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08Y1 -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308Y1
KR200447308Y1 KR2020080001952U KR20080001952U KR200447308Y1 KR 200447308 Y1 KR200447308 Y1 KR 200447308Y1 KR 2020080001952 U KR2020080001952 U KR 2020080001952U KR 20080001952 U KR20080001952 U KR 20080001952U KR 200447308 Y1 KR200447308 Y1 KR 200447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plate
chair
seat
fold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295U (ko
Inventor
염경안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1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0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2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시트 판과 등받이를 연결대로 연결하여 의자의 사용시 시트 판에 연동하여 등받이가 자동으로 기울임을 갖도록 함으로써, 안락성을 향상시킨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시트 판이 등받이 측으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접이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판의 일단 부분과 상기 등받이의 일단 부분에는 상기 시트 판과 등받이가 상대운동을 하도록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축으로 연결대를 체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 의자, 접이식, 연결대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fold type chair for Railway car}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시트 판과 등받이를 연결대로 연결하여 의자의 사용시 시트 판에 연동하여 등받이가 자동으로 기울임을 갖도록 함으로써, 안락성을 향상시킨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의자는 시트 판, 등받이 등으로 구성되며,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트 판, 등받이 등에 쿠션 재를 부가하기도 한다.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 등받이(2), 팔걸이(3), 시트 판(4)으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1)와 일체로 제 1 브래킷(5)을 형성하여 그 후위에 등받이(2), 양 팔걸이(3)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프레임(6)을 고정하되 제 1 브래킷(5)의 전위 좌우에는 상 방향을 향하게 축 걸이 홈(7)을 각각 형성하며, 시트 판(4)의 후단부 하면에는 제 2 브래킷(8)을 고정하고, 제 2 브래킷(8)의 좌우방향에는 축 걸이 홈(7)에 대응되는 축(9)을 연결하며, 축(9)의 중앙부에는 2개의 압축코일스프링(10) 및 이 압축코일스프링(10)을 커버 함과 동시에 그 일단을 지지하는 홀더(11)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압축 코일스프링(10)의 타 단부는 제 2 브래킷(8)의 일 측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시트 판(4)의 축(9)이 제 1 브래킷(5)의 축 걸이 홈(7)에 걸리도록 삽입하고, 외부에서 제 1 브래킷(5)과 홀더(11)를 볼트로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의자는 사용시 사용자가 상기 제 1 브래킷(5)에 형성된 압축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을 내재하여 항상 접힌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시트 판(4)을 펴서 사용하게 된다.
또, 사용 후 의자로부터 사용자가 기립하게 되면 시트 판(4)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다시 접히게 되며, 이러한 작용에 따라 절첩 작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는 등받이(2)가 벽이나 의자의 등받이와 등받이가 상호 고정될 뿐만 아니라, 등받이(2)가 거의 수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착시 안락성을 위해 기울임(recline) 동작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의자 사용자의 안락성을 부여하기 위해 등받이의 형상을 일정한 각도로 기울임을 갖도록 제작한 의자도 있으나, 이 또한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착석했을 때는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버스 등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실내 통로에 설치되는 경우, 승객의 유동에 방해가 됨과 동시에 공간이 협소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 의 목적은 의자의 사용시 등받이의 각이 사용자가 편안한 기울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사용자의 안락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시트 판이 등받이 측으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접힘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부 측이 등받이 상부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철도차량 벽체에 고정된 등받이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등받이의 하부 일 측과 상기 시트 판의 일단 부분은 유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대가 등받이 하부지지축과 시트 지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시트 판과 등받이가 회전 상대운동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시트 판과 등받이의 회전 상대운동을 위해, 일단은 상기 시트 판의 일단 부분 상부 측에 체결 형성되고, 타 단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 중앙 측에 체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등받이는 상기 시트 판의 펼침 동작에 의해 경사 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의 사용시 등받이의 각이 인체공학적으로 편안한 기울기로 유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 안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된 등받이 경사 각을 갖는 의자에 비해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의 사용 상태 동작도로서, 도 5a는 시트 판을 펼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시트 판을 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으로 위치하는 시트 판(310)과, 상기 시트 판(310)과 직교하도록 수직으로 위치하는 등받이(320)를 연결하는 연결대(330)와, 시트 지지프레임(340) 및 등받이 고정 브래킷(350) 등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대(330)는, 회전과 지지가 용이하도록 강한 성질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밴드형태 또는 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양단부로는 상기 시트 판(310)과 등받이(320)를 연결하기 위한 시트 연결구멍(331) 및 등받이 연결구멍(3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330)는 상기 등받이(3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등받이 하부 지지축 삽입구멍(321)과, 상기 시트 판(310)의 일단 부분에 형성된 지지축 삽입 구멍(311)으로 시트 연결구멍(331) 및 등받이 연결구멍(332)을 위치시킨 후, 봉 형상의 시트 지지축(311a) 및 등받이 하부 지지축(322a)을 상기 등받이 하부 지지축 삽입구멍(321)과 지지축 삽입구멍(311)에 삽입 연결하여 상기 시트 판(310)과 등받이(320)가 유동이 자유롭도록 회전 상대운동을 돕게 된다.
즉, 상기 시트 판(310)과 등받이(320)가 상대 운동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대(330)의 일단이 상기 시트 판(310)의 일단 부분 상부 측에 체결 형성되고, 타 단은 상기 등받이(320)의 하단부 중앙 측에 체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 판(310)이 펼쳐질 때 상기 연결대(330)가 회전동작하면서 상기 시트 판(310)과 연결된 등받이(320)가 연동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시트 판(310)이 접혀질 때 상기 등받이(320)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도록 회전 상대 운동을 돕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시트 판(310)의 일단 부분 중앙부분으로는 회전축 삽입구멍(312)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삽입구멍(312)에는 시트 회전축(312a)이 삽입되어, 상기 시트 판(310)의 접힘과 펼침 동작시 회전중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 회전축(312a)의 양단 측으로는 상호 반대로 복원 탄성력을 갖는 압축코일스프링(3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의자(3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호 반대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접혀져 있는 상기 시트 판(310)을 펼친 후 착석하고, 사용 후 의자로부터 사용자가 기립하게 되면 시트 판(300)은 반대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13)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 회전축(312a)의 양단에는 시트 판(310)의 용이한 회전과 시트 판(310)의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수명 연장을 위해 베어링(미도시)을 형성하여 접힘과 펼침 동작하는 의자에서 가장 중요한 회전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지지프레임(340)은, 상기 시트 판(31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철도차량의 측벽 등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개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또는 강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시트 지지프레임(340)의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부(341)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벽체 등에 고정하고, 수평으로 위치하는 수평부(342)는 상기 시트 판(31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등받이 고정 브래킷(350)은, 밴드 형태의 금속재로 형성되고 일단 부분은 ㄱ자 형태로 꺾여져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으로는 철도차량의 벽체 등에 고정을 위한 벽 고정구멍(352)이 형성되고, 타 일단으로는 상기 등받이(320)의 상부에 형성된 등받이 상부 지지축 삽입구멍(322)과 동축으로 등받이 고정구멍(351)이 형성된다.
상기 벽 고정구멍(352)으로는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벽체 등에 고정하고, 상기 등받이 고정구멍(351)으로는 등받이 상부 지지축(322a)을 삽입하여 상기 등받이(320)를 회전동작하도록 연결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의자(300)는 사용 전에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 판(310)이 접혀져 있는 초기의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기 시트 판(310)을 사용자가 착석을 위해 펼치게 되면, 상기 시트 판(310)의 펼쳐지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시트 판(310)의 일 측 단 부분과 상기 등받이(320)의 하단부 중앙부분에 각각 연결 설치된 연결대(330)는 시트 회전축(312a) 및 등받이 하부 지지축(321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시트 판(310)이 펼쳐지면서 상기 시트 판(310)의 일 측 단 부분에 연결 설치된 연결대(330)의 일단 부분은 상부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상기 등받이(320)의 하단부 중앙부분에 연결 설치된 연결대(330)를 상기 시트 판(310)의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상기 등받이(320)를 등받이 하부 지지축(321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기울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320)는 상기 시트 판(310)에 연동하여 사람이 의자(300)에 착석했을 때 인체공학적으로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기울기를 갖게 된다.
반대로, 의자(300)의 사용 후 의자로부터 사용자가 기립하게 되면 상기 시트 판(310)의 시트 회전축(312a)에 형성된 압축코일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펼칠 때의 역순으로 접힘 동작하면서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접힘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접힘 의자에 형성된 코일스프링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접힘 의자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접힘 의자의 동작도로서, 도 5a는 시트 판을 펼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시트 판을 접은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의자 310 : 시트 판
311 : 지지축 삽입구멍 311a : 시트 지지축
312 : 회전축 삽입구멍 312a : 시트 회전축
313 : 압축코일스프링 320 : 등받이
321 : 등받이 하부 지지축 삽입구멍 321a : 등받이 하부 지지축
322 : 등받이 상부 지지축 삽입구멍 322a : 등받이 상부 지지축
330 : 연결대 331 : 시트 연결구멍
332 : 등받이 연결구멍 340 : 시트 지지프레임
341 : 수직부 342 : 수평부
350 : 등받이 고정 브래킷 351 : 등받이 고정구멍
352 : 벽 고정구멍

Claims (3)

  1. 시트 판이 등받이 측으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접힘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부 측이 등받이 상부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철도차량 벽체에 고정된 등받이 고정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등받이의 하부 일 측과 상기 시트 판의 일단 부분은 유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대가 등받이 하부지지축과 시트 지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시트 판과 등받이가 회전 상대운동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시트 판과 등받이의 회전 상대운동을 위해, 일단은 상기 시트 판의 일단 부분 상부 측에 체결 형성되고, 타 단은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 중앙 측에 체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시트 판의 펼침 동작에 의해 기울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KR2020080001952U 2008-02-14 2008-02-14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KR200447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52U KR200447308Y1 (ko) 2008-02-14 2008-02-14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52U KR200447308Y1 (ko) 2008-02-14 2008-02-14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95U KR20090008295U (ko) 2009-08-19
KR200447308Y1 true KR200447308Y1 (ko) 2010-01-14

Family

ID=4130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52U KR200447308Y1 (ko) 2008-02-14 2008-02-14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41B1 (ko) 2010-05-12 2012-08-06 장부성 차량용 의자
KR200474330Y1 (ko) 2012-06-28 2014-09-05 한일이화 주식회사 접이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385B1 (ko) * 2012-01-09 2014-01-15 대원강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경량 시트 어셈블리
KR102523395B1 (ko) * 2021-08-10 2023-04-20 대원산업 주식회사 폴딩 회동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542U (ko) * 1996-10-28 1998-07-25 양재신 탑승자체형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리어시트
JPH1175979A (ja) 1997-09-09 1999-03-23 Takano Co Ltd 劇場ホール用椅子
KR200166029Y1 (ko) 1998-03-05 2000-01-15 김종성 관람용 의자의 자동 절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542U (ko) * 1996-10-28 1998-07-25 양재신 탑승자체형에 따른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리어시트
JPH1175979A (ja) 1997-09-09 1999-03-23 Takano Co Ltd 劇場ホール用椅子
KR200166029Y1 (ko) 1998-03-05 2000-01-15 김종성 관람용 의자의 자동 절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41B1 (ko) 2010-05-12 2012-08-06 장부성 차량용 의자
KR200474330Y1 (ko) 2012-06-28 2014-09-05 한일이화 주식회사 접이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295U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46964U1 (ru) Сиденье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мото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850005767A (ko) 철첩식 유아용 높은 의자
KR200447308Y1 (ko) 철도차량용 접이식 의자
CN109624805A (zh) 隔板和包括它的交通工具座位组件
JP2005514141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を備える食卓椅子
JP7169166B2 (ja) 椅子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US1019658A (en) Arm-rest.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JP2000093248A (ja) 背座連動型座起立式椅子
KR101995626B1 (ko) 차량용 간이침대 구조체
JP3352255B2 (ja) 支持部が座部と連動する乗物用の折畳式長椅子
KR101171241B1 (ko) 차량용 의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JP3958045B2 (ja) 椅子
JP2005131047A (ja) 背凭れ傾動装置
JP3732396B2 (ja) 折畳み座席
US566836A (en) Vehicle-seat
KR200495844Y1 (ko)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US3237986A (en) Resiliently supported reclining chair
KR20070000127A (ko) 차량용 자동 폴딩 시트 구조
JP7369503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60136097A (ko) 차량용 자동 폴딩 시트 구조
JP2003225133A (ja) 折り畳み座席
RU2189163C2 (ru) Стул настенный с откидным сидень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