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44Y1 - 막대 걸레 - Google Patents

막대 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44Y1
KR200438444Y1 KR2020070000989U KR20070000989U KR200438444Y1 KR 200438444 Y1 KR200438444 Y1 KR 200438444Y1 KR 2020070000989 U KR2020070000989 U KR 2020070000989U KR 20070000989 U KR20070000989 U KR 20070000989U KR 200438444 Y1 KR200438444 Y1 KR 200438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se
cleaning member
fixing base
m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셍 리
후앙-닝 리
Original Assignee
하이 헤딩 인터내셔널 디벨럽먼트 코., 엘티디.
웨폰 트레이딩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 헤딩 인터내셔널 디벨럽먼트 코., 엘티디., 웨폰 트레이딩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하이 헤딩 인터내셔널 디벨럽먼트 코., 엘티디.
Priority to KR202007000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4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combined with squeezing or wringing devices
    • A47L13/146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combined with squeezing or wringing devices having pivoting squeezing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7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sponge material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막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케이스, 고정용 베이스, 및 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의 상단에는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이 케이스 안에는 수용공간이 있으며,케이스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있다. 또한 고정용 베이스는 패스너(fastener)로 파이프의 한쪽에 고정되며,고정용 베이스의 양쪽에 날개 핀이 달려 있어,세척 부재를 고정시켜 준다. 이러게 함으로서, 손을 거치지 않고 많은 힘을 들이지 않아도 세척 부재를 쥐어 짤 수 있게 함과 동시에,세척 부재를 완전하게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세척 부재를 해체하거나 조립함에 있어서도 편리하다.
막대 걸레, 세척부재, 베이스

Description

막대 걸레{MOP}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상의 분해 사시도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상의 조립된 단면도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상의 세척 부재가 완전하게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상의 세척 부재가 밖으로 나와 사용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도 5a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상의 사시도(롤링 부재가 볼로 구성되어 있음)임.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상의 세척부재의 절개도를 나타내는 도면(롤링 부재가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음)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상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임.
도 7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상의 사시도 (롤링 부재가 볼로 구성되어 있음)임.
도 7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상의 케이스의 절개도를 나타내는 도면(롤링 부재가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음)임.
도 7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상의 케이스의 절개도를 나타내는 도면(롤링 부 재가 롤링 필러(pillar)로 구성되어 있음)임.
도 8은 본 고안 제3실시예상의 조립된 단면도임.
[주요 부품에 대한 기호 설명]
(1) 파이프 (2) 케이스
(3) 고정용 베이스 (4) 세척 부재
(11) 스프링 버튼 (12) 제1 고정용 구멍
(21) 수용 공간 (22) 연결편
(23) 슬립 홈 (24) 손잡이
(31) 제2 고정용 구멍 (32) 패스너
(33) 날게 핀 (34) 늑골 받이
(331) 연결용 컴포넌트 (1A) 파이프
(11A) 스프링 버튼 (12A) 제1 고정용 구멍
(2A) 케이스 (21A) 수용 공간
(22A) 연결편 (23A) 슬립 홈
(24A)손잡이 (3A) 고정용 베이스
(31A) 제2 고정용 구멍 (32A) 패스너
(33A) 날게 핀 (331A) 연결용 컴포넌트
(34A) 늑골 받이(rib) (35A) 롤링 부재
(351A) 로울러 (4A) 세척 부재
(1B) 파이프 (11B) 스프링 버튼
(12B) 제1 고정용 구멍 (2B) 케이스
(21B) 수용 공간 (22B) 연결편
(23B) 슬립 홈 (24B) 롤링 부재
(241B) 로울러 (242B)롤러 핀
(25B) 손잡이 (3B) 고정용 베이스
(31B) 제2 고정용 구멍 (32B) 패스너
(33B) 날게 핀 (331B) 연결용 컴포넌트
(34B) 늑골 받이
(4B) 세척 부재
본 고안은 막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막대 걸레를 손쉽게 접어서 챙길 수 있고, 쥐어 짤때 많은 힘이 필요없이 손쉽게 일을 마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수납이 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바닥을 청소함에 있어, 항상 필요한 기구가 바로 막대 걸레이다. 그러나 일반 막대 걸레는 사용후 금방 더러워져 이를 세척함에 있어 직접 손대기를 꺼려하는 사용자들이 많은 관계로 막대 걸레의 스폰지 혹은 (헝겁)을 완전하게 쥐어 짜는 것이 짜증나는 일거리 중의 하나이다.
시중에서 자주 보는 막대 걸레의 구조설계는 안쪽으로 접어 물기를 쥐어 짜 는 식의 개량식 구조로,활동식의 봉으로 되어 상단 봉을 뒤로 끌어내여 아랫봉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연동식 원리로 손잡이를 아래로 움직이며, 부품들이 위로 움직임에 따라 좌우의 제동편들이 지탱홈을 통해 지탱되어 서로 대응하여 안쪽으로 접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원리로 좌우 제동편의 하단에 설치된 세척 부재가 안쪽으로 접어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주 보게 되는 다른 막대 걸레의 구조로는 끌어낼 수 있는 손잡이로 중심 연결점이 축심으로 위로 잡아 올렸을 때 레버의 상단을 잡아 올리게 되어 레버 하단이 연결 베이스를 움직여 위로 잡아끌어 세척 부재를 쥐어 짜게 하므로서 수분을 없애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막대 걸레들의 구조는 아래와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
1. 구조상의 부품이 상당히 많으므로 조립절차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진다.
2. 레버의 절차가 길기 때문에 움직이려면 많은 힘이 필요하고 간편하지 않다.
3. 연동식 구조는 잘못하면 손이 안으로 들어가 조이게 되어 다칠 위험성이 있다.
4. 세척 부재가 소모된 경우, 갈아 끼우는 데 있어 편리하지 않다.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막대 걸레를 쥐어짤때 많은 힘이 필요하며 조립부품이 복잡하여 세척 부재를 해체하거나 조립함에 있어 불편한 점을 해결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파이프, 케이스, 고정용 베이스, 및 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는 타원형의 파이프형태로,윗부분에 스프링 버튼이 설치 되어 있고,그 가장자리에 제1 고정용 구멍이 있다. 상기 케이스는 파이프에 박혀 있다.
상기 케이스 안에는 수용 공간이 있으며,바닦의 두 부분에는 각기 마주보고 연장되는 연결편이 있으며,상기 케이스의 안쪽에는 슬립 홈이 있다. 또한, 케이스의 상단은 길게 뻗으면 손잡이가 된다. 상기 고정용 베이스는 파이프의 한곳에 설치되어,이곳에 제2 고정용 구멍이 있다. 이는 파이프의 제1 고정용 구멍과 대응하여 패스너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베이스의 양측 연결용 부품에는 날게 핀이 연결되며,이 날게 핀에는 늑골 받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세척 부재는 고정용 베이스의 양 날게 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벽의 슬립 홈 안에는 다수의 롤링 부재가 있다. 상기 롤링 부재는 볼, 로울러, 롤링 필러(pillar)중의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날게 핀의 늑골 받이에는 다수의 롤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링 부재는 보올 또는 로울러중의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패스너는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 부재는 스폰지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는 파이프(1), 케이스(2), 고정용 베이스(3) 및 세척 부재(4)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는, 타원형의 파이프형으로 되어 있으며, 윗부분에 스프링 버 튼(11)이 설치되어 있고 그의 가장자리에 제1 고정용 구멍(12)이 있다.
상기 케이스(2)는 파이프(1)위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안에는 수용 공간(21)이 있으며, 케이스(2)바닦의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는 연결편(22)이 길게 뻗어나가며, 이 케이스(2)의 안벽으로는 한 쌍의 슬립 홈(23)이 있어 두개의 연결편(22)에 연결된다. 또한 케이스(2)상단은 길게 나가 손잡이(24)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용 베이스(3)는 파이프(1)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제2 고정용 구멍(31)이 있어 파이프(1)의 제1 고정용 구멍(12)과 서로 대응되고 패스너(32)로 고정된다. 이 패스너(32)는 나사로 구성되며, 고정용 베이스(3)양측은 연결용 컴포넌트(331)를 통하여 날게 핀(33)을 연결시켜 준다. 이 날게 핀(33)위에는 늑골 받이(34)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 부재(4)는 고정용 베이스(3)의 양 날게 핀(33)에 설치되며, 이 세척 부재(4)는 스폰지로 되어 있다. 이는 양 날게 핀(33)과의 연결방식이 접합식으로 된 것이다.
사용절차는 도 3을 참조로 사용자는 한손에 힘을 주어 파이프(1)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케이스(2)의 손잡이(24)를 잡아 파이프(1), 이와 대응된 손 잡이(24)를 위로 잡아 뺀다. 파이프(1)는 타원형의 파이프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것으로 수직으로만 움직일 수 있지 다른 곳으로는 움직이지는 않는다. 또한, 파이프(1)를 위로 잡아 뺄 경우 고정용 베이스(3)및 세척 부재(4)를 동시에 같이 움직이게 하여 고정용 베이스(3)의 양측 날게 핀(33)의 늑골 받이 (34)가 케이스(2)안벽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립 홈(23)을 따라 위로 이동되며 동시에 구부러지어 들어가 고정용 베이스(3)가 케이스(2)안으로 수납이 되면서 물기를 짜게해주는 과정으로서 고정용 베이스(3) 및 세척 부재(4)가 케이스(2)안에 완전히 수납되기까지 물기를 빼준다. 또한, 케이스(2)바닦의 연결편(22)이 본체를 지면에 바로 서게 해주는 역활을 하므로 정리하기에 간편하다.
계속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다시 파이프(1)를 밑으로 내려가게 하여 고정용 베이스(3)의 양측 날게 핀(33)의 늑골 받이(34)가 다시 케이스(2)의 슬립 홈(23)을 따라 밑으로 가게 하여 고정용 베이스(3)의 양측 날게 핀(33)이 케이스(2)를 이탈하게 해주므로 날게 핀(33)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해준다. 청소할때 잘 손이 않닿는 구석진 곳을 닦아야할 경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위에 스프링 버튼(11)이 설치되어 있어 파이프(1)의 고정된 위치가 밑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주기 때문에 청소하기 어려운 구석일 경우에는 스프링 버튼(11)을 눌러 파이프(1)를 밑으로 더 내려 가게 하므로서 어떠한 장소에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세척 부재(4)를 오래 써서 새로운 세척 부재(4)로 대체시키고 싶을 때는 패스너(32)만 풀어 고정용 베이스(3)전체 셋트를 대체시키면 되는 것으로 파이프(1)까지 바꾸어줄 필요가 없다. 그래서 해체나 조립상 간편하고 비용도 많이 들지 않아 절약적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는 도 5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A), 케이스(2A), 고정용 베이스(3A)및 세척 부재(4A)가 포함되어 있다.
파이프(1A)는 타원형의 파이프식으로 되어 있으며, 스프링 버튼(11A)이 달려있다. 또한 가장자리에는 제1 고정용 구멍(12A)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A)는 파이프(1A)위에 설치된 것으로 케이스(2A)안에는 수용 공간(21A)이 있다. 상기 케이스(2A) 바닦에는 양측으로 각기 서로 대응되는 연결편(22A)이 있다. 상기 케이스(2A)의 안벽으로 설치된 한 쌍의 슬립 홈(23A)이 두 연결편(22A)으로 연장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케이스(2A)의 상단은 연장되면 손 잡이(24A)가 된다.
고정용 베이스(3A)는 파이프(1A)의 가장자리에 있으며, 제2 고정용 구멍(31A)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은 파이프(1A)의 제1 고정용 구멍(12A)과 서로 대응되어 패스너(32A)로 잠구어진다. 이 패스너(32A)는 나사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용 베이스(3A)의 양측은 연결용 컴포넌트(331A)와 함께 날게 핀(33A)을 연결하고 있다. 이 날게 핀(33A)에는 늑골 받이(34A)가 있으며, 이 늑골 받이(34A)에는 다수의 롤링 부재(35A)가 있다. 상기 롤링 부재(35A)는 도 5b에 도시된바와 같이 볼 또는 로울러로 구성될수 있다.
세척 부재(4A)는 고정용 베이스(3A)의 날게 핀(33A)에 달려 있으며, 스폰지로 구성 되어 있다.
사용할 경우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손으로 파이프(1A)를 꼭 쥐어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케이스(2A)의 손 잡이(24A)를 잡아 파이프(1A)로 하여금 손 잡이(24A)와 같이 위로 빼낸다. 이때, 파이프(1A)는 타원형의 파이프형태이기 때문에 제한성이 있어 수직으로만 움직이지 임의로 돌아가지 않게 된다.
또한, 파이프(1)를 위로 잡아 뺄 경우 고정용 베이스(3)및 세척 부재(4)를 동시에 같이 움직이게 하여 고정용 베이스(3)의 양측 날게 핀(33)의 늑골 받이(34)가 케이스(2)안벽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립 홈(23)을 따라 위로 이동되며 동시에 구부러지어 들어가 고정용 베이스(3)가 케이스(2)안으로 수납이 되면서 물기를 짜게해주는 과정으로서 고정용 베이스(3) 및 세척 부재(4)가 케이스(2)안에 완전히 수납되기까지 물기를 빼준다.
또한 파이프(1A)를 위로 뺄 경우, 고정용 베이스(3A)및 세척 부재(4A)를 동시에 같이 움직이게 하여 고정용 베이스(3A)의 양측 날게 핀(33A)의 늑골 받이(34A)가 케이스(2A)안벽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립 홈(23A)을 따라 위로 이동되며 동시에 구부러진다(접혀진다). 고정용 베이스(3A)의 양측 날게 핀(33A)이 연결편(22A)안으로 접어 들어갈때, 늑골 받이(34A)에 설치된 롤링 부재(35A)는 케이스(2A)의 슬립 홈(23A)을 위로 굴러 올라가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다른 한손이 계속해서 파이프(1A)를 움지이면 케이스(2A)가 같이 이동하고,고정용 베이스(3A)의 날게 핀(33A)은 고정용 베이스(3A)에 접어들어가게 되므로 고정용 베이스(3A)상의 세척 부재(4A)가 동시에 구불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용 베이스(3A)는 케이스(2A)안에 저절로 수납이 이루어진다. 물기를 빼줌과 함께 완전하게 물기를 없애주며 고정용 베이스(3A)및 세척 부재(4A)가 완벽하게 케이스(2A)안으로 들어가게 해준다. 또한 케이스(2A)바닦에 있는 연결편(22A)이 있기 때문에 어디다 세워나도 잘 설 수 있게 되므로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도 7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B), 케이스(2B), 고정용 베이스(3B)및 세척 부재(4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1B)는 타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그 위에 스프링 버튼(11B)이 설치되었으며 가장자리에 제1 고정용 구멍(12B)이 있다.
케이스(2B)는 파이프(1B)위에 설치된 것으로 케이스(2B)안에는 수용 공간(21B)이 있으며, 케이스(2B)의 바닦 양측에는 각기 서로 대응되는 연결편(22B)이 길게 뻗어있다. 상기 케이스(2B)의 안벽에는 한 쌍의 슬립 홈(23B)이 있어 두 연결편(22B)으로 뻗어나가 있다. 이 슬립 홈(23B)에는 다수의 롤링 부재(24B)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링 부재(24B)는 도 7b에 도시된바와 같이 볼, 로울러(241B)로, 도 7c에 도시된바와 같이 롤링 필러(242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2B)상단은 길게 뻗어나가면 손잡이(25B)가 된다.
고정용 베이스(3B)는 파이프(1B)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제2 고정용 구멍(31B)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용 구멍(31B)은 파이프(1B)의 제1 고정용 구멍(12B)과 서로 대응되어 패스너(32B)로 고정이 된다. 패스너(32B)는 나사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용 베이스(3B)의 양측은 연결용 컴포넌트(331B)를 이용하여 날게 핀(33B)과 연결된다. 날게 핀(33B)에는 늑골 받이(34B)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 부재(4B)는 고정용 베이스(3B)의 날게 핀(33B)에 접착되며, 스폰지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한손으로 힘을 가하여 파이프(1B)를 쥐어 잡고 또한 다른손으로 케이스(2B)의 윗쪽 손잡이(25B)를 잡아 윗쪽 손잡이(25B)와 같이 대응대는 파이프(1B)를 위로 잡아 뺀다. 파이프(1B)가 타원형 파이프형태로 되었기 때문에 수직으로 만 움직이게 한정되므로 임의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파이프(1B)를 위로 잡아 뺄 경우 동시에 고정용 베이스(3B)및 세척 부재(4B)가 케이스(2B)안에서 위로 움직이게 된다. 고정용 베이스(3B)양측의 날게 핀(33B)이 케이스(2B)내 바닦의 서로 대응되는 연결편(22B)으로 연동되어 케이스(2B)의 안벽에 설치된 슬립 홈(23B)의 롤링 부재(24B)를 통해 스무스하게 굴러지므로서 날게 핀(33B)의 늑골 받이(34B)를 상항으로 구름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른 한손이 계속해서 케이스(2B)에 대향하여 움직이도록 파이프(1B)를 당길때, 고정용 베이스(3B)의 날게 핀(33B)은 고정용 베이스(3B)에 꺽어 들어가게 되므로 이를 통하여 고정용 베이스(3B)상의 세척 부재(4B)가 대응되어 꺽어 들어가게 된다. 고정용 베이스(3B)가 케이스(2B)안에 수납이 되면서 눌림에 의해 물기가 빠져 물기를 빼내게 되며 고정용 베이스(3B)및 세척 부재(4B)가 완전히 케이스(2B)에 수납되기 까지 물기를 빼준다. 또한 케이스(2B)바닦에 있는 연결편(22B)을 통하여 지면에 손쉽게 세워 놓을 수 있으므로 정리하기에 아주 간편하다.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보유하고 있다.
1. 세척 부재를 쥐어짜는데 시간이 들지 않고,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일할 수 있음.
2. 부품들이 간단하여 조립하기에 편리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함.
3. 세척 부재를 완전하게 수납시켜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
4. 세척 부재가 케이스에 수납된후 온전하게 서 있는 상태로 사용후 정결하게 수납됨으로 시각상 지저분하게 보이지 않음.
5. 세척 부재가 소모된 경우 대체하는데 아주 편리함.
6. 케이스는 최 상단까지 밀어낼 수 있어 세척 부재로 하여 세척부재로 하여금 몸체가 길어짐에 따라 더욱 더 깨끗히 구석구석까지 닦아 낼 수 있다.

Claims (10)

  1.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위에는 스프링 버튼이 설치되며, 가장자리에는 제1 고정용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와;
    파이프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바닦의 양측으로는 연장되어 서로 대응되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벽으로는 한 쌍의 슬립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을 연장시키면 손잡이가 되는 케이스와;
    파이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파이프의 제1 고정용 구멍과 서로 대응되는 제2 고정용 구멍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고정용 구멍이 패스너로 조여지고, 양측 중심에는 날게 핀들이 연결되며, 상기 날게 핀 위에는 늑골 받이들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용 베이스와;
    고정용 베이스의 양 날게 핀 위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안벽상의 슬립 홈에 다수의 롤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부재가 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부재가 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부재가 롤링 필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게 핀의 늑골 받이에 롤링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부재가 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부재가 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가 나사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가 스폰지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걸레.
KR2020070000989U 2007-01-19 2007-01-19 막대 걸레 KR200438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89U KR200438444Y1 (ko) 2007-01-19 2007-01-19 막대 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89U KR200438444Y1 (ko) 2007-01-19 2007-01-19 막대 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44Y1 true KR200438444Y1 (ko) 2008-02-14

Family

ID=4134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989U KR200438444Y1 (ko) 2007-01-19 2007-01-19 막대 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38A (ko) 2014-06-12 2015-12-23 김진만 기능성 막대 걸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938A (ko) 2014-06-12 2015-12-23 김진만 기능성 막대 걸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191B2 (en) Mop structure
ITMI20110015U1 (it) Assieme di una scopa a frange
EP2891445B1 (en) Rotatable mop structure
US6976282B2 (en) Dual-function cleaning device
JP7278416B2 (ja) 多機能モップ付きスティッククリーナー
US8079112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US20090293216A1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cleaner
GB2445727A (en) Self wringing mop
KR200438444Y1 (ko) 막대 걸레
EP2774525A2 (en) Mop
US9044131B1 (en) Multipurpose grout cleaning apparatus
KR101147814B1 (ko) 접이식 대걸레
WO2006025814A1 (en) Twist mop
AU2011253596B2 (en) Enhanced sponge mop
JP3159468U (ja) 回転式モップ構造
JP6765168B2 (ja) 清掃用具
US7581274B1 (en) Handle for a floor cleaning implement
US20080168612A1 (en) Mop
CN212755523U (zh) 一种挤水拖把
TWI690293B (zh) 拖把及清潔裝置
KR101506191B1 (ko) 청소기
CN220572154U (zh) 便捷式迷你对折挤水拖把
JP3159047U (ja) 掃除道具
KR200349947Y1 (ko) 물걸레 청소구
KR200395656Y1 (ko) 때타월을 겸비한 때밀이 전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