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876Y1 - 점착식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점착식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76Y1
KR200446876Y1 KR20090008756U KR20090008756U KR200446876Y1 KR 200446876 Y1 KR200446876 Y1 KR 200446876Y1 KR 20090008756 U KR20090008756 U KR 20090008756U KR 20090008756 U KR20090008756 U KR 20090008756U KR 200446876 Y1 KR200446876 Y1 KR 200446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onded
paper
fusion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8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헌수
Original Assignee
박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수 filed Critical 박헌수
Priority to KR20090008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6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 A41C3/065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e.g.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착식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발포 시트; 상기 발포 시트의 양 측면에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기 접착되어 적층체를 이루는 내·외측 내피 직물지; 상기 적층체의 양 측면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적층체 보다 면적이 넓어 가장자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 및 상기 내측 외피 직물지 상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가슴에 점착되는 점착제 층;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외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내·외측 내피 직물지의 외곽부를 아우르는 외곽부에서 핫 멜팅 융착되어 접착되며 상기 적층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서 서로 직접 융착 접착되는 융착 마감 날개부; 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내측 내피 직물지의 전 면적에 대해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상기 외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외측 내피 직물지에 대해 외곽부에서만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나머지 중앙부에서는 서로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별도의 외피 직물지를 양측에 씌워 해당 외피 직물지의 외곽부 간을 서로 핫 멜팅 융착하여 두께가 매우 얇은 융착 마감 날개부를 형성하므로, 해당 융착 마감 날개부에 의해 단부에서 내부의 적층 구조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마감 단부가 착용자의 피부를 마찰하거나 상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게 밀착되어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마감 단부가 전혀 돌출되지 않아 옷 맵시를 해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래지어, 점착식

Description

점착식 브래지어{ADHESIVE BRASSIERE}
본 고안은 착용자의 가슴에 직접 탈착 가능하게 점착될 수 있는 두 개의 브라 컵으로 구성되는 점착식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 시트를 양측에서 내피 직물지로 피복한 종래의 브라 컵을 양측에서 별도의 보다 큰 면적의 외피 직물지로 감싸 양측 외피 직물지의 외곽부를 핫 멜팅 융착하여 융착 마감 날개부를 형성하여 단부 마감함으로써, 융착 마감 날개부를 통해 내부의 적층 구조가 드러나지 않도록 하면서 융착 마감 날개부가 매우 얇게 형성되어 착용자의 가슴에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고, 융착 마감 날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과 융기가 반복되는 반복 패턴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 외피 직물지가 외곽부가 아닌 중앙부에서는 외측 내피 직물지와 접착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주름짐이나 접어짐의 표출이 가능함과 함께 외측 외피 직물지의 중앙부에 자수 무늬와 같은 문양 패턴을 도입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하고 고급스런 외장미를 연출할 수 있는 점착식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brassiere)는 성인 여성의 가장 기초적인 의류로서 여성의 가슴을 받쳐주고, 보호함과 아울러, 가슴 모양을 교정하여 상체의 이상적인 실루엣을 조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착용되는 의류이다.
이러한 브래지어 중 종래 형태의 것은 유방을 감싸는 컵 부분과 해당 컵 부분을 몸에 밀착시키고 걸어서 지탱하기 위한 밴드(즉, 어깨 밴드, 등 밴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밴드 부분에 의해 거추장스럽고 압박감이 느껴지며, 신체의 움직임도 부자유스럽고, 피부 손상과 가려움증이 유발되며, 밴드 부분이 흘러내리는 일도 빈번히 발생되고, 특히 노출이 심한 겉옷을 입는 경우 밴드 부분이 외부 노출되어 보기 흉하며, 얇은 재질의 겉옷을 입는 경우 밴드 부분이 외부 투시되어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밴드(즉, 끈)가 없는 브래지어가 개발되었고, 그것은 가슴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점착제를 통해 가슴에 탈착 가능하게 점착되는 바, 점착식 브래지어라 칭할 수 있다.
점착식 브래지어는 브라 컵의 내측면 상에 구비되는 점착제 층을 통해 가슴에 직접 붙였다가 떼어냈다가 하면서 반복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초기에는 브라 컵 자체가 실리콘 겔 패드로 구성되었는데, 그것은 실리콘 재질의 무거움에 따라 불편함을 야기하고, 통풍성도 불량하며, 피부 알레르기 반응까지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리콘보다 훨씬 가벼운 발포 시트를 이용하고, 해당 발포 시트의 내·외측을 직물지로 감싸 내측 직물지 상에 점착제 층이 형성되는 구성의 것이 개발되었다.
도 1은 발포 시트를 이용하는 점착식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브라 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점착식 브래지어는 동일한 구성의 좌·우측 한 쌍의 브라 컵(10)을 구비하며, 브라 컵(10)은 여성의 가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컵 형태를 갖는다.
브라 컵(10)은, 형태를 유지하며 경량성, 쿠션 변형성, 탄성 복원성 및 통기성을 제공하는 내측의 발포 시트(11)와, 해당 발포 시트(11)의 내·외측 표면을 피복하도록 접착되며 우수한 촉감, 경량성, 땀 흡수성 및 통기성을 제공하는 내·외측 직물지(13-i, 13-o)와, 내측 직물지(13-i) 상에 전반적으로 얇은 두께로 부착되어 착용자의 가슴에 점착되는 점착제 층(14)의 적층 구조로 일체화되게 이루어진다.
발포 시트(11)는 합성수지 발포체, 각종 스펀지류, 부직포류가 적정 두께의 시트 형태로 가공된 것으로, 열을 가하면서 실시되는 가압 성형에 따라 오목한 컵 형태로 성형되고, 그때 중심부는 적게 그리고 외곽부로 갈수록 심하게 가압되어 그 중심부는 두껍고 사방 단부로 갈수록 얇아지게 성형된다.
발포 시트(11)는 형태 유지성이 있어 성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두툼함에 따라 볼륨감을 발현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발포 구조에 따라 쿠션 변형성, 탄성 복원성 및 통기성 등을 제공한다.
내·외측 직물지(13-i, 13-o)는 발포 시트(11)를 양측에서 감싸도록 부착되어, 시간 경과에 따른 발포 시트(11)의 황변 현상이 외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포 시트(11)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아 트러블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며, 우 수한 촉감, 경량성, 땀 흡수성 및 통기성을 제공하고, 특히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장미를 나타낸다.
내·외측 직물지(13-i, 13-o)로는 가압 성형 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사용될 때 발포 시트(11)와 함께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가짐과 함께, 양호한 통기성과 촉감 및 땀 흡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종류의 직물지가 이용되며, 주로 스판 직물이나 인터락 구조의 직물이 이용되고 있다.
내·외측 직물지(13-i, 13-o)는 발포 시트(11)와 액상의 접착제(12)를 이용하여 접착되며, 해당 접착제(12)로는 아크릴 모노머를 용제로 용해 희석한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점착제 층(14)은 착용자의 가슴에 탈착 가능하게 점착되기 위해 내측 직물지(13-i) 상에 전반적으로 얇은 두께로 부착되는 것으로, 실리콘계,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등의 인체에 무해한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점착제 층(14)은 졸(sol) 상태의 점착제를 도포 후 오븐에 넣어 가열하여 겔(gel) 상태로 만들면서 점착제가 내측 직물지(13-i)에 붙거나 스며들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 층(14)은 대부분 유두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유두 주변 피부는 민감하여 분리될 때 쉽게 상처가 생길 수 있고, 오랜 시간 접촉되면 쉽게 알레르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통풍과 땀 냄새의 제거를 위한 적정 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점착제 층(14)은 사용자가 착용 시 약간 눌러주면 착용자의 가슴에 강하게 점착되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심하게 활동하여도 확고하게 제 위치에 점착 유지될 수 있고, 인위적이 힘이 가해지면 이물질의 잔류 없이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10)은 평판의 발포 시트(11)의 양면에 각기 액상의 접착제(12)를 이용하여 내·외측 직물지(13-i, 13-o)를 접착하여 적층 시트를 만든 후, 일정 규격으로 절단한 다음, 적층 시트를 서로 맞물리는 암, 수 금형 사이에 넣고 열을 가하면서 가압 성형하여 오목한 컵 형태로 만든다.
한편, 점착식 브래지어는 서로 개별적인 두 개의 브라 컵(10)으로만 구성되기도 하고, 두 개의 브라 컵(10)이 중간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 중, 중간에서 서로 연결되는 타입은 양쪽 유방을 모아주어 가슴을 보정할 수 있고, 두 개의 브라 컵(10)이 개별적으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어 보다 선호되는데, 그것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 연결수단으로서 서로 체결될 수 있는 암·수 체결구(20)를 갖는다.
도 3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의 단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해당 도면을 참조하면, 외곽 단부에서 적층 구조가 그대로 드러남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여지는 외관이 불량하고, 내·외측 직물지(13-i, 13-o)의 끝 올이 쉽게 풀릴 수 있으며, 날까로운 단부가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 컵(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감 직물지(15)를 씌워 봉제 결합하여 단부 마무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봉제하여 단부 마감하면, 봉재부가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브라 컵(10)이 사용자의 가슴에 밀착되지 못하고, 봉재부가 사용자의 피부를 마찰하여 자극하며, 브라 컵(10)의 테두리 윤곽이 뚜렷하게 돌출되어 아름다운 옷 맵시를 연출할 수 없고, 특히 봉재 작업은 고도의 기능 인력을 필요로 하여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며 또한 품질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과 도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외측 직물지(13-i, 13-o)로는 주로 단색의 밋밋한 직물이 이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다양하고 고급화된 외장미를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외측 직물지(13-o)가 발포 시트(11)의 외면에 전반적으로 접착되는 바, 직물지의 자연스러운 주름짐이나 접어짐이 표출될 수 없어 자연스러우면서 고급화된 외장미를 전혀 표출하지 못하고 있다.
즉, 현재의 점착식 브래지어는 예전의 완전 봉제식 브래지어에서와 같은 다양하고 고급화된 외장미를 전혀 연출할 수 없고, 디자인을 향상시키는데 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부에서 적층 구조가 드러나지 않도록 단부 마감하면서도 단부 마감부가 전혀 돌출되지 않고 오히려 착용자의 가슴에 부드럽게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단부 마감을 대량 생산 체제에 맞게 실시할 수 있는 점착식 브래지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하고 고급화된 외장미를 나타낼 수 있는 점착식 브래지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점착식 브래지어는, 발포 시트; 상기 발포 시트의 양 측면에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기 접착되어 적층체를 이루는 내·외측 내피 직물지; 상기 적층체의 양 측면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적층체 보다 면적이 넓어 가장자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 및 상기 내측 외피 직물지 상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가슴에 점착되는 점착제 층;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외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내·외측 내피 직물지의 외곽부를 아우르는 외곽부에서 핫 멜팅 융착되어 접착되며 상기 적층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서 서로 직접 융착 접착되는 융착 마감 날개부; 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내측 내피 직물지의 전 면적에 대해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상기 외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외측 내피 직물지에 대해 외곽부에서만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나머지 중앙부에서는 서로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내피 직물지에 대해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상기 외측 외피 직물지의 중앙부에는, 자수 무늬와 같은 문양 패턴; 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융착 마감 날개부의 가장자리부의 둘레를 따라 톱니 형상, 물결 형상과 같이 함몰과 융기가 반복되는 반복 패턴;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외피 직물지를 양측에 씌워 해당 외피 직물지의 외곽부 간을 서로 핫 멜팅 융착하여 두께가 매우 얇은 융착 마감 날개부를 형성하므로, 해당 융착 마감 날개부에 의해 단부에서 내부의 적층 구조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마감 단부가 착용자의 피부를 마찰하거나 상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으며, 오히려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게 밀착되어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마감 단부가 전혀 돌출되지 않아 옷 맵시를 해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피 직물지(특히, 외측 외피 직물지)를 내피 직물지 보다 고가 직물로 이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측 외피 직물지가 중앙부에서 외측 내피 직물지와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며, 외측 외피 직물지의 중앙부 상에 자수 무늬와 같은 각종 문양 패턴이 도입될 수 있고, 또한 융착 마감 날개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반복 패턴이 형성되므로, 예전의 완전 봉제식 브래지어에서와 같은 다양 하고 고급화된 외장미를 연출할 수 있고, 디자인성을 대폭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브라 컵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그 브라 컵에 대한 절결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포 시트(11)의 양 측면에 내·외측 직물지(이하, 설명의 편의상, 해당 직물지를 "내피 직물지"라 칭함)(13-i, 13-o)를 액상 접착제(12)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에 의해 적층체(s)를 만든 후, 열 가압 성형과 재단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내측면 상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면 종래의 브라 컵이 얻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층체(s)로 형성되고 아직 점착제 층(103)이 형성되지 않은 반제품 상태의 적층체(s)의 내·외측 양 측면에 보다 면적이 넓어 가장자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를 씌워 접착 결합하되, 내·외측 내피 직물지(13-i, 13-o)의 외곽부를 아우르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 간의 외곽부를 핫 멜팅(hot melting) 융착하여 직물지들 간을 서로 접착하며, 그에 따라 내부 적층체(s)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가 서로 직접 융착되어 두께가 매우 얇도록 융착 마 감 날개부(w)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적층체(s)의 적층 구조가 단부에서 외부 노출되는 것을 막으면서, 융착 마감 날개부(w)의 두께가 매우 얇아 부드럽도록 하면서 착용자의 가슴 주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적층체(s)를 열 가압 성형 및 재단까지 실시한 후, 그 양측에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를 접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내측 외피 직물지(102-i) 상에 점착제 층(103)을 형성하면, 브라 컵(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는 적층체(s) 보다 면적이 넓어 그것을 적층체(s)에 대해 씌웠을 때 단부가 적층체(s)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전 둘레에서 동일 길이 정도씩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 외피 직물지(102-o)와 외측 내피 직물지(13-o) 간에 핫 멜트 접착제(101)를 개재하고, 마찬가지로 내측 외피 직물지(102-i)와 내측 내피 직물지(13-i) 간에도 핫 멜트 접착제(101)를 개재한 후, 내부 적층체(s)의 외곽부를 아우르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의 외곽부를 열을 가하면서 가압하면, 개재된 핫 멜트 접착제(101)가 용융되어 직물지들에 스며들면서 상호 접착된다.
핫 멜트 접착제(101)는 150℃ 정도의 열을 가하면 용융되고 용융된 상태에서 가압됨에 따라 직물지들 내로 스며든 후 경화에 따라 접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핫 멜트 접착제(101)를 이용하면, 직물지(102-i, 102-o) 내로 스며들면서 접착될 수 있어 접착 부분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해당 핫 멜트 접착제(101)를 이용하여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가 서로 직접 접착됨에 따라 형성되는 융착 마감 날개부(w)는 마치 한 장의 직물지처럼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마감 단부를 거의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부에 단부 자국이나 마찰, 상해 등을 전혀 유발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부가 전혀 돌출되지 않아 옷 맵시를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핫 멜트 접착제(101)의 융착은 히터를 갖는 한 쌍의 암, 수 금형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핫 멜트 접착제(101)로는 핫 멜트 비닐 필림이나 핫 멜트 수지 분말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핫 멜트 비닐 필림은 적절히 재단하여 이용할 수 있고, 핫 멜트 수지 분말은 스크린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에만 도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측 외피 직물지(102-i)는 내측 내피 직물지(13-i)의 전 면적에 대해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됨으로써, 추후 내측 외피 직물지(102-i) 상에 형성되는 점착제 층(103)이 착용자의 가슴에 점착된 상태에서 내측 외피 직물지(102-i)와 내부 적층체(s)가 개별적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 외피 직물지(102-i)는 그 전 면적을 통해 핫 멜트 접착제(101)로 접착된다.
반면, 외측 외피 직물지(102-o)는 외측 내피 직물지(13-o)에 대해 외곽부에서만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넓은 면적에 해당되는 중앙부에서는 서로 접착되지 않고 분리됨으로써, 외측 외피 직물지(102-o)의 중앙부가 자연스럽게 주름지거나 접어질 수 있게 되어 자연스러움을 표출할 수 있으면서 해당 외측 외피 직물지(102-o)의 중앙부 상에 자수 무늬와 같은 문양 패턴(d-p)이 도입될 수 있어, 외부로 보여지는 해당 외측 외피 직물지(102-o)를 통해 다양하고 고급스러운 외장미가 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외피 직물지(102-o)가 외곽부에서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 그 외곽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핫 멜트 접착제(101)를 존재시켜 접착하거나, 아니면 전 면적에 대해 핫 멜트 접착제(101)를 존재시키되 외곽부에 대해서만 가열을 실시하여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단부를 핫 멜팅 융착으로 마감하면, 깔끔하고 미감이 뛰어난 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재봉 마감에 비해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 외측으로 드러나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102-i, 102-o)로는 내피 직물지(13-i, 13-o) 보다 고밀도 조직을 갖는 고가 직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외측 외피 직물지(102-o)는 더욱 그러하다.
관련하여, 외측 외피 직물지(102-o)는 그 중앙부에 대해 융착 접착이 실시되지 않는 바 중앙부의 표면 상에 자수 무늬, 인쇄 도안과 같은 각종 문양 패턴(d-p)을 도입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융착 마감 날개부(w)의 가장자리부의 둘레를 따라서는 톱니 형상, 물결 형상과 같이 함몰과 융기가 반복되는 반복 패턴(r-p)이 형성됨으로써, 외장미를 보다 제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복 패턴(r-p)은 융착 마감 날개부(w)를 형성 후 재단기 등을 이용하여 융착 마감 날개부(w)를 재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점착식 브래지어를 구성하는 양측 두 개의 브라 컵(100)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중간 연결수단으로서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암·수 체결구(200)가 결합,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암·수 체결구(200)는 융착 마감 날개부(w)에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그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그 부분의 융착 마감 날개부(w)는 보다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 컵의 단부를 촬영한 사진으로, 융착 마감 날개부(w)를 보여주며, 아직 해당 융착 마감 날개부(w)에 대해 반복 패턴(r-p)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 대한 것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점착식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의 단부를 촬영한 사진,
도 4는 종래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의 단부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에 대한 절결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점착식 브래지어의 브라 컵의 단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라 컵 11 : 발포 시트
12 : 액상 접착제 13-i : 내측 내피 직물지
13-o : 외측 내피 직물지 s : 적층체
101 : 핫 멜트 접착제 102-i : 내측 외피 직물지
102-o : 외측 외피 직물지 d-p : 문양 패턴
103 : 점착제 층 w : 융착 마감 날개부
r-p : 반복 패턴 200 : 암·수 체결구

Claims (3)

  1. 발포 시트;
    상기 발포 시트의 양 측면에 액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기 접착되어 적층체를 이루는 내·외측 내피 직물지;
    상기 적층체의 양 측면에 접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적층체 보다 면적이 넓어 가장자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외측 외피 직물지; 및
    상기 내측 외피 직물지 상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가슴에 점착되는 점착제 층;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외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내·외측 내피 직물지의 외곽부를 아우르는 외곽부에서 핫 멜팅 융착되어 접착되며 상기 적층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서 서로 직접 융착 접착되는 융착 마감 날개부; 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내측 내피 직물지의 전 면적에 대해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상기 외측 외피 직물지는,
    상기 외측 내피 직물지에 대해 외곽부에서만 핫 멜팅 융착으로 접착되고 나머지 중앙부에서는 서로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브래지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내피 직물지에 대해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상기 외측 외피 직물지의 중앙부에는,
    자수 무늬와 같은 문양 패턴;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브래지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마감 날개부의 가장자리부의 둘레를 따라 톱니 형상, 물결 형상과 같이 함몰과 융기가 반복되는 반복 패턴;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브래지어.
KR20090008756U 2009-07-07 2009-07-07 점착식 브래지어 KR200446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756U KR200446876Y1 (ko) 2009-07-07 2009-07-07 점착식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8756U KR200446876Y1 (ko) 2009-07-07 2009-07-07 점착식 브래지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76Y1 true KR200446876Y1 (ko) 2009-12-07

Family

ID=4600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8756U KR200446876Y1 (ko) 2009-07-07 2009-07-07 점착식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24Y1 (ko) 2011-07-14 2012-06-13 김승호 접착식 브래지어
US8360815B2 (en) 2010-04-19 2013-01-29 Eves Co, Ltd Adhesive brassiere manufactured by using barrier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504955A (en) * 2012-08-14 2014-02-19 Montfort Services Sdn Bhd A breast support member with a tapered edge
KR102394434B1 (ko) * 2021-09-24 2022-05-06 씨앤아이(주) 가슴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상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004A (ja) 1999-11-26 2001-06-12 Shoei Shalm Kk パッド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3106861U (ja) * 2004-07-28 2005-01-27 鏡清 陳 貼付型ブラジャー
KR100721789B1 (ko) 2004-09-09 2007-05-25 고이치 하츠모토 브래지어
KR100765822B1 (ko) 2007-02-22 2007-10-10 (주) 이브스 통풍성을 갖춘 부착형 브래지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004A (ja) 1999-11-26 2001-06-12 Shoei Shalm Kk パッド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3106861U (ja) * 2004-07-28 2005-01-27 鏡清 陳 貼付型ブラジャー
KR100721789B1 (ko) 2004-09-09 2007-05-25 고이치 하츠모토 브래지어
KR100765822B1 (ko) 2007-02-22 2007-10-10 (주) 이브스 통풍성을 갖춘 부착형 브래지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0815B2 (en) 2010-04-19 2013-01-29 Eves Co, Ltd Adhesive brassiere manufactured by using barrier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60824Y1 (ko) 2011-07-14 2012-06-13 김승호 접착식 브래지어
GB2504955A (en) * 2012-08-14 2014-02-19 Montfort Services Sdn Bhd A breast support member with a tapered edge
KR102394434B1 (ko) * 2021-09-24 2022-05-06 씨앤아이(주) 가슴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상의
WO2023048414A1 (ko) * 2021-09-24 2023-03-30 씨앤아이(주) 가슴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7267A (en) Brassiere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05227875B2 (en) Bra pad construction
KR20130141423A (ko) X 모양의 브래지어 지지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브래지어
JP6081351B2 (ja) カップ部を備えた女性用衣類及び女性用衣類の製造方法
JP3135471U (ja) シームレスブラジャー
KR200446876Y1 (ko) 점착식 브래지어
JP2017520688A (ja) 熱成形前に2つの繊維材料間に薄い中間接着層を収容する肌着
JP2004263315A (ja) 無縫製ブラジャー
KR200440915Y1 (ko) 브래지어
JP2004060102A (ja) ファンデーション等の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866070B2 (ja) 装身用パ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38310A (ja) 装身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8412A (ja) 装身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法
KR200381195Y1 (ko) 누디브라
JP3125955U (ja) 高弾性繊維ブラジャーカップ
TW572734B (en) Seamless bra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080004339U (ko) 봉제하지 않은 브래지어의 연결밴드
CN114222508B (zh) 衣物及其制作方法
KR20190141488A (ko) 브래지어용 몰드컵 및 그 제조방법
CN203952478U (zh) 胸罩之弹性背带结构
CN217826815U (zh) 一种贴合提拉的加量防凸点透气文胸
TWI220857B (en) Integrally formed 3-D embossed bra
JP6960540B2 (ja) 整形パッド
IL177775A (en) Bra pad construction
CN101095558A (zh) 改进的胸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