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174Y1 -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 Google Patents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74Y1
KR200445174Y1 KR2020070011561U KR20070011561U KR200445174Y1 KR 200445174 Y1 KR200445174 Y1 KR 200445174Y1 KR 2020070011561 U KR2020070011561 U KR 2020070011561U KR 20070011561 U KR20070011561 U KR 20070011561U KR 200445174 Y1 KR200445174 Y1 KR 200445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eye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499U (ko
Inventor
최형규
Original Assignee
씨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씨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70011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7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그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공중인 건물의 둘레에 설치되는 비계파이프(20)에 결합되어 공사현장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막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다수의 아일렛(33)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시트(31)가 구비되고, 이 시트(31)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시트(31)의 넓이를 연장하도록 날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되어 접착 가능하도록 벨크로(34)가 구비되어 다수의 시트(31a,31b)를 서로 결합하도록 된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이 제공된다.
방음막, 시트, 벨크로, 결속수단, 아일렛, 비계파이프

Description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Soundproofing screen using in a field of construction work}
본 고안은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또는 해체가 용이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현장에서는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등이 현장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중인 건물의 둘레에 방음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종래에는 대개 우레탄 또는 철판으로 구비된 패널의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흡음재를 내장시켜 방음판을 형성한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음판을 도시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도록 전후면에 패널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패널판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에는 별도의 테두리부재(12)가 결합되어 방 음판(11)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방음판(11)은 다수가 서로 인접하여 수직 설치되어 방음벽(10)을 형성하며, 방음판(11)을 고정하기 위해 비계파이프(15)에 클램프(16)를 결합하고, 이 클램프(16)에 볼트(17)에 의해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음판(11)은 대개 철판을 사용하여 패널판이 구비되고, 내부에 흡음재가 내장되어 내구성이 있기는 하나, 이를 제작하는데 비용 및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피와 무게가 크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가 번거로우며, 또한 설치된 후에는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재설치하는데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그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시공중인 건물의 둘레에 설치되는 비계파이프(20)에 결합되어 공사현장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막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다수의 아일렛(33)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시트(31)가 구비되고, 이 시트(31)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시트(31)의 넓 이를 연장하도록 날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되어 접착 가능하도록 벨크로(34)가 구비되어 다수의 시트(31a,31b)를 서로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트(31)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에 근접된 위치에는 한 쌍의 홀로 이루어지는 아일렛(3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트(31)의 일면에는 결속공(36)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2)에는 상기 결속공(36)에 대응된 위치에 스트링(37)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공중인 건물의 둘레에 설치되는 비계파이프(20)에 결합되어 공사현장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막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둘레 및 중앙부에 다수의 아일렛(33,35)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는 넓이를 연장하도록 날개부(32)가 형성된 시트(31)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되어 접착 가능하도록 벨크로(34)가 구비되며, 상기 벨크로(34)에 의해 하나의 시트(31a)에 형성된 날개부(32)는 다른 시트(31b)에 겹치면서 접착되어 다수의 시트(31a,31b)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각 시트(31a,31b)는 상기 아일렛(33)을 통과하는 로프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결속수단(38)에 의해 상기 비계파이프(2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트(31)의 일측에는 결속공(36)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2)에는 상기 결속공(36)에 대응된 위치에 스트링(37)이 일체로 구비되며, 다수의 시트(31a,31b)가 상기 벨크로(34)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공(36)에 관통되는 스트링(37)에 의해 다수의 시트(31a,31b)가 추가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날개부(32)가 형성된 다수의 시트(31a,31b)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방음막(3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방음판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무게 및 부피를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 또는 해체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시트(31a,31b)를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방음막(30)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막(30)의 일부를 해체하거나 재설치할 때에 용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시트(31a,31b)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홀로 이루어지는 아일렛(35)이 더 형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결속수단(38)에 의해 비계파이프(20)에 결속되므로 방음막(30)의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된 다수의 결속공(36)과 스트링(37)이 구비되어 벨크로(34)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보다 더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31) 상에는 회사의 로고나 안전을 위한 문구 및 그림 등을 인쇄하기가 용이하며, 이에 의해 회사의 홍보 또는 안전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막(30)은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는 PVC 필름 또는 기타 천과 같은 시트(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시트(30)의 둘레에는 다수의 아일렛(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31)의 일측 가로면과 세로면에는 상기 시트(31)의 넓이를 연장하도록 날개부(32)가 재봉 또는 고주파 열융착에 의한 접착이 되어 있으며, 이때에 상기 날개부(32)를 포함한 시트(31)는 재단된 단부의 올 풀림방지를 위해 미리 시접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되어 접착되도록 벨크로(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벨크로(34)에 의해 하나의 시트(31a)에 형성된 날개부(32)는 다른 시트(31b)의 일면에 겹치면서 결합되고, 이에 의해 다수의 시트(31a,31b)는 틈새가 없이 결합되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시트(31)의 중앙부에는 별도의 아일렛(35)이 더 형성되어 시트(31)의 펄럭임을 방지하도록 결속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아일렛(35)은 시트(31)에 직접적으로 펀칭되어 구비되기보다는 별도의 시트조각에 아일렛(35)을 형성하여 이를 시트(31)에 재봉 또는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부착시켜 아일렛(35)을 통한 소음 및 분진으로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된 다수의 결속공(36)과 스트링(37)이 구비되며, 이에 의해 상기 벨크로(34)에 의해 다수의 시트(31a,31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한번 더 결속되어 보다 확실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설치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중인 건물의 둘레에는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자재를 운반하기 위한 비계가 설치하기 위해 비계파이프(20)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비계파이프(20)에 결합되어 공사현장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시트(31a)에 형성된 날개부(32)는 다른 시트(32b)의 일면에 겹치면서 결합되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때에 상기 다수의 시트(31a,31b)는 벨크로(34)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시트(31)와 날개부(32)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속공(36)과 스트링(37)에 의해 한번 더 결속되어 더욱 강하게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로 결합된 다수의 시트(31a,31b)는 하나의 방음막(30)을 형성하 게 되며, 이러한 방음막(30)은 상기 각 시트(31a,31b)의 둘레부에 형성된 아일렛(34)을 통과하는 별도의 와이어, 로프 또는 바인더와 같은 결속수단(38)에 의해 상기 비계파이프(20)에 결속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시트(31a,31b)의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홀이 형성된 아일렛(35)을 통과하는 결속수단(38)에 의해 비계파이프(20)에 결속하여 방음막(30)의 펄럭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공사현장의 외부에 노출되는 방음막(30)의 전면에는 단정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31)의 중앙부에 위치된 아일렛(35)과 날개부(32)의 스트링(37) 등과 같이 결속수단(38)에 의해 결속되거나 자체로 결속되는 구성은 시트(31)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시트(31)의 전면에는 회사의 로고나 안전을 위한 문구(40) 및 그림 등을 인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회사의 홍보 및 안전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방음판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무게 및 부피를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 또는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시트(31a,31b)를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방음막(30)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그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막(30)의 일부를 해체하거나 재설치할 때에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음판에 의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5)

  1. 시공중인 건물의 둘레에 설치되는 비계파이프(20)에 결합되어 공사현장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방음막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다수의 아일렛(33)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시트(31)가 구비되고, 이 시트(31)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시트(31)의 넓이를 연장하도록 날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31)와 날개부(32)에는 서로 대응되어 접착 가능하도록 벨크로(34)가 구비되어 다수의 시트(31a,31b)를 서로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시트(31)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에 근접된 위치에는 한 쌍의 홀로 이루어지는 아일렛(35)이 형성되고, 이 아일렛(35)은 상기 시트(31)와는 별도로 형성된 시트조각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시트(31)에 결합되며, 상기 시트(31)의 일면에는 결속공(36)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2)에는 이에 겹치는 다른 시트(31)의 상기 결속공(36)에 대응된 위치에 스트링(37)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70011561U 2007-07-13 2007-07-13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KR200445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61U KR200445174Y1 (ko) 2007-07-13 2007-07-13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61U KR200445174Y1 (ko) 2007-07-13 2007-07-13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99U KR20090000499U (ko) 2009-01-16
KR200445174Y1 true KR200445174Y1 (ko) 2009-07-06

Family

ID=4129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561U KR200445174Y1 (ko) 2007-07-13 2007-07-13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75A (ko) 2021-06-22 2022-12-29 임성범 에어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40B1 (ko) * 2019-05-16 2021-01-2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축소음 발산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549U (ko) * 1980-06-09 1982-01-11
JPH0225645U (ko) * 1988-08-04 1990-02-20
JPH0298154U (ko) * 1989-01-20 1990-08-06
JPH02252862A (ja) * 1989-01-25 1990-10-11 Nippon Ueeblock Kk 構造物の近傍に長尺大面積遮音シートを形成させる騒音防止遮音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549U (ko) * 1980-06-09 1982-01-11
JPH0225645U (ko) * 1988-08-04 1990-02-20
JPH0298154U (ko) * 1989-01-20 1990-08-06
JPH02252862A (ja) * 1989-01-25 1990-10-11 Nippon Ueeblock Kk 構造物の近傍に長尺大面積遮音シートを形成させる騒音防止遮音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75A (ko) 2021-06-22 2022-12-29 임성범 에어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499U (ko)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200476203Y1 (ko) 지붕패널의 설치구조
CA3051629C (en) Acoustic curtain
KR200445174Y1 (ko) 공사현장용 가설 방음막
JP5522671B2 (ja) 吸遮音パネル
JP5595691B2 (ja) 雨よけシート
KR200465143Y1 (ko) 경량화된 건축공사용 분진 및 소음 차단패널
JP3171747U (ja) 天井下地の野縁と野縁受け交差部の耐震接合金物
JP4634625B2 (ja) 防水層改修方法、及び、防水構造
JP6511252B2 (ja) 外壁パネル目地部耐火構造
KR101765090B1 (ko) 지주 매입 일체형 가설 방음벽
KR20070109152A (ko) 에어돔 설치구조
KR10055190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발포알루미늄 방음벽 설치 방법
JP2002089045A (ja) コンクリート基礎立ち上がり面の養生カバー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JP5118686B2 (ja) 耐震補強壁
KR20200050685A (ko) 채광 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102551579B1 (ko) 건축용 가설 가림막
CN210105054U (zh) 一种隔音幕墙连接结构
JP2020101049A (ja) 建築用部材及び建築用部材の設置構造
JP3670732B2 (ja) 工事現場用簡易防音壁と遮音方法
JP3070914U (ja) 防御簡易囲い
KR20200070160A (ko) 채광 기능을 갖는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용 방음시트
KR20230002261U (ko) 건설현장 가림막 설치용 클램프
JP2007002415A (ja) 基礎パッ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