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139Y1 -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 Google Patents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39Y1
KR200445139Y1 KR2020080000737U KR20080000737U KR200445139Y1 KR 200445139 Y1 KR200445139 Y1 KR 200445139Y1 KR 2020080000737 U KR2020080000737 U KR 2020080000737U KR 20080000737 U KR20080000737 U KR 20080000737U KR 200445139 Y1 KR200445139 Y1 KR 20044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chestnut
scissors
blade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만
Original Assignee
강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만 filed Critical 강석만
Priority to KR2020080000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1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for producing wavy, zig-zag, or like c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제1,2손잡이와, 상기 제1,2손잡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2손잡이와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겹친 상태에서 힌지고정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제1,2헤더와, 상기 제1헤더에 장착되는 톱니날과, 상기 제2헤더에 고정되고 상기 톱니날과 맞물리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은 상기 제1헤더에 리벳, 고정볼트, 고정나사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를 축으로 하여 회전유동되게 설치된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갖는 마늘 가위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마늘 껍질을 집어 뜯어내는 형태로 벗길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밤가위로도 겸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늘, 가위, 마늘가위, 탈피, 톱니날, 회전유동, 절삭날

Description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SCISSORS FOR ECDYSIS GARLIC AND CHESTNUT}
본 고안은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고 편안하게 마늘을 깔 수 있으면서 동시에 밤깎는 용도로도 겸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몸체를 껍질이 둘러싸고 있어 이를 탈피한 후 슬라이스하거나 혹은 다져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 식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주요한 양념중 하나이다.
이러한 마늘을 양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통마늘에서 쪽을 분리하는 작업과, 분리된 쪽의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병행되게 되는데, 주로 가정에서 수작업에 의해 소량씩 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마늘은 그 독특한 성분 특성상 매우 맵기 때문에 마늘 탈피가 쉽지 않고, 껍질을 까는 동안 많은 불편이 있어 최근에는 마늘 탈피기가 개발되었바, 이들 마늘 탈피기는 크게 마늘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하는 방법과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탈피하는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의 경우는 다량의 마늘의 껍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고 수분에 의한 마늘 의 손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마늘간에 또는 마늘과 기구간의 직접적인 압력으로 마늘의 표면이 손상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어 상품화하였을 경우 표면의 잔손상으로 소비자들의 호응도가 낮은 실정이고,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껍질을 물에 불린 상태에서 탈피하도록 하는데 직접적인 외부충돌에 의하여 마늘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쪽대의 제거가 어려우며 이의 제거를 위하여 마늘을 장시간 물에 불릴 경우 비록 그 표면은 깨끗하나 쉽게 변질될 우려를 가지고 있다.
이에, 가정에서 쉽고 간단하게 소량의 마늘 껍질을 깔 수 있는 기구들이 개발된 바 있으며, 일예로 등록특허 제664713호 '마늘 탈피용 가위'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가위는 주사용자인 주부들에게 부적합한 것으로, 이를테면 가위의 손잡이가 너무 넓게 벌어지고 단순 절단형 칼날을 구비하고 있어 마늘 껍질을 집어 뜯는 형태로 까는 것이 아니라 깎아내는 형태이고, 헤드 유격구조가 없으며, 날선 부위가 없어 밤가위로의 병행사용이 불가하여 경제적인 면이나 편리성 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이었다.
또다른 예로, 등록실용 제333751호 '마늘 가위'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마늘 껍질을 까는 것이 아니라 탈피된 마늘을 슬라이스화시키는 기구형태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바와 거리가 있다.
한편, 비교적 딱딱한 껍질을 갖는 견과류, 특히 밤과 같은 것을 깎기 위한 가위로, 일명 '밤가위'라 불리우는 가위들도 대거 출시된 바 있으나, 이들은 단지 밤과 같은 견과류의 껍질 깎기용으로만 개시되었을 뿐 이를 마늘 껍질 까기용으로 사용된 예는 없었다.
이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밤가위들의 구조적인 문제로부터 기인된다.
즉, 도시된 대표적인 밤가위는 힌지(1)를 중심으로 고정손잡이(10)와 가변손잡이(20)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2)이 설치되어 이들 손잡이가 탄성적으로 동작되게 하며, 이들 손잡이의 선단에는 헤더부를 구성하되 일측에는 고정날(11)을 그리고 타측에는 절삭날(21)을 구비하여 밤을 용이하게 깎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손잡이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가변손잡이(20)의 측부에 작동손잡이(31)를 두어 가변손잡이(20)를 고정손잡이(10)에 잠글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성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밤가위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을 깎기 위해서는 특히, 밤의 평평하고 납작한 부위를 깎아야 하기에 칼날이 구비된 헤더부가 최대한 벌어져야 하고, 적어도 30mm 이상 최대 40mm까지는 벌어져야(파지거리 8~10cm) 하므로 그렇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마늘 가위로 겸할 경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악력을 가진 주부들이 주로 사용할 때 힘이 부쳐 얼마 사용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마늘 껍질의 탈피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고, 사용상 기피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는 마늘 뿌리의 크기를 감안할 때 최대 10~12mm까지만 벌어져도(파지거리 4~5cm) 용이하게 마늘 껍질을 탈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전용 가위 가 없었기 때문에 밤가위를 전용할 경우 생기는 현상들이다.
또한, 도 2의 (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밤가위는 견과류에 속하기 때문에 그 껍질(50)을 깎아내기 위해서는 고정날(11)과 절삭날(21)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고정날(11)을 중심으로 하여 절삭날(21)이 유동되면서 껍질(50) 속으로 파고들면서 껍질(50)을 깎아내게 된다.
그런데, 마늘 껍질은 견과류인 밤껍질과 달리 두께가 약 0.1mm 내외로 지극히 얇아 도 2의 (b),(c)와 같이 칼날이 엇갈린 구조를 갖게 되면 그 엇갈린 만큼의 틈새로 마늘 껍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마늘 껍질을 탈피, 즉 뜯어낼 수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밤가위 또는 기타 마늘 탈피용 가위 등은 헤더부를 오므렸을 때 고정날(11)과 절삭날(21)이 상부로 벌어져 있거나 혹은 하부로 벌어져 있어 두 칼날이 정확하게 맞물리지 못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마늘 껍질을 집어 뜯을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 밤가위로는 마늘 껍질 탈피를 위해 겸용할 수 없었고, 또는 기존의 마늘 탈피용 가위로는 밤가위로의 겸용을 역시 할 수 없었으며, 설혹 겸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효용성이 지극히 낮아 사용하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마늘의 껍질을 손쉽고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도록 하여 주부들의 가사노동을 경감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밤가위로도 겸용할 수 있게 되어 가위의 활용도를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한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2손잡이와, 상기 제1,2손잡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2손잡이와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겹친 상태에서 힌지고정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제1,2헤더와, 상기 제1헤더에 장착되는 톱니날과, 상기 제2헤더에 고정되고 상기 톱니날과 맞물리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은 상기 제1헤더에 리벳, 고정볼트, 고정나사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를 축으로 하여 회전유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헤더에는 상기 톱니날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는 적어도 2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톱니날 혹은 상기 제2헤더의 절삭날 대향단면에는 톱니형 긁개가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의 일부에는 상기 제1연결대 또는 제2연결대의 회동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용 레버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손잡이의 외측면에는 검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 사이에 위치 되고 이들이 걸림되는 'T'형상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의 상단면에는 엄지손가락이 걸림되는 'ㄱ'형상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톱니날의 선단면은 무디게 형성되되 하측으로 첨탑을 이루고, 상기 톱니날과 접촉되는 절삭날은 상기 톱니날의 무딘 면을 향해 선단이 뾰족하게 첨탑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헤더는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끼리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유동되도록 볼트체결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갖는 마늘 가위를 통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마늘 껍질을 집어 뜯어내는 형태로 벗길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밤가위로도 겸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b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위의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마늘 가위의 예시도이다.
[제1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위의 제1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밤깎는 가위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밤깎는 가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힌지(100)와,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제1손잡이(110) 및 제2손잡이(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개재되어 이들 제1,2손잡이(110,120)에 탄성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밤깎는 가위 구조에서,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밤가위를 겸한 마늘 가위는 도 3a에서와 같이, 제1손잡이(110)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된 제1헤더(112)와, 상기 제2손잡이(120)의 선단에 일체로 고정된 제2헤더(122)와, 상기 제1헤더(112)에 탈부착할 수 있는 톱니날(114)과, 상기 제2헤더(122)에 견고히 고정된 절삭날(124)을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톱니날(114)과 절삭날(12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제조비용 절감을 위해 모두 합성수지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톱니날(114)과 절삭날(122)은 금속, 특히 철 혹은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톱니날(114)을 지지하는 제1헤더(112)의 경우도 상기 톱니날(114)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고정성 측면에서 볼 때 좋다.
그리고, 상기 톱니날(114)은 볼트, 나사 혹은 리벳과 같은 고정부재(130)에 의해 상기 제1헤더(112)에 유동성을 갖고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유동성이란 큰 회전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한 범위, 이를테면 1~2mm의 범위내에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톱니날(114)이 상기 절삭날(124)과 맞물렸을 때 도 2의 (d)와 같 은 현상을 상기 톱니날(114)의 유동성이 보완하여 톱니날(114)과 절삭날(124) 사이의 간격(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절삭날(124)은 상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절삭날(124)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동일평면상에 배치된 톱니날(114)은 제1,2손잡이(110,120)의 근접동작에 의해 맞물리게 되는데, 이때 톱니날(114)이 도 2의 (d)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더라도 톱니날(114) 자체가 고정부재(13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유동가능한 구조이므로 결국 상기 톱니날(114)은 상기 절삭날(124)과 정확하게 틈새없이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A-A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톱니날(114)의 선단면(T1)이 다소 무디게 형성되되 그 하측으로 첨탑(T2)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톱니날(114)과 접촉되는 절삭날(124)은 기존과 같이 선단이 뾰족하게 전방을 향해 첨탑(T3)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이 어느 정도 어긋나더라도 그 어긋나는 정도가 미세하므로 충분히 상기 톱니날(114)의 선단면(T1)이 무딘 폭(H)의 범위에 들기 때문에 마늘 껍질을 집을 때 톱니날(114)과 절삭날(124)간 틈새가 없으므로 마늘 껍질이 빠져나가거나 잘 집어지지 않아 껍질을 벗길 수 없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밤가위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톱니날(114)의 선단면(T1)중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첨탑(T2)이 밤과 같은 견과류에 박히면서 지지점을 형성하게 되므로 도 2의 (b)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던 밤 깎을 때의 동작과 동일하게 되어 무리없이 손쉽게 밤 껍질을 깎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톱니날(114)은 도 3b의 (a)중 원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걸림돌기(116)와 유격(D)을 갖고 회전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의 유격(D)은 1~2mm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돌기(116)는 상기 제1헤더(112)의 표면 적소에 프레스가공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b의 (b)에 나타낸 변형예에서와 같이, 톱니날(114)의 배면 상단부에는 톱니형상을 갖는 긁개(118)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긁개(118)는 마늘 껍질 탈피후 마늘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속껍질을 벗겨내기에 유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긁개(118)는 도시된 톱니날(114)의 배면 상단에 국한하여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절삭날(124)이 고정된 제2헤더(122)의 배면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3a 및 도 3b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힌지(100)를 중심으로 제1손잡이(110)와 제1헤더(112)를 연결하는 원형상의 제1연결대(150)가 구비되며, 제2손잡이(120)와 제2헤더(122)를 연결하는 원형상의 제2연결대(160)가 구비되는데, 제1,2손잡이(110,120) 혹은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의 유동을 일정한 범위내로 제한하는 간격유지 기능을 갖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 기능을 갖는 수단은 걸림홈(170)과 레버(18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170)과 레버(180)는 제1손잡이(110)와 제2연결대(160) 간 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제2손잡이(120)와 제1연결대(150) 간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제1손잡이(110)에 레버(180)가 축(18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연결대(160)의 외주면 일부에 걸림홈(170)이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대(150)와 제2연결대(160)는 서로 엇갈려 접촉배치(도 3b의 (d) 참조)되되 접촉되는 면이 홈형태로 절삭가공되어 있어 양자를 상하로 겹쳤을 때 하나의 손잡이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게 되므로, 도시상 마치 하나의 원형체인 것처럼 보이지만 두 개가 겹쳐져 있는 구조이며, 구분을 위해 하부에 위치되는 제2연결대(160)를 점선(파선)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레버(180)는 도시와 같이, 간격유지턱(186)을 갖고 제1손잡이(110)의 측면에 삽입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170)은 기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간격유지턱(186)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이 걸림홈(170)의 길이 내에서 상기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이 회전유동되면서 동작되도록 안내하되, 걸림홈(170)의 길이내로 그 회전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턱(186)이 상기 걸림홈(170)에 걸릴 경우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의 유동범위는 일정범위내로 제한되어 유동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마늘 껍질을 쉽게 깔 수 있게 되어 주부가 사용하기 용이하고, 밤과 같이 비교적 평평한(납작한) 부위가 큰 견과류의 껍질을 벗기기 위해서는 더 넓은 폭(칼날간의 간격)이 필요하므로 레버(18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걸림상태를 해제 함으로써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의 유동폭을 최대로 하여 밤가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다른 한편, 도 3b의 (c)에서와 같이, 절삭날(124)이 고정된 제2헤더(122)를 상하로 분할하고, 이들간에 볼트로 축(122a)을 형성하여 돌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들 양자간에는 플랜지(122b)를 통해 서로 맞대진 상태에서 고정볼트(122c)로 고정하되, 이 고정볼트(122c)가 체결되는 구멍을 장공(122d)으로 형성함으로써 약간의 유동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톱니날(114)과 절삭날(124) 간의 상하단차를 극소화시키기 위한 또다른 변형예중의 하나로, 앞서 설명한 모든 구성에 다 적용될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도 3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손잡이(110,120)의 구조도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앞서 설명한 변형 가능한 모든 예들에 각각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b의 (d)와 같이, 상기 제1손잡이(110), 즉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이 파지되는 부분의 외측면에는 제1걸림돌기(210)가 대략 'T'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하여, 검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이 상기 제1걸림돌기(210)를 사이에 두고 끼워져 상기 제1걸림돌기(210)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돌기(210)의 돌출된 상단 내측면은 손가락과 원활한 접촉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손잡이(120), 즉 엄지가 파지되는 부분의 상단면에도 제2걸림돌기(22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220)는 대략 'ㄱ'형상으로 라운드져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꺽여진 부분에 엄지손가락의 안쪽면이 접촉되게 된다.
결국, 작업자의 손가락은 상기 제1걸림돌기(210)와 제2걸림돌기(220)에 의해 완전히 걸림되고 끼워진 형태가 되어 특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손잡이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작업시 자연스럽게 손가락과 손바닥 전체가 손잡이에 밀착되게 되므로 손잡이를 파지하는데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손이 작은 사람이나 손 힘이 약한 사람이 밤가위로 쓸 경우, 밤의 평평한 부분 껍질을 벗기기 위해서는 칼날을 완전히 벌려야 되는데 그렇게 되면 파지가 용이치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탈이 쉽고 힘도 많이 들게 되어 무척 불편하므로 장시간 사용키 어려우나, 본 고안의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1,2걸림돌기(210,22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시 걸려 있는 구조가 되므로 특별히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고, 손바닥 전체가 손잡이에 밀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힘도 적게 들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에 피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는 설명의 편의상 특정한 것에 불과할 뿐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서로 바뀌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덧붙여, 상기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톱니형돌기(230)가 대향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톱니형돌기(230)는 은행, 호두 등을 쉽게 깨뜨리는데 활용토록 하여 그 용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 밤가위 겸용 마늘 가위를 이용하여 마늘 껍질을 벗길 때에는 레버(180) 조절을 통해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의 간격이 일정범위내에서만 유동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마늘 껍질을 깔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톱니날(114)은 유동성을 갖게 되므로 이 톱니날(114)과 절삭날(124) 사이로 마늘의 껍질 부분을 위치시킨 후 제1,2손잡이(110,120)를 압착하게 되면 톱니날(114)이 마늘을 사이에 두고 절삭날(124) 쪽으로 근접되면서 접촉되는 순간 유격(D)의 범위내에서 유동되면서 절삭날(124)과 정확하게 일치되면서 칼날 끼리 틈새없이 마늘 껍질을 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늘 껍질을 쉽게 깔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마늘의 속껍질은 앞서 설명한 긁개(118)를 이용하여 긁어내는 형태로 작업할 수 있고, 손잡이가 굴곡된 형태로 제1,2걸림돌기(210,220)를 갖춘 것일 때에는 손에 걸리는 피로도도 현저히 경감되며, 작업의 용이성, 편의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후, 밤껍질을 깎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180)를 오픈시켜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이 최대한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밤껍질을 깎으면 된다.
[제2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마늘 가위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상의 제1연결대(150')와 제2연결대(160')가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이 힌지(1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각 연결대(150',160')의 일단에는 제1,2손잡이(110',120')가 연결되며, 타단에는 각각 제1,2헤더(112',122')가 연결되고, 이중 상기 제1헤더(112')에는 톱니날(114')이 고정부재(130')를 축으로 회전유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헤더(122')에는 절삭날(124')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2손잡이(110',120')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개재되어 이들에 탄성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손잡이(110',120')는 플라스틱이 사출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연결대(150',160') 및 제1,2헤더(112',114'), 톱니날(114'), 절삭날(124')은 금속, 바람직하기로는 철 혹은 스테인리스스틸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 제2실시예는 도 3a,b에 예시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제1,2연결대(150',160')의 형상과, 제1,2손잡이(110',120')의 형상이 약간 다를 뿐이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B-B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톱니날(114')의 선단면(T1)이 다소 무디게 형성되되 그 하측으로 첨탑(T2)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톱니날(114')과 접촉되는 절삭날(124')은 기존과 같이 선단이 뾰족하게 전방을 향해 첨탑(T3)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이 어느 정도 어긋나더라도 그 어긋나는 정도가 미세하므로 충분히 상기 톱니날(114')의 선단면(T1) 이 무딘 폭(H)의 범위에 들기 때문에 마늘 껍질을 집을 때 톱니날(114')과 절삭날(124')간 틈새가 없으므로 마늘 껍질이 빠져나가거나 잘 집어지지 않아 껍질을 벗길 수 없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또한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밤가위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톱니날(114')의 선단면(T1)중 하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첨탑(T2)이 밤과 같은 견과류에 박히면서 지지점을 형성하게 되므로 도 2의 (b)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던 밤 깎을 때의 동작과 동일하게 되어 무리없이 손쉽게 밤 껍질을 깎을 수 있게 되는 것 또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다.
또한, 도 4의 원안에 예시한 것처럼, 상기 톱니날(114')이 제1헤더(112') 표면에 돌출될 걸림돌기(116')에 의해 일정 범위내에서 유격을 갖고 걸림되면서 고정부재(130')를 축으로 회전유동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의 변형예들이 상기 제2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헤더(112')의 배면, 즉 상기 톱니날(114')이 설치된 대향측에 또다른 톱니형상을 갖는 긁개(118')를 도 3b의 (b)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하여 마늘 속껍질을 보다 용이하게 긁어 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긁개(118')는 상기 제1헤더(112')에만 국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헤더(122')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 제2실시예에서도 마늘 껍질 탈피시 주부들도 힘들이지 않고 장시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톱니날(114')과 절삭날(124')이 최대한 벌어지지 않고 일정간격을 두고 벌어지도록 도 5의 (a),(b)에서와 같은 간격유지레버(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레버(180')는 본 고안 제1실시예와는 달리 대략 'ㄷ'형상의 부재이다.
이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 달리 제1헤더(112')와 제1손잡이(110')를 연결하는 제1연결대(150') 및 제2헤더(122')와 제2손잡이(120')를 연결하는 제2연결대(160')가 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레버(180')는 상단면에 걸림홈(182')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고정공(184')이 형성되어 상기 제1손잡이(110') 혹은 제2손잡이(120')중 어느 하나에 고정구(186')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다.
물론, 도시된 예는 제1손잡이(110')에 설치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마늘 껍질을 탈피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간격유지레버(180')를 밀어 올려 회전시킨 다음 간격유지레버(180')에 형성된 걸림홈(182')에 상기 제1연결대(150') 혹은 제2연결대(160')의 측단면이 끼워지면서 걸림되도록 하여 이들의 벌어짐, 즉 개방각도를 일정각도 범위내로 한정할 수 있게 되므로 스프링(140'은 항상 어느 정도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전부터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고 편하게 잡고 있다가 마늘 가위로 쓸때에 작은 간격만큼만 힘을 주기만 하면 되므로 오랜시간에도 상대적으로 덜 지치고 쉽게 가위질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제1,2손잡이(110',120')의 경우에도 도 3b의 (d)에 도시하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제1,2손잡이(110,120)와 같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는 도 6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2실시예에 도시된 가위의 형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절삭날(310)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톱니날(320)을 2개로 분리 제작하되, 하나는 밤가위전용날(ㄱ)이고, 다른 하나는 마늘껍질전용날(ㄴ)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 밤가위전용날(ㄱ)과 마늘껍질전용날(ㄴ) 2개를 겹친 상태에서 고정볼트(300)로 풀고 조일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톱니날(320)도 회전유동가능하게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톱니날(320)을 유동가능하게 구성할 경우 밤가위전용날(ㄱ)은 유동없이 완전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단차면과 정확히 대응되게 안착되어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마늘껍질전용날(ㄴ)은 유동을 가져야 하므로 도시와 같이 단차면과 유격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밤가위로 사용할 경우에는 밤가위전용날(ㄱ)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마늘 가위로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볼트(300)를 풀어 밤가위전용날(ㄱ)과 마늘껍질전용날(ㄴ)을 들어낸 후 마늘껍질전용날(ㄴ)이 하부로 가게 한 상태에서 밤 가위전용날(ㄱ)을 도시와 같이 올려놓고 고정볼트(300)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밤가위로 혹은 마늘 가위로 선택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밤가위전용날(ㄱ)과 마늘껍질전용날(ㄴ)을 한 세트로 동일 몸체에 구성하고, 이 한 세트의 동일 몸체를 상기 톱니날(320)이 고정되는 헤더의 상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축설하여 필요에 따라 돌려가면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것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밤가위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밤가위에 대한 사용설명도,
도 3a,b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의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3실시예에 따른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힌지 110....제1손잡이
112....제1헤더 114....톱니날
116....걸림돌기 118....긁개
120....제2손잡이 122....제2헤더
124....절삭날 130....고정부재
140....스프링 150....제1연결대
160....제2연결대 170....걸림홈
180....레버 210....제1걸림돌기
220....제2걸림돌기 230....톱니형 돌기

Claims (7)

  1. 제1,2손잡이와, 상기 제1,2손잡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2손잡이와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겹친 상태에서 힌지고정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제1,2헤더와, 상기 제1헤더에 장착되는 톱니날과, 상기 제2헤더에 고정되고 상기 톱니날과 맞물리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은 상기 제1헤더에 리벳, 고정볼트, 고정나사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를 축으로 하여 회전유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에는 상기 톱니날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는 적어도 2개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 혹은 상기 제2헤더의 절삭날 대향단면에는 톱니형 긁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제2손잡이의 일부에는 상기 제1연결대 또는 제2연결대의 회동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용 레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의 외측면에는 검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이 걸림되는 'T'형상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의 상단면에는 엄지손가락이 걸림되는 'ㄱ'형상의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의 선단면은 무디게 형성되되 하측으로 첨탑을 이루고, 상기 톱니날과 접촉되는 절삭날은 상기 톱니날의 무딘 면을 향해 선단이 뾰족하게 첨탑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헤더는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끼리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유동되도록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KR2020080000737U 2008-01-17 2008-01-17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KR20044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37U KR200445139Y1 (ko) 2008-01-17 2008-01-17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37U KR200445139Y1 (ko) 2008-01-17 2008-01-17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139Y1 true KR200445139Y1 (ko) 2009-07-01

Family

ID=4135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737U KR200445139Y1 (ko) 2008-01-17 2008-01-17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7245A (zh) * 2014-10-26 2015-01-07 王志成 一种蒜头去皮工具
CN109497595A (zh) * 2018-12-29 2019-03-22 济南华庆农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蒜切根机上的双刀切根装置
US20230286069A1 (en) * 2022-03-09 2023-09-14 Russell Lee Roark Blade sharpener for oscillating multi-tool sawblad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A (ja) * 1994-02-25 1995-01-06 Tsutomu Yoneyama 栗の皮剥き器
JPH0856824A (ja) * 1994-08-20 1996-03-05 Tsutomu Yoneyama 皮剥き器
KR200426470Y1 (ko) * 2006-05-12 2006-09-18 구자선 가위
KR100664713B1 (ko) * 2006-05-17 2007-01-09 임민섭 마늘 탈피용 가위
KR100676505B1 (ko) * 2006-09-21 2007-02-01 (주)티엔디 밤 껍데기 까는 가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A (ja) * 1994-02-25 1995-01-06 Tsutomu Yoneyama 栗の皮剥き器
JPH0856824A (ja) * 1994-08-20 1996-03-05 Tsutomu Yoneyama 皮剥き器
KR200426470Y1 (ko) * 2006-05-12 2006-09-18 구자선 가위
KR100664713B1 (ko) * 2006-05-17 2007-01-09 임민섭 마늘 탈피용 가위
KR100676505B1 (ko) * 2006-09-21 2007-02-01 (주)티엔디 밤 껍데기 까는 가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7245A (zh) * 2014-10-26 2015-01-07 王志成 一种蒜头去皮工具
CN109497595A (zh) * 2018-12-29 2019-03-22 济南华庆农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蒜切根机上的双刀切根装置
US20230286069A1 (en) * 2022-03-09 2023-09-14 Russell Lee Roark Blade sharpener for oscillating multi-tool sawbla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294B2 (en) Cutting implement with interchangeable/replaceable blades
EP2098340A1 (en) Rotary cutter
CA2875320C (en) Garden tool
KR200445139Y1 (ko) 밤 및 마늘 껍질 까기용 가위
US8726799B2 (en) Avocado pitting device
US8539679B2 (en) Dual disk pizza cutter and methods
US7784190B2 (en) Can opener
US3286349A (en) Pastry cutting apparatus
US20100236074A1 (en) Corn stripper
US8342917B2 (en) Fish scaling assembly
JP3180909U (ja) 皮むき器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20190062945A (ko)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US1194838A (en) Culinary implement
KR20210006581A (ko) 다기능 요리용 가위
KR20060127551A (ko) 선을 꼬는 공구
CN210650776U (zh) 一种多功能厨房用鸡骨剪
CN218009283U (zh) 一种蒜体表皮剥离器
DE20300250U1 (de) Imkereimesser
JP3189680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20090004260U (ko) 밤가위
JP3119467U (ja) ショウガの皮取り具
SU1597167A1 (ru) Нож Мельниковского дл очистки овощей
CN112161518A (zh) 人体功学多功能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