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65Y1 -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65Y1
KR200445865Y1 KR2020080001127U KR20080001127U KR200445865Y1 KR 200445865 Y1 KR200445865 Y1 KR 200445865Y1 KR 2020080001127 U KR2020080001127 U KR 2020080001127U KR 20080001127 U KR20080001127 U KR 20080001127U KR 200445865 Y1 KR200445865 Y1 KR 200445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fixing
fixing device
connector housing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663U (ko
Inventor
조주철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1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6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 전환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커넥터에 일체로 고정가이드부를 다수개 구비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 원가를 감축되며, 조립 공정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높아지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차체패널, 커넥터, 터미널, 와이어 하네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Wire harness fixing device}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 전환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커넥터에 일체로 고정가이드부를 다수개 구비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어 생산 원가를 감축되며, 조립 공정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높아지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제어용 ECU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발전기인 얼티네이터 등과 같은 전기작동장치 및 오일과 같은 액체를 유·출입시키는 펌프 등과 같은 작동기기들은 통상 케이블이나 호스 등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게 되고 이와 같은 와이어
나 호스 등은 엔진룸이나 차체 형상을 따라 길게 배선되어지므로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패널부위로 고정되어진다.
특히,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작동장치들은 작동장치에서 인출된 와이어의 끝 부위에 심선을 고정하여 결합 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커넥터를 구 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흔들림이나 외력에 의해 그 접촉부위의 연결이 불량하게 되어 전류의 단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차체패널 고정되며,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는 타 장치에 연결되기 위해 방향 전환되어 고정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커넥터(10)와, 커넥터 둘레에 조립되어 커넥터(10)에 연결되는 터미널(20)의 와이어 하네스(22)를 고정하는 리어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커버(30)는 커넥터(10) 둘레에 조립되며, 와이어 하네스(22)를 방향 전환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와이어 하네스의 절곡 방향에 따라 리어커버를 각각 구비해야 해서 부품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생산 원가가 상승되며, 리어커버를 커넥터에 조립하는 조립 공정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 전환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부품수 및 부품관리비용을 감소시키고, 조립 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 커넥터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와이어 하네스가 연결된 터미널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삽입공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공 둘레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가이드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공 둘레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동시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 끝단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안착을 위해 관을 반으로 자른 형상으로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터미널은 양측에 오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공 둘레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테이프 또는 밴드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 전환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부품수 및 부품관리비용이 감소되고, 조립 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가 구비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고정되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고정되는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커넥터 하우징(112)과, 고정가이드부(13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자동차 부품 중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작동장치들은 서로 전기적 으로 연결된다.
이때,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기 위해 일 작동장치 측에는 터미널(120)이 연결되고, 타 작동장치에는 커넥터(1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10)는 커넥터 하우징(112)으로 이루어지며, 커넥터 하우징(112)의 일측에는 터미널(120)을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삽입공(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2)에 삽입된 터미널(120)의 와이어 하네스(122)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12)의 삽입공(114) 둘레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가이드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가이드부(130)는 커넥터 하우징(112)의 삽입공(114)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22)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가이드부(130)는 고정판(132)과, 고정부재(134)와, 걸림턱(136)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132)은 와이어 하네스(122)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안착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12)의 삽입공(114) 둘레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32)은 필요에 따라 각각 구비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여러 종류로 생산하게 되면 와이어 하네스(122)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32)은 와이어 하네스(122)의 안측을 위해 관을 반으로 자른 형상처럼 내측이 오목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터미널(120)은 양측에 오목홈부(121)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오목홈부(121) 각각은 커넥터 하우징(112)의 양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연장된 고정판(13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오목홈부(121)는 터미널(120)의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122)가 터미널(120)의 가장자리에 의해 절곡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122)를 측방향으로 배선시 위치 고정하기 위해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고정판(132)도, 오목홈부(121)와 동일하게,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122)의 절곡에 따른 변형 방지 및 와이어 하네스(122)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4)는 고정판(132)에 안착된 와이어 하네스(122)를 고정판(132)과 동시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34)는 테이프 또는 밴드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36)은 고정판(132)의 끝단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134)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12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하네스(122)가 연결된 터미널(120)은 커넥터 하우징(112)의 삽입공(11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120)에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122)를 연결하고자 하는 작동장치 측으로 절곡시켜 고정가이드부(130)의 고정판(132)에 안착시킨다.
상기 고정판(132)은 관을 반으로 자른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 하네스(122)의 안착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122)를 고정부재(134)인 테이프 또는 밴드케이블을 이용해 고정가이드부(130)의 고정판(132)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판(132)에 걸림턱(136)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재(134)의 이탈이 방지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122)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와이어 하네스(122)는 절곡된 상태로 고정가이드부(130)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1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하네스(122)를 직선상으로 배선시킬 경우엔 정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가이드부(130)에 안착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고정가이드부(130) 형성시 필요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구비하게 되면 와이어 하네스(122)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는 와이어 하네스(122)의 방향 전환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122)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112)에 일체로 고정가이드부(130)가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부품수 및 부품관리비용이 감소되며, 조립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와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가 구비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고정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고정되는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커넥터 하우징 120 : 터미널
122 : 와이어 하네스 130 : 고정가이드부

Claims (5)

  1. 와이어 하네스가 연결된 터미널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삽입공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공 둘레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다수개의 고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가이드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공 둘레에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동시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 끝단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안착을 위해 관을 반으로 자른 형상으로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터미널은 양측에 오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공 둘레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테이프 또는 밴드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KR2020080001127U 2008-01-24 2008-01-24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KR200445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27U KR200445865Y1 (ko) 2008-01-24 2008-01-24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27U KR200445865Y1 (ko) 2008-01-24 2008-01-24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63U KR20090007663U (ko) 2009-07-29
KR200445865Y1 true KR200445865Y1 (ko) 2009-09-08

Family

ID=4129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127U KR200445865Y1 (ko) 2008-01-24 2008-01-24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6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574A (ja) 1998-05-08 1999-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持具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0243510A (ja) * 1999-02-19 2000-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574A (ja) 1998-05-08 1999-11-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保持具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0243510A (ja) * 1999-02-19 2000-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63U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23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US9208922B2 (en) Shield connector
JP2009123519A (ja) シールドシェルの取付構造
JP2014053091A (ja) 電動車両の充電用の受電側コネクタ
JP2006508513A (ja) フレックスケーブルおよびidc配線ハーネス組立
US8804314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140227909A1 (en) Connector
JP2008123928A (ja) 端子金具と該端子金具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5715807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コネクター
JP2015521352A (ja) 電気デバイスおよびワイヤを具備した相互接続アセンブリならびに相互接続方法
JP2020055334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12235623A (ja) プロテクタ
JP2011234427A (ja) 電気接続箱
KR20044586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 장치
US11121483B2 (en) Terminal holder, wire harness, and fixing structure
AU2014303737B2 (en) Structure for routing power supply cables to electrically heated wire terminals
JP5800628B2 (ja) 電気接続箱
JP7168533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7706571B (zh) 电机
CN114447664A (zh)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具有电线的连接器
JP3147224B2 (ja) 電気接続箱
KR102338383B1 (ko) 정션블록용 대전류 단자 프로텍터
KR200428824Y1 (ko) 와이어 고정 장치
JP7313774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