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26Y1 -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26Y1
KR200447926Y1 KR2020080005773U KR20080005773U KR200447926Y1 KR 200447926 Y1 KR200447926 Y1 KR 200447926Y1 KR 2020080005773 U KR2020080005773 U KR 2020080005773U KR 20080005773 U KR20080005773 U KR 20080005773U KR 200447926 Y1 KR200447926 Y1 KR 20044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heat exchange
exchange unit
vaporized humidifier
vapo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278U (ko
Inventor
정창식
Original Assignee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미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80005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2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교환유니트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가 가습엘레멘트에 흡수되지 않도록 이격 설치되어 가습엘레멘트 내에서 세균이 발생되거나 또는 증식되는 것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31)가 둘레에 구비되는 가습엘레멘트(32) 및 이 가습엘레멘트(32)에 급수되도록 상기 케이스(31)의 상측에 결합된 급수헤더(33)를 포함한 기화식 가습기(30)와,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배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습엘레멘트(32) 측으로 공급될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유니트(20)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이격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가습기, 열교환유니트, 가습엘레멘트, 급수헤더, 스페이서

Description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antipollution of an evaporative humidifier}
본 고안은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엘레멘트 내에서 세균의 발생 및 증식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된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대기 자체가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할 뿐만 아니라 난방기구의 사용에 따라 실내공기의 건조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내공기의 건조에 의해 사람의 호흡기 또는 피부 등에 장애를 일으킴으로써, 심적으로 불쾌감을 유발시키거나 심한 경우에는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또한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실내공기의 건조에 따른 정전기 발생빈도가 높게 되고, 이에 의해 쇼크 또는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되어 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내공기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수 분을 공급하는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은 이미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습기는 그 용도 및 작동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기화식 가습기와 이의 설치상태를 도시된 도면의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가습시스템은 단열된 본체(10) 내에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11)과 실내로 가습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급팬(12)에 의해 실내공기가 순환되도록 구비되고, 이 흡입팬(11)과 공급팬(12) 사이에는 상기 본체(10) 내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되면서 열교환 및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유니트(20)와 이 열교환유니트(20)에 밀접된 기화식 가습기(30)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필터유니트(13)가 구비되어 공기 중의 불순물을 필터링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화식 가습기(30)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습엘레멘트(32)가 구비되고, 이 가습엘레멘트(32)의 상하부에는 각각 급수헤더(33)와 드레인팬(4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30)는 상기 급수헤더(33)에 의해 공급된 물의 일부가 상기 가습엘레멘트(32)의 전면적에 걸쳐 흡수되고, 나머지 일부는 하부의 드레인팬(41)으로 배수되며, 상기 열교환유니트(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에 의해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흡수된 물이 기화되어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니트(20)는 상기 기화식 가습기(30)가 통상의 냉난방을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에 부가될 때에, 공기조화기의 응축기나 증발기에 의해 열교환되도록 온수 또는 냉수가 순환된 가열코일 또는 냉각코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조화기와는 별도로 구비될 경우에는 별도의 히 터 또는 냉각장치 등에 의해 열교환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데, 가습은 주로 건조한 겨울철에 행하게 되므로 상기 열교환유니트(20)는 대개 온수 또는 히터 등에 의한 가열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는 상호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 것이어서, 상기 기화식 가습기(30)가 대체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여름철의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가습엘레멘트(32)에 흡수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는 곰팡이를 포함한 세균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위생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습엘레멘트(32)가 세균에 의해 오염이 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살균작업을 행해야 하거나 세균의 증식이 심한 경우에는 가습엘레멘트(32)를 교체해야하므로 그 수명이 짧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습을 행하는 겨울철의 경우에도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필요 이상의 수분이 흡수된 상태가 되어 설정된 습도 이상으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어 습도 조절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열교환유니트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가 가습엘레멘트에 흡수되지 않도록 이격 설치되고, 이에 의해 가습엘레멘트 내에서 세균이 발생되거나 또는 증식되는 것을 대폭적으로 줄여 보다 위생적으로 가습될 뿐만 아니라 필요이상의 과도한 가습이 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습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살균작업을 줄일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습엘레멘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케이스(31)가 둘레에 구비되는 가습엘레멘트(32) 및 이 가습엘레멘트(32)에 급수되도록 상기 케이스(31)의 상측에 결합된 급수헤더(33)를 포함한 기화식 가습기(30)와,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배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습엘레멘트(32) 측으로 공급될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유니트(20)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의 둘레부 일측에 다수의 스페이서(50)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타공판(2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전방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살균램프(61)가 더 구비되고, 이 살균램프(61)는 그 양측에 구비되는 램프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습엘레멘트(32)를 포함한 기화식 가습기(30)와 상기 가습엘레멘트(32) 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유니트(20)를 상호 결합할 때에,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를 상호 이격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습엘레멘 트(32)에는 곰팡이를 포함한 세균의 발생 및 증식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습엘레멘트(32)가 세균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줄게 함으로써, 별도의 살균작업을 행해야 하거나 오염에 따른 상기 가습엘레멘트(32)를 교체하는 작업을 줄일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습엘레멘트(3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기화식 가습기(30)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 의한 응축수가 흡수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설정된 습도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습도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는 다수의 스페이서(50)에 의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그 결합구조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타공판(22)이 더 구비됨으로써, 흡입팬(11)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기화식 가습기(30)를 통과할 때에, 공기의 압력손실이 발생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양측면에 대응된 위치에서 절곡부(22a)를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 사이의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은 어느 정도 줄이면서도 내외의 공기 소통이 가능하여 세균의 발생 및 증식을 억 제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전방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살균램프(61)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공급되는 공기를 보다 더 확실하게 살균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살균램프(61)는 그 양측에서 램프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또는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기화식 가습기(30)는 케이스(31)에 의해 그 둘레가 둘러싸인 가습엘레멘트(32)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31)의 상부 측에는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급수되도록 급수라인(40)에 연결되는 급수헤더(33)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30)의 배면 측에는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되는 코일체(21) 및 전면에 결합된 타공판(22)을 포함하는 열교환유니트(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타공판(22)은 흡입팬(도 1에 도시됨)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기화식 가습기(30)를 통과할 때 에, 공기가 압력손실이 발생되지 않고 일정한 압력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습엘레멘트(32)의 구조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의 하부에는 상기 급수라인(40)과 급수헤더(33)에 의해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급수될 때에,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는 물이나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 의한 응축수가 고여 배출되도록 드레인팬(41)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는 대략 "기억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형상의 스페이서(5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데, 상기 스페이서(50)은 상기 열교환유니트(20)의 타공판(22)과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케이스(31)에 결합되어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타공판(22)은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부위를 커버하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양측면에 대응된 위치에서 절곡부(22a)를 형성하여 수직 연장되며, 이 절곡부(22a)에 의해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 사이의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은 어느 정도 줄이면서도 내외의 공기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상기 절곡부(22a) 만이 구비된 타공판(22)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절곡부(22a)는 상기 스페이서(50)의 결합력을 보강하여 상기 기화식 가습기(3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더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50)에 의해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가 상호 이격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스페이서(50) 및 이에 따른 결합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거의 없게 되고, 또한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흡수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 사이에 통풍이 원활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가습엘레멘트(32) 내에서 곰팡이를 포함한 세균의 발생 및 증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가 흡수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기화식 가습기(30)는 설정된 양만큼의 물이 급수되어 적절한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23)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3)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전방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살균램프(61)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때에 상기 살균램프(61)는 그 양측에 접점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살균램프(61)의 양측에 램프베이스(60)가 구비된다. 이 램프베이스(60)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양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살균램프(61)의 양측에 램프베이스(6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은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어 파손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고, 아울러 습기에 의한 램프베이스(61)와 살균램프(61)의 접점에서 접촉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램프베이스(61)는 상기 살균램프(61) 양단의 접 점부(62)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기화식 가습기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4)

  1. 케이스(31)가 둘레에 구비되는 가습엘레멘트(32) 및 이 가습엘레멘트(32)에 급수되도록 상기 케이스(31)의 상측에 결합된 급수헤더(33)를 포함한 기화식 가습기(30)와,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배면 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습엘레멘트(32) 측으로 공급될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유니트(20)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가습엘레멘트(32)에 의해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이격되며;
    상기 기화식 가습기(30)는 상기 열교환유니트(20)의 둘레부 일측에 다수의 스페이서(50)에 의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유니트(20)와 기화식 가습기(30)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타공판(2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의 전방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살균램프(61)가 더 구비되고, 이 살균램프(61)는 그 양측에 구비되는 램프베이스(6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기화식 가습기(3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KR2020080005773U 2008-04-30 2008-04-30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KR20044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73U KR200447926Y1 (ko) 2008-04-30 2008-04-30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773U KR200447926Y1 (ko) 2008-04-30 2008-04-30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78U KR20090011278U (ko) 2009-11-04
KR200447926Y1 true KR200447926Y1 (ko) 2010-03-03

Family

ID=4155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773U KR200447926Y1 (ko) 2008-04-30 2008-04-30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284B1 (ko) 2009-12-31 2012-10-26 이성수 기화식 공기 살균기
KR102514995B1 (ko) 2022-10-12 2023-03-27 이상용 고밀도 공기압축식 광촉매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858B1 (ko) * 2011-12-22 2012-06-18 한국식품연구원 강제증발식 공조용 가습기
CN106872304B (zh) * 2017-01-20 2019-10-25 武汉理工大学 细集料沥青混合料试件湿度养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3533A (ja) 1986-09-25 198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
JPH04320742A (ja) * 1991-04-22 1992-11-11 Kubota Corp 空調機
JPH06180133A (ja) * 1992-12-11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H11316035A (ja) * 1998-04-30 1999-11-16 Kimura Kohki Co Ltd 空気調和機用熱交換コ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3533A (ja) 1986-09-25 198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
JPH04320742A (ja) * 1991-04-22 1992-11-11 Kubota Corp 空調機
JPH06180133A (ja) * 1992-12-11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H11316035A (ja) * 1998-04-30 1999-11-16 Kimura Kohki Co Ltd 空気調和機用熱交換コイ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284B1 (ko) 2009-12-31 2012-10-26 이성수 기화식 공기 살균기
KR102514995B1 (ko) 2022-10-12 2023-03-27 이상용 고밀도 공기압축식 광촉매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78U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40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oelectric personal comfort controlled bedding
US100479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oelectric personal comfort controlled bedding
WO2006068017A2 (ja) 空調システム
US20120071078A1 (en) Humidifying unit and ventil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100128813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0447926Y1 (ko) 기화식 가습기의 오염방지를 위한 설치구조
KR101596831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CN210425286U (zh) 一种健康型空调风管系统
WO2007091813A1 (en) Air-conditioner using heat of condensation
CN212057509U (zh) 新风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US20090134232A1 (en) System for providing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to indoor environment
AU2019286659B2 (en) Technique for denaturing of small organic items in premises
JP6284134B1 (ja) 外気調和機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20150137567A (ko) 축열식 공기소독 냉열 교환기
CN213810914U (zh) 一种两联供地面辐射冷暖全空气新风除湿系统
JP6951518B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789484B1 (ko) 저소음형 공조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수술실 공조 시스템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JP2011085373A (ja) 屋外設置型ヒートポンプ式加湿装置
JP201809666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708556B1 (ko) 가습기능을 갖는 팬 코일 유니트
CN218781380U (zh) 一种集除湿、加湿、新风、净水的一体机
KR102322117B1 (ko) 습도 조절과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냉난방 겸용 보일러 시스템
CN116538623B (zh) 一种温湿度控制的新风机组
KR200322453Y1 (ko) 냉방기능을 겸한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