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04Y1 -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304Y1
KR200447304Y1 KR2020090008740U KR20090008740U KR200447304Y1 KR 200447304 Y1 KR200447304 Y1 KR 200447304Y1 KR 2020090008740 U KR2020090008740 U KR 2020090008740U KR 20090008740 U KR20090008740 U KR 20090008740U KR 200447304 Y1 KR200447304 Y1 KR 200447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auxiliary plate
lif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두
Original Assignee
전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두 filed Critical 전병두
Priority to KR2020090008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화물적재공간으로부터 화물을 옮겨 싣는 과정에서 상기 화물적재공간과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프트장치는 화물이 적재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트, 승강장치, 보조플레이트, 슬라이딩, 돌출, 화물차

Description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lift apparatus having extrusion type auxiliary plate}
본 고안은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의 화물적재공간으로부터 화물을 옮겨 싣는 과정에서 상기 화물적재공간과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화물차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리프트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화물차에 화물을 하역하는데 이용되는 리프트장치(10)는 통상 유압실린더를 구동장치로 하여 승강하고 있으며, 화물차에서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서는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12)의 높이를 화물차(20)의 적재공간(22)의 바닥부 높이와 동일하도록 승강시켜 고정한 후, 화물차(20)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를 위해서는 화물차(20)를 리프트 장치(10)에 바짝 붙여 리프트(10)의 선단(13)과 화물차(20)의 후미(23)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 한 줄어들도록 조절하여야 안전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는 화물적재공간과 리프트 사이의 간격이 넓을 경우, 상기 간격이 형성된 빈공간으로 화물이 빠지거나,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 또는 화물적재공간의 바닥이 턱이 되어 화물의 이송을 방해할 수 있으며, 화물에 충격을 주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하역작업을 위해서는 화물차(20)를 리프트장치(10)에 근접하도록 매우 정확하게 주차시킬 필요가 있으나, 그러한 운전작업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차(20)의 후진 시 운전조작의 부주의로 인해 리프트장치(10)와 충돌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차의 적재공간과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는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프트장치는 화물이 적재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보조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는 상판부와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부는 상기 보조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부를 덮은 채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그 상측에서 고정되고 상기 승강수단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측면 중 상기 슬라이딩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외측 방면 측에는 거리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플레이트가 돌출되지 않은 위치에 있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보조플레이트을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안착부에 내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설정된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위치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플레이트가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완전히 함입된 이후에 리프트장치의 승강동작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몸체부는 브라켓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물차의 화물적재공간과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더라도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에 부착된 보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물적재공간에서 화물을 안전하게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
둘째, 리프트장치 측에서 화물차로 접근시키는 보조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화물차를 리프트장치에 매우 가까이 접근시키기 위해 화물차의 반복적인 운전조작이 필요치 않으므로 하역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셋째, 화물차를 정밀하게 리프트 장치에 접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화물차가 리프트장치에 충돌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보조플레이트의 선단에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보조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될 때 화물차에 보조플레이트가 부딪히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4는 도2 및 도3의 X-X방향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보조플레이트(120)의 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승강수단(150)과, 상부플레이트(110)와, 보조플레이트(120) 및 지지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15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링크장치(152)와, 상기 링크장치(152)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은 통상 유압실린더(155)가 채택되고 있으며, 유압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해 링크장치를 동작시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를 승강시킨다.
상기 링크장치(152)는 X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프트장치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흔히 채용되고 있는 주지의 링크구조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상기 링크장치(152)의 상부에 설치되어 화물이나 승강대상물이 적재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일측은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그 중간부분에 절개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 개부(113)는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상판부(121)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될 경우, 그 절개부의 양측에는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16,117)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절개부(113)의 양측면 즉, 상기 각 돌출부(116,117)의 절개부(113) 쪽의 측면에는 보조플레이트(121)의 롤러(124)가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15)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롤러(124)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그 하부의 롤러받침판(118)과 그 상부의 상측안내판(11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측안내판(119)은 상기 롤러(124)가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는 지지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고정되어 상부플레이트(110)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 승강수단(150)의 링크부재(152)가 연결되어 상부플레이트(110)의 승강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4 및 도5는 보조플레이트(12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플레이트(120)는 상기 절개부(113)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는 수단이다. 상기 보조플레이트(120)는 그 몸체를 이루면서 후술하는 유압실린더(125)와 연결되는 몸체부(122)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부(121)로 이루어지며, 상판부(121)는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부를 덮은 채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동작은 구동수단 즉, 유압실린더(125)의 신축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롤러(124)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15)에 설치된 롤러받침부(118) 위에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롤러(124)의 축은 보조플레이트(120)의 선단부에 화물이 올려질 경우 상당한 전단응력을 받는 점을 고려하여 충분한 강도로 형성하되, 상기 선단부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후방쪽 롤러(124)의 축의 강도를 보다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큰 중량의 화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124)들은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되어 상부플레이트(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때, 상기 가이드부(115)를 벗어나지 않도록 몸체부(122)의 후방 측에 치우쳐서 설치된다.
상기 보조플레이트(120)를 슬라이딩시키는 유압실린더(125)는 지지플레이트(130)에 매입되어 설치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는 유압실린더가 매입될 수 있도록 정방형 단면의 긴 공간부로 이루어진 실린더안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안착부(132)에 유압실린더(125)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25)의 피스톤은 보조플레이트(120)의 몸체부(122)와 브라켓(123)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동작이나, 상기 승강수단(150)의 승강동작을 위해서는 유압실린더(125,155)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선단에는 거리감지센서(126)가 설치된다. 상기 거리감 지센서(126)는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리프트장치(100)에 접근하여 주차되어 있는 화물차 쪽으로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 될 때 상기 거리감지센서(126)가 화물차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설정된 거리에서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동작이 정지될 수 있도록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감지신호는 리프트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리감지센서(126)가 동작 중에 화물차가 후진하여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에 접근 시 상기 거리감지센서(126)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리프트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돌출되지 않은 위치 즉, 원위치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110)의 단부의 측면에는 위치감지수단(114)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114)은 구체적으로 리미트스위치 또는 광학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몸체부(122)가 상부플레이트(110)의 단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복귀하였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114)으로부터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몸체부(122)가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단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복귀하였다는 신호가 발생되면, 승강수단(15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플레이트(110)의 승강동작이 진행될 경우, 지표면 아래에 형성된 리프트 수용공간(400)의 경계부(410)나 화물차의 후미(223) 등 주면물체에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부딪힐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상부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완전히 함입되고 난 이후에 리프트장치의 승강동작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100)의 사용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6에서와 같이 리프트장치(100)에 화물차(200)가 접근하여 보조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되어 돌출됨으로써 리프트장치의 상부플레이트(110)와 화물차의 화물적재공간(22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화물(300)의 하역작업은 리프트장치의 상부플레이트(110)와 보조플레이트(120) 및 화물차의 화물적재공간(220)의 바닥부의 높이가 대략 일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100)의 동작과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화물차에서 화물을 하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리프트장치(100)는 승강수단(15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155)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플레이트(110)가 적정한 위치까지 상승한다. 이후, 화물을 싣고 있는 화물차(200)가 리프트장치(110) 방향으로 후진하여 적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상기 화물차(200)가 정지하여 자리를 잡으면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에 설치된 보조플레이트(120)가 상기 화물차(200)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화물차(200)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상기 화물차(200)가 정지한 상태에서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와 화물차(200)의 화물적재공간(220)의 바닥부가 대략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승강 수단의 승강동작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감지수단(114)의 감지신호에 따라 보조플레이트(120)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임이 확인된 후에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한편, 보조플레이트(120)를 오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화물차(200)와 부딪히지 않도록 상기 거리감지센서(126)가 상기 화물차(200)의 후미(223)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설정된 거리 이상 화물차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거리감지센서(126)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동작이 강제로 종료되도록 한다.
보조플레이트(120)가 적정위치에서 정지된 후, 상기 화물차의 화물적재공간(220)에 있는 화물은 상기 리프트의 상부플레이트(110)로 옮겨진다. 화물의 종류에 따라서 밀어서 옮겨 싣는 경우에는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가 화물적재공간(220)의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거나 근소하게 낮은 위치가 되도록 리프트장치(100)를 조작하여 둔다. 화물이 옮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플레이트(121)는 화물이 상부플레이트(110)와 화물차(200) 사이의 공간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 공간으로 인해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단부가 턱이 되어 화물이 부딪히면서 충격을 받는 위험도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보조플레이트(120)는 돌출되는 측을 제외한 3방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부를 덮고 있는 구성이므로, 화물이 상측에서 이동하고 있는 시점의 보조플레이트(120)는 전체적으로 넓은 범위의 분포하중을 받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중이 특정부분에 집중되어 발생하는 국부적인 파손의 위험을 방 지하게 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화물차에서 화물을 상차하는 과정은,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가 바닥면까지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 화물을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 적재하고 승강수단(1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부플레이트(110)를 상승시킨다. 이후 화물차(200)가 리프트장치(110) 방향으로 후진하여 적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상기 화물차(200)가 정지하여 자리를 잡으면 상기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에 설치된 보조플레이트(120)가 상기 화물차(200) 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화물차(200)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된다. 상기 화물차(200)가 정지한 상태에서 리프트장치(100)의 상부플레이트(110)와 화물차(200)의 화물적재공간(220)의 바닥부가 대략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승강수단(150)의 승강동작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과 작용은 전술한 바와 큰 차이가 없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1은 종래의 리프트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보조플레이트의 슬라이딩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상세구조도이다.
도5은 본 고안의 보조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프트장치 110 : 상부플레이트
113 : 절개부 114 : 위치감지수단
115 : 가이드부 116,117 : 돌출부
118 : 롤러받침판 119 : 상측안내판
120 : 보조플레이트 121 : 상판부
122 : 몸체부 123 : 브라켓
124 : 롤러 125,155 : 유압실린더
126 : 거리감지센서 130 : 지지플레이트
132 : 실린더안착부 150 : 승강수단
152 : 링크부재 200 : 화물차
220 : 화물적재공간 223 : 화물차의 후미
300 : 화물 400 : 리프트 수용공간
410 : 리프트 수용공간의 경계부

Claims (6)

  1. 화물이 적재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150)과,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될 수 있는 보조플레이트(120)와,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120)는 상판부(121)와 몸체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116,117)가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부(121)는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일부를 덮은 채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22)의 양측에는 롤러(12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24)는 상기 돌출부(116,117)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5)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가 그 상측에서 고정되고 상기 승강수단(150)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측면 중 상기 슬라이딩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외측 방면 측에는 거리감지센서(1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돌출되지 않은 위치에 있음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114)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을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25)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0)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안착부(132)에 내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포함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설정된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위치감지수단(114)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플레이트(120)가 상부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완전히 함입된 이후에 리프트장치의 승강동작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25)와 상기 보조플레이트(120)의 몸체부(122)는 브라켓(123)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90008740U 2009-07-07 2009-07-07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KR200447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40U KR200447304Y1 (ko) 2009-07-07 2009-07-07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40U KR200447304Y1 (ko) 2009-07-07 2009-07-07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304Y1 true KR200447304Y1 (ko) 2010-01-13

Family

ID=4421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740U KR200447304Y1 (ko) 2009-07-07 2009-07-07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098B1 (ko) * 2014-09-18 2015-08-17 하나물류기계 주식회사 적재용 리프트
CN107572443A (zh) * 2017-10-14 2018-01-12 福州大学 一种重载超低限位剪叉式液压升降机及其工作方法
KR20210115312A (ko) * 2020-03-12 2021-09-27 노은영 휠체어 리프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98A (ja) * 1991-03-11 1994-02-15 Hajime Ban 斜行リフト
JPH0625293U (ja) * 1992-08-31 1994-04-05 株式会社ジット 車椅子昇降移動装置
KR970003792Y1 (ko) * 1994-11-14 1997-04-23 엘지산전 주식회사 시저리프트의 플랫폼확장장치
JPH11199186A (ja) * 1998-01-09 1999-07-27 Koyo Sangyo Kk 階段段差解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98A (ja) * 1991-03-11 1994-02-15 Hajime Ban 斜行リフト
JPH0625293U (ja) * 1992-08-31 1994-04-05 株式会社ジット 車椅子昇降移動装置
KR970003792Y1 (ko) * 1994-11-14 1997-04-23 엘지산전 주식회사 시저리프트의 플랫폼확장장치
JPH11199186A (ja) * 1998-01-09 1999-07-27 Koyo Sangyo Kk 階段段差解消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098B1 (ko) * 2014-09-18 2015-08-17 하나물류기계 주식회사 적재용 리프트
CN107572443A (zh) * 2017-10-14 2018-01-12 福州大学 一种重载超低限位剪叉式液压升降机及其工作方法
KR20210115312A (ko) * 2020-03-12 2021-09-27 노은영 휠체어 리프트 장치
KR102347125B1 (ko) * 2020-03-12 2022-01-03 노은영 휠체어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13393B (zh) 用于车辆的剪式升降机
US3687321A (en) Load carrying vehicle
JP4284611B2 (ja) 搬送装置
EP2826738A1 (en) Latching mechanisms for removable chocks
WO2018014641A1 (zh) 一种具有升降平台的自动导引运输车
KR200447304Y1 (ko) 보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리프트장치
EP1775246B1 (en) Modular lifting means
KR101689028B1 (ko)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CN210594385U (zh) 高度跟随调整系统及装车系统
CN214166733U (zh) 一种货物转运车自动对接平台
JP2004161269A (ja) 航空機の積込み又は荷卸ろし方法及び走行可能な航空機積込み装置
JP5280138B2 (ja) 昇降載置台付台車
US20170217696A1 (en) Lift beam system
JP7212054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装置及びコンテナクレーン装置の制御方法
EP3403955B1 (en) Bottom seal assembly for dock ramp
JP2001187695A (ja) ドックレベラー
CN109650294B (zh) 一种货叉机构
CN115849042B (zh) 多功能装卸货升降设备
JP3713704B2 (ja) 貨物自動車用リフト装置
CN213109837U (zh) 一种自动防撞的行李传送车
JP3148374U (ja) クレーン付き車両運搬車の荷台破損防止装置
EP3971119A1 (en) Loading/unloading station comprising a ramp
CN218088005U (zh) 一种物流卸货平台
GB2500764A (en) A platform with a levelling func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s
US11919731B2 (en) Blocking apparatus for a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