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109Y1 -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 Google Patents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09Y1
KR200445109Y1 KR20090000254U KR20090000254U KR200445109Y1 KR 200445109 Y1 KR200445109 Y1 KR 200445109Y1 KR 20090000254 U KR20090000254 U KR 20090000254U KR 20090000254 U KR20090000254 U KR 20090000254U KR 200445109 Y1 KR200445109 Y1 KR 200445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e
paper
carton
present
car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0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태
김부삼
Original Assignee
안상태
김부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태, 김부삼 filed Critical 안상태
Priority to KR20090000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8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mil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를 테이퍼지도록 형성하고 분리수거시 몸체와 접이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 구획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폐 종이팩 몸체를 용이하게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어 분리수거가 편리하고 용이한 종이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팩은, 기존의 종이팩과 같이 자르고, 펴고, 눌러 묶는 불편함이 없어 자발적인 분리수거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팩의 분리수거를 위한 공간을 줄여 가정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종이팩, 분리수거, 테이퍼, 분리 구획부

Description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CARTON PACK FOR EASY RECYCLING}
본 고안은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수거시 다수의 폐 종이팩을 용이하게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어 분리수거가 편리하고 용이한 종이팩에 관한 것이다.
종이팩은 주로 위생적으로 안전이 필요한 우유, 음료, 두유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용기(容器)로, 살균제품포장용도로 사용되는 게이블 탑 카톤팩(Gable Top Carton)과 멸균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아셉틱 카톤팩(Aseptic Carton)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종이팩의 시장상황은 주로 유제품(우유류) 포장에 많이 쓰이는 게이블 탑 카톤팩이 80%이며, 두유, 쥬스류 포장에 사용되는 멸균포장재인 아셉틱 카톤팩이 20% 정도 차지하고 있다.
살균팩인 게이블 탑 카톤팩은 [PE(인쇄면) + 펄프1 + 펄프2 + 펄프3 + PE(내면)]로, 멸균팩인 아셉틱 카톤팩은 [PE(인쇄면) + 펄프 + PE + 알루미늄 + PE + PE(내면)]로 구성되어 있다. 종이팩에 사용되는 펄프는 주로 침엽수(Softwood)를 사용하여 해당 원지업체가 지리적으로 어느 지역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수종(樹種)도 달라진다.
종이팩의 대표적인 예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우유팩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에 접합면(1a, 2a)을 형성하여 두고 한 쌍의 횡방향 절첩선(1b, 2b)들로서 절첩되도록 형성된 절첩면(1c, 2c)의 상부 중앙에서 양측으로 경사지는 경사절첩선(1d, 2d)들이 각각 형성되는 전,후면판(1)(2)과, 상기 전,후면판(1)(2)들과 절첩가능하도록 교대로 연결되어서 최상단에 접합면(3a, 4a)을 형성한다. 또한, 한 쌍의 횡방향 절첩선(3b, 4b)들로서 절첩되도록 형성된 절첩면(3c, 4c)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전면판(1)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절첩선(3d, 4d)을 형성하여서 된 좌,우면판(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면판(1)(2)들 및 좌,우면판(3)(4)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박스형으로 조립하고 그 각각의 접합면(1a, 2a)(3a, 4a)들을 서로 접합시켜서 밀봉되게 하여 내부에 담긴 우유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우유팩을 사용할 때에 좌,우면판(3)(4)의 접합면(3a, 4a)과 접합되어 있는 전면판(1)의 접합면(1a)을 벌려서 개봉한 상태로 우유를 음용하게 되고, 우유팩 내에 우유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전면판(1)의 접합면(1a)을 다시 오므린 후에 냉장고에 넣어서 보관하게 된다.
우유팩을 포함한 종이팩은 최고급 천연펄프로 이루어져 있어, 다수의 공정을 거쳐 화장지 등 재생지의 생산 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째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집 원료로 쓰기 곤란한 원료를 분리하는 선별과정, 둘째 펄프와 비닐을 부드럽게 해리시켜 분리하는 고해과정, 셋째 가성소다를 투입하여 종이팩 인쇄잉크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약품처리과정, 넷째 미해리 원료를 세밀하게 해리시 킴과 동시에 미세하게 절단하고 해리되지 않은 섬유를 제거하는 정선과정, 다섯째 펄프화된 재생 원료를 물에서 건져 원지판에 붙여 초지를 완성하는 초지과정을 통해 원단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화장지, 티슈 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이팩을 적극적으로 분리수거할 필요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현재 무작위 배출되거나 일반 폐지와 혼합 배출되어 대부분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종이팩을 도 1과 같은 모양으로 펼치고 다수의 종이팩을 중첩시켜 배출하고 있다. 이는 수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종이팩의 분리수거는 소비자 입장에서 무척 번거로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종이팩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종이팩의 70%가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근래 음용 및 보관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종이팩의 접이부, 예를 들어 도 1의 절첩면(3c, 4c)에 플라스틱 마개 등이 구비된 종이팩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종이팩의 분리수거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검토한 결과, 분리수거시 용이하게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종이팩을 이용하여 종이팩의 분리수거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종이팩과 같이 자르고, 펴고, 눌러 묶는 불편함이 없어 자발적인 분리수거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팩의 분리수거를 위한 공간을 줄여 가정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종이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 및 밀봉과 개봉을 위한 접이 구조를 갖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종이팩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테이퍼(taper)지고, 상기 몸체와 상기 접이부 사이에 상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리 구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종이팩의 몸체는 횡단면이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상화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분리수거시 다단 적재가 가능하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테이퍼진 구조를 가지는데, 이때 테이퍼진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90° 내지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95° 내지 2.00°이다.
상기 분리 구획부는 분리수거시, 접이부와 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부와 몸체를 쉽게 찢어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이부와 상기 몸체의 각 외주면 사이로 찢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찢음부에 덧살이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덧살은 종이,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종이팩은 어떠한 종류의 종이팩이라도 가능하나, 우유팩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팩은, 몸체를 테이퍼지도록 형성하고 분리수거시 접이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폐 종이팩 몸체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종이팩과 같이 자르고, 펴고, 눌러 묶는 불편함이 없어 자발적인 분리수거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팩의 분리수거를 위한 공간을 줄여 가정내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접이부를 제거함으로써 플라스틱 마개 등이 구비된 종이팩도 간편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종이팩을 이용하면 폐 종이팩의 분리수거가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져 고가의 종이팩에 대한 재활용률을 증대시킴으로써, 자원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수입절감 효과와 환경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종이팩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301) 및 밀봉과 개봉을 위한 접이 구조를 갖는 접이부(305)를 포함하는 종이팩에 있어서, 상기 몸체(301)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테이퍼(taper)지고, 상기 몸체(301)와 상 기 접이부(305) 사이에 상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리 구획부(3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테이퍼(taper)진 구조라 함은 상기 몸체(301)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말한다. 테이퍼진 구조로 인해 상기 몸체(301)와 수직선 사이에 각이 형성되는데, 이를 테이퍼진 각도라 한다(도 4 참조). 상기 테이퍼진 각도는 분리수거시 다수의 몸체가 효율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종이팩의 크기, 형상,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90° 내지 4.00°가 바람직하며, 1.95° 내지 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도가 작을 경우에는 추후 설명될 몸체(301)의 포개짐 높이가 높아져 종이팩의 수거 효율이 떨어지며, 각도가 클 경우에는 안정성과 기존 종이팩과의 호환성이 떨어져 종이팩의 진열, 보관, 운반 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종단면도로서, 저면이 70mm의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이고, 높이가 195mm를 가지는 통상의 우유팩을 기준으로 설계하였을 때, 테이퍼진 각도는 2°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 구획부(303)는 소비자가 내용물을 소진한 후 폐 종이팩을 분리수거할 때, 접이부(305)와 몸체(301)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부(305)와 몸체(301) 사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접이부(305)와 몸체(301)를 쉽게 찢어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분리 구획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분리 구획부(30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 이부(305)와 상기 몸체(301)의 각 외주면 사이로 찢음부(501)를 형성하고, 상기 찢음부(501)에 덧살(503)이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찢음부(501)는 종이팩의 제조 과정에서 가압 및 가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에 의해 홈을 형성한 후 가열 과정을 통해 코팅 부위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찢음부(501)의 상면에 띠 형태의 덧살(503)을 부착시켜 분리 구획부(303)를 완성한다. 이러한 찢음부(501) 및 덧살(503)은 종이팩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띠 형태의 덧살(503)은 그 말단부를 부착하지 않음으로써 분리수거시 덧살(503)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덧살(503)은 내용물의 밀폐를 유지하되, 내용물이 소진된 후 몸체(301)와 접이부(305)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덧살을 먼저 분리함으로써 몸체(301)와 접이부(305) 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덧살(503)은 종이,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1)가 접이부(305)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몸체(301)는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테이퍼진 중공형의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301)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이하게 다수 개를 중첩하여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종이팩의 몸체들을 적재할 경우, 도 7에 보듯이 몸체들의 포개짐 높이는 약 11mm 정도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종이팩을 소정량 적재 예컨대, 우유 930㎖를 하루에 1개 소비하고 폐 우유팩을 2주일에 한번 수 거한다고 가정했을 때, 공간 차지 용적은 70 x 70 x (195 + 11x14)mm3가 된다. 여기서, 70은 몸체(301)의 밑변의 길이이고, 195는 몸체(301)의 높이이며, 11은 포개짐 높이, 14는 (수거된 종이팩의 개수 - 1)이다. 물론, 이는 이론에 따른 것으로 실제적인 적재 과정에서 다수의 몸체(301)를 가압 적재할 경우 포개짐 높이는 이론치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종이팩은 적재에 있어서 공간 차지의 효율성을 높여 가정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시한 종이팩은 몸체의 횡단면이 사각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몸체의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것 등 다양한 형상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우유팩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두유, 쥬스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팩, 음료 이외에 과자류, 빙과류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종이팩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접이부에 별도의 플라스틱 마개 등이 구비된 종이팩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종이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분리 구획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분리수거시 몸체의 적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분리수거시 몸체의 적재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몸체 303 : 분리 구획부
305 : 접이부 501 : 찢음부
503 : 덧살

Claims (7)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 및 밀봉과 개봉을 위한 접이 구조를 갖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종이팩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테이퍼(taper)지고,
    상기 몸체와 상기 접이부 사이에 상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리 구획부가 상기 몸체와 상기 접이부의 각 외주면 사이로 찢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찢음부에 덧살이 부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횡단면이 사각형이거나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테이퍼진 각도가 1.9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테이퍼진 각도가 1.95°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덧살이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팩이 우유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KR20090000254U 2009-01-09 2009-01-09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KR200445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254U KR200445109Y1 (ko) 2009-01-09 2009-01-09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0254U KR200445109Y1 (ko) 2009-01-09 2009-01-09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109Y1 true KR200445109Y1 (ko) 2009-06-30

Family

ID=4135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0254U KR200445109Y1 (ko) 2009-01-09 2009-01-09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86B1 (ko) 2014-12-02 2016-03-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리식 재활용 종이팩
KR20180089878A (ko) * 2018-06-05 2018-08-09 김용록 풍력발전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055A (ja) * 1995-02-09 1996-08-27 Nippon Tetrapack Kk 液体包装容器
JPH11268742A (ja) * 1998-03-23 1999-10-05 Hiroshi Tanabe リサイクル用容器
US6536622B1 (en) * 1999-01-15 2003-03-25 Robert Planet Bottles or packs provided with pouring spout with a cap on the removable seal or top
JP2005029212A (ja) * 2003-07-07 2005-02-03 Hiroshi Sakakibara 牛乳パ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055A (ja) * 1995-02-09 1996-08-27 Nippon Tetrapack Kk 液体包装容器
JPH11268742A (ja) * 1998-03-23 1999-10-05 Hiroshi Tanabe リサイクル用容器
US6536622B1 (en) * 1999-01-15 2003-03-25 Robert Planet Bottles or packs provided with pouring spout with a cap on the removable seal or top
JP2005029212A (ja) * 2003-07-07 2005-02-03 Hiroshi Sakakibara 牛乳パ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86B1 (ko) 2014-12-02 2016-03-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리식 재활용 종이팩
KR20180089878A (ko) * 2018-06-05 2018-08-09 김용록 풍력발전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1934835B1 (ko) * 2018-06-05 2019-03-18 김용록 풍력발전 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3304T3 (es) Recipiente de transporte de artículos y pieza elemental para hacer el mismo
EP0733015A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s for liquid products, especially liquid foodstuffs, a package obtained through this method
US20140084047A1 (en) Article-transport container
KR200445109Y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종이팩
US20090304873A1 (en) Single-dose container for liquids and/or solids
ES2358077T3 (es) Envases, aparato y método para producir envases.
RU2015129096A (ru) Стопка z-образно сложенного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8273530A (ja) チャック付き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9682A (ko) 스푼이 부착된 종이컵
AU2010270445B2 (en) Flexible sachet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20234793A2 (en) A process for making an infusion product and package containing an infusion material
EP0667295A2 (en) Composite packaging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RU2011118371A (ru) Двойная упаковка
JP2013001453A (ja) 折り畳み可能なカートン
RU56337U1 (ru) Потребительская тара дл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например, семечек
ES2244907T3 (es) Dispositivo de apertura para bolsas de malla.
JPH0612345U (ja) 包装用容器
KR200479200Y1 (ko) 식품 포장 케이스
EP1598278A1 (en) Collapsible folded box
JP2003321061A (ja) 折畳式飲食用パック
CN202130641U (zh) 折叠式包装盒
CN209225585U (zh) 一种符合人体工学的高阻隔干湿分离的托盘
KR200405743Y1 (ko) 이중 수납구조를 가지는 휴지 포장 팩
US20110174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posable cup
JP4198717B2 (ja) ペットボトル用ティ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