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224Y1 -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224Y1
KR200449224Y1 KR2020070020913U KR20070020913U KR200449224Y1 KR 200449224 Y1 KR200449224 Y1 KR 200449224Y1 KR 2020070020913 U KR2020070020913 U KR 2020070020913U KR 20070020913 U KR20070020913 U KR 20070020913U KR 200449224 Y1 KR200449224 Y1 KR 200449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box
receiving portion
fork receiving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47U (ko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2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격살로 구성된 포크수용부의 입구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포크수용부에 진입될 때 경사부에 의해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그로인해 상자형 파렛트 자체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게 한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화물, 포장, 상자형 파렛트, 점보박스, 보강, 경사, 포크

Description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Box elder brother green onion leys thu improvement structure of forklift truck fork accommodating vice- entrance}
도 1은 포크수용부가 구비된 화물 운반용 상자형 파렛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상자형 파렛트의 요부를 보여주는 저면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종래 일반적인 화물운반용 상자형 파렛트의 포크수용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크랙이 발생된 상태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화물수용부
20 : 포크수용부 22 : 보강리브
23 : 격살 24 : 경사부
J : 점보박스 F : 포크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격살로 구성된 포크수용부의 입구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포크수용부에 진입될 때 경사부에 의해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고, 그로인해 상자형 파렛트 자체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게 한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형 파렛트(현장에서는 화물운반용 점보박스로 불리워짐)는 식품, 제과, 농수산업, 기타 공업용 원부자재의 보관, 적재 및 이동 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내 화학성이 우수하여 화공약품 사용에도 적합하고, 대형 물류시장에 빠르게 흡수되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생산자, 상인, 소비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품유통과정 및 수출입 관계에 있어서 다량의 물품을 안전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도의 종래 상자형 파렛트는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화물 수용부(120)를 갖는 상자형 파렛트 본체(100)가 구비되고, 본체(100)의 하단부에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의 하역차량에 의해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역차량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수용부(2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수용부(200)가 형성된 바닥면에는 적재된 운반물의 하중을 분산시켜 박스의 뒤 틀림 현상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보강리브(220)와 격살(23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상자형 파렛트의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리브(220)는 포크수용부(200)의 입구 쪽에서부터 그 내측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높이가 동일한 수평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크수용부(200)의 입구측에 형성된 보강리브(220)가 하역차량의 포크(F)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포크(F)의 선단부분과 직접 맞닿아 쉽게 파손되거나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역차량의 포크(F)를 본체(100)의 포크수용부(200)에 완전히 끼워넣은 상태로 포장박스를 들어 올리게 되면, 포장박스가 반대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포크수용부(200) 입구쪽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포크수용부(200)의 입구 쪽에 형성된 보강리브(220)가 그 하중을 받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면서 박스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상자형 파렛트를 이용한 화물의 적재 및 운반작업시 포크수용부의 입구 쪽에 형성된 보강리브가 하역차량의 포크와 맞닿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크수용부의 입구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에 의한 리브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결국 상자형 파렛트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측으로 화물 수용부를 갖는 본체가 구비되고, 이 본체의 하부면에 다수의 보강리브와 격살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포크수용부를 구비하는 화물 운반용 점보박스에 있어서,
상기 포크수용부의 입구측 선단부에는 하부면의 보강리브가 입구측에서 내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전방측으로 소정의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강리브는 포크수용부의 입구측 선단에서부터 내측의 하부측방향으로 갈수록 일정한 높이차를 가지고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포크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자형 파렛트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운반용 점보박스의 요부를 보여주는 확대 저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상자형 파렛트(J)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수용부(12)를 갖는 본체(10)가 구비되고, 이 본체(10)의 하부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2)와 격살(23)들이 형성된 포크수용부(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크수용부(20)의 입구측 선단부에는 보강리브(22a)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전방측으로 소정의 경사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22a)는 첨부된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포크수용부(20)의 입구측 선단에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차(h)를 가지고 단계적으로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부(2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크수용부(20)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22b)와 격살(23)들이 하역차량의 포크(F) 상부면과 수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리브(22)는 운반물의 하중이 원활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부(24)는 상자형 파렛트의 사용 용도와 그 형태에 따라서 상기 보강리브(22a)의 높·낮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경사각의 차이를 둘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단차지게 형성된 보강리브(22a)는 운반물 하역작업시 하역차량의 포크(F) 부분과 직접 맞닿지 않게 되므로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상자형 파렛트(J)는 본체(10)의 화물수용부(12)에 운반물을 적재시킨 후, 그 하부면에 형성된 포크수용부(20)에 하역차량(지게차 등)의 포크(F)를 삽입하여 지면에서 일정한 간격 만큼 이격되게 들어 올린 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하역차량의 포크(F) 부분은 다수의 보강리브(22)와 격살(23)들로 구성되어진 포크수용부(2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진 상태로 운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포크수용부(20)의 입구쪽에 형성된 보강리브(22a)가 순차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물 하역작업시 포크수용부(20)의 입구를 통해서 삽입되는 하역차량의 포크(F)가 상기 보강리브(20a)와 직접 맞닿지 않게 되므로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운반도중 포크수용부(20)의 입구 쪽으로 운반물의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더라고 입구 쪽에 형성된 보강리브(22a)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전한 상태로 운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화물 운반용 상자형 파렛트(J)를 구성하는 보강리브(22)의 구조는 화물을 적재 및 운반시키기 위한 팔레트(Palette) 등의 바닥면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자형 파렛트를 이용한 화물의 적재 및 운반작업시 포크수용부의 입구 쪽에 형성된 보강리브가 하역차량의 포크와 맞닿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포크수용부의 입구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에 의한 리브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결국 상자형 파렛트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유지시킬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측으로 화물 수용부(12)를 갖는 본체(10)가 구비되고, 이 본체(10)의 하부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2)와 격살(2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포크수용부(20)를 구비하고,
    상기 포크수용부(20)의 입구측 선단부에는 하부면의 보강리브(22a)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전방측으로 소정의 경사부(2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화물 운반용 상자형 파렛트(J)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22a)는 포크수용부(20)의 입구측 선단에서부터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일정한 높이차(h)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내측의 하부측 방향으로 점차 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2. 삭제
KR2020070020913U 2007-12-28 2007-12-28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KR200449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13U KR200449224Y1 (ko) 2007-12-28 2007-12-28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13U KR200449224Y1 (ko) 2007-12-28 2007-12-28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47U KR20090006647U (ko) 2009-07-02
KR200449224Y1 true KR200449224Y1 (ko) 2010-06-24

Family

ID=4133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913U KR200449224Y1 (ko) 2007-12-28 2007-12-28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22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78A (ja) * 1997-02-06 1998-08-18 Dainippon Ink & Chem Inc 合成樹脂製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178A (ja) * 1997-02-06 1998-08-18 Dainippon Ink & Chem Inc 合成樹脂製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47U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8154A1 (en) Pallet
US2930481A (en) Pallet and palletized package
US20180208349A1 (en) Shipping Container
RU2708099C1 (ru) Контейнер с поддоном
US10611519B2 (en) Universal platform for stacking an object on top of a bulk bin
KR200449224Y1 (ko) 상자형 파렛트의 지게차 포크 수용부 입구의 개선구조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JP2003034330A (ja) 運搬用パレット
AU2020339175B2 (en) Improved dedicated bulk bag for container use conveni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1821149B1 (ko) 파렛트
CN204096249U (zh) 吨袋托盘
JP2006206089A (ja) 一体成形二方差し合成樹脂製パレット
US6112673A (en) Pallet assembl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doors and the like
KR200367502Y1 (ko) 밴딩홈이 구비된 팔레트
KR102603754B1 (ko)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EP2316741A1 (en) Pallet
JP6291549B1 (ja) 矩形缶用ダネッジと矩形缶輸送システム
KR100304597B1 (ko) 철재 파렛트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200246204Y1 (ko) 컨테이너 백
CN205525505U (zh) 装运托架
CN216547283U (zh) 桶装水水桶专用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