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13Y1 -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13Y1
KR200447413Y1 KR2020070019002U KR20070019002U KR200447413Y1 KR 200447413 Y1 KR200447413 Y1 KR 200447413Y1 KR 2020070019002 U KR2020070019002 U KR 2020070019002U KR 20070019002 U KR20070019002 U KR 20070019002U KR 200447413 Y1 KR200447413 Y1 KR 200447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solvent
air
cooler
warmer
sl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319U (ko
Inventor
황길성
Original Assignee
황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길성 filed Critical 황길성
Priority to KR2020070019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13Y1/ko
Publication of KR20070001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용제의 회수를 위한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림하게 형성하여 세탁소 등 작은 공간을 갖는 장소에서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주변을 여유롭게 하는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내부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기(30), 내부 뜨거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가온시키는 가온기(40)를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30)와 가온기(40)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기(30)의 공기 냉각과정에서 액화된 유기용제를 회수하기 위하여 냉각기(30)와 가온기(4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에 유기용제 배출구(50a)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형상의 유기용제 받침함(50), 그리고 상기 상부의 냉각기(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부의 가온기(40)로 흐르는 공기 흐름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용제 받침함(5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공기유입구, 하부면에 공기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형성함(51)이 구성되어 있다.
유기용제, 슬림, 바이패스관, 공기통로, 압력조절밸브

Description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Slim apparatus for recycling organic solvent}
본 고안은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용제의 회수를 위한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하게 형성하여 세탁소 등 작은 공간을 갖는 장소에서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주변을 여유롭게 하는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용제라고 하는 것은 다른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액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세탁소의 의류건조기나 각종 인쇄 관련업체에서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유기용제는 세탁과 같은 사용과정에서 기화하여 공기에 함유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데 이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유발시키는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 O, C)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공기는 그대로 배출하여서는 안 되며 별도의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유기용제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유기용제가 함유된 공기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10-0615072호로 등록한 바 있으며, 또한 특허출원 제2007-40870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장치의 폭이 넓게 되어 있어서 세탁소, 인쇄소 등 비좁은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 더욱 공간이 비좁게 되며 설치장소의 주변이 어지럽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의 폭을 250mm 정도로 최소화하여 이를 세탁소, 인쇄소 등 비좁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설치공간을 작게 차지하여 설치공간의 주변을 여유롭게 하는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내부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기, 내부 뜨거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가온시키는 가온기를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와 가온기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기의 공기 냉각과정에서 액화된 유기용제를 회수하기 위하여 냉각기와 가온기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에 유기용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형상의 유기용제 받침함, 그리고 상기 상부의 냉각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부의 가온기로 흐르는 공기 흐름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용제 받침함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공기유입구, 하부면에 공기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형성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또한 가온공기 이용장치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가온기 하부의 배기실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우회실 사이에 바이패스관이 연결되어 있되 냉각기와 가온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바이패스관의 상단에 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냉각기와 가온기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액화된 유기용제를 분리하고 공기가 하부로 흐르게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폭을 슬림하게 하여 설치장소의 주변을 여유있게 하며 또한 냉각기와 가온기의 후방에 설치된 바이패스관는 장치폭을 넓게 하지 않으면서 배기실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그 일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므로 장치가 슬림하면서도 고압에 의한 폭발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내부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기(30), 내부 뜨거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가온시키는 가온기(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상기 냉각기(30)와 가온기(40)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기(30)의 공기 냉각과정에서 액화된 유기용제를 회수하기 위하여 냉각기(30)와 가온기(40) 사이에 유기용제회수 및 공기통로 형성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냉각기(30)와 가온기(40) 사이에 유기용제회수 및 공기통로 형성수단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에 유기용제 배출구(50a)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형상의 유기용제 받침함(50), 그리고 상기 상부의 냉각기(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부의 가온기(40)로 흐르는 공기 흐름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용제 받침함(5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공기유입구, 하부면에 공기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형성함(51)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회수장치는 가온기(40)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를 이용하는 건조기와 같은 가온공기 이용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로 들어가기 전에 가온공기를 별도의 가열장치에 의하여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 건조기와 같은 가온공기 이용장치(미도시)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배출구(41a)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가온기(40) 하부의 배기실(41)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배출구(71)가 설치되어 있는 우회실(70) 사이에 바이패스관(60)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바이패스관(60)의 상단에 압력조절밸브(61)가 설치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회수장치는 가장 상단에 압축기 등이 장치되는 기계실(10)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10)의 정면에는 압력게이지(12)와 제어부(13)가 장치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흡입필터(11)가 장치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배출구(14)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0)의 하부에는 건조기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하는 유입실(20)이 구성되어 있다. 유입실(20)의 전방에는 도어(21)가 구성되어 있고 도어(21)에는 잠금장치(21a)가 구성되어 있다.
유입실(20)의 하부에는 유기용제 세탁을 하여 건조기에서 유입구(22)를 통하여 유입실(20)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공기인 경우에는 하부의 냉각기(30)로 흐르게 하고, 물세탁을 하여 건조기에서 유입실(20)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인 경우에는 후방의 우회실(70)로 흐르게 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삼방밸브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삼방밸브장치는 유입공기가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공기를 냉각기(30) 쪽으로 흐르게 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유기용제 함유공기 흐름판(24a), 유입공기가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공기를 냉각기(30) 쪽으로 흐르게 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유기용제 불함유공기 흐름판(24b), 상기 유기용제 함유공기 흐름판(24a)과 유기용제 불함유공기 흐름판(24b)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댐퍼(25), 상기 댐퍼(25)의 중심축을 회전시켜 댐퍼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댐퍼절환손잡이(23), 상기 유기용제 불함유공기 흐름판(24b)의 하부에 차단판(26a)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후방의 우회실(70)로 연통되어 있는 후방연통실(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삼방밸브장치의 후방에서는 차단판(70a)에 의하여 우회실(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유기용제로 세탁을 하여 건조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유입용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유기용제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댐퍼절환손잡이(23)를 돌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5)로 유기용제 불함유공기 흐름판(24b)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유기용제 함유공기 흐름판(24a)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유입구(22)를 통하여 유입실(20)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기(30)로 흐르게 한다.
유기용제를 함유한 공기는 냉각기(30)를 흐르는 동안에 냉각기 내부의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하여 냉각되어 유기용제를 냉각시킨다. 액화된 유기용제는 하부의 유기용제 받침함(50)에 떨어지고 유기용제 배출구(50a)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유기용제가 분리된 공기는 유기용제 받침함(50)과 공기통로 형성함(51) 사이의 공기통로를 통하여 계속해서 하부로 흐른다.
냉각기(30) 하부에 있는 가온기(40)는, 냉매가 냉각기(30)에서 외부의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가온되므로, 이 가온된 냉매가 외부를 흐르는 공기와의 열교 환에 의하여 공기를 어느 정도 가온시킨다.
가온된 공기는 배기실(41)에서 배출구(41a)를 통하여 가온공기 이용장치인 건조기로 흐른다.
이 때 배기실(41)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압력조절밸브(61)가 개방되어 배기실(41)의 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도록 한다. 압력조절밸브(61)의 조절압력의 세팅은 세팅노브(61a)를 조작하여 실행한다. 압력조절밸브(61)가 개방된 경우에 배기실(41)에 있는 공기의 일부는 우회실(70)을 경유하여 외부배출구(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실(41) 및 장치 내부의 압력이 일정이상 올라가지 않아 유기용제로 인한 폭발 및 화재위험이 없게 된다.
다음에 물세탁을 하여 건조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유입용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유기용제를 분리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댐퍼절환손잡이(23)를 돌려 댐퍼(25)로 유기용제 함유공기 흐름판(24a)의 개구부를 차단하고, 유기용제 불함유공기 흐름판(24b)의 개구부를 개방하여 유입구(22)를 통하여 유입실(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후방연통실(26)로 흐르게 한다.
후방연통실(26)의 공기는 우회실(70)을 거쳐 외부배출구(7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기용제 회수장치는 냉각기(30)와 가온기(40)를 상하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액화된 유기용제를 회수하는 유기용제 받침함(50)이 설치되어 있고 장치내의 압력조절을 위한 바이패스관(60)은 냉각기(30)와 가온기(40)의 후방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유입실(20) 및 삼방밸브 장치는 냉각기(30)의 상부에 구성하였으며, 또한 기계실(10)은 유입실(20) 및 삼방밸브 장치의 상부에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장치의 폭이 최소화 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패스관(60) 및 압력조절밸브(61)에 의하여 폭발 및 화재에 안전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계실 11 : 흡입필터
12 : 압력게이지 13 : 제어부
14 : 배출구 20 : 유입실
21 : 도어 22 : 유입구
23 : 댐퍼절환 손잡이 24a : 유기용제 함유 공기 흐름판
24b : 유기용제 불함유 공기 흐름판 25 : 댐퍼
26 : 후방연통실 26a: 치단판
30 : 냉각기 40 : 가온기
41 : 배기실 41a : 배출구
50 : 유기용제 받침함 50a : 유기용제 배출구
51 : 공기통로 형성함 60 : 바이패스관
61 : 압력조절밸브 61a : 세팅노브
70 : 우회실 70a: 차단판
71 : 외부배출구

Claims (2)

  1. 내부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기(30), 내부 뜨거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가온시키는 가온기(40)를 포함하는 유기용제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30)와 가온기(40)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기(30)의 공기 냉각과정에서 액화된 유기용제를 회수하기 위하여 냉각기(30)와 가온기(4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일측에 유기용제 배출구(50a)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형상의 유기용제 받침함(50), 그리고 상기 상부의 냉각기(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부의 가온기(40)로 흐르는 공기 흐름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용제 받침함(5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공기유입구, 하부면에 공기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형성함(51)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온공기 이용장치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배출구(41a)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가온기(40) 하부의 배기실(41)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배출구(71)가 설치되어 있는 우회실(70) 사이에 바이패스관(60)이 연결되어 있되 냉각기(30)와 가온기(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바이패스관(60)의 상단에 압력조절밸브(6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KR2020070019002U 2007-11-26 2007-11-26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KR200447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02U KR200447413Y1 (ko) 2007-11-26 2007-11-26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02U KR200447413Y1 (ko) 2007-11-26 2007-11-26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319U KR20070001319U (ko) 2007-12-27
KR200447413Y1 true KR200447413Y1 (ko) 2010-01-25

Family

ID=4365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002U KR200447413Y1 (ko) 2007-11-26 2007-11-26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1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81Y1 (ko) * 2002-03-06 2002-05-18 권경환 공업용 세탁 건조기 배기가스의 열 및 용제 회수장치
KR100387947B1 (en) * 2003-02-13 2003-06-18 Kyeong Soo Lee Apparatus for recover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100694822B1 (ko) * 2006-05-26 2007-03-14 (주)클린피아 상사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81Y1 (ko) * 2002-03-06 2002-05-18 권경환 공업용 세탁 건조기 배기가스의 열 및 용제 회수장치
KR100387947B1 (en) * 2003-02-13 2003-06-18 Kyeong Soo Lee Apparatus for recover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100694822B1 (ko) * 2006-05-26 2007-03-14 (주)클린피아 상사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319U (ko)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5194Y2 (ko)
KR100898930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CN105986446B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US20080115380A1 (en) Laundry Apparatus
KR20090024588A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0667302B1 (ko)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CN101173440B (zh)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干燥机干燥方法
US4494317A (en) Accessory device for removing solvent vapor in machines for dry cleaning garments and the like
CN101158099B (zh) 一种采用热泵作为热源的洗衣机干燥机
KR200447413Y1 (ko) 슬림형 유기용제 회수장치
CN101205678B (zh) 蒸汽干燥机
ITBO20100473A1 (it) Macchina e metodo per il lavaggio a secco di articoli.
CN100543219C (zh) 洗衣设备
EP1923500A2 (en) Dry cleaner
KR100664544B1 (ko) Voc 회수장치 및 voc 배출/회수 시스템
JPH06205892A (ja) 衣類乾燥機
KR100799745B1 (ko) 수공냉식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KR100823316B1 (ko)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JP6612480B1 (ja) 乾燥装置
KR100901718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S6216677B2 (ko)
JPH0838791A (ja) ドライクリーナ
JP2587075Y2 (ja) ドライクリーナの溶剤冷却装置
KR20090050220A (ko) 의류처리장치
JP2911303B2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