되어지는 간격이 넓게 형성하고, 허리부는 그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허리의 꺾임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굴곡되어짐으로 인하여 부력재의 전체적임 부피가 감소할 경우에는 보조부력재를 내피가 외피와 봉재될 경우에 동시에 내피의 내측에 필요에 다라 다층으로 채움토록 한 후 봉재토록 함으로서 원하는 형태로의 부력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부력재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다양한 재질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또한 굴곡부는 어떠한 형태로의 굴곡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굴곡은 가능하면 기부가 존재한 상태에서 연속되어지는 굴곡부를 형성토록 함이 부력을 증진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기부는 가능하면 허리를 구부릴 경우에 구부림에 저항감을 느낄 수 없을 정도의 두께로 하는 것이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2a,2b는 표면부의 굴곡부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3a,3b는 굴곡부의 상태와 보조부력재의 채움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지고, 굴곡부(13)를 갖는 표면부(10)와 상기 굴곡되어진 표면부(10)에 일체로 합지되어지는 외피(20)와 봉재되어지는 내피(30)와 외피와 내피가 봉재되어지면서 형성된 부력보조복에는 착용한 상태에서의 고정을 위한 멜빵(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표면부(10)는 가슴부(11)와 허리부(12)로 구분하고, 상기 가슴부(11)는 굴곡부(13)를 형성치 아니하고 하나의 폭이 큰 굴곡부(13a)로 형성하며 허리부(12) 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형태의 굴곡부(13b)로 형성하며 상기 굴곡부(13)는 가능하면 기부(14)가 존재한 상태에서 기부(14)와 굴곡부(13)가 일체감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일체감은 일체로 기부(14)와 굴곡부(13)가 일체로 성형토록 하거나 또는 기부(14)와 굴곡부(13)가 접착에 의하여 형성하는 방식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부(14)와 굴곡부(13)가 일체로 성형토록 하는 것이 접착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보다는 우수한 것이고, 이는 접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는 대부분 수용성의 형태로 존재하게 됨으로 물에서만 사용되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접착제로 접착되어지는 방식보다는 우수한 것이나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굴곡부(13)는 그 굴곡의 형태가 하단으로 가면서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토록 함으로서 그 꺾임이 용이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굴곡부(13)는 수평과 수직으로 구분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의 제공은 물론 이러한 수평과 수직으로 굴곡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몸체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굴곡부(13)를 갖는 표면부(10)는 그 상면으로 외피(20)가 일체로 합지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외피(20)는 가능하면 방수천을 사용토록 하거나 또는 EVA폼을 사용함으로서 부력의 증진 및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굴곡부(13)를 갖는 표면부(10)의 내피(30)도 가능하면 방수가 가능한 천을 사용하면서도 통기가 가능한 것으로 함이 좋은 것이고, 이러한 내피(30) 는 외피(20)와 봉재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봉재는 가능하면 테두리띠(50)로 내피(30)와 외피(20)가 봉재되어진 상태에서 테두리띠(5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멜빵(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멜빵은 안전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멜빵의 구조가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내피(30)가 외피(20)와 봉재되어질 경우에 부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얇은 보조부력재(15)를 기부(14)에 적층토록 한 후 내피(30)를 외피(20)와 봉재토록 함으로서 부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면서도 허리부(12)의 꺾임이 자유롭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부(14)를 갖는 굴곡부(13)를 성형할 경우에는 일정한 형태의 금형에 의하여 열로 가압토록 한 후 성형하는 것이고, 이러한 성형법은 공지의 것이다.
또한 부력보조재(15)는 발포폼을 가교시트의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각각의 셀이 교차되어지지 않토록 함으로서 물이 흡수되어지지 않토록 성형되어진 것을 사용하고, 가능하면 얇은 판재의 형태를 사용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판재를 다층으로 중첩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유연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교시트의 형태로 발포성형되어지는 것은 당업자간에는 이미 일반적인 기술이고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굴곡부(13)에 의하여 허리의 굽힘이나 꺾임시에 용이한 꺾임이나 굽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굴곡부(13)가 기부(14)와 일체로 형성 됨으로 큰 부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부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보조부력재(15)를 내피(30)와 외피(20)가 봉재될 경우에 채움토록 함으로서 강한 부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곡부를 갖는 표면부의 부력재를 열로 성형한 후 허리부만을 굴곡되어지도록함으로서 허리의 굽힘이나 꺾임이 자유롭도록 하고, 또한 부력이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보조부력재를 내외를 봉재할 경우에 채움토록 함으로서 굽힘이나 꺾임시에 유연성을 확보토록 하면서도 안정적은 부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가슴부와 허리부로 구분되어 허리부에 다열로 연속되게 굴곡부를 갖는 표면부와 상이 표면부와 합지되어지는 외피와 상기 외피와 봉재되어지는 내피가 테두리띠로 동시에 봉재되어진 후 테두리띠에 직교하게 멜빵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보조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갖는 표면부는 굴곡부가 기부의 상측으로 굴곡지게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보조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의 이면으로는 보조부력재가 채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보조복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가슴부는 하나로 허리부는 다열로 연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허리부의 굴곡부는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그 굴곡의 폭이 좁??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보조복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수평과 수직으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보조복
KR1020060076851A 2006-04-27 2006-08-14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KR101166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32 2006-04-27
KR20060011332 200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15A true KR20070105815A (ko) 2007-10-31
KR101166952B1 KR101166952B1 (ko) 2012-07-19

Family

ID=3881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851A KR101166952B1 (ko) 2006-04-27 2006-08-14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64Y1 (ko) * 2008-01-25 2010-07-05 손미향 구명 및 부력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311A (ja) * 2000-01-26 2001-08-03 Shimano Inc 浮力材付き衣服
KR200305322Y1 (ko) 2002-11-18 2003-02-26 김승일 구명조끼용 부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64Y1 (ko) * 2008-01-25 2010-07-05 손미향 구명 및 부력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952B1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8695T3 (es) Diseño de traje de buceo
US5452477A (en) Item of swimming wear
JP4539929B2 (ja) 浮力性首支持体と身体パネルを具えた水着
EP2125504B1 (en) Material for a drysuit
JP2017514031A (ja) 浮力を有する水着
KR101166952B1 (ko) 허리부의 꺾임이 용이한 부력보조복
KR200451803Y1 (ko) 부력복
KR101404338B1 (ko)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JP2007291581A (ja) ブラジャー
KR200386473Y1 (ko) 수영복용 부력체
JP3128853U (ja) ブラジャー
KR100783125B1 (ko) 구명복
CN211483176U (zh) 飞织后脚跟垫及飞织鞋
CN210642556U (zh) 一种新型防护户外棉服
US6547614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JP3115866U (ja) 和装用ブラジャー
JP3049431U (ja) マリンスーツ
KR101472885B1 (ko) 구명복
CN212697738U (zh) 一种稳定性好的泳衣
JP5826689B2 (ja)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AU2009100172A4 (en) Heated garment
US6905383B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200435063Y1 (ko) 부력을 갖는 수영복
KR200358778Y1 (ko) 방석이 결합된 낚시용 구명조끼
CN201734113U (zh) 一种护脊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412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226

Effective date: 2021012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077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315

Effective date: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