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74Y1 -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74Y1
KR200447974Y1 KR2020080004736U KR20080004736U KR200447974Y1 KR 200447974 Y1 KR200447974 Y1 KR 200447974Y1 KR 2020080004736 U KR2020080004736 U KR 2020080004736U KR 20080004736 U KR20080004736 U KR 20080004736U KR 200447974 Y1 KR200447974 Y1 KR 200447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witch
engine
series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457U (ko
Inventor
하영대
이진형
권기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4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74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7/00Other fuel-injec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있어서,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와, 리셋 릴레이(13), 타이밍 릴레이(14) 및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를 부가 설치하여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를 상부패널 측으로 절체하고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타이밍 릴레이(14)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상 지속적으로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대기한 상태를 가지면 고소차량의 엔진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장시간 작업 대기중인 상태에서도 엔진이 지속적으로 구동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연료소모에 따른 에너지 낭비 및 고소차량 운영비(부품 노후교체 등) 과다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시동을 오프 시키지 않고 장비를 이탈할 시 자동 안전조치가 가능하며, 또한 운전자가 바스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차량의 엔진 작동 여부를 시각을 통해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 고소차량의 조작에 따른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2020080004736
고소차, 연료절감,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 리셋 릴레이, 타이밍 릴레이

Description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Fuel retrenchment equipment for high place cars}
본 고안은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크 플레트폼, 크레인 등과 같은 특수장비로써 고소차량에 구비된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에 탑승하여 작업을 실시할 때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 자체에 설치된 시동 정지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내려와 별도로 시동을 끄지 않더라도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에 탑승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적인 작업을 실시하지 않게 되면 해당 고소차량의 엔진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여 작업도 하지 않는 상태에서 엔진이 지속적으로 구동됨으로 인한 불필요한 연료소모에 따른 에너지 낭비 및 고소차량 운영비(부품 노후교체 등) 과다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시동을 오프시키지 않고 장비를 이탈할 시 자동 안전조치가 가능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차량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으로서, 주로, 선박건조, 건설현장, 가로수절단, 가로등 보수, 간판설치나 건물의 외부작업 등과 같은 고소(高所) 작업시 사용되며, 고소작업을 위한 장비로는 워크 플레트폼이나 크레인 등의 특수장비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고소차량에는 각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패널(예를 들어 "하부패널" 또는 "상부패널")이 지상에 위치되는 고소차량 자체와,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고 고소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바스켓 자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소차량의 "하부패널"에는 도 1과 같이 고소차량의 엔진에 대한 시동을 걸기 위한 키 스위치(1)와,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 및 엔진 정지 스위치(7)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및 배터리(Bat) 사이에는 시동모터(3), 엔진 시동 릴레이(4), 엔진 정지 릴레이(5) 및 연료 차단밸브(6)가 병렬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패널"에는 엔진 시동 스위치(8)와 엔진 정지 스위치(7a)를 포함하여 통상시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가 상부패널로 선택되었을 때 한하여 발을 통해 조작이 이루어질 때 상호 병렬 연결된 상태를 갖는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10) 및  릴리스 스위치(11)에 배터리(Bat)의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 있는 풋 스위치(9)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부패널"에는 고소차량의 엔진에 대한 시동을 걸기 위한 키 스위치(1)의 가동단자(B)와 접지단자 사이에 배터리(Bat)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엔진 시동 릴레이(4)의 접점 스위치(SM)와 시동모터(3)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S)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시동 릴레이(4)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ON)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정지 릴레이(5)의 접점 스위치(SP)와 연료 차단밸브(6)가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패널"에는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ON)와 하부패널의 엔진 시동 릴레이(4)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진 시동 스위치(8)가 설치됨은 물론 상호 직렬 연결된 하부패널의 엔진 정지 스위치(7)와 엔진 정지 릴레이(5)에 대해 엔진 정지 스위치(7a)가 직렬 열결되며, 또한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ON)와 하부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와 상부 제어기 사이에는 풋 스위치(9)와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10)가 직렬 연결되되, 상기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10)에는 릴리스 스위치(11)가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고소차량의 운전자 등이 상기 키 스위치(1)에 키를 꽂고 엔진에 시동을 걸게 되는 초기에는 배터리(Bat)의 전압이 키 스위치(1)의 가동단자(B)와 고정단자(S)를 통해 엔진 시동 릴레이(4)에 인가되므로 엔진 시동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SM)가 "온"되어 시동모터(3)에도 배터리(Bat)의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게 된다.
이후, 상기 같이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게 되어 운전자가 키 스위치(1)에 꼽혀있는 키에서 손을 떼게 되면 이전에 고정단자(S)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던 상기 키 스위치(1)의 가동단자(B)가 고정단자(ON)로 자동 절체되어 접촉되므로 엔진 시동 릴레이(4)와 시동모터(3)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차단되어 엔진의 정상적인 시동 후에는 이들의 구동을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엔진의 시동이 걸려진 상태에서 운전자는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가동단자를 하부 선택용 고정단자(Lower) 또는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로 절체시켜 고소차량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패널 또는 바스켓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패널을 선택한 후 고소차량의 하부패널을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하부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함)들을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면 되고, 상부패널을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풋 스위치(9)를 발로 밟아 "온"시킨 상태에서 상부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됨)들을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고소차량은 상부패널을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할 때 운전자가 직접 상부패널에 설치된 엔진 정지 스위치를 조작하여 엔진을 정지시키지 않는 한 실제 작업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는 고소차량의 엔진이 계속적으로 구동되는 상태를 갖게 되므로 운전자 등의 부주의로 인해 엔진의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고소 작업을 실시할 경우 불필요하게 연료를 낭비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 및 고소차량의 운영비(부품 노후교체 등) 과다지출은 물론, 작업자가 시동을 오프 시키지 않고 장비를 이탈할 시 자체발화 화재 등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할 안전조치가 불가능 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박건조 및 건설용 워크 플레트폼이나 크레인 등과 같은 특수장비로 사용되는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와 리셋 릴레이, 타이밍 릴레이 및 연료공급/차단 릴레이를 포함하여 상부패널에 엔진의 작동 여부를 표시해 주는 램프들을 부가 설치하여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에 탑승하여 작업을 실시할 때 운전자가 별도로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에 탑승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작업을 실시하지 않게 되면 해당 고소차량의 엔진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연료소모에 따른 에너지 낭비 및 고소차량 운영비 과다(부품 노후교체 등) 발생은 물론, 작업자가 시동을 오프 시키지 않고 장비를 이탈할 시 자체발화 화재 등으로부터 장비를 미연에 보호할 수 있는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패널에는 고소차량의 엔진에 대한 시동을 걸기 위한 키 스위치의 가동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배터리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엔진 시동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와 시동모터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시동 릴레이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정지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와 연료 차단밸브가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패널에는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하부패널의 엔진 시동 릴레이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진 시동 스위치가 설치됨은 물론 상호 직렬 연결된 하부패널의 엔진 정지 스위치와 엔진 정지 릴레이에 대해 엔진 정지 스위치가 직렬 열결되며,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하부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와 상부 제어기 사이에는 풋 스위치와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가 직렬 연결되되, 상기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에는 릴리스 스위치가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엔진 시동 스위치와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부패널이 설치된 바스켓에서 상기 엔진 시동 스위치를 "온"시킬 경우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온"시켜 배터리의 전압이 하부 엔진 시동 릴레이를 통해 시동모터에 공급되도록 하여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오프"시켜 타이밍 릴레이 제어용 리셋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해 주는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와;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통해 풋 스위치의 대기접점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대기상태에 있을 때 타이밍 릴레이에 직렬 연결된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온"시켜 주는 리셋 릴레이와; 정해진 작동시간(T)을 구비하고 상기 리셋 릴레이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풋 스위치의 가동단자가 대기접점에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시간을 계수하여 자체 내 설정된 시간이상 지속 될 경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해 주는 타이밍 릴레이와; 상기 타이밍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상기 타이밍 릴레이에 설정된 시간이상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타이밍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가 "오프"되면 그의 제 1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오프"시켜 연료 차단밸브로 공급되는 전압의 차단을 통해 엔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연료공급/차단 릴레이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에는 자체적으로는 상호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와는 직렬 연결되는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더 구비시키되, 상기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의 일측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에 시동이 걸려있는지 정지되었는지를 점등을 통해 표시해주는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는 바스켓에 설치되는 상부패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건조 및 건설용 워크 플레트폼이나 크레인 등과 같은 특수장비로 사용되는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와 리셋 릴레이, 타이밍 릴레이 및 연료공급/차단 릴레이를 포함하여 상부패널에 엔진의 작동 여부를 표시해 주는 램프들을 부가 설치하여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에 탑승하여 작업을 실시할 때 운전자가 별도로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바스켓 또는 그라인더에 탑승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적인 작업을 실시하지 않게 되면 해당 고소차량의 엔진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작업 대기중인 상태에서도 엔진이 지속적으로 구동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연료소모에 따른 에너지 낭비 및 고소차량 운영비 과다(부품 노후교체 등) 발생은 물론, 작업자가 시동을 오프 시키지 않고 장비를 이탈할 시 자체발화 화재 등으로부터 장비를 미연에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자가 바스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차량의 엔진 작동 여부를 시각을 통해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 고소차량의 조작에 따른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는, "하부패널"에는 고소차량의 엔진에 대한 시동을 걸기 위한 키 스위치(1)의 가동단자(B)와 접지단자 사이에 배터리(Bat)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엔진 시동 릴레이(4)의 접점 스위치(SM)와 시동모터(3)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S)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시동 릴레이(4)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ON)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정지 릴레이(5)의 접점 스위치(SP)와 연료 차단밸브(6)가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패널"에는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ON)와 하부패널의 엔진 시동 릴레이(4)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진 시동 스위치(8)가 설치됨은 물론 상호 직렬 연결된 하부패널의 엔진 정지 스위치(7)와 엔진 정지 릴레이(5)에 대해 엔진 정지 스위치(7a)가 직렬 열결되며, 또한 상기 키 스위치(1)의 고정단자(ON)와 하부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와 상부 제어기 사이에는 풋 스위치(9)와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10)가 직렬 연결되되, 상기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10)에는 릴리스 스위치(11)가 병렬 연결된 구성을 갖는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엔진 시동 스위치(8)와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부패널이 설치된 바스켓에서 상기 엔진 시동 스위치(8)를 "온"시킬 경우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1-a)를 "온"시켜 배터리(Bat)의 전압이 하부 엔진 시동 릴레이(4)를 통해 시동모터(3)에 공급되도록 하여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1-b)를 "오프"시켜 타이밍 릴레이(14) 제어용 리셋 릴레이(13)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해 주는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와;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1-b)를 통해 풋 스위치(9)의 대기접점(b)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대기상태에 있을 때 타이밍 릴레이(14)에 직렬 연결된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2-a)를 "온"시켜 타이밍 릴레이(14)가 작동 개시되도록 하는 리셋 릴레이(13)와;
정해진 작동시간(T; 예를 들어 5-10분)을 구비하고 상기 리셋 릴레이(13)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2-a)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풋 스위치(9)의 가동단자가 대기접점(b)에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시간을 계수하여 자체 내 설정된 시간(T)이상 지속 될 경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해 주는 타이밍 릴레이(14)와;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TM)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에 설정된 시간(T)이상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TM)가 "오프"되면 그의 제 1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3-a1)를 "오프"시켜 연료 차단밸브(6)로 공급되는 전압의 차단을 통해 엔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에는 자체적으로는 상호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와는 직렬 연결되는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3-a2)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3-b)를 더 구비시키되, 상기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3-a2)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3-b)의 일측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에 시동이 걸려있는지 정지되었는지를 점등을 통해 표시해주는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16)(1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16)(17)는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그 상태를 쉽게 보고 알 수 있도록 상부패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공지된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있어서,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와, 리셋 릴레이(13), 타이밍 릴레이(14) 및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를 부가 설치하여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를 상부패널 측으로 절체하고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타이밍 릴레이(14)에 의해 정해진 시간이상 지속적으로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대기한 상태를 가지면 고소차량의 엔진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는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1-a)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1-b)를 구비하고 종래에는 엔진 시동 릴레이(5)와 직렬 연결되던 상기 상부패널의 엔진 시동 스위치(8)와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운전자가 고소차량의 엔진에 시동을 걸어 놓은 상태 또는 비록 시동을 걸어 놓지는 않았으나 키 스위치(1)의 가동단자(B)를 고정단자(On)에 위치시켜 놓고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가동단자를 상부패널 선택용 고정단자(Upper)에 절제시켜 놓은 다음 바스켓에 탑승한 상태에서 엔진 시동이 꺼졌거나, 또는 시동 자체를 걸지 않고 바스켓에 탑승하여 상부패널이 설치된 바스켓 자체에서 상기 엔진 시동 스위치(8)를 통해 엔진에 시동을 걸기 위해 엔진 시동 스위치(8)를 "온"시키게 되면,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가 작동하여 그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1-a)를 "온"시키게 되므로, 배터리(Bat)의 전원전압이 키 스위치(1)와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 및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1-a)를 통해 하부 엔진 시동 릴레이(4)에 공급되므로 상기 하부 엔진 시동 릴레이(4)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SM)가 "온"되어 시동모터(3)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므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바스켓에 탑승하여 엔진 시동 스위치(8)를 통해 엔진의 시동을 걸 경우 리셋 릴레이(13)와 풋 스위치(9)의 대기접점(b) 사이에 직렬 연결된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1-b)는 "오프" 되므로 타이밍 릴레이(14) 제어용 리셋 릴레이(13)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은 자동 차단되어 타이밍 릴레이(14)의 이전 계수 값은 자동으로 "0"으로 리셋 된다.
또한, 상기 리셋 릴레이(13)는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12)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1-b)를 통해 풋 스위치(9)의 대기접점(b)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대기상태에 있을 때, 전술한 바와 반대로 타이밍 릴레이(14)에 직렬 연결된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2-a)를 "온"시켜 타이밍 릴레이(14)가 작동 개시되도록 한다.
물론,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위해 풋 스위치(9)를 밟아 그의 가동단자가 작업단자(a)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셋 릴레이(13)가 비 구동상태를 가지므로 상기 리셋 릴레이(13)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2-a)가 "오프"된 상태를 갖게 되어 타이밍 릴레이(14)의 구동이 차단됨은 물론 이전에 카운팅된 값은 "0"으로 자동 리셋된다.
또, 상기 타이밍 릴레이(14)는 정해진 작동시간(T)을 구비하고 상기 리셋 릴레이(13)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2-a)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풋 스위치(9)의 가동단자가 대기접점(b)에 접촉되면 그 순간부터 계수를 시작하여 작업을 하지 않는 대기시간이 자체 내 설정된 시간(T)이상 지속 될 경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에 직렬 연결된 상시 폐쇄접점스위치(TM)를 "오프"시켜 상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는 방식을 통해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여 엔진의 시동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에 의해 정해진 작동시간(T)은 작업장의 상황이나 해당 고소차량의 크기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5-10분 이상 작업이 정지되고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연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아이들 구동중인 엔진의 구동을 차단하고자 한다면 5-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상시개방접점스위치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TM)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에 설정된 시간(T)이상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TM)가 "오프"되면 그의 제 1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3-a1)를 "오프"시켜 연료 차단밸브(6)로 공급되는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여 엔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의 나머지 접점스위치인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3-a2)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3-b)는 각각 병렬 연결하여 그의 일측 입력단자는 모두 상기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Upper)와 직렬 연결하고, 타측 출력단자는 각각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16)(17)를 통해 접지시켜 주었다.
따라서 엔진에 시동이 걸려진 상태에서는 키 스위치(1) -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 및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의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R3-a2)를 통해 공급되는 배터리(Bat)의 전원전압에 의해 엔진시동상태 표시용 램프(16)가 점등되고, 상부패널이 선택된 상태에서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타이밍 릴레이(14)에 의해 정해진 시간(T) 이상 작업을 하지 않고 대기상태를 가지므로 인해 상기 타이밍 릴레이(14)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TM)가 "오프"되어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의 구동이 차단되면 그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3-b)가 "온"상태를 갖게 되므로 배터리(Bat)의 전압이 키 스위치(1)와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2) 및 연료공급/차단 릴레이(15)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R3-b)를 통해 엔진정지상태 표시용 램프(17)에 공급되므로 상기 엔진정지상태 표시용 램프(17)가 점등된 상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는 상기 상부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16)(17) 중 어느 램프가 점등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엔진이 어느 상태인지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약 자신이 장기간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엔진의 시동이 자동으로 꺼진 상태라면 다시 작업을 하기 위해 바스켓 내에서 상부 엔진 시동 스위치(8)를 조작하여 엔진에 시동을 걸은 후 필요한 작업을 계속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소차량의 블록 작동제어회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키 스위치 2 :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
3 : 시동모터                  4 : 엔진 시동 릴레이
5 : 엔진 정지 릴레이         6 : 연료 차단밸브
7,7a : 엔진 정지 스위치            8 : 엔진 시동 스위치
9 : 풋 스위치                  10 :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
11 : 릴리스 스위치           12 :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
13 : 리셋 릴레이                 14 : 타이밍 릴레이
15 : 연료공급/차단 릴레이   Bat : 배터리
16,17 :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

Claims (3)

  1. 하부패널의 키 스위치 가동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배터리가 설치됨과 동시에 엔진 시동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와 시동모터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시동 릴레이가 직렬 연결되며,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 정지 릴레이의 접점 스위치와 연료 차단밸브가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부패널에는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하부패널의 엔진 시동 릴레이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엔진 시동 스위치가 설치됨은 물론 상호 직렬 연결된 하부패널의 엔진 정지 스위치와 엔진 정지 릴레이에 대해 엔진 정지 스위치가 직렬 열결되며, 상기 키 스위치의 고정단자와 하부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와 상부 제어기 사이에는 풋 스위치와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가 직렬 연결되되, 상기 브레이크 리미트 스위치에는 릴리스 스위치를 병렬 연결한 고소차량의 작동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엔진 시동 스위치와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부패널이 설치된 바스켓에서 상기 엔진 시동 스위치를 "온"시킬 경우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온"시켜 배터리의 전압이 하부 엔진 시동 릴레이를 통해 시동모터에 공급되도록 하여 엔진에 시동이 걸려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오프"시켜 타이밍 릴레이 제어용 리셋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해 주는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와;
    상기 상부 엔진 시동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통해 풋 스위치의 대기접점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대기상태에 있을 때 타이밍 릴레이에 직렬 연결된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온"시켜 주는 리셋 릴레이와;
    정해진 작동시간(T)을 구비하고 상기 리셋 릴레이의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바스켓에 탑승한 운전자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풋 스위치의 가동단자가 대기접점에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시간을 계수하여 자체 내 설정된 시간이상 지속 될 경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해 주는 타이밍 릴레이와;
    상기 타이밍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통해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에 직렬 연결된 형태로 설치되어 블록에 탑승한 운전자가 상기 타이밍 릴레이에 설정된 시간이상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인해 상기 타이밍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스위치가 "오프"되면 그의 제 1 상시 개방접점스위치를 "오프"시켜 연료 차단밸브로 공급되는 전압의 차단을 통해 엔진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연료공급/차단 릴레이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차단 릴레이에는 자체적으로는 상호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패널 선택 스위치의 상부 선택용 고정단자와는 직렬 연결되는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를 더 구비시키되, 상기 제 2 상시 개방접점스위치와 상시 폐쇄접점스위치의 일측 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는 엔진에 시동이 걸려있는지 정지되었는지를 점등을 통해 표시해주는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진시동 및 정지상태 표시용 램프는 바스켓에 설치되는 상부패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KR2020080004736U 2008-04-10 2008-04-10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KR200447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36U KR200447974Y1 (ko) 2008-04-10 2008-04-10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736U KR200447974Y1 (ko) 2008-04-10 2008-04-10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57U KR20090010457U (ko) 2009-10-14
KR200447974Y1 true KR200447974Y1 (ko) 2010-03-08

Family

ID=4155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736U KR200447974Y1 (ko) 2008-04-10 2008-04-10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0026B2 (ja) * 2018-04-23 2022-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697B1 (ko) 1995-12-08 2000-01-15 정몽규 자동차의 엔진 자동정지장치
JP2002087799A (ja) 2000-09-07 2002-03-2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エンジン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装置
KR100401006B1 (ko) 2001-06-04 2003-10-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엔진 공회전시 엔진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장치
JP2007230696A (ja) 2006-02-28 2007-09-13 Tadano Ltd 遠隔操作式作業機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697B1 (ko) 1995-12-08 2000-01-15 정몽규 자동차의 엔진 자동정지장치
JP2002087799A (ja) 2000-09-07 2002-03-27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エンジン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装置
KR100401006B1 (ko) 2001-06-04 2003-10-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엔진 공회전시 엔진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는장치
JP2007230696A (ja) 2006-02-28 2007-09-13 Tadano Ltd 遠隔操作式作業機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57U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87531U (zh) 电梯井道照明及报警提示自动控制装置
CN102202928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控制旋钮
CN107318206A (zh) 具有高度调节功能的路灯
CN104627767A (zh) 一种预防工程人员坠落电梯井道的系统及其方法
CN102723909A (zh) 一种电动车用电机控制器的主动泄放电路及其控制方法
KR200447974Y1 (ko) 고소차량의 연료절감장치
CN109383298B (zh) 一种城市有轨电车运营端自动转换方法
JP6543210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US7795756B2 (en) Portable generator interconnection device for traffic signal
EP2199594B1 (en) Engine starting device for the stop and start function in a vehicle and method for the use of the device
US9041525B2 (en) Light control system
KR101097124B1 (ko) 소방전원 보존 작동 및 그 구분 표시 장치를 가진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컨트롤러
KR200462647Y1 (ko) 고장상태를 알리는 보안등 점멸기
JP2001151047A (ja) 自動車用電源監視装置
CN106100110A (zh) 锌锅感应器紧急供电自动切换的短路保护方法
JP3566603B2 (ja) 停電時ビル設備非常電源システム
CN210725432U (zh) 操作柱指示灯抗感应电路
KR20100023397A (ko) 건설기계의 램프 제어 장치
CN218768348U (zh) 一种机车电子禁动指示设备
CN201923752U (zh) 一种自动扶梯用多功能扶手端部
AU2005100947A4 (e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Checking Accumulator Capacitance
JP2011116479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205274930U (zh) 一种乘客电梯警示照明系统
CN218675222U (zh) 电路检测装置
JPH0622698Y2 (ja) エレベ−タの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