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857B1 -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857B1
KR102517857B1 KR1020200144629A KR20200144629A KR102517857B1 KR 102517857 B1 KR102517857 B1 KR 102517857B1 KR 1020200144629 A KR1020200144629 A KR 1020200144629A KR 20200144629 A KR20200144629 A KR 20200144629A KR 102517857 B1 KR102517857 B1 KR 10251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bracket
snap fit
bracket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262A (ko
Inventor
박규민
곽성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4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8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62A/ko
Priority to KR1020230038696A priority patent/KR102607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의 설치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한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릴레이의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은 회로간의 접점을 포함하여 온오프를 통해 회로를 보호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를 상대물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대물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릴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레이 장치 {Relay device}
본 발명은 회로 간의 접점을 포함하여,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설치 위치에 따른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차단장치 또는 배터리차단장치에 적용되는 고전압 릴레이는, 구리 코일을 포함하며, 배터리 시스템에 전해지는 고전압 전류의 온오프를 통해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전압 릴레이는 동일 성능이라 할지라도 릴레이의 장착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사양으로 개발된다. 고전압 릴레이는 전자제품이나 차량 등 상대물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다. 고전압 릴레이가 설치되는 상대물의 위치는 다른 부품과의 배치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설치되는데, 그 설치되는 부위는 수직면이거나 수평한 면 등 그 태양이 다양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고전압 릴레이는 장착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품으로 분류하며, 각 릴레이는 형상이 상이하여 호환이 불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수직방향 장착 릴레이(1)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종래 수평방향 장착 릴레이(6)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과 같이 종래 상대물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직방향 장착 릴레이(1)의 경우, 수직방향 고정부(2)를 통해 상대물에 볼팅체결되며, 작동전원부는 리드와이어(3)를 사용한다. 반면에 도 2와 같이 상대물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방향 장착 릴레이(6)의 경우, 수평방향 고정부(7)를 통해 상대물에 볼팅체결되는 것은 동일하나, 작동전원부로 소켓용 단자(8)를 사용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 선행기술문헌들(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5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9747호)에서 제시하는 릴레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는 상대물에 볼팅체결되거나 단자결합되는 등 부품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술한 것처럼 상대물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릴레이의 형상이 상이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릴레이는 장착 방향에 따라 리드와이어(3) 또는 소켓이 적용되므로 동일 성능이라 하더라도 설치 위치를 변경 시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리드와이어(3)와 소켓용 단자(8)는 코일 작동 타입이 상이하므로, 설치 위치만 변경하더라도 고전압 릴레이의 신규 개발 비용이 크게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536호 (2017.10.1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9747호 (2018.06.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릴레이의 설치 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한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여 릴레이의 신규 개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의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릴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로간의 접점을 포함하여 온오프를 통해 회로를 보호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를 상대물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대물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릴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는, 상기 접점을 포함하는 릴레이 본체; 및 상기 릴레이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홀 또는 홈이 형성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의 일 모서리에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일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며 돌출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상대물과의 체결을 위한 홀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 장착형 브라켓; 상기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과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수평 작착형 브라켓; 또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 일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두께가 점차 변경되도록 테이퍼진 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 중 상기 테이퍼진 면과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사선 장착형 브라켓;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스냅핏과 상기 스냅핏이 삽입되는 체결홈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스냅핏 및 상기 체결홈이 체결될 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스냅핏은 상기 장착부 및 상기 브라켓 본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기의 형상이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장착부 및 상기 브라켓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스냅핏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스냅핏과 상기 스냅핏이 삽입되는 체결홈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스냅핏 및 상기 체결홈이 체결될 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스냅핏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릴레이 본체에 상기 후크를 포함한 상기 스냅핏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릴레이 장치에 따르면, 수직 또는 수평 방향 등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 제품의 릴레이가 사용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교체가 매우 용이한 브라켓만 바꾸어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고전압 릴레이 사양을 광범위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 릴레이 장치 적용시, 여러가지 형태의 브라켓 형상이 필요하더라도 주요 부품인 릴레이 본체는 서로 호환이 가능하므로 재고 관리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는 하나의 제품으로 재고 관리가 가능하며, 고정 위치 변경 시 고정 방향에 따른 브라켓만 교체하여 적용하거나, 브라켓만 신규 개발이 가능하다.
즉, 릴레이의 성능 및 코일 작동 타입 등의 변경 없이 즉시 적용 가능하므로 신규 제품 개발 시 설계를 용이하게 하여 개발 비용 및 시간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제품의 설계 변경으로 인한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본체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를 상기 브라켓 본체에 삽입할 시 상기 턱에 의해 과삽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수직방향 장착 릴레이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종래 수평방향 장착 릴레이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세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착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착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착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세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착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착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착구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릴레이(10)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릴레이(10)를 브라켓에 장착하고, 브라켓을 릴레이(10) 설치 대상이 되는 상대물에 설치함으로써, 릴레이(10)가 상대물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릴레이(10)는, 회로 간의 접점을 포함하여 온오프됨으로써 회로를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릴레이 본체(11)와, 릴레이 본체(11)를 브라켓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12)를 포함한다. 장착부(12)에는 릴레이(10)의 접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코일부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부가 리드와이어 또는 소켓용 단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부의 작동 타입을 일원화하고 브라켓만 교체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릴레이(10)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모두 장착 가능하다.
장착부(12)는 릴레이 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며, 장착부(12)의 하우징은 릴레이 본체(11)의 하우징과 일체로 사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 릴레이 본체(11)의 횡방향 단면적이 장착부(12)의 횡방향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릴레이 본체(11)와 장착부(12) 사이에 턱을 형성하여 장착부(1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릴레이(10)를 브라켓 본체(21, 31, 41)에 삽입 시 턱에 의해 과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릴레이 본체(11)가 장착부(12) 사이에 턱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장착부(12)의 형상으로 턱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장착부(12)가 릴레이 본체(11) 일측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일정한 두께가 있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속이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브라켓은 릴레이(10)의 장착부(12)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릴레이(10)가 설치되어야하는 상대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다. 브라켓은 장착부(12)가 장착되어 결합되는 브라켓 본체(21, 31, 41)와, 브라켓 본체(21, 31, 4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대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부(22, 32, 42)를 포함한다.
브라켓 본체(21, 31, 41)는 장착부(12)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들어 도 3과 같이 사각 기둥 형상의 장착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장착부(12)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홈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라켓 본체(21, 31, 41)가 장착부(12)의 삽입 방향과 동일 한 길이방향으로 측면이 연장형성되어, 사각 관의 형상으로 측면이 장착부(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수 있다.
고정부(22, 32, 42)는 브라켓 본체(21, 31, 41)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2, 32, 42)는 브라켓 본체(21, 31, 4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도면과 같이 사각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 모서리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부(22, 32, 42)에는 상대물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팅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2, 32, 42)의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브라켓은 세가지 실시예를 들 수 있다. 이는 도 3 하부에 좌측부터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으며, 수직 장착형 브라켓(20), 수평 장착형 브라켓(30) 및 사선 장착형 브라켓(40)이다.
수직 장착형 브라켓(20)은, 고정부(22)가 브라켓 본체(21)의 단부에 형성되며 브라켓 본체(21)의 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릴레이(10)를 상대물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수평 장착형 브라켓(30)은, 고정부(32)가 브라켓 본체(31)의 측면의 모서리 부분에서 돌출형성되며, 측면 중 일 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릴레이(10)를 상대물의 측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선 장착형 브라켓(40)은 브라켓 본체(41) 중 어느 한 면 이상에 테이퍼진 면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측면의 내측면(41a)은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측면(41a)과 함께 두께를 형성하는 외측면(41b)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측면 중 일 면의 두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변경된다. 따라서 측면의 일부에는 테이퍼진 면(41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선 장착형 브라켓(40)의 고정부(42)는 이 테이퍼진 면(41b)과 나란하게 돌출형성되어, 경사면에 릴레이(10)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릴레이(10)와 브라켓의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릴레이(10)와 브라켓은 스냅핏(51) 체결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스냅핏(51) 체결 방식이란 추가적인 부품이나 체결 기구의 필요 없이 두 부품을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외팔보 등으로 형성되는 랫치(latch)와 랫치가 걸리는 홈의 상호작용으로 체결력이 형성된다. 특히 부품의 소재가 플라스틱 등 탄성을 가지는 소재인 경우 랫치 또는 홈이 형성된 물품이 탄성변형되며 홈에 체결될 수 있어 스냅핏(51) 체결 방식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랫치의 역할을 하는 부분을 스냅핏(51)으로 명명하고, 스냅핏(51)이 장착되는 홈을 체결홈(52)이라고 명명한다.
도 4에는 장착 구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는 릴레이(10)의 장착부(12) 외측면에는 돌기 형상의 스냅핏(51)이 형성되고, 브라켓 본체(21, 31, 41)의 내측면에는 스냅핏(51)과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의 체결홈(52)이 요입형성된다. 따라서 릴레이(10)의 장착부(12)를 브라켓 본체(21, 31, 41)에 삽입할 때, 스냅핏(51)의 일부와 브라켓 본체(21, 31, 41)가 탄성변형되며 스냅핏(51)이 체결홈(52)에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브라켓 본체(21, 31, 41)는 도면상 좌우 폭방향으로 신장하였다가 스냅핏(51) 안착 후 다시 수축하는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5에는 장착 구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반대로 브라켓 본체(21, 31, 41)의 내측면에 돌기 형상의 스냅핏(51)이 형성되고, 릴레이(10)의 외측면에는 스냅핏(51)과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의 체결홈(52)이 요입형성된다. 따라서 릴레이(10)의 장착부(12)를 브라켓 본체(21, 31, 41)에 삽입할 때, 스냅핏(51)을 포함한 브라켓 본체(21, 31, 41)가 탄성변형되며 스냅핏(51)이 체결홈(52)에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라켓 본체(21, 31, 41)는 도면상 좌우 폭방향으로 신장하였다가 스냅핏(51) 안착 후 다시 수축하는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도 6에는 장착 구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는 제1, 제2실시예와는 달리 브라켓 본체(21, 31, 41)에 스냅핏(51)이 형성되고 릴레이 본체(11)의 외측에 스냅핏(51)과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의 체결홈(52)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 스냅핏(51)은 브라켓 본체(21, 31, 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a)와 연장부(51a) 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후크(51b)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홈(52) 또한 후크(51b)가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10)의 장착부(12)를 브라켓 본체(21, 31, 41)의 삽입할 때, 스냅핏(51)이 도면상 좌우 폭의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탄성변형되며, 장착부(12) 끝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폭의 내측 방향으로 복원되며 수축되어 연장부(51a) 및 후크(51b)가 체결홈(52)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 및 실시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구성 및 실시예 중 일부를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수직방향 장착 릴레이 2 수직방향 고정부
3 리드와이어 6 수평방향 장착 릴레이
7 수평방향 고정부 8 소켓용 단자
10 릴레이 11 릴레이 본체
12 장착부 20 수직 장착형 브라켓
21, 31, 41 브라켓 본체 22, 32, 42 고정부
30 수평 장착형 브라켓 40 사선 장착형 브라켓
51 스냅핏 52 체결홈

Claims (7)

  1. 회로간의 접점을 포함하여 온오프를 통해 회로를 보호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를 상대물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대물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릴레이가 설치되고,
    상기 릴레이는,
    상기 접점을 포함하는 릴레이 본체; 및
    상기 릴레이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장착부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홀 또는 홈이 형성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상대물과의 체결을 위한 홀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직 장착형 브라켓;
    상기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과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수평 작착형 브라켓; 또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 일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두께가 점차 변경되도록 테이퍼진 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측면 중 상기 테이퍼진 면과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사선 장착형 브라켓;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스냅핏과 상기 스냅핏이 삽입되는 체결홈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스냅핏 및 상기 체결홈이 체결될 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스냅핏은 상기 장착부 및 상기 브라켓 본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돌기의 형상이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장착부 및 상기 브라켓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스냅핏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본체와 상기 브라켓 본체는, 스냅핏과 상기 스냅핏이 삽입되는 체결홈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스냅핏 및 상기 체결홈이 체결될 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스냅핏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부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릴레이 본체에 상기 후크를 포함한 상기 스냅핏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본체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는 턱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를 상기 브라켓 본체에 삽입할 시 상기 턱에 의해 과삽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KR1020200144629A 2020-11-02 2020-11-02 릴레이 장치 KR10251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29A KR102517857B1 (ko) 2020-11-02 2020-11-02 릴레이 장치
KR1020230038696A KR102607868B1 (ko) 2020-11-02 2023-03-24 릴레이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29A KR102517857B1 (ko) 2020-11-02 2020-11-02 릴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696A Division KR102607868B1 (ko) 2020-11-02 2023-03-24 릴레이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62A KR20220059262A (ko) 2022-05-10
KR102517857B1 true KR102517857B1 (ko) 2023-04-04

Family

ID=815922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29A KR102517857B1 (ko) 2020-11-02 2020-11-02 릴레이 장치
KR1020230038696A KR102607868B1 (ko) 2020-11-02 2023-03-24 릴레이 설치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696A KR102607868B1 (ko) 2020-11-02 2023-03-24 릴레이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7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506Y2 (ja) * 1992-06-30 1998-05-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00315449A (ja) * 1999-05-06 2000-11-14 Omron Corp 電磁リレー
KR200410757Y1 (ko) *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차량 옵션에 따른 삽입형 정션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536U (ko) 2016-04-04 2017-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전기
EP3557602B1 (en) 2016-12-15 2024-04-24 Amogreentech Co., Ltd. Power relay assembly
KR20200019446A (ko) * 2018-08-14 202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506Y2 (ja) * 1992-06-30 1998-05-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00315449A (ja) * 1999-05-06 2000-11-14 Omron Corp 電磁リレー
KR200410757Y1 (ko) * 2005-12-28 2006-03-08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차량 옵션에 따른 삽입형 정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62A (ko) 2022-05-10
KR102607868B1 (ko) 2023-11-29
KR20230047342A (ko)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7639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 screw block for fitment with a component attachment block
JP5150291B2 (ja) 電気接続箱
US9553434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US8378235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9071005B2 (en) Terminal block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EP3547810A1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6004189B2 (ja) 電気接続箱
US20090298309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150357623A1 (en) Fusible link
KR102517857B1 (ko) 릴레이 장치
JP2010061813A (ja) ヒューズブロック
US10141148B2 (en) Affixed object, fusible link, and affixing structure for fusible link
JP4238783B2 (ja) 電気接続箱のヒューズ装着構造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US1184322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10727659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60002187U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101991106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2023001851A (ja) バスバカバーおよびバスバの配索構造
US9627808B2 (en) One piece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ing members
US11139135B2 (en) Attachment structure between cover and housing, and fusible link unit
JP2017004874A (ja) 端子台
JP2020126766A (ja) クリップ部接続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991107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5900839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