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51Y1 - 계기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계기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51Y1
KR200448451Y1 KR2020070013282U KR20070013282U KR200448451Y1 KR 200448451 Y1 KR200448451 Y1 KR 200448451Y1 KR 2020070013282 U KR2020070013282 U KR 2020070013282U KR 20070013282 U KR20070013282 U KR 20070013282U KR 200448451 Y1 KR200448451 Y1 KR 200448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aling
hole
winding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958U (ko
Inventor
암규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타
Priority to KR2020070013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51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 계량기, 전기 계량기 등 각종의 계기 및 기기에 봉인을 효율적으로 취하기 위한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종의 계기 및 기기의 봉인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므로 작업성 향상 및 견고한 봉인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봉인몸체(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 와이어공(11,11a)과 하부 와이어공(13,13a) 및 그 하부 내주면에 고정 돌기부(15)를 형성하는 봉인몸체(10)와; 상기 봉인몸체(10)의 상부 와이어공(11,11a)과 일치하는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 및 하부 와이어공(13,13a)과 일치하는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을 갖는 권취부(29)와,
권취부(29)는 상하분리 권취 칸막이(31)를 형성하여 상부 권취부(29a)와 하부 권취부(29b)로 각각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봉인 와이어(5)를 권취 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그 하부에 봉인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공정 돌기부(15)와 맞물리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케하는 이동 돌기부(25)를 형성하는 회전 로크(20)로 구성하여서;
제조사에서 봉인몸체(10)와 회전 로크(20)를 상호 스넵(Snap)결합하여 봉인체(60)를 만든 후 봉인 와이어(5)의 일단을 상부 권취부(29a)나 하부 권취부(29b) 중에서 어느 하나에 먼저 권취{차순위로 삽입되는 봉인 와이어(5)의 자유단이 자유롭게 삽입이 될 수 있도록 상부 와이어공(11,11a)은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과 일치되고, 하부 와이어공(13,13a)은 하부 와어 관통공(21b)과 일치하는 구조로 구비}를 하여 봉인체(60)와 봉인 와이어(5)가 일체가 되게 생산을 한 후;
봉인을 요하는 각종 계기 및 기기에 사용처에서 봉인 시행시 봉인 와이어(5)의 자유단을 봉인체(60)의 자유공{제조사에서 봉인 와이어(5) 일단을 봉인몸체(10)와 일체가 되게 조립한 후에 비어있는 상부 와이어공(11) 또는 하부 와어공(13)}에 삽입 관통시켜서 회전 로크(2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봉인 와이어(5)를 권취하여 봉인을 행하므로 작업성 및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또한 견고한 상태로 봉인이 되어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 봉인장치.
상부 와이어공, 하부 와이어공, 상부 와이어 관통공, 하부 와이어 관통공, 상하 분리 권취 칸막이, 상부 권취부, 하부 권취부, 봉인 몸체, 회전 로크, 자유단

Description

계기 봉인장치{SEALING DEVICE FOR METER AND MACHINE}
본 고안은 각종 계기 및 기기에 봉인을 효율적으로 취하기 위한 봉인 장치에 관한 것.
삭제
삭제
삭제
미국 공개특허 제5419599호는 봉인몸체와 회전 로크에 횡으로 관통되게 두 개의 봉인 와이어 공을 형성하고, 봉인 와이어를 삽입 한 후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 로크를 회전시키면서 봉인 와이어를 권취하는 구조이며 그 하부에는 봉인몸체와 회전 로크가 서로 상대하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걸림편(일종의 라체트 원리)을 형성하여 역회전을 할 수 없는 구조이고,
이를 보완한 미국 공개특허 제6000736호는 봉인 몸체와 회전 로크에 횡으로 관통되게 두 개의 봉인 와이어공을 형성하고, 봉인 와이어가 삽입되는 쪽의 몸체의 두 개의 봉인 와이어 삽입공은 서로 연결되게 슬랏(Slot)으로 하여 봉인 와이어 한쪽 끝을 봉인 와이어 삽입공의 우측에 삽입을 한 후, 회전 로크를 1800 만 회전시켜서 봉인 와이어의 한쪽 끝을 권취하여 봉인체와 봉인 와이어가 일체가 되게 제조사에서 생산하여, 봉인 외이어의 자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봉인 몸체와 회전 로크의 관통 구멍이 얼라인먼트(Alignment)가 되도록 유지하여 주는 구조이며, 한편으로 봉인 몸체와 봉인구 로크의 하부구조는 미국 공개특허 제5419599호와 동일한 구조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첫째로, 봉인 와이어의 한쪽 끝을 봉인 몸체에 구비된 와이어공이 슬랏(Slot)으로 된 봉인 와이어 공의 우측에만 먼저 삽입을 해야되고,
둘째로, 봉인 와이어의 한쪽 끝을 삽입 한 후, 봉인구 로크를 1800 만 회전을 시켜야 하는데, 실제로 제조공정에서 연속작업을 하다 보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인해 1800 이상으로 회전을 시킬 수 있는데, 이는 불량품이 되는 단점이 있으며 - 만약 1800 이상으로 회전을 시키면 이미 권취된 봉인 와이어가 자유단이 삽입되는 봉인 와이어공을 막아 버리는 단점이 있으며,
셋째로, 제조공정에서 봉인 와이어의 한쪽 끝을 삽입할 시에 봉인 와이어가 봉인 몸체를 관통한 후에 봉인 와이어가 몸체 반대쪽의 봉인 와이어공으로 조금이라도 돌출이 된 상태에서 권취(1800 회전)할 시는 두번째의 단점과 같이 불량품이 되는 단점이 있으며,
넷째로, 봉인 와이어 경질 또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경질 소재는 가능하지만, 연질 소재는 그 특성상 탄성이 없는 관계로 1800 를 회전시켜서 봉인몸체와 봉인 와이어를 일체로 했을 시에 봉인몸체와 봉인 와이어 사이에 조그만 물리적 힘이 가해지면 봉인 와이어가 쉽게 봉인몸체로부터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해결 수단은,
봉인몸체(10)에 구비되는 상부 와이어공(11,11a)과 하부 와이어공(13,13a) 및 회전 로크(20)에 구비되는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과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을 횡으로 구성하지 않고, 종으로 구성하고, 회전 로크(20)의 권취부(29)를 상부 권취부(29a)와 하부 권취부(29b)로 각각 분리 권취 되도록 상하분리 권취 칸막이(31)를 구비하여, 봉인 와이어(5) 한쪽 끝을 상부 와이어공(11,11a)이나 하부 와이어공(13,13a) 둘 중에서 어느 하나에 먼저 삽입을 하여 봉인몸체(10)를 관통한 봉인 와이어(5)의 끝이 봉인몸체(10)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하여도 되고, 돌출되지 않아도 되는 상태에서 회전 로크(20)의 회전 손잡이(28)를 일방향으로 1회전, 또는 1회전반(처음 1회전 후 1800 씩 추가 회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을 시키면 봉인 와이어(5)는 상부 권취부(29a) 또는 하부 권취부(29b)에서 꺾어지면서 Z 형태로 단단하게 권취가 되면서 봉인체(60)와 봉인 와이어(5)가 일체로 생산이 되는 구조로 봉인 와이어(5)의 소재를 연질로 사용해도 1회전 이상으로 권취를 할 수 있는구조이며 또한 차순위로 삽입되는 봉인 와이어(5)의 자유단에 방해를 주지 않는 구조로구비된 봉인장치.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봉인 와이어(5)를 상부나 하부 와이어공 중에서 임의로 선택해서 권취를 해도 되고, 또한 제조사에서 봉인체(60)와 봉인 와이어(5)를 일체로 조립시에 1 회전, 또는 1회전 후 1800 씩 추가 회전을 하여도 차순위로 삽입되는 봉인 와이어(5)의 자유단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또한 봉인 와이어(5)가 봉인몸체(10)를 관통해서 반대쪽 표면으로 관통이 되어도 되는 구조이며, 봉인 와이어(5)의 소재를 연질이나 경질의 소재를 사용해도 단단하게 권취되는 특징의 구조를 가진 봉인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계기를 봉인하는 것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봉인몸체(10)의 상부는 개방된 챔버(Chamber,12)를 형성하고, 개방된 챔버(Chamber,12)의 중심을 대향되게 관통하는 상부 와이어공(11)(11a)과 하부 와이어공(13)(13a)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된 챔버(Chamber,12)의 하부 내주면에는 도 7과 같이 일측방에 경사 안내면(16)을, 타측방에 수직걸림면(17)을 갖는 다수의 고정 돌기부(15)를 형성하는 봉인몸체(10)와,
상기 봉인몸체(10)의 챔버(Chamber,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 결합 돌기부(22a)(22b)와, 봉인몸체(10)외주면에 형성된 와이어공 돌기부(40)에 구비된 상부 와이어공(11)(11a)은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과 일치되고 하부 와이어공(13)(13a)은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과 일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도 3, 도 4와 같이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과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이 형성되는 권취부(29)를 구비하고,
권취부(29)는 상하분리 권취 칸막이(31)를 구비하여, 상부 권취부(29a)와 하부 권취부(29b)를 형성하고, 그 하부 원주상에는 상기 고정 돌기부(15)와 맞물리는 위치에 상기 경사 안내면(16)에 안내되는 경사면(26)과 상기 수직걸림면(17)에 맞물려 걸림작동하는 걸림면(27)을 갖는 다수의 이동 돌기부(25)를 형성하는 회전 로크(20)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으로,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몸체(10)에 회전 로크(20)를 스넵 결합할 시에 조립안내 돌기(30)의 중심과 회전 손잡이(28)의 좁은 면의 중심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 봉인몸체(10)의 챔버(Chamber,12)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2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로크(20)에 구비된 결합 돌기부(22a,22b)가 서로 맞물려지는데 이때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상호 스넵(Snap) 결합되어 상기 회전 로크(20)는 봉인몸체(10)로부터 이탈이 될 수 없는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도 1의 경사면(26)은 도 7의 경사 안내면(16)과 접촉되면서 탄성에 의해 수축되어 짐과 동시에 도 1의 걸림면(27)은 도 7의 수직 걸림면(17)과 맞물리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 로크(20)와 봉인몸체(10)는 각각 이동 돌기부(25)의 고정 돌기부(15)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이동 돌기부(25)의 경사면(26)이 고정 돌기부(15)의 경사 안내면(16)과 맞물리는 방향으로는 그 회전이 가능하나 상기 이동 돌기부(25)의 걸림면(27)과 고정 돌기부(15)의 수직 걸림면(17)이 맞물리는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봉인체(60)를 제조사에서 봉인체(60)와 봉인 와이어(5)가 일체가 되게 조립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과정은 도 2, 도 5와 같이 봉인 와이어(5)의 일단을 상부 와이어공(11) 또는 하부 와이어공(13)에 삽입하는데, 이때 봉인 와이어(5)는 와이어 관통공(21)을 관통하여 {봉인 와이어(5)를 상부 와이어공(11)에 삽입을 하게되면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을 관통하여 상부 와이어공(11a)을 관통하게 됨} 상부 와이어공(11a) 또는 하부 와이어공(13a)을 관통하여 봉인 와이어(5)의 끝 부분이 돌출되게 되는데, 이때 봉인 와이어(5)가 돌출이 되지 않게 할 수도 있으나, 돌출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봉인 와이어(5)가 돌출이 된 상태에서 회전 로크(20)에 구비된 회전 손잡이(28)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1 회전(처음 1 회전 후는 1800 씩 회전)시키면 봉인 와이어(5)는 권취부(29)에서 꺾여지면서 Z 형태로 단단하게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봉인장치이며,
한편으로 미 설명 부호로서, 봉인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19는 표시면으로 봉인을 시행하는 시행처의 명이나, 시리얼(Sirial) 번호, 바코드(Bar code)등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표시를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그 모양은 반 원형, 직사각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 될 수 있고, 또한 봉인몸체(10)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고 투명한 구조로 만들어져 봉인 와이어(5)가 권취된 상태를 외부에서 눈으로 쉽게 판별을 할 수 있는 구조이며, 그 하부면(36)은 볼록렌즈로 형성하여 회전 로크(20)를 봉인몸체(10)에 조립하기 전에 홀로그램(Hologram)이나 수요자의 요구에 의한 인쇄물을 삽입하여 봉인 시행처에서 봉인 시행 후 점검시에 볼록렌즈에 의해 인쇄물이 확대되어 보여 지게 하여 용이하게 점검을 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봉인의 효과를 극대화한 봉인장치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계량기의 뚜껑 또는 이와 유사한 폐쇄 도어 등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2)의 봉인 체결공(3)에 봉인 와이어(5)의 자유단을 삽입시켜 관통을 시킨 후 봉인체(60)에 준비되어 있는 자유공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서 봉인 와이어(5) 일단을 봉인몸체(10)와 일체가 되게 조립한 후 비어있는 상부 와이어공(11) 또는 하부 와이어공(13)} 에 삽입 관통을 하게 되는데, 이때 봉인몸체(10)가 투명으로 되어 있어 봉인 와이어(5)의 삽입작동을 육안으로 확인을 하면서 할 수가 있으며 삽입이 완료되면 한손으로 봉인체(60)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회전 손잡이(28)를 일방향(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으로 뢰소한 1회전 이상 회전시켜서 봉인 와이어(5)가 권취부에 권취되도록 한 후, 회전 손잡이(28)를 꺾으면 상광하협구조로 된 취약부(28a)가 부러지면서 봉인이 완료되며, 이렇게 봉인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봉인몸체(10)와 회전 로크(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스넵(Snap) 결합이 되어 있어 분리를 할 수가 없는 상태로 유지하게 만들어진 봉인장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현재 수도미터기, 택시미터기, 가스미터기, 전기미터기, 저울 등에 사용되는검정 봉인(각종계기는 생산자가 생산을 한 후 국가가 시행하는 품질검사에 합격한 제품에 대해 한국 유화시험기기 연구원의 검정을 필 한 후에 판매를 할 수 있음) 의 소재는 납과 동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인을 하도록 법령에 규정이 되어 있어 건국 이래 현재까지 납이 사용이 되고 있는데, 납은 중금속으로 선진국에서는 규제를 하고 있는 6대 중금속의 하나이며, 또한 우리나라도 이들 중금속의 규제에 관한 법령이 국회에 상정이 되어 있으며, 한국 유화시험기기 연구원에서도 납을 대체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의장등록 제0264765호 및 0264766호의 제품 일부를 적용하여 시험을 하고 있는데, 기존의 제품은 봉인 몸체와 봉인 와이어를 따로 공급을 해야 해서 관리에 문제가 있어 본 고안을 적용하여 제품을 생산시는 봉인의 효율성 및 봉인 시행에 요구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봉인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어 본 고안에 의한 제품의 생산은 바로 산업상 이용을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봉인 와이어 한쪽 끝을 권취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로크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로크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봉인 와이어 한쪽 끝을 권취한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봉인이 시행된 정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봉인몸체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봉인 와이어 10: 봉인몸체
11, 11a: 상부 와이어공 12: 챔버(Chamber)
13, 13a: 하부 와이어공 15: 고정 돌기부
16: 경사 안내면 17: 수직 걸림면
20: 회전 로크 21: 와이어 관통공
21a: 상부 와이어 관통공 21b: 하부 와이어 관통공
22: 걸림편 22a, 22b: 결합 돌기부
삭제
삭제
삭제
25: 이동 돌기부 26: 경사 안내면
27: 걸림면 28: 회전 손잡이
28a: 상광하협구조로 된 취약부 29: 귄취부
29a: 상부 권취부 29b: 하부 권취부
30: 조립 안내 돌기 31: 상하분리 권취 칸막이
36: 하부면 40: 와이어공 돌기부
60: 봉인체

Claims (6)

  1. 각종 계기 및 기기를 봉인하는 것에 있어서,
    봉인몸체(10) 상부가 개방된 챔버(Chamber, 12)를 형성하고, 개방된 챔버Chamber, 12)의 중심을 대향되게 관통하는 상부 와이어공(11,11a)과 하부 와이어공(13,13a)을 형성한 봉인몸체(10)와,
    봉인몸체(10)의 챔버(Chamber,1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돌기부(22a)(22b)가 후술하게 될 로크(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부 측에 동일 직경을 갖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하부 와이어공(13,13a)은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과 일치하면서 권취부(29)를 형성한 회전로크(20)와,
    권취부(29)는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과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의 사이에 위치하여 권취부(29)를 상하로 양분하는 상하분리 권취 칸막이(31)를 형성하여, 상부 권취부(29a)와 하부 권취부(29b)를 구비하여 봉인 와이어(5)을 상부 와이어공(11) {또는 하부 와이어공(13)}에 삽입 관통하게 한 후, 회전 손잡이(28)를 일방향으로 1 회전(처음 1 회전 후는 1800 씩 회전)시켜서 봉인 와이어(5)의 한쪽 끝을 권취하여 봉인체(60)와 봉인 와이어(50)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봉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몸체(10)에 봉인 와이어(5)의 일단을 상부 권취부(29a) {또는 하부 권취부(29b)} 에 권취하여 봉인체(60)와 봉인 와이어(5)가 일체로 되게 제조사에서 제조한 봉인체(60)를 봉인 시행자가 계기에 봉인을 시행할 시에 봉인 와이어(5)의 자유단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봉인 와이어(5)가 조립되지 않은 하부 와이어공(13, 13a) {또는 상부 와이어공(11,11a)} 과 하부 와이어 관통공(21b){또는 상부 와이어 관통공(21a)} 이 일치되는 구조로 된 봉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몸체(10)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고 투명한 구조로 만들어져 봉인 와이어(5)가 권취된 상태를 외부에서 눈으로 쉽게 판별을 할 수 있는 구조이며, 그 하부면(36)은 볼록렌즈로 형성하여 회전 로크(20)를 봉인몸체(10)에 조립하기 전에 홀로그램(Hologram) 이나 수요자의 요구에 의한 인쇄물을 삽입하여 봉인 시행처에서 봉인 시행 후 점검시에 볼록렌즈에 의한 인쇄물이 확대되어 보여지게 하여 용이하게 점검을 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봉인장치.
  5. 삭제
  6. 삭제
KR2020070013282U 2007-08-09 2007-08-09 계기 봉인장치 KR200448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82U KR200448451Y1 (ko) 2007-08-09 2007-08-09 계기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282U KR200448451Y1 (ko) 2007-08-09 2007-08-09 계기 봉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58U KR20070000958U (ko) 2007-08-29
KR200448451Y1 true KR200448451Y1 (ko) 2010-04-13

Family

ID=4365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282U KR200448451Y1 (ko) 2007-08-09 2007-08-09 계기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06Y1 (ko) 2010-07-12 2012-05-25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봉인 장치
CN104809950A (zh) * 2015-03-20 2015-07-29 华立仪表集团股份有限公司 嵌入式铅封组件,穿线式铅封组件及表用外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271B1 (ko) * 2015-02-12 2015-07-16 서울특별시 계량기용 봉인장치 및 봉인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7479A (ja) * 1989-10-20 1991-08-15 E J Brooks Co コンテナ等を保証する回転シール
US5419599A (en) 1993-07-01 1995-05-30 E. J. Brooks Company Rotatable seal
US6000736A (en) 1998-04-30 1999-12-14 E.J. Brooks Company Rotatable seal
KR20010036599A (ko) * 1999-10-09 2001-05-07 김암규 기기 봉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7479A (ja) * 1989-10-20 1991-08-15 E J Brooks Co コンテナ等を保証する回転シール
US5419599A (en) 1993-07-01 1995-05-30 E. J. Brooks Company Rotatable seal
US6000736A (en) 1998-04-30 1999-12-14 E.J. Brooks Company Rotatable seal
KR20010036599A (ko) * 1999-10-09 2001-05-07 김암규 기기 봉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06Y1 (ko) 2010-07-12 2012-05-25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봉인 장치
CN104809950A (zh) * 2015-03-20 2015-07-29 华立仪表集团股份有限公司 嵌入式铅封组件,穿线式铅封组件及表用外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58U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451Y1 (ko) 계기 봉인장치
TW434961B (en) End seal structure for cable closure
KR100919509B1 (ko) 케이블 타이
US9134123B2 (en) Tension element position sensor
EA015522B1 (ru) Индикаторная пломба для метрологических приборов
DE112012001896T5 (de) Kontaktlose Winkelstellungserfassungsvorrichtung
KR101332361B1 (ko) 계량기 나사 봉인구
CH653642A5 (it) Contenitore multiplo di elementi o prodotti continui tubolari o a nastro per la siglatura di cavi ed apparecchiature elettriche.
CA2401764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JP2007282479A (ja) 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
EP2099270A2 (de) Gehäuse eines kabellosen Kommunikationsports
KR200470152Y1 (ko) 전선 보호용 조립체
CN107093871A (zh) 一种电工布线用线缆穿线排线器
JP4512706B2 (ja) 通信機能付電力量計
KR101242613B1 (ko) 계측기 봉인장치
JP2014039380A (ja) 電動モータ
KR20090127391A (ko) 멜로디가 발생되는 병마개
KR100334757B1 (ko) 기기 봉인장치
CN207350554U (zh) 除湿机
CA3030944C (en) Seal assembly for utility meter and associated methods
CN206148364U (zh) 一种继电器罩及应用其的压缩机
CN216248089U (zh) 铅封固定结构及电能表
KR100805886B1 (ko) 적산전력계의 단자커버용 봉인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43264B1 (ko) 스텝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