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757B1 - 기기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757B1
KR100334757B1 KR1019990043681A KR19990043681A KR100334757B1 KR 100334757 B1 KR100334757 B1 KR 100334757B1 KR 1019990043681 A KR1019990043681 A KR 1019990043681A KR 19990043681 A KR19990043681 A KR 19990043681A KR 100334757 B1 KR100334757 B1 KR 10033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wire
hole
fixed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599A (ko
Inventor
김암규
Original Assignee
김암규
주식회사 델타모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암규, 주식회사 델타모페드 filed Critical 김암규
Priority to KR101999004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757B1/ko
Priority to KR2019990022318U priority patent/KR200178023Y1/ko
Publication of KR2001003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omprising means to prevent frau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계량기, 수도계량기, 자동차등의 각종기기에 봉인을 효율적으로 취하기 위한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종 기기의 봉인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므로 작업성 향상은 물론 견고한 봉인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를 관통형성된 와이어공(11)(11)과 하부 내주면에 고정돌기부(15)를 형성하는 고정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10)의 와이어공(11)과 일치하는 와이어연결공(21)을 갖는 권취부(21')와 그 하부에 상기 고정돌기부(15)와 맞물리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케 하는 이동돌기부(25)를 형성하는 회전로크 (20)로 구성하여서; 봉인을 요하는 각종 기기에서 봉인와이어(5)를 고정몸체(10)와 회전로크(20)의 와이어공(11)(11)(21)에 삽입한 상태로 회전로크(2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봉인와이어(5)를 고정시켜 봉인을 행하므로 작업성 및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또한, 견고한 상태로의 봉인으로 그 봉인상태를 훼손시키지 못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기 봉인장치{SEALING MECHANISM FOR METER}
본 발명은 가스계량기, 수도계량기, 자동차등의 각종기기에 봉인을 효율적으로 취하기 위한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인장치는 각종 계량기의 보호 및 변경조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납뭉치에 의한 체결방식이다.
이러한 납뭉치에 의한 방법은 납뭉치를 양쪽으로 쪼개어 그 사이에 봉인와이어를 넣고 쪼개진 납뭉치를 오무려주는 것에 의해 봉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납뭉치는 연질의 재료이어서 쪼개진 납뭉치를 쉽게 벌릴수가 있기 때문에 봉인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개특허공보 제97-2270호에 봉인장치가 개시된바 있는데, 이는 몸체의 일측에 봉인와이어를 연장되게 설치하고, 타측에는 봉인구멍과 상기 구멍과 직교되는 나사공을 형성하여서; 상기 봉인와이어를 개량기의 뚜껑 또는 이와 유사한 폐쇄도어 등을 체결하기 위한 비스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봉인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나사공으로 봉인구의 숫나사를 나합하여 그 끝단으로 상기 봉인와이어를 가압 고정하여 봉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숫나사를 제외한 봉인구는 절단하여 상기 봉인와이어를 고정하고 있는 숫나사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봉인장치는 상기 봉인와이어를 봉인구멍에 삽입하는 과정, 상기 봉인와이어를 봉인구에 의해 나합고정하여 상기 봉인와이어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하는 과정, 또한, 상기 봉인구의 일측단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과정으로 다수의 과정에 의해 봉인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봉인구의 나합에 의한 고정작업으로 그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봉인와이어가 봉인구멍에서 움직이는 상태로 일정하고 정확한 위치에서의 고정이 곤란함과, 이로 인해 상기 봉인와이어를 밀착되게 가압고정하는 작업이 곤란한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봉인와이어를 봉인구의 선단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나 상기 봉인와이어에 인출하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봉인와이어를 걸림작동하는 부분이 없어 쉽게 봉인을 해제할 우려의 문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각종 기기의 봉인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므로 작업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한 봉인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를 관통형성된 와이어공과 하부 내주면에 고정돌기부를 형성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와이어공과 일치하는 와이어연결공을 갖는 권취부와 그 하부에 상기 고정돌기부와 맞물리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케 하는 이동돌기부를 형성하는 회전로크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몸체와 회전로크의 와이어공, 와이어연결공을 통해 봉인와이어를 삽입한 상태로 회전로크를 회전시켜 봉인와이어를 고정되게 권취하여 봉인하는 봉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봉인와이어 10: 고정몸체
11: 와이어공 12: 결합공
13: 걸림편 15: 고정돌기부
16: 경사안내면 17: 수직걸림면
20: 회전로크 21: 와이어연결공
21': 권취부 28: 회전손잡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종 기기를 봉인하는 것에 있어서,
내부 결합공(12)의 중심을 대향되게 관통하는 와이어공(11)(1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2)의 하부 내주면에는 일측방에 경사안내면(16)을 타측방에 수직걸림면(17)을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부(15)를 형성하는 고정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10)의 결합공(12)과 동일직경을 갖는 결합부(22)와, 상기 와이어공(11)과 일치하는 와이어연결공(21)을 갖는 권취부(21')와 그 하부 원주상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5)와 맞물리는 위치에 상기 경사안내면(16)에 안내되는 경사면(26)과 상기 수직걸림면(17)에 맞물려 걸림작동하는 걸림면(27)을 갖는 다수의 이동돌기부(25)를 형성하는 회전로크(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0)에는 결합공(12)의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13)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로크(20)에는 상기걸림편(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단면(23)을 형성하여 상기 절단면(23)이 걸림편(13)에 맞물리게 삽입되면서 상호 조립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2는 비스(3)의 봉인체결공, 5는 봉인와이어어, 12a는 회전로크(20)의 결합부(22) 단턱(22a)이 지지되게 삽입되는 단턱, 28은 회전손잡이, 19는 고정몸체(10)의 표시면으로서 각종 시리얼(serial)번호등의 인쇄를 행할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종 계량기의 뚜껑 또는 이와 유사한 폐쇄도어등을 체결하기 위한 비스(3)의 봉인체결공(2)에 봉인와이어(5)의 삽입하여 통과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고정몸체(10)에 회전로크(20)를 조립한다.
이는, 상기 고정몸체(10)의 걸림편(13) 위치로 회전로크(20)의 절단면(23)이 위치하도록한 상태에서 삽입한다.
이때, 상기 걸림편(13)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다른 위치에서는 그 삽입이 곤란하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봉인와이어(5)의 자유단을 고정몸체(10)의 일측 와이어공(11)을 통해 회전로크(20)의 와이어연결공(21), 다시 고정몸체(10)의 타측 와이어공(11)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인와이어(5)의 삽입작동은 상기 고정몸체(10)가 투명체로 되어있어 그 삽입작동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용이하게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회전로크(20)의 회전손잡이(28)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로크(20)와 고정몸체(10)는 각각 이동돌기부(25)와 고정돌기부(15)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동돌기부(25)의 경사면(26)이 고정돌기부(15)의 경사안내면(16)과 맞물리는 방향으로는 그 회전이 가능하나 상기 이동돌기부(25)의 수직걸림면(27)과 고정돌기부 (15)의 걸림면(17)이 맞물리는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로크(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몸체(10)와 회전로크(20)의 와이어공(11)(11) 및 와이어연결공(21)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된 봉인와이어(5)는 회전로크(20)의 권취부(21')에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봉인와이어(5)가 회전로크(20)의 권취부(21')에 감기면서 고정되게 봉인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봉인와이어(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로크(20)의 권취부(21')에 감기고, 그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곤란하게 되므로 권취된 상태를 풀수가 없기 때문에 고정되게 봉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과정에서 상기 회전로크(20)는 고정몸체(10)의 걸림편(13)에 의해 고정몸체(10)로 부터 이탈이방지되도록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봉인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손잡이(28)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 취약부(28a)를 이용하여 꺽어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로크(20)는 고정몸체(10)의 걸림편(13)에 의해 이탈방지되게 지지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서 이를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확실한 봉인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봉인을 요하는 각종 기기에서봉인와이어를 고정몸체와 회전로크의 와이어공에 삽입시키겨 회전로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봉인와이어를 고정시켜 봉인을 행하므로 작업성 및 편리성이 극대화되고,
또한, 견고한 상태로의 봉인으로 그 봉인상태를 훼손시키지 못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각종 기기를 봉인하는 것에 있어서,
    내부 결합공(12)의 중심을 대향되게 관통하는 와이어공(11)(1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2)의 하부 내주면에는 일측방에 경사안내면(16)을 타측방에 수직걸림면(17)을 갖는 다수의 고정돌기부(15)를 형성하는 고정몸체(10)와,
    상기 고정몸체(10)의 결합공(12)과 동일직경을 갖는 결합부(22)와, 상기 와이어공(11)과 일치하는 와이어연결공(21)을 갖는 권취부(21')와 그 하부 원주상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5)와 맞물리는 위치에 상기 경사안내면(16)에 안내되는 경사면(26)과 상기 수직걸림면(17)에 맞물려 걸림작동하는 걸림면(27)을 갖는 다수의 이동돌기부(25)를 형성하는 회전로크(20)로 구성하여서 상기 고정몸체(10)의 와이어공(11)(11)과 회전로크(20)의 와이어연결공(21)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되는 봉인와이어(5)를 회전로크(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권취하는 상태로 고정하여 봉인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봉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0)에는 결합공(12)의 상부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13)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로크(20)에는 상기 걸림편(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단면(23)을 형성하여 상기 절단면(23)이 걸림편(13)에 맞물리게 삽입되면서 상호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봉인장치.
KR1019990043681A 1999-10-09 1999-10-09 기기 봉인장치 KR10033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681A KR100334757B1 (ko) 1999-10-09 1999-10-09 기기 봉인장치
KR2019990022318U KR200178023Y1 (ko) 1999-10-09 1999-10-16 기기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681A KR100334757B1 (ko) 1999-10-09 1999-10-09 기기 봉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318U Division KR200178023Y1 (ko) 1999-10-09 1999-10-16 기기 봉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599A KR20010036599A (ko) 2001-05-07
KR100334757B1 true KR100334757B1 (ko) 2002-05-04

Family

ID=1961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681A KR100334757B1 (ko) 1999-10-09 1999-10-09 기기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24B1 (ko) * 2001-06-01 2003-10-30 한서정밀계기주식회사 수도 계량기의 상부캡 회전 방지장치
KR200448451Y1 (ko) * 2007-08-09 2010-04-13 주식회사 델타 계기 봉인장치
KR101242613B1 (ko) * 2011-07-26 2013-03-19 김진설 계측기 봉인장치
KR101537271B1 (ko) * 2015-02-12 2015-07-16 서울특별시 계량기용 봉인장치 및 봉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599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195B2 (en) Transparent insulating enclosure
JP3560090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EP1085488A2 (en) Self-locking wire seal
KR20060108643A (ko) 하우징
HU226923B1 (en) Lead seal assembly
KR100334757B1 (ko) 기기 봉인장치
JPH04346497A (ja) 電子機器筐体の蓋装置
KR840001586Y1 (ko) 자물쇠 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200178023Y1 (ko) 기기 봉인장치
KR200381091Y1 (ko) 단자함
KR200174931Y1 (ko) 기기 봉인장치
CA2486120A1 (en) Hose for vacuum cleaner
JPH041578Y2 (ko)
KR20020040118A (ko) 통신용 단자함의 잠금장치
CN215119919U (zh) 一种线束固定装置
JPH0211171Y2 (ko)
KR860002044Y1 (ko) 봉인 장치
KR200182521Y1 (ko) 원터치 봉인장치
JP2000243505A (ja)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
JP3571541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4008286A (ja) 遊技機用制御基板の封止装置
JPH10199609A (ja) 防水コネクタ装置
JPH09288217A (ja) 光ケーブル接続用収納ケース
KR960008873Y1 (ko) 적산전력계의 천용방지용 봉인장치
JP3527121B2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0214

Effective date: 200512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12

Effective date: 20051229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