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316B1 -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316B1
KR100823316B1 KR1020070070244A KR20070070244A KR100823316B1 KR 100823316 B1 KR100823316 B1 KR 100823316B1 KR 1020070070244 A KR1020070070244 A KR 1020070070244A KR 20070070244 A KR20070070244 A KR 20070070244A KR 100823316 B1 KR100823316 B1 KR 100823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distribution duct
filter
radiato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공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공경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Priority to KR102007007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 D06F43/088Conden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의류건조기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회수를 위한 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용제의 포함 유무에 따라 응축기와 내부방열기를 통한 증기의 공급 또는 대기중으로의 직접적인 배출을 선택하는 셔터 작동이 유입관측에 설치되는 VOC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셔터가 설치되는 분배덕트의 내부에 판상의 필터를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와 더불어 응축기와 필터 사이에 응축기의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한 여유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여유공간의 개구부가 투시창을 구비하는 고무판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함에 따라, 스케일 제거시기를 보다 용이하게 판별토록 하는 한편, 내압상승시 고무판이 자동적으로 이탈되어 폭발위험을 1차 방지토록 하며, 상기 VOC센서와 함께 온도센서와 풍량스위치를 분배덕트와 밀폐케이싱의 내부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센서와 스위치가 응축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응축장치의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컴프레셔의 과부하 및 유기용제의 유증기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응축장치의 밀폐케이싱 외부에 수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방열기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 및 응축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즉, 핫가스의 냉각원을 보다 폭넓게 확보하여 응축기에 의한 유기용제의 회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동절기에는 방열기에 의하여 실내의 난방기능을 제공토록 하고, 하절기에는 수냉식 열교환기에 의하여 실내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와는 달리 방열팬에는 일방향 체크댐퍼를 구비하는 열풍배출관을 연장시켜 이 열풍배출관이 물세탁시 증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과 단일배관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분배덕트의 배출공간으로부터 통합배출관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시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 및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용제, 의류건조기, 응축장치, VOC센서

Description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Condensation apparatus for recycling organic solvent}
본 발명은 각종 의류건조기에 사용되는 유기용제의 회수를 위한 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용제의 포함 유무에 따라 응축기와 내부방열기를 통한 증기의 공급 또는 대기중으로의 직접적인 배출을 선택하는 셔터 작동이 유입관측에 설치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센서(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or; 이하 “VOC센서”라 한다)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셔터가 설치되는 분배덕트의 내부에 판상의 필터를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와 더불어 응축기와 필터 사이에 응축기의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한 여유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여유공간의 개구부가 투시창을 구비하는 고무판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함에 따라, 스케일 제거시기를 보다 용이하게 판별토록 하는 한편, 내압상승시 고무판이 자동적으로 이탈되어 폭발위험을 1차 방지토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VOC센서와 함께 온도센서와 풍량스위치를 분배덕트와 밀폐케이싱의 내부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센서와 스위치가 응축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응축장치의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컴프레셔의 과부하 및 유기용제의 유증기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응축장치의 밀폐케이싱 외부에 수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방열기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 및 응축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즉, 핫가스의 냉각원을 보다 폭넓게 확보하여 응축기에 의한 유기용제의 회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함은 물론, 동절기에는 방열기에 의하여 실내의 난방기능을 제공토록 하고, 하절기에는 수냉식 열교환기에 의하여 실내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와는 달리 방열팬으로부터 일방향 체크댐퍼를 구비하는 열풍배출관을 연장시켜 이 열풍배출관이 물세탁시 증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과 단일배관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분배덕트의 배출공간으로부터 통합배출관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시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 및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용제라고 하는 것은 다른 물질을 녹일 수 있는 혼합제재물로서의 액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의류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소의 드라이 크리닝 설비에 있어 의류의 드라이 크리닝 작업에 사용되거나 각종 인쇄 관련업체에서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유기용제가 증기나 공기의 형태로 대기중으로 배출되면,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유발시키는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 이하 “VOC”라 한다)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기나 공기의 경우 별도의 처리장치를 사용하 여 유기용제를 제거시킨 상태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하여야 하며, 비교적 대규모 업체에서는 이러한 유기용제의 제거를 위하여 활성탄필터로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시킨 다음, 활성탄필터에 열풍을 가하여 이를 다시 탈락시킨 후 고온 가열 및 촉매 반응에 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최종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가의 설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소와 같이 영세한 소규모 자영업체에서는 이러한 고가의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서는 컴프레셔와 방열기(냉매응축기) 및 응축기(냉매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의 응축기를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기용제가 포함된 증기나 공기를 공급시킴으로서 유기용제를 응축 및 회수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용제의 회수를 위한 장치로서, 밀폐케이싱의 외부에 컴프레셔와 방열기가 컨트롤패널과 함께 고정 설치되고, 밀폐케이싱의 내부에는 냉매배관에 의하여 컴프레셔 및 방열기와 연결되는 응축기가 설치되며, 밀폐케이싱의 전방 벽체에는 유입관과 제 1배출관 및 댐퍼에 의한 압력조정관과 제 2배출관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응축기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밀폐케이싱의 내부에는 격판과 분산판에 의하여 유입공간과 분배공간이 순차적으로 분할 형성되며, 응축기를 포함하는 나머지 내부공간이 압력조정관 및 제 2배출관과 연통되는 배출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간의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하여 밀폐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나 공기를 하부측 격판에 의하여 분배공간과 연통되는 제 1유도공간 또는 제 1배출관과 연통되는 제 2유도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그 전,후방측에 형성된 유입통로가 셔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분배챔버가 설치되며, 상기 셔터는 밀폐케이싱의 외측에 설치되는 셔터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분배챔버의 양측 유입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배공간을 형성하는 분산판은 그 몸체의 전면에 걸쳐 분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산판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분배공간의 내부에는 응축기측으로 공급되는 증기나 공기중의 미세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가 삽입 설치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5년 특허출원 제 123077호로 선출원 및 공개(공개번호: 10-2006-11927, 공개일자: 2006년 02월 06일)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선출원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는 유기용제의 포함 유무에 따라 응축기를 통한 증기나 공기의 공급 또는 대기중으로의 직접적인 배출을 셔터방식의 분배챔버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응축기와 함께 설치되는 필터의 사용수명 및 그 교체주기를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고, 밀폐케이싱의 내압에 따라 내부공기의 배출 및 외부공기의 유입을 댐퍼방식에 의하여 조절토록 함으로서 응축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이루어낼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의 전방측에 증기나 공기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필터와 함께 설치하여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증기나 공기가 응축기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컴프레셔와 방열기와 응축기로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 및 필터와 분산판 등이 하나의 케이싱에 집적화되어 의류건조기 등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콤펙트하고 소형화 된 응축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선출원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는 밀폐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응축기를 사용하여 의류건조기로부터 공급되는 증기 중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응축 및 회수할 수는 있었으나, 의류건조기를 통하여 세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의류건조기에 건조공기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기히터나 온수히터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의류건조기의 설비에 따른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효율적인 재활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드라이크리닝 과정을 거친 의류의 건조나 물세탁을 거친 의류의 건조와 같이 의류건조기로부터 응축장치의 밀폐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 중의 유기용제 포함유무에 따라 셔터손잡이에 의한 셔터의 수동식 회전 조작에 의하여 유입관으로부터 응축기측으로의 증기 공급 또는 제 1배출관측으로의 증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정토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드라이크리닝 또는 물세탁 조건에 맞추어 셔터 조작을 일일이 수동으로 행하는 번거러운 작업을 거쳐야 하며, 이로 인하여 응축장치의 운전에 따른 편의성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응축기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판상의 필터가 응축기와 근접한 위치에서 응축기와 평행하게 카트리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서, 필터의 교체나 유지보수는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면, 필터가 삽입되는 구멍 등을 통하여 응축기의 표면 즉, 필터를 거쳐 증기가 유입되는 응축기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를 행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응축기 표면의 스케일 제거를 위해서는 밀폐케이싱 자체를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응축기는 필터를 거쳐 밀폐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와 1차적으로 접촉하는 부품으로서, 증기와의 최초 접촉면이 되는 응축기의 전방 표면에 각종 이물질이 빠른 시간내에 축적되는 바, 이와 같이 응축기의 표면에 이물질이 축적될 경우 응축기를 통한 증기의 원활한 유동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증기 중에 포함된 유기용제의 응축 및 회수율 또한 저하되므로, 응축기 표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선출원된 응축장치에 의하면 응축기 표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선출원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를 포함하여 유기용제의 회수 처리를 위한 각종 장치가 보급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장치의 운전 과정에서 각종 원인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폭발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바, 유기용제의 처리시에 발생하는 의류건조기의 폭발사고 원인을 현재까지 명확하게 규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근접한 접근방식으로는 유기용제 회수기의 고장이나 오작동으로 인하여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고온의 유증기가 회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기용제의 응축제거 및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의류건조기 내부의 유기용제 농도 및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의류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나 스파크 등에 의한 폭발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 입각하여 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선출원된 응축장치에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선출원된 응축장치는 의류건조기와 함께 세탁소의 실내에 설비되는 바, 밀폐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방열기의 방열팬으로부터 고온의 냉매가스가 방열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세탁소의 실내공간으로 송풍되며, 이로 인하여 하절기시에 세탁소의 실내온도가 매우 높아짐에 따라 작업환경이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축장치를 이루는 방열기 부분을 실외로 설비할 경우에는, 방열기의 실외측 설비에 따른 배관작업이 추가적으로 병행되어야 하므로 응축장치의 전체적인 설비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제조업자의 측면에서도 컴프레셔와 방열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지는 냉동싸이클을 밀폐케이싱과 함께 콤펙트하게 단일화된 제품으로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보다 더 체계화된 응축장치의 생산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절기와 같이 외부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외부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방열기에서 냉각되는 냉매가스의 응축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는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고온의 냉매가스에 대한 냉각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밀폐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에서의 냉매 증발효율 및 이에 따른 유기용제의 응축회수율이 동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는 컴프레셔 및 응축기와 연결되는 방열기를 외부측 방열기와 내부방열기로 이원화시켜 응축기에서 냉각 건조된 공기를 내부방열기에 의하여 밀폐케이싱의 내부에서 재가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전기히팅이나 온수히팅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냉매의 순환방식만으로도 의류건조기에 필요한 세탁물의 건조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에너지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의류건조기의 설비에 따른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크리닝 과정을 거친 의류의 건조나 물세탁을 거친 의류의 건조와 같이 의류건조기로부터 응축장치의 밀폐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 중의 유기용제 포함유무에 따라 응축기와 내부방열기를 통한 증기의 공급 또는 대기중으로의 직접적인 배출을 선택하는 셔터 작동이 유입관측에 설치되는 VOC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셔터가 설치되는 분배덕트의 내부에 판상의 필터를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와 더불어 응축기와 필터의 사이에 응축기의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한 여유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여유공간의 개구부가 투시창을 구비하는 고무판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함으로서, 응축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응축기 표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시기의 판단 및 그 제거작업을 필요시마다 수시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응축기에 의한 유기용제의 응축회수율을 항상 요구하는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압상승시 고무판이 자동적으로 이탈되어 폭발위험을 1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VOC센서와 함께 온도센서와 풍량스위치를 분배덕트와 밀폐케이싱의 내부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센서와 스위치가 응축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응축장치의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컴프레셔의 과부하 및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시키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응축장치와 의류건조기의 안전한 운전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4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밀폐케이싱의 외부에 수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방열기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 및 응축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즉, 핫가스의 냉각원을 보다 폭넓게 확보하여 응축기에 의한 유기용제의 회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동절기에는 방열기에 의하여 실내의 난방기능을 제공토록 하는 한편, 하절기에는 수냉식 열교환기에 의하여 실내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세탁소와 같은 실내공간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는 측면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5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 5의 기술적 과제와는 달리, 방열팬에는 일방향 체크댐퍼를 구비하는 열풍배출관을 연장시켜 이 열풍배출관이 물세탁시 증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과 단일배관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분배덕트의 배출공간으로부터 통합배출관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시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 및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밀폐케이싱의 외부에는 컴프레셔와 방열팬을 구비하는 방열기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의 내부에는 컴프레셔 및 방열기와 함께 냉동싸이클을 이루는 내부방열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며, 상기 밀폐케이싱의 전방 내부에는 일측면에 유입관과 제 1배출관이 각각 연결된 분배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덕트의 일측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증기의 유동경로를 밀폐케이싱 또는 제 1배출관측으로 조정시키기 위한 셔터가 설치되며, 상기 분배덕트의 타측 내부에는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가 카트리지(Cartridge)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의 일측 벽체에는 유기용제가 제거된 건조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2배출관이 연결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분배덕트의 일측 내부공간은 유입관을 거쳐 유입된 증기를 필터가 삽입된 분배덕트의 타측 내부공간을 거쳐 응축기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공간과, 유입관을 거쳐 유입된 증기를 제 1배출관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간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판에 의하여 유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과 배출공간의 사이에는 분배덕트의 내측프레임을 이루는 셔터프레임에 의하여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통로와 배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셔터는 셔터프레임을 따라 셔터축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분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덕트의 외측면에는 유입관의 내측에 구비된 VOC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셔터를 힌지식으로 회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구동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는 분배덕트의 후방 벽체에 형성된 필터삽입공으로부터 분배덕트의 내부공간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삼각 형상의 여유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삽입공이 형성된 분배덕트의 후방 벽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삽입공과 개구부를 커버하는 필터커버와 개구부커버가 분배덕트의 벽체상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커버와 개구부커버가 있는 밀폐케이싱의 벽체에는 개폐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커버는 고무판의 몸체 중앙부에 투시창이 일체로 구비되어, 분배덕트의 벽체상에 절개 형성된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고무판의 외주면 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식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배덕트의 유입공간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의 내부에는 풍량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VOC센서(5a)와 상기 온도센서와 풍량스위치에 의하여 컴프레셔와 구동기와 방열팬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이 밀폐케이싱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폐케이싱의 외부에는 방열기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과 응축기능을 수행하는 수냉식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이와는 달리 상기 방열기의 방열팬에는 열풍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배출관이 제 1배출관과 함께 단일배관으로서 분배덕트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열풍배출관의 출구측에 열풍배출용 체크댐퍼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분배덕트의 벽체에는 배출공간과 연통되는 통합배출관이 밀폐케이싱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컴프레셔 및 응축기와 연결되는 방열기를 외부측 방열기와 내부방열기로 이원화시켜 응축기에서 냉각 건조된 공기를 내부방열기에 의하여 밀폐케이싱의 내부에서 재가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전기히팅이나 온수히팅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냉매의 순환방식만으로도 의류건조기에 필요한 세탁물의 건조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에너지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의류건조기의 설비에 따른 비용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크리닝 과정을 거친 의류의 건조나 물세탁을 거친 의류의 건조와 같이 의류건조기로부터 응축장치의 밀폐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 중의 유기용제 포함유무에 따라 응축기와 내부방열기를 통한 증기의 공급 또는 대기중으로의 직접적인 배출을 선택하는 셔터 작동이 유입관측에 설치되는 VOC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셔터 조작시와 비교하여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가 설치되는 분배덕트의 내부에 판상의 필터를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와 더불어 응축기와 필터의 사이에 응축기의 표면 스케일 제거를 위한 여유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응축장치의 사용 과정에서 응축기 표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작업을 필요시마다 수시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응축기에 의한 유기용제의 응축회수율을 항상 요구하는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상기 여유공간의 개구부가 투시창을 구비하는 고무판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함으로서, 응축기 표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시기를 보다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내압상승시 고무판이 자동적으로 이탈되어 배출덕트의 외부공간을 거쳐 내압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폭발의 위험 또한 1차적으로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VOC센서와 함께 분배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분배덕트의 내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밀폐케이싱의 내부에는 응축기를 거친 건조공기의 송풍여부를 판단하는 풍량스위치를 설치하여, 각각의 센서 및 풍량스위치가 응축장치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서, 응축장치의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컴프레셔의 과부하와 응축장치의 오작동 및 유기용제에 의한 폭발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응축장치와 의류건조기의 안전한 운전측면에 보다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케이싱의 외부에 수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방열기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 및 응축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즉, 핫가스의 냉각원을 보다 폭넓게 확보하여 응축기에 의한 유기용제의 회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동절기에는 방열기에 의하여 실내의 난방기능을 제공토록 하는 한편, 하절기에는 수냉식 열교환기에 의하여 실내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세탁소와 같은 실내공간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는 측면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수냉식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대신에, 방열팬에는 일방향 체크댐퍼를 구비하는 열풍배출관을 연장시켜 이 열풍배출관이 물세탁시 증기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과 단일배관으로 연결되도록 한 다음, 상기 분배덕트의 배출공간으로부터 통합배출관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시켜 방열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 및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밀폐케이싱(2) 전방 내측에는 분배덕트(4)가 삽입식으로 설치되고, 도면상 상기 분배덕트(4)의 우측면에는 증기의 유입관(5)과 제 1배출관(6)이 연결 설치되며, 도면상 상기 밀폐케이싱(2)의 우측 벽체상에는 유기용제가 제거된 건조공기를 의류건조기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 2배출관(7)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케이싱(2)의 후방측에는 컴프레셔 및 방열팬을 구비하는 방열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3)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커버(3)의 후방면에는 방열팬에 의한 실내공기의 흡입구(3a)가 형성되고, 보호커버(3)의 상부면과 양측면부에는 방열팬에 의한 실내공기의 배풍구(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3)의 좌측 하단부에는 응축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보호커버(3) 자체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지지다리(2a)에 의하여 상기 밀폐케이싱(2)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배출관(11)을 구비하는 유기용제의 회수탱크(10)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2)의 전방 좌측에는 도어핸들(9a)을 구비하는 개폐도어(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개폐도어(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케이싱(2)의 모서리 부분이 될 수도 있고, 밀폐케이싱(2)의 좌측 벽체 부분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어핸들(9a) 부분에는 개폐도어(9)가 인접하는 밀폐케이싱(2)의 벽체상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공지의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9)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분배덕트(4)의 좌측 벽체에는 판상(板狀)의 필터(13)를 삽입시키기 위한 필터삽입공(16) 및 세척솔과 같은 청소도구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17)가 각각 절개 형성되고, 상기 필터삽입공(16)과 개구부(17)는 분배덕트(4)의 벽체상에 조립되는 필터커버(14) 및 개구부커버(15)에 의하여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밀폐된다.
상기 필터(13)는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부직포 필터나 섬유필터 등을 포함하여 그물눈이나 망사(網絲) 즉, 메시(Mesh)형의 플라스틱 필터나 금속필터 등을 들 수 있고, 앞에서 나열된 필터를 2종류 이상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필터(13)의 일측단에는 분배덕트(4)를 통한 필터(13)의 삽입 및 교체를 카트리지(Cartridge)식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필터손잡이(13a)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필터(13)의 단부측에 필터손잡이(13a)가 형성되어 해당 손잡이(13a) 부분이 분배덕트(4)의 벽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상기 필터커버(14)는 필터손잡이(13a)가 내부로 밀착 삽입될 수 있는 사각통 형상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 일측부에는 필터커버(14)가 도어의 형식으로 분배덕트(4)의 벽체상에 조립되도록 경첩(14a)이 설치되고, 그 타측부에는 분배덕트(4)의 전방 벽체상에 구비되는 커버고정구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4b)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고정구의 대표적인 적용예로는 도 6에서 도면부호 4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필터커버(14)의 고정브라켓(14b)을 당겨서 걸림고리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걸림고리에 의한 고정브라켓(14b)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하는 힌지식 핸들이 설치된 것으로, 시중에서 상품명 "매미고리"로 시판되는 제품을 들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필터커버(14)를 도어식으로 작동시켜 필터삽입공(16)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공지수단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며, 도면부호 4b는 분배덕트(4)의 받침다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커버(15)는 단순히 개구부(17)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판을 분배덕트(4)의 벽체상에 나사체결식으로 조립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무판(15a)의 몸체 중앙부에 투시창(15b)을 일체로 형성시켜, 분배덕트(4)의 벽체상에 절개 형성된 상기 개구부(17)의 둘레를 따라 고무판(15a)의 외주면 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식으로 결합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개구부커버(15)를 설치하게 되면,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 설치되는 응축기 표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시기를 투시창(15b)에 의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케이싱(2)의 내압상승시 개구부(17)로부터 고무판(15a)이 자동적으로 이탈됨에 따라, 밀폐케이싱(2)의 내압이 배출덕트(4)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어 폭발의 위험 또한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고무판(15a)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개구부(17)의 둘레에 걸쳐 고무판(15a)이 탄력적으로 개재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3)가 부직포 필터나 섬유필터 또는 활성탄 필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필터(13)의 삽입공간 전,후방측에 해당하는 분배덕트(4)의 내부공간상에 필터(13)의 밀착 지지를 위한 격자형의 필터지지살(18)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필터(13) 자체가 필터지지살(18)을 구비하는 필터용 프레임과 함께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필터(13)가 필터용 프레임과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 등을 분배덕트(4)의 내부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와 함께 본 발명의 제 1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덕트(4)의 일측(도면상 우측) 내부공간은 유입관(5)을 거쳐 유입된 증기를 필터(13)가 삽입된 분배덕트(4)의 타측(도면상 좌측) 내부공간을 거쳐 밀폐케이싱(2)의 응축기(28)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공간(21)과, 유입관(5)을 거쳐 유입된 증기를 제 1배출관(6)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간(24)으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공간(21)과 배출공간(24)을 통한 증기의 유동경로를 선택적으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유입공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판(22)에 의하여 유입통로(22a)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21)과 배출공간(24)의 사이에는 분배덕트(4)의 내측프레임을 이루는 셔터프레임(23)에 의하여 배출통로(23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통로(22a)와 배출통로(2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셔터(20)는 셔터프레임(23)을 따라 커버의 형태로 설치된 상태로 셔터축(20a)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회동하도록 분배챔버(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셔터축(20a)은 셔터(20)의 몸체 후단부(도면상 좌측단부)에서 셔터(2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다음, 이 셔터축(20a)의 양단부가 셔터프레임(23) 또는 분배덕트(4)의 내벽상에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셔터축(20a)의 양단부가 셔터프레임(23) 또는 분배덕트(4)의 내벽상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 셔터축(20a)상에 셔터(20)의 몸체 후단부가 힌지식으로 연결되도 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분배덕트(4)의 상부 외측면에는 셔터(20)를 힌지식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기(12)가 설치되는 바, 상기 구동기(12)에는 유입관(5)의 내측에 구비된 VOC센서(5a)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터(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12a)에 스풀(Spool:실패)(12b)이 설치되고, 상기 스풀(12b)에 감겨진 와이어(19)가 분배덕트(4)의 상부측 벽체를 관통하여 셔터(20)의 선단부(도면상 우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증기 중의 유기용제 포함유무에 따라 VOC센서(5a)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기(12)의 모터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12a)에 설치된 스풀(12b)에 와이어(19)가 감겨지거나, 스풀(12b)로부터 와이어(19)가 풀려 나오는 것에 의하여 셔터(20)가 셔터축(20a)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셔터(20)가 격판(22) 또는 셔터프레임(23)과 밀착되어 유입통로(22a)와 배출통로(2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VOC센서(5a)에 의한 구동기(12)의 작동에 따라 셔터(20)가 격판(22) 또는 셔터프레임(23)과 밀착되어 유입통로(22a)와 배출통로(2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에 따라, 유입관(5)을 거쳐 유입된 증기의 유동경로가 유기용제의 포함유무 즉, 드라이크리닝을 거친 의류의 건조나 물세탁을 거친 의류의 건조에 맞추어 응축기(28) 또는 제 1배출관(6)측으로 자동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20)의 상,하부측 가장자리에는 격판(22) 및 셔터프레임(23)과의 밀착에 따른 완충과 기밀(氣密)유지를 위하여 고무패드 등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의 작동을 수동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동기(12)의 몸체 일측에는 회전식 스위치(12c)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12c)는 VOC센서(5a)에 의한 구동기(12)의 자동작동과 사용자에 의한 수동작동을 일차 세팅할 수 있도록 구분된 다음, 상기 수동작동 상태가 셔터(20)의 승,하강 작동으로 이차 구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동기(12)의 내부에는 스위치(12c)에 의한 셔터(20)의 수동조작시 전원공급을 위하여 건전지와 같은 배터리가 내장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기(12)의 터미널(12d)을 통해서는 VOC센서(5a)와 연결되는 전선 및 컨트롤패널(32)과 연결되는 전선이 인쇄회로기판(PCB)을 거쳐 모터와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기(12)의 수동조작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덕트(4)는 그 입구측이 개구된 밀폐케이싱(2)의 전방측 내부공간을 통하여 삽입식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기(12)는 분배덕트(4)의 상부 벽체와 밀폐케이싱(2)의 상부 벽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공간상에 설치됨으로서, 분배덕트(4)의 상부 벽체와 밀폐케이싱(2)의 상부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사용자가 손이나 막대 등을 삽입하여 스위치(12c)의 회전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상기 구동기(12)가 밀폐케이싱(2)의 전방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상기 구동기(12)가 밀폐케이싱(2)의 전방 벽체에 설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기(12)의 구동축(12a)이 셔터축(20a)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스풀(12b)이나 와이어(19)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 작동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구동기(12)가 밀폐케이싱(2)의 외부에 설치된다는 조건하에서 상기 구동기(12)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나 솔레노이드(Solenoid)가 될 수도 있는 데, 이 경우는 셔터(20)의 셔터축(20a)이 분배덕트(4)와 밀폐케이싱(2)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도록 한 다음, 밀폐케이싱(2)의 외부로 연장되는 셔터축(20a)상에 가동판을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가동판이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나 솔레노이드의 플런저(Plunger: 철심) 선단부와 링크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게 되면, 피스톤로드와 플런저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판이 셔터축(20a)과 함께 힌지식으로 회동하여 셔터(20)의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장치(1)의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3)의 내부에는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을 구비하는 방열기(27)가 컨트롤패널(32)과 함께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는 응축기(28)와 내부방열기(2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컴프레셔(26)와 방열기(27) 및 내부방열기(29)와 응축기(28)가 각각 점선으로 도시된 냉매배관(31)에 의하여 연결 설치됨으로서 냉동싸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상기 응축기(28)의 하단부가 밀폐케이싱(2)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회수탱크(10)의 내부로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응축기(28)의 하단부가 밀폐케이싱(2)의 바닥부와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응축기(28)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밀폐케이싱(2)의 바닥부에 응축기(28)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하부로 흘러내리는 유기용제가 회수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멍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선출원된 응축장치의 도면과 명세서상에 이미 기재되어 알려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1 및 도 6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투시창(15b)을 구비하는 고무판(15a)으로서의 상기 개구부커버(15)와 함께, 분배덕트(4)의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13)가 필터삽입공(16)으로부터 분배덕트(4)의 내부공간을 따라 개략 45°의 각도를 가지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 설치되는 응축기(28)와 필터(13)의 사이에 응축기(28) 표면의 스케일 제거를 위한 삼각 형상의 여유공간(25)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분배덕트(4)의 벽체에 조립된 상기 개구부커버(15)를 분리한 다음, 해당 개구부(17)와 여유공간(25)를 통하여 세척솔과 같은 청소도구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응축기(28)의 전방면에 대한 스케일 제거작업을 필요시마다 수시로 청소도구를 꺼내어 스케일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응축기(28)에 의한 유기용제의 회수성능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스케일 제거작업에 따른 시기를 개구부커버(15)의 투시창(15b)에 의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는, 도 3 및 도 5,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VOC센서(5a)와 함께 분배덕트(4)의 유입공간(21)측에 온도센서(36)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는 풍량스위치(35)를 설치하여, 상기 온도센서(36), 풍량스위치(35)및 VOC센서(5a)가 함께 접속되도록 컨트롤패널(32)를 설치함으로서, 각각의 VOC센서,온도센서(5a)(36) 및 풍량스위치(3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패널(32)이 컴프레셔(26)와 구동기(12) 및 방열팬(27a)의 작동을 제어토록 한 것이다.
상기 VOC센서(5a)는 위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유입관(5)측에 설치되어 유기용제의 포함유무 및 유기용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각종 제어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스센서(Gas sensor), 바람직하게는 그 측정범위가 0 ~ 2000ppm 정도가 되는 디지털 방식의 가스센서를 사용하게 되며, 유기용제의 포함유무 및 농도를 판단하여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 조작 및 컴프레셔(26)의 구동을 1차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유입관(5)으로 유입된 증기 중에 유기용제가 포함된 경우는 상기 VOC센서(5a)가 이를 판단하여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 조작을 행함으로서, 증기의 유동경로가 유입공간(21)으로부터 필터(13)가 구비된 분배덕트(4)의 내부공간을 거쳐 응축기(28)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VOC센서(5a)가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을 직접 가동시키거나 또는 컨트롤패널(32)에 의하여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이 가동되도록 함으로서, 응축기(28)에 의한 유기용제의 응축 회수가 가능하도록 응축장치(1)를 운전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유입관(5)으로 유입된 증기 중에 유기용제가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는 상기 VOC센서(5a)가 이를 판단하여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 조작을 행함으로서, 증기의 유동경로가 배출공간(24)으로부터 제 1배출관(6)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VOC센서(5a)가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가동을 직접 중지시키거나 또는 컨트롤패널(32)에 의하여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서, 응축장치(1)의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VOC센서(5a)가 유입관(5)으로 유입된 증기 중의 유기용제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컨트롤패널(32)측으로 전송시킴으로서, 유기용제의 농도 조건이 온도센서(36)로부터 컨트롤패널(32)로 입력된 건조공기의 온도 조건과 함께 연산 처리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응축장치(1)의 과부하나 오작동 여부 및 이로 인한 의류건조기의 폭발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컴프레셔(26)와 방열팬(27a) 및 구동기(12)의 작동을 2차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VOC센서(5a)로부터 입력된 유기용제의 농도가 500ppm 이상이 되고 온도센서(36)로부터 입력된 온도가 80℃ 이상이 되면, 응축장치(1)의 오작동이나 컴프레셔(26)의 과부하 등과 같은 요인으로 응축기(28)에 의한 증기의 냉각 및 유기용제의 회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응축장치(1)와 연결된 의류건조기 내부에 축적되는 유기용제 농도 및 유증기의 온도에 의한 폭발위험성이 높게 되므로, 상기 컨트롤패널(32)이 알람이나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컨트롤패널(32)이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 조작을 행함으로서, 유기용제가 포함된 증기를 밀폐케이싱(2)의 내부로 유입시키지 않고 제 1배출관(6)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시키도록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의류건조기 내부의 유기용제 농도 및 유증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도록 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의류건조기의 작동을 중지시킨 다음, 응축장치(1)의 수리나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응축장치(1) 및 의류건조기를 재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유기용제의 농도 조건과 온도 조건은 하나의 적용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응축장치(1)에 의한 유기용제의 처리 용량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그 입력조건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VOC센서(5a) 및 온도센서(36)가 설치되는 위치 또한 유기용제의 농도와 유증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이라면 유입관(5)이나 분배덕트(4)측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의류건조기의 내부 또는 의류건조기의 증기배출구 또는 응축기(28)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분배덕트(4)의 내측이나 밀폐케이싱(2)의 내측벽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VOC센서(5a) 및 온도센서(36)가 고장이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를 대비하여, 구동기(12)에 의한 셔터(20) 조작을 상기 회전식 스위치(12c)에 의하여 수동으로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응축장치(1)를 이루는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작동 역시 마찬가지로 컨트롤패널(32)측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수동식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임의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VOC센서(5a) 및 온도센서(36)에 의한 응축장치(1)의 제어와 더불어, 밀폐케이싱(2)의 내측 벽면, 바람직하게는 제 2배출관(7)과 인접한 위치에 풍량스위치(35)를 설치함으로서, 밀폐케이싱(2)의 응축기(28) 및 내부방열기(29)를 거쳐 제 1배출관(7)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건조공기의 풍량에 따라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온(ON)/오프(OFF)시키도록 하게 되면, 각각의 센서(5a)(36)에 의한 응축장치(1)의 제어를 상기 풍량스위치(35)가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의류건조기로부터 응축장치(1)의 밀폐케이싱(2) 내부로 유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증기가 응축기(28) 및 내부방열기(29)를 거침으로서 건조공기로 조성된 다음, 제 1배출관(7)을 통하여 의류건조기로 재유입되는 정상 작동과정에서는 상기 풍량스위치(35)가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을 구동시키도록 하고, 의류건조기에 설치되는 송풍팬이 작동되지 않거나, 의류건조기의 증기배출관측이 막히거나, 응축기(28)의 표면에 스케일이 과도하게 부착되어 제 1배출관(7)측으로 건조공기가 송풍되지 아니하는 비정상적인 작동시에는 상기 풍량스위치(35)가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게 된다는 것이다.
도 7의 (가) 및 (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풍량스위치(35)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서, 밀폐케이싱(2)의 벽체에 고정되는 프레임(351)상에 힌지결합부(355)를 중심으로 건조공기의 송풍 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안내깃(352)이 설치되어, 상기 안내깃(352)이 프레임(351)에 고정된 근접센서(353)와 직접 접촉되도록 하거나, 안내깃(352)에 구비된 마그네트(357)가 센서브라켓(358)을 관통하여 삽입된 센서봉(356)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부호 354는 안내깃(35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이고, 상기 센서봉(356)의 내부에는 마그네트(357)의 근접시 접속되고 이탈시 단락되는 마그네트식 단자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공기의 정상적인 송풍시에는 상기 안내깃(352)이 프레임(351)에 고정된 근접센서(353)와 직접 접촉하거나, 안내깃(352)에 구비된 마그네트(357)가 센서봉(356)과 접촉함에 따라, 각각의 센서(353)(356)로부터 컨트롤패널(32)로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이 작동되도록 하고, 건조공기가 송풍되지 아니하는 비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안내깃(352)이나 마그네트(357)가 각각의 센서(353)(356)와 이격되는 동시에, 해당 센서(353)(356)로부터 컨트롤패널(32)로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컴프레셔(26) 및 방열팬(27a)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송풍스위치(35)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외에도 선출원된 응축장치에 적용된 것을 포함하여 다른 여러 가지 구조의 풍량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풍량스위치(35) 대신에 풍량센서와 같은 다른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여 응축장치(1)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풍량스위치(35)가 설치되는 위치 또한 건조공기의 풍압이 작용하는 곳이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는, 상기 밀폐케이싱(2)의 외부에 방열기(27)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과 응축기능을 수행하는 수냉식 열교환기(30)를 설치한 것으로서, 도 6에서는 점선으로 표시된 냉매배관(31)에 의한 냉매의 유동경로가 컴프레셔(26)→내부방열기(29)→수냉식 열교환기(30)→외부측 방 열기(27)→응축기(28)→컴프레셔(26)의 순서가 되도록 하여 냉동싸이클을 구성토록 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냉매유동경로는 컴프레셔(26)→내부방열기(29)→외부측 방열기(27)→수냉식 열교환기(30)→응축기(28) 또는 컴프레셔(26)→수냉식 열교환기(30)→외부측 방열기(27)→내부방열기(29)→응축기(28)의 순서가 될 수도 있고, 컴프레셔(26)→수냉식 열교환기(30)→내부방열기(29)→외부측 방열기(27)→응축기(28)의 순서가 될 수도 있으며, 컴프레셔(26)→외부측 방열기(27)→내부방열기(29)→수냉식 열교환기(30)→응축기(28) 등의 순서가 될 수도 있다.
즉, 위에서 나열되어진 냉매의 유동경로는 컴프레셔(26)와 응축기(28)의 사이에 외부측 방열기(27)와 수냉식 열교환기(30) 및 내부방열기(29)가 냉매의 냉각 및 응축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냉매배관(31)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인 바, 이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냉매유동경로는 응축기(28)를 거쳐 유기용제가 제거된 공기를 건조용 공기로 충분히 재가열시킬 수 있도록, 컴프레셔(26)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즉 핫가스가 내부방열기(29)로 1차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냉동싸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컴프레셔(26)와 방열기(27)와 수냉식 열교환기(30)와 내부방열기(29) 및 응축기(28)만을 도시하였으나, 냉동싸이클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컴프레셔(26)측의 진동감쇄기와 드라이필터(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중의 이물질 제거), 리시버탱크(수액기: 응축냉매의 저장용기),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응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과 압력조절), 어큐뮬레이터(액분리기: 응축기를 거쳐 컴프레셔로 공급 되는 냉매의 유량과 압력조절)와 같이 냉동싸이클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다른 여러 가지의 보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며, 각각의 냉매배관(31)이 밀폐케이싱(2)의 벽체를 관통하는 부위에는 기밀(氣密)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내부방열기(29)를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 적용시키는 동시에 수냉식 열교환기(30)를 외부측 방열기(27)와 함께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컴프레셔(26)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 즉, 핫가스의 냉각원을 2개의 방열기(27)(29) 및 수냉식 열교환기(30)에 의하여 보다 폭넓게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응축기(28)에 의한 유기용제의 회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방열기(29)의 적용에 따라 유기용제가 제거된 공기를 의류건조용 고온공기로 조성시킨 다음, 이를 제 2배출관(7)을 거쳐 의류건조기측으로 재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탁소의 실내온도가 낮게 되는 동절기에는 수냉식 열교환기(30)를 통한 냉각수의 공급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방열팬(27a)과 방열기(27)에 의한 냉매의 응축기능을 수행토록 하게 되면, 방열기(27)를 거쳐 방열팬(27a)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에 의하여 실내의 난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세탁소의 실내온도가 높게 되는 하절기에는 방열팬(27a)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수냉식 열교환기(30)에 의하여 냉매의 응축기능을 집중적으로 수행토록 하게 되면, 실내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작업환경에 지장을 초래하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열팬(27a)에 의한 실내공기의 흡입측에 해당하는 방열기(27)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필터(33)(예를 들어, 부직포필터나 섬유필터)와 탈취필터(34)(예를 들어, 활성탄필터)가 보호커버(3)와 함께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방열팬(27a)의 작동시 흡입구(3a)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각각의 필터(33)(34)를 거쳐 배풍구(3b)로 배출되므로 실내공기의 정화기능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출원의 명세서와 도면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이 밀폐케이싱(2)의 벽체상에 일방향 체크댐퍼 또는 본 출원인이 2006년 27549호로 선출원하여 제 10-667299호로 특허 등록된 유량가변형 체크댐퍼 등과 같은 댐퍼를 구비한 압력조정관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밀폐케이싱(2)의 내압을 대기압 수준으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응축장치(1)의 안전한 사용측면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내압조정 수단이 의류건조기의 내부로 건조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상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의 (가) 내지 (다)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수냉식 열교환기(30)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었는 바, 도 8의 (가)에 도시된 것은 쉘 앤드 튜브(Shell and tube)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나)에 도시된 것은 쉘 앤드 플레이트(Shell and plate)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다)에 도시된 것은 이중관체(Double tube) 타입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쉘 앤드 튜브 타입의 수냉식 열교환기(30)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케이싱(301)의 상,하단부측에 냉수배출관(303)과 냉수유입관(302)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301)의 내부에는 냉매배관(31)이 열교환구조를 형성하도록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수유입관(302)에는 케이 싱(301)을 통한 냉수의 유입유무와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304)와 유량조절밸브(3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쉘 앤드 플레이트 타입의 수냉식 열교환기(30)는 케이싱(301)의 내부에 냉매가스가 유동하는 열교환구조로서 판상의 플레이트(306)가 다수 매로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의 (가)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306) 외측면에는 냉매가스와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열핀(307)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전열핀(307)을 도 8의 (가)에 도시된 냉매배관(31)의 외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의 (다)에 도시되어 있는 이중관체 타입의 수냉식 열교환기(30)는 나선형의 케이싱튜브(308)를 따라 냉매배관(31)이 삽입된 이중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냉매배관(31)이 삽입되는 케이싱튜브(308)의 개구된 양단부측은 냉각수의 누설을 방지토록 밀봉처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단부측에 솔레노이드 밸브(304) 및 유량조절밸브(305)가 구비된 냉수유입관(302)과 냉수배출관(303)이 각각 연결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냉수유입관(302)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04) 및 유량조절밸브(305)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응축장치(1)의 동절기 운전시 수냉식 열교환기(30)의 작동을 중지(솔레노이드 밸브의 폐쇄)시키고, 응축장치(1)의 하절기 운전시에는 방열팬(27a)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수냉식 열교환기(30)에 의하여 냉매의 응축기능을 집중적으로 수행토록 하며, 그 이외의 나머지 시기에는 방열기(27)(내부방열기 포함)와 수냉식 열교환기(30)에 의하여 냉매의 응축기능을 병행토록 하는 것이 컨트롤패널(32)을 통한 솔레노이드 밸브(304) 및 유량조절밸브(305)의 제어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열교환기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종류의 열교환기를 나열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냉매배관(31)을 유동하는 냉매가스와 냉각수와의 열교환이 가능한 것이라면 본 출원인이 2006년 특허출원 제 86469호로 선출원한 냉각기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다른 어떠한 종류의 열교환기를 적용시키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냉수유입관(302)은 수도배관과 직접 연결 설치될 수도 있고, 미도시된 냉각수 저장조로부터 펌프를 구비한 상태로 연장되는 배관과 연결되어 냉수배출관(303)과 함께 냉각수를 순환식으로 사용토록 한 것일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응축장치(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4요부에 해당하는 상기 수냉식 열교환기(30)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방열기(27)의 방열팬(27a)으로부터 열풍배출관(8)이 연장되어 상기 열풍배출관(8)이 제 1배출관(6)과 함께 단일배관으로서 분배덕트(4)와 연결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열풍배출관(8)의 출구측에는 열풍배출용 체크댐퍼(8a)가 설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분배덕트(4)의 벽체에는 배출공간(24)과 연통되는 통합배출관(37)이 밀폐케이싱(2)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방열팬(27a)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를 실외로 직접 배출시켜 방열팬(27a)으로부터 송풍되는 고온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 및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풍배출관(8)과 통합배출관(37)을 적용시킬 경우, 보호커버(3)의 후방측 흡입구(3a)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보호커버(3)의 좌,우측면과 상부측에 형성된 배풍구(3b)는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며(보호커버를 설치하는 경우에 한함), 물세탁된 의류의 건조시 또는 응축장치(1)의 오작동이나 폭발위험시와 같이 셔터(20)에 의한 증기의 유동경로가 통합배출관(37)측으로 세팅되는 경우, 상기 VOC센서(5a) 또는 컨트롤패널(32)에 의하여 컴프레셔(26)와 함께 방열팬(27a)의 작동이 동시에 중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드라이 크리닝 과정을 거친 의류의 건조시 응축장치(1)의 정상작동 과정에서는 방열팬(27a)으로부터 열풍배출관(8)을 따라 송풍되는 고온공기만이 일방향 체크댐퍼(8a)를 거쳐 통합배출관(37)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물세탁된 의류의 건조시 또는 응축장치(1)의 오작동이나 폭발위험시와 같은 경우에는 컴프레셔(26)와 함께 방열팬(27a)의 작동 또한 중지되도록 하여, 통합배출관(37)으로 배출되는 증기와 방열팬(27a)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배덕트측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의 평단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풍량스위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수냉식 열교환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응축장치의 전방측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배덕트측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응축장치 2 : 밀폐케이싱 2a : 지지다리
3 : 보호커버 3a : 흡입구 3b : 배풍구
4 : 분배덕트 4a : 커버고정구 4b : 받침다리
5 : 유입관 5a : VOC센서 6 : 제 1배출관
7 : 제 2배출관 8 : 열풍배출관 8a : 체크댐퍼
9 : 개폐도어 9a : 도어핸들 10 : 회수탱크
11 : 배출관 12 : 구동기 12a : 구동축
12b : 스풀 12c : 스위치 12d : 터미널
13 : 필터 13a : 필터손잡이 14 : 필터커버
14a : 경첩 14b : 고정브라켓 15 : 개구부커버
15a : 고무판 15b : 투시창 16 : 필터삽입공
17 : 개구부 18 : 필터지지살 19 : 와이어
20 : 셔터 20a : 셔터축 21 : 유입공간
22 : 격판 22a : 유입통로 23 : 셔터프레임
23a : 배출통로 24 : 배출공간 25 : 여유공간
26 : 컴프레셔 27 : 방열기 27a : 방열팬
28 : 응축기 29 : 내부방열기 30 : 수냉식 열교환기
31 : 냉매배관 32 : 컨트롤패널 33 : 정화필터
34 : 탈취필터 35 : 풍량스위치 36 : 온도센서
37 : 통합배출관 301 : 케이싱 302 : 냉수유입관
303 : 냉수배출관 304 : 솔레노이드 밸브 305 : 유량조절밸브
306 : 핀플레이트 307 : 전열핀 308 : 케이싱튜브
351 : 프레임 352 : 안내깃 353 : 근접센서
354 : 스토퍼 355 : 힌지결합부 356 : 센서봉
357 : 마그네트 358 : 센서브라켓

Claims (8)

  1. 밀폐케이싱(2)의 외부에는 컴프레셔(26)와 방열팬(27a)을 구비하는 방열기(27)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는 컴프레셔(26) 및 방열기(27)와 함께 냉동싸이클을 이루는 내부방열기(29)와 응축기(28)가 설치되며, 상기 밀폐케이싱(2)의 전방 내부에는 일측면에 유입관(5)과 제 1배출관(6)이 각각 연결된 분배덕트(4)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덕트(4)의 일측 내부에는 유입관(5)을 통하여 유입된 증기의 유동경로를 밀폐케이싱(2) 또는 제 1배출관(6)측으로 조정시키기 위한 셔터(20)가 설치되며, 상기 분배덕트(4)의 타측 내부에는 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13)가 카트리지(Cartridge)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2)의 일측 벽체에는 유기용제가 제거된 건조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2배출관(7)이 연결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분배덕트(4)의 일측 내부공간은 유입관(5)을 거쳐 유입된 증기를 필터(13)가 삽입된 분배덕트(4)의 타측 내부공간을 거쳐 응축기(28)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공간(21)과, 유입관(5)을 거쳐 유입된 증기를 제 1배출관(6)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공간(24)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판(22)에 의하여 유입통로(22a)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21)과 배출공간(24)의 사이에는 분배덕트(4)의 내측프레임을 이루는 셔터프레임(23)에 의하여 배출통로(23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통로(22a)와 배출통로(23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셔터(20)는 셔터프레임(23)을 따라 셔터축(20a)을 중심으로 힌지식으로 분배챔버(4)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덕트(4)의 외측면에는 유입관(5)의 내측에 구비된 VOC센서(5a)의 작동에 의하여 셔터(20)를 힌지식으로 회동시키는 모터가 내장된 구동기(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3)는 분배덕트(4)의 후방 벽체에 형성된 필터삽입공(16)으로부터 분배덕트(4)의 내부공간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삼각 형상의 여유공간(25)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삽입공(16)이 형성된 분배덕트(4)의 후방 벽체에는 개구부(17)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삽입공(16)과 개구부(17)를 커버하는 필터커버(14)와 개구부커버(15)가 분배덕트(4)의 벽체상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커버(14)와 개구부커버(15)가 있는 밀폐케이싱(2)의 벽체에는 개폐도어(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커버(15)는 고무판(15a)의 몸체 중앙부에 투시창(15b)이 일체로 구비되어, 분배덕트(4)의 벽체상에 절개 형성된 상기 개구부(17)의 둘레를 따라 고무판(15a)의 외주면 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식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덕트(4)의 유입공간(21)에는 온도센서(36)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케이싱(2)의 내부에는 풍량스위치(35)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VOC센서(5a)와 상기 온도센서(36)와 풍량스위치(35)에 의하여 컴프레셔(26)와 구동기(12)와 방열팬(27a)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2)이 밀폐케이싱(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싱(2)의 외부에는 방열기(27)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과 응축기능을 수행하는 수냉식 열교환기(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싱(2)의 외부에는 방열기(27)와 함께 냉매가스의 냉각과 응축기능을 수행하는 수냉식 열교환기(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27)의 방열팬(27a)에는 열풍배출관(8)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배출관(8)이 제 1배출관(6)과 함께 단일배관으로서 분배덕트(4)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열풍배출관(8)의 출구측에는 열풍배출용 체크댐퍼(8a)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덕트(4)의 벽체에는 배출공간(24)과 연통되는 통합배출관(37)이 밀폐케이싱(2)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27)의 방열팬(27a)에는 열풍배출관(8)이 구비되고, 상기 열풍배출관(8)이 제 1배출관(6)과 함께 단일배관으로서 분배덕트(4)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열풍배출관(8)의 출구측에는 열풍배출용 체크댐퍼(8a)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덕트(4)의 벽체에는 배출공간(24)과 연통되는 통합배출관(37)이 밀폐케이싱(2)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KR1020070070244A 2007-07-12 2007-07-12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KR10082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44A KR100823316B1 (ko) 2007-07-12 2007-07-12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44A KR100823316B1 (ko) 2007-07-12 2007-07-12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316B1 true KR100823316B1 (ko) 2008-04-17

Family

ID=3957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244A KR100823316B1 (ko) 2007-07-12 2007-07-12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25B1 (ko) * 2008-05-06 2010-09-02 이상근 유증기 회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72B1 (ko) 2005-12-14 2006-08-22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JP2006242791A (ja) 2005-03-04 2006-09-14 Toto Ltd Voc濃度測定装置及びvoc除去システム
KR100667302B1 (ko) 2006-06-16 2007-01-10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2791A (ja) 2005-03-04 2006-09-14 Toto Ltd Voc濃度測定装置及びvoc除去システム
KR100615072B1 (ko) 2005-12-14 2006-08-22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KR100667302B1 (ko) 2006-06-16 2007-01-10 주식회사 대일냉각기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25B1 (ko) * 2008-05-06 2010-09-02 이상근 유증기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061B2 (en) Clothes dryer
US8978267B2 (en) Dryer having a heat pump,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 room
KR100737006B1 (ko) 의류 건조 장치
JP5011777B2 (ja) 除湿機
CN105813444B (zh) 利用自然能的节能恒温电气柜
KR100667302B1 (ko)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JP2007209526A (ja) 衣類乾燥機
TW200738930A (en) Washing dryer
JP2011194035A (ja) 洗濯乾燥機
KR102201868B1 (ko) 의류건조기
JP2006212265A (ja) 乾燥機
JP2010279840A (ja) 衣類乾燥機
KR100823316B1 (ko)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장치
JP4784341B2 (ja) 除湿機
KR100823325B1 (ko) 유기용제 회수기 일체형 의류건조기
JP4784340B2 (ja) 除湿機
JP2004089413A (ja) 衣類乾燥装置
JP5056821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2126397A (ja) 除湿乾燥機
CN111676678B (zh) 换气组件和热泵干衣机
KR100799745B1 (ko) 수공냉식 유기용제 회수용 응축시스템
KR100979525B1 (ko) 유증기 회수장치
KR10097757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KR102538124B1 (ko) 바람 손실을 줄여 향상된 제습량을 확보한 제습장치
KR102538127B1 (ko) 제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