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191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191B1
KR101506191B1 KR1020140068611A KR20140068611A KR101506191B1 KR 101506191 B1 KR101506191 B1 KR 101506191B1 KR 1020140068611 A KR1020140068611 A KR 1020140068611A KR 20140068611 A KR20140068611 A KR 20140068611A KR 101506191 B1 KR101506191 B1 KR 10150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main body
pair
contac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선
Original Assignee
최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선 filed Critical 최형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0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hand-driven
    • A47L11/0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hand-driven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자루가 연결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에 접촉된 회전도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방, 거실, 마루 등 청소 시 걸레질을 한다. 걸레질은 청소자가 무릎을 꿇고 하므로 무릎, 허리 등이 불편하다. 이에 서서 걸레질을 할 수 있는 대걸레가 개발되었다.
대걸레는 걸레를 고정한 본체부 및 청소자가 잡고 본체부를 밀 수 있는 자루를 포함한다. 청소자는 자루를 잡고 선 상태에서 자루를 바닥을 향해 힘을 주어 밀고, 당겨 걸레질을 하게 된다. 자루를 밀고 당기는 방향으로만 걸레가 움직이므로 걸레질이 효과적이 못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52661호 (2011.03.04) 공개특허 제10-2012-0003264호 (2012.01.10)
본 발명은 자루를 밀 때 별도의 전기 공급 없이 걸레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걸레질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자루가 연결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에 접촉된 회전도움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회전도움부가 접촉된 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회전도움부가 접촉된 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고 동시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0도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서 30도 내지 160도 사이이고 동시에 상기 회전부의 반경 중심에서 외곽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축 및 상기 축과 연결된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에는 걸레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회전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축에 결합된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판 결합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한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도움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에 접촉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도움부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서로 접해 있으며, 한 쌍의 회전부가 접한 부분에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회전도움부가 한 쌍의 회전부 중 어느 한 회전부에 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도움부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루를 밀거나 당김으로 본체부가 움직이고, 본체부의 움직임으로 회전도움부의 롤러가 회전하며, 롤러의 회전력이 회전판에 전달되어 회전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판의 회전으로 걸레가 바닥을 문지르면서 닦으므로 걸레질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전기 공급 없이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를 아낄 수 있으며 전선 연결의 불편함을 없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본체부와 회전부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몸체, 힌지부 및 자루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체 및 회전부 분해사시도(본체는 저면 사시도이고, 회전부는 평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회전부만 및 회전도움부를 나타낸 평면도(본체부는 가상선으로 도시함).
도 7은 도 3에 도시한 회전도움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9는 회전부와 걸레의 분해 사시도(회전부는 저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걸레는 평면 사시도로 도시함).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걸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회전부는 저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걸레는 평면 사시도로 도시함).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걸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청소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회전부와 회전도움부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본체부는 가상선으로 도시함).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본체부는 가상선으로 도시함).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본체부와 회전부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몸체, 힌지부 및 자루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체 및 회전부 분해사시도(본체는 저면 사시도이고, 회전부는 평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자루(10), 본체부(20), 회전부(40a, 40b) 및 회전도움부(50)를 포함하며, 회전부(40a, 40b)에는 걸레(60)가 부착될 수 있다.
본체부(20)는 몸체(21) 걸레 고정부(24) 및 힌지부(23)를 포함한다.
몸체(21)는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몸체(21)에는 회전판 결합부(211)와 고정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 결합부(211)는 몸체(21)의 상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21)의 함몰된 부분에는 커버(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판 결합부(211)의 하면에는 삽입홀(211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211a)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판 결합부(211)의 바닥면은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홀(212)은 몸체(21)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고정홀(212)을 4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몸체(2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걸레 고정부재(24)는 각 고정홀(212) 마다 결합되어 있으며,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걸레 고정부재(24)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로 절개되어 있다.
고정홀(212) 및 걸레 고정부재(24)는 생략될 수 있다.
힌지부(23)는 한 쌍의 지지대(231a, 231b), 회동부(232) 및 링크(233)를 포함하며, 자루(10)를 몸체(21)에 전후, 좌우(C, D)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한다.
한 쌍의 지지대(231a, 231b)는 몸체(21)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좌우측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회동부(232)는 한 쌍의 지지대(231a, 231b)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방향(C)으로 회전할 수 있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링크(233)는 회동부(232)에 좌우방향(D)으로 회전할 수 있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링크(233)에는 청소자가 파지하는 자루(10)가 결합 된다. 자루(1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자루(10)를 밀면 본체부(20)는 움직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힌지부(23) 및 자루(10)의 자세한 구조는 널리 공지된 대걸레 의 힌지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40a, 40b)가 본체부(20)에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회전부(40a, 40b)의 숫자는 청소기(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회전부(40a, 40b)는 회전판(41), 축(42), 베어링(43), 그리고 고정부재(44)를 각각 포함하며, 몸체(21)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2개의 회전부(40a, 40b)는 회전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회전판(41)은 기설정된 너비를 가지며 상하 관통하는 구멍이 없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41)의 상면은 몸체(21) 내부에 위치하고 하면은 몸체(21)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판(4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롤러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41) 상면에는 축(42)을 기준으로 회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강리브(414)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리브(414)는 축(42)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보강리브(414)는 회전판(41)이 뒤틀리지 않도록 회전판(41)을 보강한다. 회전판(41)의 하면에는 청소 바닥을 닦는 걸레(60)가 부착될 수 있다.
축(42)은 회전판(41)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삽입홀(211a)에 삽입되어 있다. 축(42)은 회전판(41)의 회전 중심이 된다. 고정부재(44)는 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판 결합부(211)를 관통하여 축(42)에 결합되어 있다. 축(42)은 고정부재(44)의 결합으로 삽입홀(211a)에서 빠지지 않는다.
베어링(43)은 축(42)에 결합되어 회전판 결합부(211)와 회전판(41) 사이에 위치하며, 축(42)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베어링(43)은 내륜(431)과 외륜(432)을 갖는다. 베어링(43)의 내륜(431)은 축(42)에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43)의 외륜(432)은 강구를 사이에 두고 내륜(431)과 떨어져 있으며 그 일면은 회전판 결합부(211)와 접한다. 외륜(432)의 타면은 회전판(41)의 상면과 접하지 않는다. 이에 외륜(432)이 위치하는 회전판(41)의 상면 부분에는 축(42)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접촉 방지홀(413)이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외력이 회전판(41)에 전달되면 회전판(41)이 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5 참조).
회전도움부(50)는 몸체(21) 내부에 배치되어 자루(10)에 의해 본체부(20)가 밀릴 때 회전부(40a, 40b)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도움부(50)는 본체부(20)의 길이방향(L)과 수직하고 동시에 회전판(41)의 회전 중심(C1)을 지나는 가상의 선(C2)을 0도 기준으로, 회전판(41)의 회전 중심(C1)에서 30도 내지 160도(α)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더불어 회전도움부(50)는 회전판(41)의 반경 중심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레일홈(412)에 배치되어 회전부(40a, 40b)의 회전 중심(C1)과 본체부(20)의 길이방향 중심(C3) 사이(L1)에 위치한다. 이에 회전도움부(50)는 회전부(40a)의 회전판(41) 회전 중심(C1)과 회전부(40b)의 회전판(41) 회전 중심(C1) 사에 위치한다(도 6 참조). 그러나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도움부(50)는 회전 중심(C1)보다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도움부(50)는 몸체(21)의 내부면에 고정된 하우징(51)과, 하우징(51)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판(41)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홈(412) 부분과 선 접촉한 롤러(52)를 하우징(51)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는 샤프트(53)를 포함한다. 샤프트(53)는 롤러(52)의 양측에서 하우징(51)의 내부 측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하우징(51)의 내부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53)는 롤러(5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롤러(52)와 별도로 형성되어 롤러(52)를 통과할 수 있다.
롤러(52)는 본체부(20)가 밀릴 때 회전판(41)의 상면과 마찰되면서 회전하고 회전판(41)은 회전하는 롤러(52)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움부(50)는 회전부(40a, 40b)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도 7 및 도 8 참조).
회전판(41)의 하면에 결합되는 걸레(60)는 벨크로, 스냅단추 등의 결합수단(70)으로 분리할 수 있게 부착된다.
걸레(60)는 헝겊, 융, 부직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레(6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이루어져 각 회전부(40a, 40b)의 회전판(41)에 결합수단(70)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걸레(60)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개로 이루어져 각 회전부(40a, 40b)의 회전판(41)을 걸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판(41)이 걸레(60)에 걸리게 되면서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걸레(60)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넓이를 갖는 경우, 걸레(60)는 회전부(40a, 40b)의 하면에 접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 부분이 몸체(41)의 상면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걸레 고정부재(24)와 중첩된 걸레(60) 가장자리 부분은 걸레 고정부재(24)의 절개된 곳을 통하여 몸체(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걸레 고정부재(24)의 절개된 부분은 걸레(60)가 본체부(10)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탄력적으로 고정한다. 이 경우에도 회전판(41)이 걸레(60)에 걸리게 되어 회전되지 않는다.
다음은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바닥 청소를 하기 위해 청소기(1)의 회전판(41)에 걸레(60)를 장착한다.
자루(10)를 청소 바닥(G)과 수직한 방향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여 힘(F)을 가해 밀면, 수평 방향 힘(Fh)이 청소 바닥의 마찰력(f)을 이겨 본체부(20)가 이동을 시작한다.
본체부(20)가 힘을 받으면 롤러(52)는 회전하며, 롤러(52)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41)이 회전하게 된다. 롤러(52)와 회전판(41)이 선 접촉하므로 자루(10)에 가해진 수직 하중에 의해 롤러(52)는 눌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도움부(50)가 회전부(40a)의 회전판(41) 회전 중심(C1)과 회전부(40b)의 회전판(41) 회전 중심(C1) 사에 위치하므로, 본체부(20)를 밀거나 당겨도 롤러(52)는 회전할 수 있다.
회전도움부(50)의 회전으로 회전판(41)이 베어링(43)에 지지된 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걸레(60)는 회전과 동시에 앞뒤로 이동하며 바닥을 닦는다. 따라서 단순히 앞 뒤로 미는 종래의 밀대 걸레에 비해 적은 힘으로 바닥의 찌든 때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과 같은 걸레(60)가 회전판(41)에 연결된 경우 2개의 회전판(41)이 하나의 걸레(60)에 연결되어 회전판(41)은 걸리게 된다. 이에 회전판(41)은 회전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롤러홈(412)은 회전판(41)의 외곽과 가까운 외측홈(412b) 및 회전판(41)의 중심과 가까운 내측홈(412a)을 포함한다. 회전도움부(50)의 롤러(52)는 내측홈(412a)에 위치한다.
회전도움부(50)가 회전판(41)의 회전중심(C1)과 본체부(20)의 길이방향(L) 중심(C3) 사이(L1)에 위치하며, 내측홈(412a)에 배치되어 있다. 롤러(51)는 회전판(211)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3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부(20), 회전부(40a, 40b) 및 회전도움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0a, 40b)의 회전판(41) 외부 둘레면에는 기어(411a, 411b)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411a, 411b)는 서로 맞물려 있다. 일측 회전부(40a)가 회전하면 타측 회전부(40b) 또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회전도움부(50)를 2개로 도시하였으나, 일측 회전부(40a)와 타측 회전부(40b)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도움부(50)는 일측 회전부(40a)에만 접촉해 있거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양측 회전부(40a, 40b)에 각각 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청소기 10: 자루
20: 본체부 21: 몸체
211: 회전판 결합부 211a: 삽입홀
212: 고정홀 23: 힌지부
231a, 231b: 지지대 232: 회동부
233: 링크 24: 걸레 고정부
30: 커버 40a, 40b: 회전부
41: 회전판 411a, 411b: 기어
412: 롤러홈 412a: 내측홈
412b: 외측홈 42: 축
43: 베어링 44: 고정부재
50: 회전도움부 51: 하우징
52: 롤러 60: 걸레

Claims (8)

  1. 자루가 연결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걸레가 부착될 수 있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돕는 회전 도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도움부는,
    상면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방된 곳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회전부 상면과 접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측면에 결합된 샤프트
    을 포함하며,
    상기 걸레가 상기 회전부 하면에 부착되어 청소 바닥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자루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상기 본체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가해질 때 상기 롤러는 상기 회전부의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하면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할 수 있게 돕는
    청소기.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회전도움부가 접촉된 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중심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 사이인 청소기.
  3.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회전도움부가 접촉된 부분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고 동시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을 0도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서 30도 내지 160도 사이이고 동시에 상기 회전부의 반경 중심에서 외곽측에 위치한 청소기.
  4.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는 비여 있으며 하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면이 상기 본체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축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구멍이 없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 상면 일부분은 상기 롤러와 선 접촉을 하고,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는 상기 걸레가 부착될 수 있는
    청소기.
  5. 제4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가지는 회전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축에 결합된 고정부재 및
    상기 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 결합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위치한 베어링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은 내륜과 외륜을 가지며, 상기 내륜은 상기 축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외륜은 강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륜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외륜과 마주하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 부분에는 상기 외륜이 상기 회전판의 상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깊이로 접촉 방지홀이 형성되어 있는
    청소기.
  6. 제4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상기 축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상기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청소기.
  7.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도움부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접해 있는 청소기.
  8.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회전부 외부 둘레면은 서로 접해 있으며, 한 쌍의 회전부가 접한 외부 둘레면에는 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회전도움부가 한 쌍의 회전부 중 어느 한 회전부에 접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도움부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각각 접하는 청소기.
KR1020140068611A 2014-03-21 2014-06-05 청소기 KR101506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3714 2014-03-21
KR1020140033714 2014-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191B1 true KR101506191B1 (ko) 2015-03-25

Family

ID=5302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611A KR101506191B1 (ko) 2014-03-21 2014-06-05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935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다이즈 청소 용구
KR20210125329A (ko) * 2020-04-08 2021-10-18 이미나 회전구조를 갖는 싱글타입 수동식 청소도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344A (ko) * 2009-12-30 2011-07-07 김은정 수동식 청소기
KR20110087251A (ko) * 2011-06-16 2011-08-02 정철화 회전식 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344A (ko) * 2009-12-30 2011-07-07 김은정 수동식 청소기
KR20110087251A (ko) * 2011-06-16 2011-08-02 정철화 회전식 걸레 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935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다이즈 청소 용구
KR20210125329A (ko) * 2020-04-08 2021-10-18 이미나 회전구조를 갖는 싱글타입 수동식 청소도구
KR102388229B1 (ko) * 2020-04-08 2022-04-18 이미나 회전구조를 갖는 싱글타입 수동식 청소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737B1 (ko) 회전식걸레 청소기
EP2606798B1 (en) Robot cleaner
EP1486156A2 (en)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a nozzle comprising a detachable cleaning sheet
JP6272335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ピンフラットモップ及び該モップを含む清掃工具
EP2946713A1 (en) Floor scrubbing machine
KR200485334Y1 (ko) 물걸레 전기 청소기의 걸레 착탈 구조
KR101506191B1 (ko) 청소기
JP3152632U (ja) 清掃用具
KR200480522Y1 (ko) 물걸레 청소기
KR101505932B1 (ko) 전기 바닥 청소기
KR101063016B1 (ko) 밀걸레 청소도구용 걸레 틀
KR20170002161U (ko)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JP2014018256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102268576B1 (ko) 진공청소기
JP2008183173A (ja)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及びこの吸込み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359407B2 (ja) 電気掃除機用ブラシアタッチメント
JP2007021058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7021058A5 (ko)
KR101724153B1 (ko) 걸레청소용 로봇청소기
JP2007021056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578300B2 (ja) 清掃部材保持具
KR101073102B1 (ko) 로봇청소기
JP2014064605A (ja) 左右開閉型払拭体保持具、払拭体及び清掃用具
KR20170002132U (ko)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CN220192907U (zh) 表面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