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506Y1 - 봉인 장치 - Google Patents

봉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506Y1
KR200460506Y1 KR2020100007306U KR20100007306U KR200460506Y1 KR 200460506 Y1 KR200460506 Y1 KR 200460506Y1 KR 2020100007306 U KR2020100007306 U KR 2020100007306U KR 20100007306 U KR20100007306 U KR 20100007306U KR 200460506 Y1 KR200460506 Y1 KR 200460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aling
body portion
sealing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476U (ko
Inventor
조광열
Original Assignee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씰즈나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7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0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1Means for regulating or setting the meter for a predetermined quant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7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omprising means to prevent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95Testing the sensing arrangement, e.g. testing if a magnetic card reader, bar code reader, RFID interrogator or smart card reader functions proper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봉인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봉인 장치는 봉인 와이어가 관통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한 상기 봉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봉인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로크;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자칩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봉인 장치에 표시된 일련정보를 육안으로 비교하지 않고 봉인 장치의 교환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봉인 장치{Sealing apparatus}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은 봉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인 장치 식별을 위해 전자칩을 장착한 봉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수돗물)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는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 설치된 수도 계량기는 용수의 흐름을 계측하여 그 사용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도 계량기는 본체부(110), 유입관(120), 배출관(130) 및 계측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10)의 양측에는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20)과 계측 모듈(140)을 통과한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30)이 대향 배치된다. 이 때, 수도 계량기의 유입관(120) 및 배출관(130) 측에는 수나사부가 제공되며, 수도 계량기의 유입관(120) 및 배출관(130)은 양측 수나사부 또는 고정 너트를 통해 파이프 연결구(181 및 182)와 결합된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계측 모듈(140)의 내부에는 용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익차가 존재하는데, 익차의 회전은 용수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계기판의 수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는 본체부(110)를 통과하여 배출관(130) 측으로 배출된 용수의 양을 체크한다.
그런데, 인위적으로 배출관(130)에서 유입관(120) 측으로 용수를 흐르게 하는 경우, 계측 유닛(140)의 익차가 역회전을 하게 되어 계기판 수치가 거꾸로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 정확한 수도 요금을 산출할 수 없다. 또한 수도 계량기를 분리하고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여 용수를 무단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수도 요금을 조작하거나 용수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에는 봉인 장치가 제공되는데, 종래에는 수도 계량기의 본체부(110)와 유입관(120), 및 본체부(110)와 배출관(130)을 소정 굵기의 봉인 와이어(151 및 152)로 묶어서 본체부(110)와 유입관(120), 및 본체부(110)와 배출부(130)와의 결합을 분리시키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봉인 와이어(151 및 152)를 이용한 본체부(110)와 유입관(120) 및 배출부(130)와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봉인 장치(191 및 192)가 이용된다.
즉, 본체부(110)에 형성된 구멍(161 및 162)과 유입관(120) 및 배출관(130)의 파이프 연결구(181 및 182)에 형성된 구멍(171 및 172)이 봉인 와이어(151 및 152)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수를 무단 사용할 목적으로 유입관(120) 측의 수나사부에 체결된 파이프를 풀고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임의로 봉인 와이어를 절단하고 수도 계량기를 조작한 후 다시 봉인 장치를 교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인을 시행하는 시행처의 명이나, 일련 번호, 바코드 등을 봉인 장치에 표시한다. 따라서, 수도 요금을 부여하는 검시관이 수도 계량기를 통해 용수의 사용량을 체크하는 경우 봉인 장치의 교환여부를 봉인 장치에 표시된 일련번호, 바코드 등이 기존에 설치된 봉인 장치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검시관은 봉인 장치의 일련번호, 바코드 정보가 들어있는 장부를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며 일련번호의 일치 여부를 각 수도 계량기마다 육안으로 비교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전자칩을 삽입할 수 있는 봉인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봉인 와이어가 관통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한 상기 봉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봉인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로크;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자칩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개방된 챔버가 형성되고, 개방된 챔버의 중심에 대향되게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상부 와이어공과 상기 상부 와이어공과 직교되게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하부 와이어공이 형성되는 것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봉인 장치에 표시된 일련정보를 육안으로 비교하지 않고 봉인 장치의 교환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도 계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봉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칩이 삽입되는 봉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는 특정 연결 부위를 봉인해야 하는 장비에는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봉인 장치는 유체의 흐름을 계측하여 사용량을 산출하는 계량기를 봉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계량기는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는 수도 계량기를 봉인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수도 계량기에 봉인 장치를 적용한 일례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봉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봉인 장치(200)는 도 1에서 설명한 봉인 장치(191 및 192)를 확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봉인 장치(200)는 봉인 와이어(230)가 관통하는 고정 몸체(210), 고정 몸체(210)와 결합되고 고정 몸체(210)를 관통한 봉인 와이어(230)를 권취하여 봉인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로크(220)및 봉인 장치에 대한 일련번호가 기재되는 표시면(240)으로 구성된다.
고정 몸체(210)의 측면에는 와이어공(211)이 대향하여 형성된다. 봉인 와이어(230)는 일측에 형성된 와이어공(211)을 통해 고정 몸체(2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에 형성된 와이어공(21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 때,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고정 몸체(210)와 회전 로크(220)가 결합하는 부위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 로크(220)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봉인 와이어(230)를 고정 몸체(210)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 로크(2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봉인 와이어(230)를 권취하고,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의 본체부와 유입관, 및 본체부와 배출관이 봉인된다. 이 때, 회전 로크(220)는 타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권취된 봉인 와이어(230)는 풀리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봉인 상태가 지속되게 된다.
사용자가 임의로 봉인 와이어를 절단하고 수도 계량기를 조작한 후 다시 봉인 장치를 교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면(240)에는 봉인을 시행하는 시행처의 명이나, 일련 번호, 바코드 등을 봉인 장치에 표시한다. 따라서, 수도 요금을 부여하는 검사관이 수도 계량기를 통해 용수의 사용량을 체크하는 경우 봉인 장치의 교환여부를 봉인 장치에 표시된 일련번호, 바코드 등이 기존에 설치된 봉인 장치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검사관은 봉인 장치의 일련번호, 바코드 정보가 들어있는 장부를 소지하여야 하며 일련번호의 일치 여부를 각각의 수도 계량기마다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봉인 장치의 일례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인 장치(300)는 몸체부(310), 몸체부(310)와 결합되고 몸체부(310)를 관통한 봉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봉인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로크(320) 및 삽입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 3은 몸체부(310)와 회전 로크(320)가 결합하기 전의 봉인 장치(300)의 사시도, 도 4에서는 몸체부(310)와 회전 로크(320)가 결합한 후의 봉인 장치(300), 도 5에서는 회전 로크(320)의 사시도, 도 6에서는 몸체부(310)의 단면도, 도 7에서는 몸체부(310)의 저면도, 도 8 에서는 전자칩(340)이 삽입되는 봉인 장치의 사시도, 도 9에서는 몸체부(310)와 회전 로크(320)가 결합한 후의 봉인 장치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몸체부(310)는 봉인와이어(410)가 관통하는 고정 몸체(311), 몸체부(3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된 챔버(318), 챔버(318)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312), 개방된 챔버(318)의 중심에 대향되게 상기 몸체부(310)를 관통하는 제1 와이어공(313), 제1 와이어공(313)에 직교되게 몸체부(310)를 관통하는 제2 와이어공(314), 결합홈(312) 하부에 형성되며 챔버(318)의 상부 내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에 고정 경사면(316), 타측방에 고정 걸림면(317)을 갖는 다수의 고정 걸림쇠(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공(313)은 몸체부(310)의 상부에, 제2 와이어공(314)은 상기 제1 와이어공(31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하기에서는 제1 와이어공(313)을 상부 와이어공으로 제2 와이어공(314)을 하부 와이어공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하부 와이어공(314)은 상기 몸체부(310)를 관통하는 상부 와이어공(313)과 상부 와이어공(313)과 직교되게 몸체부(310)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하부 와이어공(314)는 몸체부(310)에 봉인 와이어(410)를 고정시키는 용도로사용되며, 상부 와이어공(313)은 봉인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부 와이어공(313)과 하부 와이어공(314)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부 와이어공(314)에 봉인 와이어(410)를 고정시키고 계량기의 본체부 구멍(161,162)에 봉인 와이어(410)를 관통시킨 후 다시 봉인을 위해 상부 와이어공(313)에 관통시키는 경우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와이어공(313)과 하부 와이어공(314)이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 관통을 시키는 작업 시 이미 하부 와이어공(314)에 고정되어 있는 봉인 와이어(140) 중단에 방해를 받는다. 즉, 하부 와이공(314)에서 관통되어 나온 봉인 와이어의 중단을 손 등으로 고정시키고 상부 와이어공(313)에 봉인 와이어(410)을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고안과 같이 상부 와이어공(313)과 하부 와이어공(314)를 직교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와이어공(313,314)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지 않아 봉인 와이어(410)를 상부 와이어공(313)에 관통 시 하부 와이어공(313)에 고정된 봉인 와이어의 중단에 방해 받지 않고 손쉽게 봉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 로크(320)는 몸체부(310)의 챔버(318)를 통해 삽입 결합하는 부재로서, 몸체부(310)를 관통한 봉인와이어(410)를 권취하여 봉인동작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로크(320)는 회전 손잡이(321), 회전 손잡이(321)의 하부에 형성되며 회전 로크(320)가 몸체부(310)의 삽입될 시 몸체부(310)의 결합홈(31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회전 로크(320) 외주면의 상, 하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홈 결합부(322)와 상부 와이어공(313)과 일치하게 형성되는 제1 권취공(323), 하부 와이어공(314)과 일치하게 형성되는 제2 권취공(324), 제1 권취공(323)과 제2 권취공(324)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돌기부(325), 홈 결합부(322)와 제1 권취공(323)사이에 형성되며 고정 경사면(316)과 맞물리는 이동 경사면(327), 고정 걸림면(317)과 맞물리는 이동 걸림면(328)을 갖는 다수의 이동 걸림쇠(3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330)는 몸체부(3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자칩(34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13), 하부 와이어공(313)(또는 상부 와이어공(314))이 삽입부(330)의 몸체까지 연장되어 관통되는 삽입부 와이어공(332), 삽입부에 전자칩(340) 삽입 후 봉인하기 위한 삽입덮개(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삽입부 와이어공(332)과 대향한 와이어공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칩(340)은 RFID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태그(tag)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비 접촉 식으로 인식하거나 기록하는 기술로서,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나 사람 등을 인식, 추적,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RFID 태그에 계량기가 설치된 장소 또는 일련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RFID리더기를 통해 데이터를 인식하여 계량기에 설치되어 있는 봉인 장치(300)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봉인 장치와 일치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RFID리더기를 통해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계량기가 설치된 주소지가 상기 RFID 리더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어 교환없는 봉인 장치(300)인지 검시관이 판단할 수 있으며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가 기 등록된 정보와 일치 하지 않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봉인 장치(300)의 교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자칩(340)에는 칩 와이어공(341)이 형성되어 삽입부(330)에 삽입 후 봉인 와이어(410)가 칩 와이어공(341)를 관통하여 사용자가 삽입부(330)로부터 전자칩(340)을 분리할 수 없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로크(320)를 몸체부(31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삽입하면 한 쌍으로 형성된 홈 결합부(322)가 결합홈(312)과 서로 맞물려지고 회전 로크(320)는 몸체부(310)로 분리될 수 없는 조립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회전 로크(320)의 이동 경사면(327)은 몸체부(310)의 고정 경사면(316)과 맞물리고 이동 걸림면(328)은 고정 걸림면(316)과 맞물린다. 회전 손잡이(321)를 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 방향이 이동 걸림면(328)이 고정 걸림면(316)으로 맞물리게 이동하는 방향인 경우에는 이동 걸림면(328)이 고정 걸림면(316)에 걸리게 되어 회전이 불가능 하며 이와 반대 방향인 경우에는 이동 경사면(327)이 고정 경사면(316)에 맞물리며 회전하게 된다. 즉, 회전 로크(320)는 이동 걸림쇠(326)와 고정 걸림쇠(315)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 로크(320)를 몸체부(310)에 결합한 후 봉인 와이어(410)의 일단을 삽입부(330)에 형성된 삽입부 와이어공(332)과 삽입부 와이어공(332)과 일치되게 형성된 상부 와이어공(313)(또는 하부 와이어공(314)), 제1 권취공(323)(또는 제2 권취공(324))에 삽입한다.
이때, 봉인 와이어(410)는 삽입부(330)에 삽입된 전자칩(340)의 칩 와이어공(341)을 관통하여 전자칩(340)을 삽입부(330)에 고정 시킨다. 따라서 용수 사용자가 임의로 전자칩(340)을 교환할 수 없도록 한다.
봉인 와이어(410)를 봉인 장치(300)에 삽입 후 회전 로크(320)의 회전 손잡이(3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몸체부(310) 내부에서 봉인 와이어(410)가 권취 되며 봉인 와이어(410)가 봉인 장치(300)에 고정된다.
봉인 와이어(410)가 결합 고정된 봉인 장치(300)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되면 봉인 와이어(410) 및 회전 로크(320)가 결합된 몸체부(310)를 각각 구비할 필요 없으며 봉인시 봉인 와이어(410)를 봉인 장치(300)에 관통시키는 횟수가 줄어들어 보다 손쉽게 봉인작업을 할 수 있다.
봉인 장치(300)를 관통한 봉인 와이어(410)의 일 단을 도 1의 수도 계량기의 본체부(110)에 형성된 구멍(161 및 162)과 유입관(120) 및 배출관(130)의 파이프 연결구(181 및 182)에 형성된 구멍(171 및 172)에 삽입한 후 다시 봉인 장치(300)의 봉인 와이어(410)가 삽입되지 않은 상부 와이어공(314)(또는 하부 와이어공(313))에 관통 시킨 후 회전 로크(320)의 회전 손잡이(3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봉인 와이어(410)를 권취시킨 후 봉인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사용자가 봉인 와이어(410)의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 몸체(310)는 투명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본체부 120 : 유입관
130 : 배출관 140 : 계측 유닛
151 : 봉인 와이어 152 : 봉인 와이어
161 : 본체부 구멍 162 : 본체부 구멍
171 : 파이프 연결구 구멍 172 : 파이프 연결구 구멍
181 : 파이프 연결구 182 : 파이프 연결구
191 : 봉인 장치 192 : 봉인 장치
200 : 봉인 장치 210 : 고정 몸체
211 : 와이어공 220 : 회전 로크
230 : 봉인 와이어 240 : 표시면
300 : 봉인 장치 310 : 몸체부
311 : 고정몸체 312 : 결합홈
313 : 상부 와이어공 314 : 하부 와이어공
315 : 고정 걸림쇠 316 : 고정 경사면
317 : 고정 걸림면 318 : 챔버
320 : 회전 로크 321 : 회전 손잡이
322 : 홈 결합부 323 : 제1 권취공
324 : 제2 권취공 325 : 중앙 돌기부
326 : 이동 걸림쇠 327 : 이동 경사면
328 : 이동 걸림면
330 : 삽입부 331 : 삽입홈
332 : 삽입부 와이어공 333 : 삽입 덮개
340 : 전자칩 341 : 칩 와이어공
410 : 봉인 와이어

Claims (10)

  1. 봉인 와이어가 관통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한 상기 봉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봉인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로크;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자칩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개방된 챔버가 형성되고, 개방된 챔버의 중심에 대향되게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제1 와이어공과 상기 제1 와이어공과 직교되게 상기 몸체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제2 와이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로크 외주면의 상부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홈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공 및 상기 제2 와이어공 중 하나는 삽입부까지 연장되어 삽입부 와이어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크의 측면에는 제1 권취공 및 제2 권취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권취공은 상기 제2 권취공과 직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와이어공에 삽입된 봉인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전자칩을 고정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전 로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공은 봉인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제2 와이어공은 상기 몸체부에 봉인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투명한 구조로 만들어져 상기 봉인 와이어가 권취된 상태를 외부에서 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칩은 RFID 태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장치.
  10. 봉인 와이어가 관통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를 관통한 상기 봉인 와이어를 권취하여 봉인 동작을 수행하는 회전 로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개방된 챔버가 형성되고, 개방된 챔버의 중심에 대향되게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제1 와이어공과 상기 제1 와이어공과 직교되게
    상기 몸체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제2 와이어공이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봉인 장치.

KR2020100007306U 2010-07-12 2010-07-12 봉인 장치 KR200460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06U KR200460506Y1 (ko) 2010-07-12 2010-07-12 봉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306U KR200460506Y1 (ko) 2010-07-12 2010-07-12 봉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76U KR20120000476U (ko) 2012-01-18
KR200460506Y1 true KR200460506Y1 (ko) 2012-05-25

Family

ID=4584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306U KR200460506Y1 (ko) 2010-07-12 2010-07-12 봉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0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51Y1 (ko) 2007-08-09 2010-04-13 주식회사 델타 계기 봉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51Y1 (ko) 2007-08-09 2010-04-13 주식회사 델타 계기 봉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76U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31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cording and billing for individual fixture and unit water usage in a multi-unit structure
ES2428878T5 (es) Un método y un aparato para accionar una válvula electromagnética asociada a un medidor de gas
CN201401641Y (zh) 手持智能巡检仪
US20080011821A1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Orifice Plate Parameters
KR20180022642A (ko) 조작을 위한 제품을 테스팅하기 위한 시일 및 방법
KR200460506Y1 (ko) 봉인 장치
CN206223778U (zh) 地下水无线监测设备
KR20120000477U (ko) 봉인 장치 및 봉인 장치의 덮개
CN107607759A (zh) 一种控制电路及由其组成的电能计量封印
CN106324090B (zh) 一种声学流体传感器
CN208902156U (zh) 一种物业中物联网实时监测控制系统
CN206848253U (zh) 水质监测柜机
CN103400452B (zh) Ic卡无线远传智能防盗燃气表
CN202995891U (zh) 一种嵌入密钥的卡式水表
CN206411676U (zh) 装车控制器i‑Button身份识别系统
CN105987936B (zh) 测量含水率的探针检测微结构单元、传感器、装置及方法
CN2550722Y (zh) 油气井及输送管线压力温度流量参数巡检仪
BR102022014147A2 (pt) Dispositivo eletrônico para leitura de pulso magnético em medidores de gás e água com conexão universal e sensores antifurto e antifraude
CN214502568U (zh) 一种基于蓝牙通信技术的水表抄表装置
JP4790339B2 (ja) 流量計測装置
CN210482509U (zh) 搭载传感器的一体化管网管道
JP6500324B2 (ja) 給油所システム
CN208653562U (zh) 具有防盗功能的流量计
CN206461144U (zh) 连接器壳体组件
CN210268803U (zh) 一种能够核实工作量的水位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