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679Y1 -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 Google Patents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679Y1
KR200444679Y1 KR2020080013497U KR20080013497U KR200444679Y1 KR 200444679 Y1 KR200444679 Y1 KR 200444679Y1 KR 2020080013497 U KR2020080013497 U KR 2020080013497U KR 20080013497 U KR20080013497 U KR 20080013497U KR 200444679 Y1 KR200444679 Y1 KR 200444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eet
heating element
layer
deposited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필
Original Assignee
(주)담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담스코 filed Critical (주)담스코
Priority to KR2020080013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시트, 카본층, 실버층, 구리박판 및 마감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이 접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이 베이스시트의 중심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일부가 접착되어 있어,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의 베이스시트와 접착되지 않은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위험성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구리박판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작업이 쉽도록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면상발열체, PET, 카본, 실버, 구리, 접지

Description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AN EARTH WIRED FACE TYPE HEATING ELEMENT SHEET}
본 고안은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가 형성되어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베이스시트와 일부 접착 구성되어 있어 전원공급을 위한 단자작업이나 접지선 연결시 작업성이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상발열체는 난방용 매트리스, 건물 바닥이나 벽면, 파티션 내부 등에 설치되어 난방용으로 사용되거나, 차량의 유리에 설치되어 성애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는 통상의 열선방식에 비해 면적으로 발열하므로 발열율이 우수하며, 전력소모율이 적고 유해 전자파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평활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된다.
현재 면상발열체는 외관상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나 개념적으로 구 분하자면 필름인쇄형과 발열섬유직조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필름인쇄형은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같은 유연한 고분자 필름 위에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여 발열 저항층으로 사용하고 도전성 잉크가 인쇄된 양단에 금속선이나 금속박 등으로 된 전극을 배치한 후 절연용 고분자 필름을 다시 라미네이팅하여 제조되는 형태이고, 발열섬유직조형은 도전성 잉크가 코팅된 발열섬유를 위사로 하고 위사의 양단부에 전극부재인 금속선을 경사로 넣어 먼저 직조한 다음 유연성 고분자 필름과 함께 합지한 형태이다. 필름인쇄형의 경우 발열 저항층과 전극부재 간의 긴밀한 접촉을 위하여 전기저항이 낮은 실버부를 도입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 필름인쇄형 면상발열체의 경우 다양한 잇점은 있으나, 전극부재로 인가된 전류가 도전성 잉크층(발열 저항층)으로 흘러 발생하는 저항에 의하여 발열하는 특성상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위험성에 노출되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면상발열체의 베이스시트의 하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을 형성하되,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이 베이스시트 중심부를 기준하여 외부 방향으로 일부 접착시키며, 상기 접착되지 않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을 일부 절단하여 구리박판에 전 원 공급을 위한 압착단자를 형성할 수 있어 단자 형성 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는, 베이스시트의 가로방향으로 액상의 카본페이스트가 적정 간격으로 도포된 카본층이 형성되고, 상기 카본층 양단 세로방향으로 도전성 실버페이스트가 도포된 실버층이 형성되며, 상기 실버층에 구리박판이 적층된 후 베이스시트에 라미네이팅된 마감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접착되며;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은 베이스시트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베이스시트 면적대비 60 ~ 80 %가 접착되고;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중 베이스시트와 접착되지 않은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이 베이스시트의 중심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일부가 접착되어 있고,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의 베이스시트와 접착되지 않은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의 접지가 가능하여 감전이나 누전에 의한 위험성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이 베이스시트와 일부 접착되어 구성되므로 단자작업시 베이스시트와 접착되지 않은 필름층의 일부를 절단한 후 구리박판에 전류를 인가할 압착단자의 형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성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를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면상발열체는, 베이스시트(10)의 가로방향으로 액상의 카본페이스트를 적정 간격으로 도포하여 카본층(20)을 형성하고, 카본층(20) 양단 세로방향으로는 열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성 실버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실버층(30)을 형성한 후 상기 실버층(30)에 구리박판(40)을 적층한 다음 마감시트(50)를 베이스시트(10)에 라미네이팅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면상발열체는 구리박판(40)에 인가된 전류의 저항에 의하여 발열된다.
베이스시트는 내열성,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PET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면상발열체의 가공시 융해되지 않고, 면상발열체의 최고 운전 온도 이상이고 합지 온도 이하로서 상기 범위 내에서 필름상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진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PET 필름은 면상발열체의 용도로 적합하다. 베이스시트(10)의 두께는 면상발열체가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적의 조절가능하다.
카본층(20)은 상기 베이스시트(10)의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카본층(20) 형성을 위하여 액상의 카본페이스트를 일정간격으로 도포하고 완전히 건조시켜 형성되도록 한다.
실버층(30)은 카본층(20) 양단 세로방향으로 도전성 실버페이스트를 도포하 고 건조시켜 형성되는데, 열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구리박판(40)은 실버층(30)에 겹치도록 한 후 합지시킨다. 구리박판(40)은 압착단자(90)에 의하여 외부의 전기공급기와 연결되어 전극으로 기능한다. 구리박판(40)에 인가된 전류가 실버층(30)을 통해 카본층(20)에 흐르게 되면서 카본층(20)에 저항열이 발생되게 된다.
마감시트(50)는 상기 베이스시트(10) 상에 합지되는데, 이때 상기 베이스시트(10) 상에 형성된 카본층(20), 실버층(30) 및 구리박판(40)을 아울러 함께 합지된다. 마감시트(50)로는 베이스시트(10)에서 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PET 필름 등을 사용하면 좋다.
본 발명의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는 상기한 면상발열체의 베이스시트 하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60,70)이 접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60,70)은 PET 필름 상에 분말 또는 페이스트상의 알루미늄이 증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60,70)은 베이스시트(10)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베이스시트(10) 면적대비 60 ~ 80 %가 접착된다.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60, 70)이 베이스시트(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완전히 접착될 경우에는 구리박판(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형성 작업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도 3 참고].
상기한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시트(10)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베이스시트(10) 면적대비 60 ~ 80 % 범위로 알루미늄이 증착 된 PET 필름층(60,70)의 일부를 접착시켜 구성한다[도 1, 도 2]. 이로써,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10)에 접착되지 않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60,70) 일부를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절단하여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리박판(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압착단자(90)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시트(10)에 접착되지 않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60,70)에는 역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선(8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 일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을 베이스시트에 모두 접착시킨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의 (a) 및 (b)는 베이스시트에 접착되지 않은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 필름층을 간단하게 절단하여 접지선과 압착단자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에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시트 20 : 카본층 30 : 실버층
40 : 구리박판 50: 마감시트 60 : 알루미늄층
70 : PET 필름층 80 : 접지선 90 : 압착단자

Claims (2)

  1. 베이스시트의 가로방향으로 액상의 카본페이스트가 적정 간격으로 도포된 카본층이 형성되고, 상기 카본층 양단 세로방향으로 도전성 실버페이스트가 도포된 실버층이 형성되며, 상기 실버층에 구리박판이 적층된 후 베이스시트에 라미네이팅된 마감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하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이 접착되며;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은 베이스시트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베이스시트 면적대비 60 ~ 80 %가 접착되고;
    상기 알루미늄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층 중 베이스시트와 접착되지 않은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접지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2. 삭제
KR2020080013497U 2008-05-19 2008-10-09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KR200444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497U KR200444679Y1 (ko) 2008-05-19 2008-10-09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49 2008-05-19
KR2020080013497U KR200444679Y1 (ko) 2008-05-19 2008-10-09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679Y1 true KR200444679Y1 (ko) 2009-05-28

Family

ID=4164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497U KR200444679Y1 (ko) 2008-05-19 2008-10-09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6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08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토우테크 접지 가능한 면상발열필름
KR102469298B1 (ko) * 2022-06-03 2022-11-22 장동석 차량의 전면 유리 및 시인성 유리에 적용 가능한 발열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08A (ko)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토우테크 접지 가능한 면상발열필름
KR102469298B1 (ko) * 2022-06-03 2022-11-22 장동석 차량의 전면 유리 및 시인성 유리에 적용 가능한 발열필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3495B2 (ja) 輻射ヒータ装置
CN103202093B (zh) 面状发热体及其制造方法
CN202617386U (zh) 一种软性电热片
KR101593983B1 (ko) 고분자 ptc 정온발열잉크를 이용한 습식용 면상발열체
KR20110088934A (ko) 전자파감소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US11089658B2 (en) Heating element
KR200444679Y1 (ko)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KR200420133Y1 (ko) 다중구조의 면상발열체
KR102374783B1 (ko) 접지 가능한 면상발열필름
JP2008300050A (ja) 高分子発熱体
JPWO2015159665A1 (ja) 炭素被覆面状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8035B1 (ko) 면상 발열체
CN215832028U (zh) 一种发热瓷砖
JP5643250B2 (ja) 面状発熱体および面状発熱体システム
JP6667778B2 (ja) 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大電力フィルム状回路
JP2014241190A (ja) Ptcヒータ
KR20070028489A (ko) 다중구조의 면상발열체
KR20220161782A (ko) 저자기장 면상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퀵워밍 온열침대
CN216820112U (zh) 便于安装的ptc发热体
CN215956672U (zh) 一种发热瓷砖的发热结构和发热瓷砖
KR200347748Y1 (ko) 카본 난방필름
KR100923716B1 (ko) 은분 전기 전도부를 가지는 면상 발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72489Y1 (ko) 면상발열체
CN214627406U (zh) 一种应用于电加热的发热板
KR100725259B1 (ko) 카본 시트 연결구를 가진 필름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