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15Y1 - 퓨즈를 갖는 릴레이 - Google Patents

퓨즈를 갖는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15Y1
KR200447915Y1 KR2020070020787U KR20070020787U KR200447915Y1 KR 200447915 Y1 KR200447915 Y1 KR 200447915Y1 KR 2020070020787 U KR2020070020787 U KR 2020070020787U KR 20070020787 U KR20070020787 U KR 20070020787U KR 200447915 Y1 KR200447915 Y1 KR 200447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relay
terminal
coupl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53U (ko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70020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1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5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01H50/048Plug-in mounting or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15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plug-in type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 및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중앙홀(71)과, 상기 중앙홀(71)의 양측에 형성되며, 퓨즈접속단자(72)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자홀(73)과; 상기 중앙홀(7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75)과, 상기 중앙홀(71)과 단자홀(73)의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77)를 갖는 퓨즈삽입부(70)를 포함하는 통상의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퓨즈삽입부(70)를 커버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돌기(120)가 체결되도록 상기 퓨즈삽입부(7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130)로 이루어진 퓨즈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릴레이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여러 종류의 퓨즈를 선택적으로 릴레이에 탈/부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릴레이, 퓨즈, 커버

Description

퓨즈를 갖는 릴레이 {RELAY HAVING FUSE}
도 1은 종래 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를 갖는 릴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미니퓨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요부에 미니퓨즈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요부에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2에 적용되는 퓨즈보호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를 갖는 릴레이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제너럴타입퓨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1은 도 8의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도 8에 적용되는 퓨즈커버부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릴레이 30 : 릴레이몸체
50 : 단자 70 : 퓨즈삽입부
90 : 퓨즈결합부
본 고안은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레이는 미리 정해진 전기적 및 물리적 양에 따라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그리고, 기능에 따라 크게 보호계전기와 통신용계전기로 나눈다.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 사고(예를 들면 송전선이 낙뢰로 단락 또는 접지되어 아주 많은 전류가 흘러드는 현상) 등이 발생했을 때 계통의 나머지 부분에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그 사고를 검출하고 그 부분을 계통으로부터 끊어내도록 지령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릴레이(1)는 대부분 사각형상의 몸체(2)를 구비하고, 이 몸체(2)의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반응하는 전자석, 코일 등(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2)의 하부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3)이 릴레이의 종류에 따라 4개 내지 5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릴레이(1)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조등과 안개등을 켤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릴레이는 퓨즈와 릴레이를 각각 따로 구성하여 자동차에 적용하여야하므로, 공간적인 효율을 저하시켜 장착하는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기술 적인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릴레이를 장착시키고 퓨즈를 장착시켜야하는 두번의 조립 작업이 발생하므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릴레이와 퓨즈를 연결하는 배선이나 도체와 같은 구조물이 따로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위한 공간적,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릴레이를 보호하도록 릴레이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를 갖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의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퓨즈를 갖는 릴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 및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중앙홀(71)과, 상기 중앙홀(71)의 양측에 형성되며, 퓨즈접속단자(72)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자홀(73)과; 상기 중앙홀(7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75)과, 상기 중앙홀(71)과 단자홀(73)의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77)를 갖는 퓨즈삽입부(70)를 포함하는 통상의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퓨즈삽입부(70)를 커버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돌기(120)가 체결되도록 상기 퓨즈삽입부(7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130)로 이루어진 퓨즈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와;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92)과; 상기 결합홈(92)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자(91)와; 상기 결합홈(9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탄력부(93)로 이루어진 퓨즈결합부(90)를 포함하는 통상의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퓨즈결합부(90)를 커버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20)와, 상기 결합돌기(220)가 결합되도록 상기 퓨즈결합부(9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230)로 이루어진 퓨즈커버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사용되는 퓨즈는 미니퓨즈(MINI FUSE) 또는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LOW PROFILE MINI FUSE)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사각박스형상으로 된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LOW PROFILE TYPE SLOW BLOW FUSE) 또는 제너럴타입퓨즈(SLOW BLOW FUSE)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를 갖는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와;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상부에 형성되는 퓨즈삽입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릴레이몸체(30)의 내부에는 코일(도시생략)과, 코일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도시생략)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퓨즈삽입부(70)에 의해 릴레이(10) 또는 릴레이(10)에 연결된 전장품(도시생략)은 과전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3은 미니퓨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퓨즈(40)는 몸체(41)와, 몸체(41)의 하부 양측에 수직하게 복수개의 퓨즈단자(42)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41)의 저면은 복수개의 퓨즈단자(42)의 사이에 4개의 퓨즈모서리(43)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는 "T" 형상의 몸체(21)와, 몸체(21)의 하부 양측에 복수개의 퓨즈단자(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퓨즈단자(22)의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21)의 저면은 복수개의 퓨즈단자(22)의 사이에 4개의 홈(23)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때,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의 상부면은 미니퓨즈(40)의 상부면과 동일한 넓이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는 미니퓨즈(40)보다 높이가 작다. 즉, 미니퓨즈(40)는 퓨즈단자(22)의 길이만큼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의 높이보다 높다.
도 5는 도 2의 요부에 미니퓨즈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요부에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삽입부(70)는 상기 중앙홀(71)과; 상기 중앙홀(71)의 양측에 형성되며, 퓨즈접속단자(72)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자홀(73)과; 상기 중앙홀(7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75)과; 상기 중앙홀(71)과 상기 단자홀(73)의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7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앙홀(7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는 4개의 홈(23)이 중앙홀(71)의 4개의 모서리(77)에 끼워져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의 저면이 중앙홀(71)의 바닥면(75)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단자홀(73)에는 퓨즈접속단자(7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퓨즈단자(22)는 퓨즈접속단자(72)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퓨즈단자(22)는 퓨즈접속단자(7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미니퓨즈(40)는 퓨즈단자(42)가 복수개의 단자홀(73)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미니퓨즈(40)의 저면은 4개의 퓨즈모서리(43)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되어있으므로, 이 퓨즈모서리(43)가 모서리(77)에 지지되어 미니퓨즈(40)는 중앙홀(71)에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퓨즈삽입부(70)에는 미니퓨즈(40)와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는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과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적용되는 퓨즈보호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삽입부(70)를 보호하는 퓨즈보호부(1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퓨즈보호부(100)는 상기 퓨즈삽입부(70)를 커버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돌기(120)가 체결되도록 상기 퓨즈삽입부(7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1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니퓨즈(40)와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의 높이를 고려하여 함체(110)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함체(110)는 미니퓨즈(40)와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어 있다. 즉, 체결돌기(120)와 체결홀(130)의 결합에 의해 함체(110)로부터 미니퓨즈(40) 또는 로우프로파일미니퓨즈(2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이탈되지도 않는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퓨즈를 갖는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와;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퓨즈결합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퓨즈결합부(90)는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와, 제너럴타입퓨즈(8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제너럴타입퓨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결합부(90)는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92)과; 상기 결합홈(92)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 자(9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홈(92)에 형성되는 단자(91)는 복수개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91)에 결합되는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 또는 제너럴타입퓨즈(80)는 결합홈(92)에서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결합홈(9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탄력부(9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력부(93)는 판스프링을 설치하면 결합홈(9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 또는 제너럴타입퓨즈(80)의 측면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판스프링에 의해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 또는 제너럴타입퓨즈(80)는 결합홈(9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판스프링을 대신하여 결합홈(92)의 양측에 대칭되게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돌기에 의해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 또는 제너럴타입퓨즈(80)는 억지끼움되어 결합홈(92)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도 8에 적용되는 퓨즈커버부를 보인 사시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결합부(90)를 커버하는 퓨즈커버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퓨즈커버부(200)는 상기 퓨즈결합부(90)를 커버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20)와; 상기 결합돌기(220)가 결합되도록 상기 퓨즈결합부(9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와 제너럴타입퓨즈(80)의 높이를 고려하여 케이스(210)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10)는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 또는 제너럴타입퓨즈(8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어 있다. 즉, 결합돌기(220)와 결합홀(230)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210)로부터 로우프로파일타입퓨즈(60) 또는 제너럴타입퓨즈(8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이탈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퓨즈를 선택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퓨즈를 갖는 릴레이는 과전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릴레이를 보호하도록 릴레이에 흐르는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탄력부를 이용하여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의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양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퓨즈가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 및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중앙홀(71)과, 상기 중앙홀(71)의 양측에 형성되며, 퓨즈접속단자(72)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단자홀(73)과; 상기 중앙홀(7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75)과, 상기 중앙홀(71)과 단자홀(73)의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77)를 갖는 퓨즈삽입부(70)를 포함하는 통상의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퓨즈삽입부(70)를 커버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0)와, 상기 체결돌기(120)가 체결되도록 상기 퓨즈삽입부(70)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홀(130)로 이루어진 퓨즈보호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를 갖는 릴레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차량에 설치되어 전기회로를 제어하도록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50)와 상기 단자(50)가 설치되는 릴레이몸체(30)로 이루어진 릴레이(10)와;
    상기 릴레이몸체(3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92)과; 상기 결합홈(92)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단자(91)와; 상기 결합홈(9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탄력부(93)로 이루어진 퓨즈결합부(90)를 포함하는 통상의 퓨즈를 갖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퓨즈결합부(90)를 커버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20)와, 상기 결합돌기(220)가 결합되도록 상기 퓨즈결합부(9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230)로 이루어진 퓨즈커버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를 갖는 릴레이.
KR2020070020787U 2007-12-26 2007-12-26 퓨즈를 갖는 릴레이 KR200447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87U KR200447915Y1 (ko) 2007-12-26 2007-12-26 퓨즈를 갖는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87U KR200447915Y1 (ko) 2007-12-26 2007-12-26 퓨즈를 갖는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53U KR20090006553U (ko) 2009-07-01
KR200447915Y1 true KR200447915Y1 (ko) 2010-03-03

Family

ID=4132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87U KR200447915Y1 (ko) 2007-12-26 2007-12-26 퓨즈를 갖는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3075A (zh) * 2018-04-12 2018-09-04 谢井峰 具有线路保护功能的继电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251A (ja) * 1996-10-08 1998-04-28 Yazaki Corp ヒューズ
KR19990029445U (ko) * 1997-12-29 1999-07-26 윤홍구 접점보호용 퓨즈 장착 릴레이
JP2001283711A (ja) * 2000-03-31 2001-10-12 Yazaki Corp ヒューズボックス、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251A (ja) * 1996-10-08 1998-04-28 Yazaki Corp ヒューズ
KR19990029445U (ko) * 1997-12-29 1999-07-26 윤홍구 접점보호용 퓨즈 장착 릴레이
JP2001283711A (ja) * 2000-03-31 2001-10-12 Yazaki Corp ヒューズボックス、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53U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016B2 (ja) 交換可能な電源プラグユニットを有するプラグイン電源
US5040097A (en) Central electric unit for a motor vehicle
KR100333935B1 (ko) 전자접촉기
JPH08171962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3495939B2 (ja) 電気接続箱
US674627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having a protecting function
JP2003141973A (ja) 電源遮断時における保護装置
CN203761683U (zh) 可插拔继电器电路模块
KR200447915Y1 (ko) 퓨즈를 갖는 릴레이
CZ128796A3 (en) Assembly of instrument socket and plug
US11539177B2 (en) Vital relay assembly for modular solid-state current-limiting
KR102362811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CN110040081B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KR100882866B1 (ko)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 연결구조 및 그 방법
ES2298104T3 (es) Proteccion contra descargas electrostaticas para un conector coaxial.
KR20170002853U (ko) 전자접촉기와 서지보호기의 조립 구조
JP5746541B2 (ja) スペアヒューズの保持構造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CN218351808U (zh) 用于电气设备的接线端子和电气设备
KR200451284Y1 (ko) 멀티커넥터
CN216957847U (zh) 一种翘板开关
KR20110058486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JP7410094B2 (ja) 電気接続箱
KR102517857B1 (ko) 릴레이 장치
CN211047532U (zh) 一种用于总线模块的外壳上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