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894Y1 - 걸레 - Google Patents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94Y1
KR200448894Y1 KR20090012221U KR20090012221U KR200448894Y1 KR 200448894 Y1 KR200448894 Y1 KR 200448894Y1 KR 20090012221 U KR20090012221 U KR 20090012221U KR 20090012221 U KR20090012221 U KR 20090012221U KR 200448894 Y1 KR200448894 Y1 KR 200448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inner space
fitting
positioning memb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2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페이-위안
Original Assignee
락톤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락톤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락톤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레(mop)에 관한 것으로 청결부가 있으며 상면에 내입부가 설치된 걸레(mop) 와 각각 대칭적으로 내입부에 조립되어진 둘레부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지는 것에 의해 상, 하 양측에 각각 접합면이 있는 내입면부가 형성되고 또 상측 내입면부에 반원형 감합면부가 형성되고 내벽에 계지부가 설치되어진 두개의 위치붙임부재와 손잡이 봉이 있고 접촉단부가 두개의 위치붙임부재의 내부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피계지부가 있으며 접촉단부의 중심에 감합면부에 대응하여 구경이 약간 작은 감합단이 돌출하고 접촉단부의 두께가 내부공간부의 높이 보다 작고
감합단과 접촉단부가 내부공간부 내에서 감합면부에 따라서 상, 하 위치가 바뀌는 가동부가 함유되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와 위치붙임부재와의 사이에 있어서 손잡이 봉이 위로 변위하는 것에 의해 걸레(mop)와 손잡이 봉이 같은 시기에 회전하나 손잡이 봉이 밑으로 변위하는 것에 의해 걸레(mop)가 손잡이 봉에서 이탈하여 편리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다용도로 사용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몹, 탈수장치.

Description

걸레{Mop}
본 고안은 걸레(mop)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레(mop)의 상면에 두개의 위치붙임부재와 손잡이 봉이 있는 가동부가 조립된 내입부가 설치되고 가동부와 위치붙임부재와의 사이에 있어서 손잡이 봉이 위로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걸레(mop)의 손잡이 봉이 같은 시기에 회전하고 손잡이 봉이 아래로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걸레(mop) 축이 회전하는 것(예를 들면 대만 특허공고 M327709호)에 의해 다용도로 사용이 실현되어지는 것에 관한다.
기존의 마루 청결용의 각 종류의 걸레(mop)는 청정(淸淨)할 때에 쾌속적으로 회전하는 탈수장치로 청결부에 붙은 수분을 제외하고 청결과정 중 손으로 걸레(mop)청결부를 비틀지 않아도 되지만 종래의 걸레(mop)와 손잡이 봉이 직접 조립되어 지기 때문에 청결부가 일단 탈수장치와 함께 회전하면 걸레(mop)와 손잡이 봉도 같은 시기에 회전하게 되며 그 때문에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직립(直立)이 있는 점에 고정하므로 탈수장치가 구동하고 또 빠진 후 손잡이 봉을 잡아 밖으로 하므로 걸레(mop)전체를 탈수장치로 부터 꺼낸 후 청결을 하고 상기와 같은 조작을 되풀이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작업 효율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 불편하였다.
또 기존의 걸레(mop)는 청결부(예를 들면 면마포/직물포 등)가 결합되고 리벳(rivet)구조나 매직 테이프(magic tape) 등에 의해 걸레(mop)에 결합되어 지기 때문에 실용상 리벳(rivet)구조인 경우 청결부를 교환하는 것이 되지 않으므로 걸레(mop)전체를 폐기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환경보호에도 악영향을 주고 또 비경제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흠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중히 연구하고 학리를 이용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걸레(mop)의 상면에 내부공간부와 표면둘레 및 감합면부가 있는 위치붙임부재와 손잡이 봉과 결합단 및 감합단이 있는 가동부와의 접촉단부에 각각 서로 계지하는 계지부와 피계지부가 설치되고 가동부와 위치붙임부재와의 사이에 있어서 손잡이 봉의 위로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걸레(mop)와
손잡이 봉이 같은 시기에 회전하고 손잡이 봉의 아래로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걸레(mop) 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다용도로 사용이 실현되어 지는 걸레(mop)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봉이 아래로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가동부의 피계지부와 위치붙임부재의 계지부가 접촉하지 않는 설계로 탈수장치와 함께 회전할 때에 걸레(mop)와 위치붙임부재가 가동부축에서 회전되고 손잡이 봉이 회전하지 않는 설계에 의해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붙임하지 않아도 직접으로 손잡이 봉의 걸레(mop)를 탈수장치에 설치하여 청결부의 수분을 빼게되고 조작 효율이 향상되어지는 걸레(mop)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각 종류의 재질로 된 청결부를 간편히 조립을 할 수 가 있고 사용자가 자신 스스로 누름부재를 걸레(mop)에서 잡아 떼어내고 청결부를 교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누름부재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보호나 자원절약면에서도 도움이 되므로써 시장 경쟁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청결부(40)가 있고 상면에 내입부(11)가 설치된 걸레(mop)(10) 와 각각 대칭적으로 내입부(11)에 조립된 둘레부(21)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내부공간부(22)가 형성되어 지는 것에 의해 상, 하 양측에 각각 접합면(23)이 있는 내입면부(24)가 형성되고 또 상측 둘레부(21)에 반원형 감합면부(242)가 형성되고 내벽에 계지부(243)가 설치되어진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와 손잡이 봉(35)이 있고 접촉단부(31)가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내부공간부(22) 내에 위치하는 피계지부(32)가 있으며 접촉단부(31)의 중심에 감합면부(242)에 대응하여 구경이 약간 작은 감합단(33)이 돌출하고 접촉단부(31)의 두께가 내부공간부(22)의 높이 보다 작고
감합단(33)과 접촉단부(31)가 내부공간부(22) 내에서 감합면부(242)에 따라서 상, 하 위치가 바뀌는 가동부(30)가 함유되고 이것에 의해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와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손잡이 봉(35)이 위로 당겨짐과 동시에 걸레(mop)(10)와 손잡이 봉(35)이 같은 시기에 회전되고 손잡이 봉(35)이 아래로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에서 이탈할 때까지 위치가 바뀌면 걸레(mop)(10)와 청결부(40)가 축회전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가 둥근형상으로 형성되게 하여서된 것이다.
또한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와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잇빨모양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와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계지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가동부(30)의 감합단(33)의 상면에 양측으로 내입공(341)이 있고 내입요부(34)가 설치되고 손잡이 봉(35)의 저단에 내입공(341)에 추착되는 원형돌출부(351)가 설치되고 가동부(30)의 내입요부(34)가 감합단(33)의 외경보다 크게하여 걸림부분(342)이 형성되어 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에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가 합해져서 내부공간부(22)에 따라 위로 소정의 각도로 반원형의 표면둘레부(241)가 형성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표면둘레부(241)에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의 내입부(11)의 내벽에 사개(四個)의 접촉부(12)가 설치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와 하측내입면부과의 접촉영역(232)에 접촉부(12)와 계지하여 위치붙임되는 계합부(25)가 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위치붙임부재(20)의 접합면(23)의 양측에 각각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돌출상의 접합부(231)와 움푹패인 접합부분(232)이 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에 내입부(11)가 형성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가 " [ " 상(狀)으로 형성되어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에 있어서 내입부(11)의 양측벽의 상단에 붙임부(13)가 설치되고 두 개의 위치붙임부재(20)에 있어 각각 내부공간부(22)의 양외측에 걸레(mop)(10)의 붙임부(13) 내에 수납되어 서로 계지되고 대칭하는 계지 훅(hook)(201)과 계지공(201')이 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위치붙임부재(20)의 상측내입면부(24)에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가 합해지고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위로 반원형의 표면둘레부(241)가 설치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표면둘레부의 상면 내벽에 설치되고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접촉단부(31)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접합면(23)에 각각 서로 감합하고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돌출상의 접합부(231)와 움푹패인 접합부분(232)이 설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의 저면에 링(ring)모양의 요부(11')가 설치되고 그의 양측에 둘레면부(12')가 형성되고 요부(11')의 상면에 약간의 고정부(13')가 끼워되고 청결부(40)가 요부(11') 내에 설치되고 양측둘레면부(12')에 의해서 제한되어 아래로 늘어지고 링(ring)모양의 압박면(51)을 가진 누름부재(50)가 요부(11) 내에 수납되고 압박면(51)의 상면에 고정부(13')에 대응한 위치에 붙임되는 내입돌부(52)가 설치되고 청결부(40)가 요부(11') 내에 고정되어 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의 고정부(13')가 형성되고 감합부(521)와 안내 훅(hook)부(522)가 형성되어진 누름부재(50)의 내입돌부(52)가 계지 훅(hook)(201) 모양이며 청결부(40)의 사이에서 고정부(13')에 따라 안내 훅(hook)부(522)에 의해 걸레(mop)(10)의 단면에 계지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의 고정부(13')가 관체형부(131')이며 누름부재(50)의 내입돌부(52)가 천공(521')이며 천공(521')의 내경이 관체형부(131')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아래로 비교적으로 큰 구경을 가진 내입둘레부(522')가 늘어나서 접합둘레부(523')가 형성되고 나사단(531)과 저당부(532)를 가진 부품(53)가 아래에서 위로 끼워져 관체형부(131')에 잠금되고 저당부(532)가 접합둘레부(532')에 의해 저당되어 내입둘레부(522') 내에 숨어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누름부재(50)의 압박면(51)의 상표면에 압박면(51)에 합해서 청결부(40)에 압박하여 위치붙임을 위한 약간의 잇빨모양의 미끄럼방지돌출 블럭(block)(511)이 형성되어 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청결부(40)가 둘레체(42)에 의해 면마포(41)와 직물포(41')가 결합된 것으로 각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내측은 짧고 외측은 길게으로 배열되어서 둘레체(42)에 결합되어지기 위한 단측단(401')과 장측단(402')이 형성되고 청결부(40')의 단측단(401')이 둘레면부(12')에 의해 구속되어서 걸레(mop)(10)의 내면에 분포하고 장측단(402')이 둘레면부(12')에 의해 구속되어서 밑으로 늘어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청결부(40)의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두개의 면속을 교합으로 얽어 합해서 연결끈(412)에 의해 엮어 붙이고 상기 연결끈(412)으로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를 엮어 합한 부위가 내부에 숨겨저서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가 융기부(4111)로 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청결포가 "┗┛"모양으로 겹처 포갠단(411')이며 긴밀히 링(ring) 모양으로 배열된 면마포(41) 및 직물포(41')와 고정틀(60)이 꿰메어지는 것으로 형성되고 고정틀(60)에는 저면부(61)가 있고
저면부(61)의 둘레에 따라서 링모양의 주머니체(62)가 설치되고 주머니입구를 맺어 주머니체(62)에 내부공간부(22)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끈(63)이 끼워지고 내부공간부(22)에 있어서 걸레(mop)(10)가 고정틀(60)의 저면부(61)가 고정끈(63)을 맺어지게 첨부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의 저면이 원형상이나 장방형상의 여러가지 조형이며 고정틀(60)와 저면부(61)가 걸레(mop)(10)의 저면과 유사한 형상이 되게 한 것이다.
또한 고정틀(60)의 링모양의 중앙공간에 탄성부품(64)이 설치되어 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청결포가 약간의 "┗┛"모양으로 겹처 포갠단(411')이며 긴밀히 링(ring) 모양으로 배열된 면마포(41) 및 직물포(41')와 고정틀(60)이 꿰메어지는 것으로 형성되고 고정틀(60)의 둘레에 요부(11')가 있는 걸레(mop)(10)를 감합하기 위한 탄성부품(64)을 가진 주머니체(62)가 형성되고 고정틀(60)의 탄성부품(64)을 걸레(mop)(10)의 요부(11')에 계합하여서 걸레(mop)가 조립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걸레(mop)(10)의 저면이 원형상이나 장방형상의 여러가지 형상이며 고정틀(60)의 저면부(61)가 걸레(mop)(10)의 저면과 유사한 형상이 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은 걸레(mop)(10)와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 및 가동부(30)가 함유되고 걸레(mop)(10)는 저면에 닦아 내기 위한 청결부(40)가 조립되고 상면에 내입부(11)가 설치되고 내입부(11)의 내벽에 사개(四個)의 접촉부(12)가 형성되고 위치붙임부재(20)는 (도"2" 또"3"을 참조하면서) " [" 상(狀)이며 내입부(11)에 합해져서 둘레부(2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내부공간부(22)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 하 양측에 각각 접합면(23)이 있는 내입면부(24)가 형성되고 또 상측내입면부(24)가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위에 있는 각도로 반원형의 표면둘레부(241)가 늘어나서 반원형의 감합면부(242)가 형성되고 표면둘레부(241)가 내벽에 약간의 잇빨모양의 계지부(243)가 형성되고 상, 둘레부(21)와 하측내입면부(24)와의 접촉영역에 접촉부(12)에 대응하는 약간의 계합부(25)가 설치되고 접합면(23)의 양측에 각각 내부공간부(22)과 표면둘레부(241)에 따라서 돌출상(突出狀)의 접합부(231)와 움푹패인 접합부분(232)이 설치되고 가동부(30)는 표면둘레부(241)에 합해져서 둥근형상의 접촉단부(31)가 설치되고 접촉단부(31)의 두께가 내부공간부(22)의 높이보다 작고 둘레에 약간의 잇빨모양의 피계지부(32)가 설치되고 접촉단부(31)의 중심에 구경이 약간 작은 감합단(33)이 돌출되고 감합단(33)의 상면에 저단으로 원형돌출부(351)가 있는 손잡이 봉(35)이 합해져서 양측에 내입공(341)이 있는 내입요부(34)가 설치되고 내입요부(34)가 감합단(33)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걸림부분(342)이 형성되어 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4"∼도"6"과 같이 먼저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내부공간부(22)을 대칭함에 의해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의 양측에서 접합면(23)에 저당할때 까지 추착하고 이때에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접합부(231)와 접합부분(232)이 서로 계합하여 상하 위치가 바뀜없이 붙게 되어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감합면부(242)가 감합단(33)에 위치하고 접촉단부(31)가 내부공간부(22) 내에 숨겨짐에 의해 추착되고 그 후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를 가동부(30)와 함께 위에서 아래로 향하고 동시에 걸레(mop)(10)의 내입부(11) 내에 설치되고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가 접합면(23)에 의한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내입부(11)의 내벽에 붙어지고 계합부(25)이 접촉부(12) 내에 감합되어서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가 확실하게 내입부(11) 내에 고정되고 손잡이 봉(35)의 하단을 원형돌출부(351)와 내입공(341)과 서로 추착할때 까지 섭동적으로 가동부(30)의 내입요부(34)에 추착하면 조립이 완성되어진다.
걸레(mop)(10)의 청결부(40)가 탈수장치 내에 설치되어질때나 지면에 둘 때에 손잡이 봉(35)이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아래로 변위할 때 (도"7"과 같이) 가동부(30)의 감합단(33)이 손잡이 봉(35)의 중력에 의해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감합면부(242)에 따라서 아래로 위치가 바뀌고 이에 의해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와 접촉하지 않으며 접촉단부(31)가 내부공간부(22) 내에 추착되고 그 때문에 청결부(40)가 탈수 장치와 함께 동시 회전할 때에 손잡이 봉(35)이 회전하지 않고 걸레(mop)(10)와 위치붙임부재(20)의 감합면부(242)가 가동부(30)의 감합단(33) 축에서 회전하는 것이며 작업자가 손잡이 봉(35)을 위치 붙임하지 않아도 손으로 손잡이 봉(35)을 쥐고 직접 걸레(mop)(10)를 탈수장치 내에 설치하여 청결부(40)의 수분을 빼낼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지면을 청결할 때에 걸레(mop)(10)가 닦아 내고 지형이나 모퉁이에 따라 가동부(30)나 손잡이 봉(35)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자재(自在)로 전동되고 사용상 보다 원활하고 마음이 편하며 보다 좋은 사용상태가 실현되어 진다.
손잡이 봉(35)이 위로 위치가 바뀔 때(도"8"과 같이) 걸레(mop)(10)가 청결부(40)의 중력에 의해 위치붙임부재(20)의 감합면부(242)와 함께 가동부(30)의 감합단(33)에 따라서 표면둘레부(241)까지 아래로 위치가 바뀌어 접촉단부(31)에 의해서 저당되고 그 때문에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걸레(mop)(10)와 청결부(40)의 중력에 의해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와 계지되고 손잡이 봉(35)이 위로 위치가 바뀌어회전할 때에 같은 시기에 가동부(30)와 위치붙임부재(20) 및 걸레(mop)(10)가 회전되고 청결부(40)가 회전력(원심력)에 의해 전개상태로 되어 전시회의 전시 등의 다용도 사용에 활용된다.
또 도"9"와 같이 걸레(mop)(10)는 내입부(11)의 양측벽의 상단에 붙임부(13)가 설치되고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는(도"10"과 도"11"과 같이)상측내입면부(24)에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위로 반원형의 표면둘레부(241')가 돌출하고 반원형의 감합면부(242)가 형성되고 표면둘레부(241')의 상면 내벽에 하나나 하나 이상의 계지부(243')가 설치되고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접합면(23)에 각각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서로 감합하는 돌출상의 접합부(231')와 움푹패인 접합부분(232')이 형성되고 (도"12"와 같이)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는 각각 내부공간부(22)의 양외측에 대칭하는 모양으로 걸레(mop)(10)의 붙임부(13) 내에 수납되고
서로 계지되는 계지 훅(hook)(201)과 계지공(201')이 설치되고
가동부(30)는 둥근형상의 접촉단부(31')과 표면둘레부(241')가 있으며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내부공간부(22) 내에 위치하고 접촉단부(31')의 상면 둘레에 하나나 하나이상의 피계지부(32')가 둘러싸고 손잡이 봉(35)이 위로 위치가 바뀔 때에 걸레(mop)(10)가 청결부(40)의 중력(重力)에 의해
피계지부(32')와 계지부(243')가 서로 계지할 때까지 밑으로 변위하고 그 때문에 손잡이 봉(35)에 연동되어서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와 걸레(mop)(10)가 같은 시기에 회전하고 청결부(40)가 회전력에 의해 전개(展開)되고
전시회의 전시 등의 다용도 사용으로 활용되고 손잡이 봉(35)이(도"13"과 같이) 피계지부(32')까지 아래로 변이하여 계지부(243')에서 이탈하여 내부공간부(22) 내에 추착되어 질때에 걸레(mop)(10)와 청결부(40)가 탈수장치 내에서 축회전하고 손잡이 봉(35)이
연동되지 않고 수분을 빼내는 동작이 없고 지면을 청결할 때에 걸레(mop)(10)가 딱아 내고 지형이나 모퉁이에 따라
가동부(30)나 손잡이 봉(35)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고 자재(自在)로 전동되고 사용상보다 원활하고 마음이 편하며 보다 좋은 사용 상태가 실현되고
감합단(33')의 상면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양측에 내입공(341')이 있는 움푹패인 형상의 내입요부(34')와 저단에 원형돌출부(351)가 있는 손잡이 봉(35)이 설치되고 상기 내입요부(34')의 저면에 손잡이 봉(35)이 아래로 위치가 바뀜과 동시에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상면에 저당하고 감합단(33)의 외경보다 큰 걸림부분(342')이 형성되어 진다.
도"14"와 도"15"를 참조하면서 걸레(mop)(10)는 저면에 링(ring)상(狀) 요부(11')가 설치되고 그의 양측에 각각 둘레면부(12')가 형성되고 요부(11')의 상면에 약간의 연통하는 고정부(13')가 관설되고 청결부(40)는 둘레체(42)에 의해서 연결되고 링(ring) 상(狀)으로 형성되고 요부(11')에 수납되어 양측 둘레면부(12')에 의해서 제한되어지는 약간의 면마포(41) 및 직물포(41')로 되며 각 면마포(41) 및 직물포(41')는 내측은 짧고 외측은 길게 형성 배열되어서 둘레체(42)에 결합되고
단측단(401)과 장측단(402)이 형성되고 청결부(40)의 단측단(401)이 둘레면부(12')에 의해서 구속되고 걸레(mop)(10)의 내면에서 융기 겹친 높은 모양으로 되며
장측단(402)이 둘레면부(12')에 의해서 구속되어서 아래로 늘어지고 링(ring) 상(狀) 압박면(51)이 있는 누름부재(50)이 요부(11') 내에 위치하고 압박면(51)의 상면에 대응하는 약간의 내입돌부(52)와 고정부(13')가 설치되고 내입돌부(52)는 계지 훅(hook)부(522)가 형성되고
그리고 면마포(41) 및 직물포(41')의 틈 사이틀 통하여 고정부(13')에 따라서 안내 훅(hook)부(522)에 감입되어 걸레(mop)(10)의 단면에 계지되고 청결부(40)가 요부(11')내에 고정되어 조립이 보다 간편하고 쾌속적이며 또 사용자가 자신 스스로 누름부재(50)를 걸레(mop)(10)에서 잡아 떼어내고 청결부(40)를 교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누름부재(50)의 재 이용이 되고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되고 각 종류의 재질로 된 청결부(40)를 조립할 수가 있으므로 시장 경쟁력이 향상되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른 조립모양은 도"16"과 도"17"과 같은 것으로 걸레(mop)(10)의 고정부(13')가 관체형부(131')에 형성되고 누름부재(50)의 내입둘부(52')에 천공(521')에 형성되고 천공(521')은 내경이 관체형부(131')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아래로 비교적 큰 구경이 있는 내입둘레부(522')가 늘어나고 접합둘레부(523')가 형성되고
나사단(531)과 저당부(532)가 있는 부품(53)이 아래에서 위로 끼워 내부입(131')에 잠금되고 저당부(532)가 접합둘레부(523')에 의해 저당되어 내입둘레부(522')에 숨겨지는 모양으로 수납되고
누름부재(50)는 압박면(51)의 위표면에 부품(53)의 잠금력에 의해 압박면(51)에 합해져 같은 시기에 청결부(40)를 압박하여 위치붙임하고 잇빨모양의 미끄럼방지 돌출블럭(block)(511)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청결부(40)가 확실하게 요부(11') 내에 고정되어진다.
또 도"18"을 참조하면서 청결부(40)의 각 면마포(41) 및 직물포(41')는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을 교합으로 얽어 합해서 연결끈(412)에 의해 엮어 붙이고 연결끈(412)으로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을 엮어 합한 부위가 엮음부(4121)로 되어 내부에 숨겨지고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가 엮음부(4121)에 있어서 융기부(4111)을 형성한다.
또 도"19"와 도"20"과 같이 청결부(40')는 약간의 "┗┛" 상(狀)으로 포개어진부분(411')이 있으며 긴밀히 링(ring) 상(狀)으로 배열된 면마포(41) 및 직물포(41')와 고정틀(60)이 꿰메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고정틀(60)은 원형상의 저면부(61)에 있어서 저면부(61)의 둘레에 따라서 주머니체(62)가 설치되고 주머니체(62)의 개구단 둘레에 플랜지(flange)(621)가 형성되고
플랜지(flange)(621) 내에 고정끈(63)이 끼워되어지기 위한 천조(622)가 형성되고 또 고정끈(63)를 수속(收束)하기 위한 수속부재(631)가 감설되고 주머니체(62)가 고정끈(63)에 의해 내축(內縮)되어 지는 것에 의해 내부공간부(22)가 형성되고 저면부(61)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겹처 합처진 위치에 둘레체(42')가 겹쳐 합처진 부위에 따라 꿰매지고 각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내측은 짧고 외측은 긴 형상으로 저면부(61)에 배열되어서 단측단(401')과 장측단(402')이 형성되고
위와 같은 모양으로 청결부(40')의 단측단(401')이 둘레체(42')에 의해서 구속되고 내측면에 있어서 융기부(4111)로 되며 장측단(402')이 둘레체(42')에 의해서 구속되고 외측면에 있어서 아래로 늘어지고 그 때문에 조립할 때에 걸레(mop)(10)를 주머니체(62)내에 설치하고 저면부(61)에 당겨 붙혀서 고정끈(63)를 죄어 매어서 수속부재(631)에 의해 주머니체(62)와 걸레(mop)(10)가 결합되어 진다.
또 도"21"을 참조하면서 상기 천조(622) 내에 걸레(mop)(10)가 주머니체(62)에 감합되어 위치붙임되기 위한 탄성부품(64)이 끼워되어 진다.
도"22"∼도"24"를 참조하면서 걸레(mop)(10)는 둘레에 링(ring) 상(狀)의 요부(11")가 설치되고 고정틀(60)은 원형상의 저면부(61)가 설치되고 저면부(61)의 둘레에 폭이 걸레(mop)(10) 둘레의 높이에 유사한 주머니체(62')가 설치되고 주머니체(62')의 개구단에 탄성부품(64) 꿰매지고
저면부(61)의 다른 일면이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있는 청결부(40')에 꿰매지고 조립할 때에 고정틀(60)의 탄성부품(64)을 걸레(mop)(10)의 요부(11")의 계합하므로써 걸레(mop)(10)의 조립이 완성되어 진다.
또 도"25"와 같이 걸레(mop)(10)의 저면이 장방형상이나 임의의 다변형으로 형성되고 그와 유사한 장방형이나 임의의 다변형인 저면부(61)를 가진 고정틀(60)이 끼워지고 또 고정틀(60)이 고정끈(63)이나 탄성부품(64)에 의해 구속되어 진다.
본 고안은 보다 진보적이며 또한 보다 실용적인 고안이므로 실용신안등록 출원을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1)
도 2 는 도 1 의 위치붙임부재의 입체 확대도(1)
도 3 은 도 1 의 위치붙임부재의 입체 확대도(2)
도 4 는 도 1 의 입체 조립도
도 5 는 도 4 의 요부 단변도
도 6 은 도 4 의 요부 단면 평면도
도 7 은 도 4 의 손잡이봉이 아래로 변위한 때의 걸레(mop)축이 회전하는 상태의 동작 개념도
도 8 은 도 4 의 손잡이 봉이 위로 변위한 때의 걸레(mop)가 같은 시기에 회전하는 상태의 동작 개념도
도 9 는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2)
도 10 은 도 9 의 위치붙임부재의 입체 확대도(1)
도 11 은 도 9 의 위치붙임부재의 입체 확대도(2)
도 12 는 도 9 의 조립단면 및 손잡이 봉이 위로 변위한 때의 걸레(mop)가 같은 시기에 회전하는 상태의 동작 개념도
도 13 은 도 9 의 조립단면 및 손잡이 봉이 아래로 변위한 때의 걸레(mop)축이 회전하는 상태의 동작 개념도
도 14 는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3)
도 15 는 도 14 의 조립 단면도
도 16 은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4)
도 17 은 도 16 의 조립 단면도
도 18 은 본 고안의 청결부의 요부 확대 개념도
도 19 는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5)
도 20 은 도 19 의 입체 조립도
도 21 은 본 고안의 입체 조립도(6)
도 22 는 본 고안의 분해 분해도(7)
도 23 은 도 22 의 조립도
도 24 는 도 22 의 조립 단면도
도 25 는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8)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걸레(mop)
101. 청결부
11. 내입부
11',11". 요부
12. 접촉부
12'.둘레면부
13. 붙임부
13'. 고정부
131. 관체형부
20. 위치붙임부재
201. 계지 훅(hook)
201'. 계지공
21. 둘레부
22. 내부공간부
23. 접합면
231, 231'. 접합부
232, 232'. 접합부분
24. 24'. 내입면부
241, 241'. 표면둘레부
242. 감합면부
243, 243'. 계지부
25. 계합부
30. 가동부
31, 31'. 접촉단부
32, 32'. 피계지부
33,33'. 감합단
34,34'. 내입요부
341,341'. 내입공
342,342'. 걸림부분
35. 손잡이 봉
351. 원형돌출부
40,40'. 청결부
401,401'. 단측단(短側段)
402.402'. 장측단(長側段)
41, 41'. 면마포, 직물포
411. 면마포 연결부
411'. 포개어진 부분
4111. 융기부
412. 연결끈
4121. 엮음부
42,42'. 둘레체
50. 누름부재
51. 압박면(壓泊面)
511. 미끄럼방지 돌출블록(block)
52,52'. 내입돌부
521. 감합부
521'. 천공(穿孔)
522. 안내 훅(hook)부
522'. 내입둘레부
523'. 접합둘레부
53. 부품
531. 나사단
532. 저당부
60. 고정틀
61. 저면부
62,62'. 주머니체
621. 플렌지(flange)
622. 천조(穿槽)
63. 고정끈
631. 수속부재(收束部材)
64. 탄성부품

Claims (23)

  1. 청결부(40)가 있고 상면에 내입부(11)가 설치된 걸레(mop)(10)와 각각 대칭적으로 내입부(11)에 조립된 둘레부(21)가 설치되고 내측면에 내부공간부(22)가 형성되어지는 것에 의해 상,하 양측에 각각 접합면(23)이 있는 내입면부(24)가 형성되고 상측둘레부(21)에 반원형 감합면부(242)가 형성되고 내벽에 계지부(243)가 설치된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와 손잡이 봉(35)이 있고 접촉단부(31)가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내부공간부(22) 내에 위치하는 피계지부(32)가 있으며 접촉단부(31)의 중심에 감합면부(242)에 대응하여 구경이 약간 작은 감합단(31)이 돌출하고 접촉단부(31)의 두께가 내부공간부(22)의 높이보다 작고 감합단(33)과 접촉단부(31)가 내부공간부(22) 내에서 감합면부(242)에 따라서 상, 하 로 위치가 바뀌는 가동부(30)가 함유되고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와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손잡이 봉(35)이 위로 당겨짐과 동시에 걸레(mop)(10)와 손잡이 봉(35)이 같은 시기에 회전되고 손잡이 봉(35)이 아래로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에서 이탈할 때까지 위치가 바뀌면 걸레(mop)(10)와 청결부(40)가 축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2.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가 둥근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걸레(mop)
  3. 제1항에 있어서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와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잇빨모양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걸레(mop)
  4. 제1항에 있어서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와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계지되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걸레(mop)
  5. 제1항에 있어서
    가동부(30)의 감합단(33) 상면에 양측으로 내입공(341)이 있고 사이에는 내입요부(34)가 설치되고 손잡이 봉(35)의 저단에 내입공(341)에 추착되는 원형돌출부(351)가 설치되고 가동부(30)의 내입요부(34)가 감합단(33)의 외경보다 크게하여 걸림부분(342)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걸레(mop)
  6. 제1항에 있어서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에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가 합해져서 내부공간부(22)에 따라 위로 소정의 각도로 반원형의 표면둘레부(241)가 형성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표면둘레부(241)에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걸레(mop)
  7. 제1항에 있어서
    걸레(mop)(10)의 내입부(11)의 내벽에 사개(四個)의 접촉부(12)가 설치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와 하측저당면과의 접합부분(232)에 접촉부(12)와 계지하여 위치붙임되는 계합부(block)(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8. 제1항에 있어서
    위치붙임부재(20)의 접합면(23)의 양측에 각각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돌출상의 접합부(231)와 움푹패인 접합부분(2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9. 제1항에 있어서
    걸레(mop)(10)에 내입부(11)가 구형(矩形)으로 형성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둘레부(21)가 " [" 상(狀)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0. 제1항에 있어서
    걸레(mop)(10)에 있어서 내입부(11)의 양측벽의 상단에 붙임부(13)가 설치되고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에 있어서 각각 내부공간부(22)의 양외측에 걸레(mop)(10)의 붙임부(13)내에 수납되어 서로 계지되고 대칭하는 계지 훅(hook)(201)과 계지공(20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1. 제1항에 있어서
    위치붙임부재(20)의 내입면부(24)에 가동부(30)의 접촉단부(31)가 합해지고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위로 반원형의 표면둘레부(241)가 설치되고 위치붙임부재(20)의 계지부(243)가 표면둘레부(241)의 상면내벽에 설치되고 가동부(30)의 피계지부(32)가 접촉단부(31)의 상면 둘레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2.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위치붙임부재(20)의 접합면(23)에 각각 감합하고 내부공간부(22)에 따라서 돌출상의 접합부(231)와 움푹패인 접합부분(232)이 설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3. 제1항에 있어서
    걸레(mop)(10)의 저면에 링(ring)모양의 요부(11')가 설치되고 그의 양측에 둘레면부(12')가 형성되고 요부(11')의 상면에 약간의 고정부(13')가 끼워지고 청결부(40)가 요부(11') 내에 설치되고 양측 둘레면부(12')에 의해서 제한되어 밑으로 늘어지고 링모양의 압박면(51)을 가진 누름부재(50)가 요부(11') 내에 수납되고 압박면(51)의 상면에 고정부(13')에 대응한 위치에 붙임되는 내입돌부(52)가 설치되고 청결부(40)가 요부(11') 내에 고정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4. 제13항에 있어서
    걸레(mop)(10)에 고정부(13')가 형성되고 감합부(521)와 안내 훅(hook)부(522)가 형성되어진 누름부재(50)의 내입돌부(52)가 계지 훅(hook)(201) 모양이며 청결부(40)의 사이에서 고정부(13')에 따라 안내 훅부(522)에 의해 걸레(mop)(10)의 단면에 계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5. 제14항에 있어서
    걸레(mop)(10)의 고정부(13')가 관체형부(131')이며 누름부재(50)의 내입돌부(52)가 천공(521')이며 천공(521')의 내경이 관체형부(131')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아래로 비교적으로 큰 구경을 가진 내입둘레부(522')가 늘어나서 접합둘레부(523')가 형성되고 나사단(531)과 저당부(532)를 가진 부품(53)가 아래에서 위로 끼워져 관체형부(131')에 잠금되고 저당부(532)가 접합둘레부(523')에 의해 저당되어 내입둘레부(522')내에 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6. 제15항에 있어서
    누름부재(50)의 압박면(51)의 상표면에 압박면(51)에 합해서 청결부(40)에 압박하여 위치붙임을 위한 약간의 잇빨모양의미끄럼방지돌출 블럭(block)(511)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7. 제16항에 있어서
    청결부(40)가 둘레체(42)에 의해 약간의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결합된 것으로 각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내측은 짧고 외측은 길게 배열되어서 둘레체(42)에 결합되어지기 위한 단측단(401')과 장측단(402')이 형성되고 청결부(40')의 단측단(401')이 둘레면부(12')에 의해 구속되어서 걸레(mop)(10)에 분포하고 장측단(402')이 둘레면부(12')에 의해 구속되어서 밑으로 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8. 제17항에 있어서
    청결부(40)의 각 면마포(41) 및 직물포(41')가 두개의 면속을 교합으로 얽어 합해서 연결끈(412)에 의해 엮어 붙히고 상기 연결끈(412)으로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를 엮어 합한 부위가 내부에 숨겨져서 두개의 면마포 연결부(411)가 융기부(4111)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19. 제18항에 있어서
    청결포가 "┗┛"모양으로 겹쳐 포갠단(411')이며 긴밀히 링모양으로 배열된 면마포(41) 및 직물포(41')와 고정틀(60)이 꿰메어지는 것으로 형성되고 고정틀(60)에 저면부(61)가 있고 저면부(61)의 둘레에 따라서 링모양의 주머니체(62)가 설치되고 주머니입구를 맺어 주머니체(62)에 내부공간부(22)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끈(63)이 끼워되고
    내부공간부(22)에 있어서 걸레(mop)(10)가 고정틀(60)의 저면부(61)가 고정끈(63)을 맺어지게 첩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20. 제19항에 있어서
    걸레(mop)(10)의 저면이 원형상이나 장방형상의 여러가지 조형이며 고정틀(60)의 저면부(61)가 걸레(mop)(10) 저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21. 제20항에 있어서
    고정틀(60)이 링모양의 중앙공간에 탄성부품(64)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22. 제21항에 있어서
    청결포가 "┗┛"모양으로 겹쳐 포갠단(411')이며 긴밀하게 링모양으로 배열된 면마포(41) 및 직물포(41')와 고정틀(60)이 꿰메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고정틀(60)의 둘레에 요부(11')가 있는 걸레(mop)(10)를 감합하기 위한 탄성부품(64)을 가진 주머니체(62)가 형성되고 고정틀(60)의 탄성부품(64)을 걸레(mop)(10)의 요부(11')에 계합하여서 걸레(mop)가 조립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23. 제22항에 있어서
    걸레(mop)(10)의 저면이 원형상이나 장방형상의 여러가지 형상이며 고정틀(60)의 저면부(61)가 걸레(mop)(10)의 저면과 유사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mop).
KR20090012221U 2008-12-26 2009-09-17 걸레 KR2004488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97223582 2008-12-26
TW097223582U TWM358618U (en) 2008-12-26 2008-12-26 Combination structure of mop holder and cleaning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894Y1 true KR200448894Y1 (ko) 2010-06-07

Family

ID=4116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2221U KR200448894Y1 (ko) 2008-12-26 2009-09-17 걸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162507A1 (ko)
JP (1) JP3157542U (ko)
KR (1) KR200448894Y1 (ko)
AU (1) AU2009100843A4 (ko)
CA (1) CA2679165A1 (ko)
DE (1) DE202009011590U1 (ko)
FR (1) FR2940605B3 (ko)
GB (1) GB2466538B (ko)
IT (1) ITGO20090009U1 (ko)
TW (1) TWM35861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26698A (id) 1998-06-19 2001-02-01 Pfizer Prod Inc SENYAWA-SENYAWA PIROLO [2,3-d] PIRIMIDINA
SK287188B6 (sk) 1999-12-10 2010-02-08 Pfizer Products Inc. Pyrolo [2,3-d]pyrimidínová zlúčenina, jej použitie a farmaceutická kompozícia alebo kombinácia s jej obsahom
TWM374834U (en) * 2009-10-13 2010-03-01 qing-jun Lin Rotatable mop
GB2477125B (en) * 2010-01-22 2014-03-12 Ronald Alexander Scot Young Combination of a mop head and wringing device
CN102197978A (zh) * 2010-03-25 2011-09-28 林燕堂 拖把布座结构
US20120060313A1 (en) * 2010-09-14 2012-03-15 Ko Joseph Y Cleaning cloth holding structure for mopping apparatus
WO2012058812A1 (en) * 2010-11-04 2012-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p
CN105433887A (zh) * 2014-09-14 2016-03-30 冠达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旋转拖把杆的长腰形弹性卡位装置
US9125543B1 (en) * 2014-09-30 2015-09-08 Ching-ho Li Confining structure of a rotating mo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308A (en) 1997-10-22 2000-02-29 Fas-Lok Systems, Inc. Mop with quick connect and release connector between the handle and the mop head
US6571419B1 (en) 2000-05-12 2003-06-03 Chien-Chan Enterprise Co., Ltd. Mop with a sucking plate and a mop unit having changeable soft and coarse sponge sides
US20070067935A1 (en) 2005-09-29 2007-03-29 Tien-Shih Lin Mop assembly having therein a rotatable device to allow a mop head to rotate relative to stick and a positioning device to allow the stick to be positioned when not in use
JP2007236503A (ja) 2006-03-07 2007-09-20 Koko Ko 省力型自動絞りモップ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022A (ja) * 1989-07-25 1991-03-08 Toyonobu Sugata 清掃用具
JPH1043111A (ja) * 1996-07-30 1998-02-17 Kenji Nakamura 掃除具
US6481041B1 (en) * 2000-09-11 2002-11-19 Hop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Tool having a scraper and a pivotally-mounted brush for cleaning and sweeping
US20020073499A1 (en) * 2000-12-14 2002-06-20 Gary Borofsky Swivel wet mop handle
US20040025897A1 (en) * 2002-08-08 2004-02-12 Neal Menaged Hairstyling accessory with rotatable handle
US20050132520A1 (en) * 2003-10-29 2005-06-23 Gabriel Navarro Adjustable broom device
US7891898B2 (en) *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JP2006271570A (ja) * 2005-03-29 2006-10-12 Duskin Co Ltd 清掃用具
US7849550B2 (en) * 2005-06-30 2010-12-14 Lanz Donald D Swivel paint roller apparatus
US7770252B2 (en) * 2006-04-27 2010-08-10 Errichiello Dominic R Multi-adjustable paint applicator
US20070295283A1 (en) * 2006-06-22 2007-12-27 Pet Qwerks, Inc. Sound producing pet toy
TWM357347U (en) * 2009-01-20 2009-05-21 Kai Internat Entpr Co Ltd Di Mop pole structure, mop head structure and assembly mop having the combination thereof
US8112840B2 (en) * 2009-07-01 2012-02-14 Tuo Shen International Corporation Limited Disc rota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a mo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9308A (en) 1997-10-22 2000-02-29 Fas-Lok Systems, Inc. Mop with quick connect and release connector between the handle and the mop head
US6571419B1 (en) 2000-05-12 2003-06-03 Chien-Chan Enterprise Co., Ltd. Mop with a sucking plate and a mop unit having changeable soft and coarse sponge sides
US20070067935A1 (en) 2005-09-29 2007-03-29 Tien-Shih Lin Mop assembly having therein a rotatable device to allow a mop head to rotate relative to stick and a positioning device to allow the stick to be positioned when not in use
JP2007236503A (ja) 2006-03-07 2007-09-20 Koko Ko 省力型自動絞りモップ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7542U (ja) 2010-02-25
FR2940605B3 (fr) 2010-12-31
CA2679165A1 (en) 2010-06-26
FR2940605A3 (fr) 2010-07-02
GB2466538A (en) 2010-06-30
DE202009011590U1 (de) 2010-01-07
AU2009100843A4 (en) 2009-10-15
GB0915303D0 (en) 2009-10-07
GB2466538B (en) 2010-11-17
US20100162507A1 (en) 2010-07-01
ITGO20090009U1 (it) 2010-06-27
TWM358618U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94Y1 (ko) 걸레
US2530746A (en) Pouch type golf ball cleaner having a washable inner lining
US8978191B2 (en) Mop structure
JP5567726B1 (ja) 野菜の水切り袋
US8938844B1 (en) Vehicle and utility drying cloth
KR200268631Y1 (ko) 개량 걸레용 청소구
JP6116171B2 (ja) 左右開閉型払拭体保持具、払拭体及び清掃用具
KR100477380B1 (ko) 면포걸레 청소기
JP3153619U (ja) 泡立て具
KR100485319B1 (ko) 면포걸레 청소기
KR200478859Y1 (ko) 물걸레 청소기
TWM562090U (zh) 伸縮旋轉式拖把組合結構
CN214856454U (zh) 拉链式掸尘器
JP3206863U (ja) 折り畳み傘用の傘袋
JP2008264082A (ja) 携帯型クリーナー
KR200438444Y1 (ko) 막대 걸레
JP3196753U (ja) 傘用磁性リング
KR101176050B1 (ko) 우산 꼭지에 부착되는 우산 걸게
JP2006081691A (ja) 清掃用具
JP3138394U (ja) 迅速乾燥可能なモップ
JP3115000U (ja) 野菜片絞り袋
JP3899517B2 (ja) 糞収集具
KR200341683Y1 (ko) 진공청소기용 고정구
KR200162928Y1 (ko) 자루부착용 걸레의 걸레홀더
JPH01216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