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748Y1 - 카본 난방필름 - Google Patents

카본 난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48Y1
KR200347748Y1 KR20-2004-0001747U KR20040001747U KR200347748Y1 KR 200347748 Y1 KR200347748 Y1 KR 200347748Y1 KR 20040001747 U KR20040001747 U KR 20040001747U KR 200347748 Y1 KR200347748 Y1 KR 200347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thin film
layer
thin p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래
Original Assignee
박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래 filed Critical 박광래
Priority to KR20-2004-0001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리 박판의 표면에 은 도금층을 형성하고, 카본 박막층의 양단 부위에 카본 연결층을 형성함으로써, 구리 박판과 카본 박막층의 접속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발열부의 국부적인 과열 등으로 카본 발열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카본 발열체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고, 누설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본 연결층으로 카본 박막층을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카본 난방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본 난방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카본 박막을 도포하고, 구리 박판을 형성하고, 절연 필름으로 밀봉하여, 전류를 통해 발열되도록 한 카본 난방필름에 있어서,
카본 박막층을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하며, 양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의 카본 연결층을 형성하고;
구리 박판의 표면을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카본 박막층과의 접속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은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본 난방필름 { Carbon heater }
본 고안은 카본 박막을 이용한 면상의 난방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본 박막층을 연결하고 구리 박판에 은 도금층을 형성함으로써, 은 도금된 구리 박판으로 카본과의 접속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발열부의 국부적인 과열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카본 발열체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필름의 제조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본 난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본 난방필름은 차량의 유리창 등의 설치하여 성애 방지용으로 사용되거나, 난방용으로 매트리스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본 난방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 필름(10) 상면에 고저항체인 액상의 카본(20)을 적정 간격으로 도포하고, 일정 시간 건조한 후에, 구리 박판(30)을 설치하고 도포된 카본의 양단에 액상의 은(40)을 도포하고, 절연 필름(10)을 코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구리 박판에 전선과 온도 조절기를 연결하여, 카본 발열부 저항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바이메탈 방식 등의 온도 조절기에서 발열부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카본 난방필름은, 구리 박판과 카본의 접촉 저항에 따라, 통전되는 전류의 크기가 변하게 되기 때문에, 발열부가 전체적으로 가열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과열되어, 카본 난방필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절연필름의 면에 액상의 은을 도포하는 작업 등이 번거로웠기 때문에, 카본 난방필름의 제조 작업이 어렵고, 많은 작업 인력과 제작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리 박판의 표면에 도전성이 우수한 액상 은이 도금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구리 박판과 카본 사이의 접속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발열부의 국부적인 과열 등으로 카본 발열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카본 발열체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고, 절연 필름의 손상으로 인한, 누설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본 박막층의 양단 부분에 카본 박막을 연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발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카본 난방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본 발열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확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 필름 20 : 카본 박막층
21 : 카본 연결층 30 : 구리 박판
31 : 은 도금층
본 고안은 카본 박막을 도포하고, 구리 박판을 형성하고, 절연 필름으로 밀봉하여, 전류를 통해 발열되도록 한 카본 난방필름에 있어서,
카본 박막층을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하며, 양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의 카본 연결층을 형성하고;
구리 박판의 표면을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카본 박막층과의 접속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은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카본 발열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카본과 구리 박판을 밀봉하도록 한 절연 필름(10)과, 상기 절연 필름(10) 상면에 도포되어 저항에 의해 발열되도록 한 카본 박막층(20)과, 상기 카본 박막층(20)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 구리 박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필름(10)은 상면에 액상의 카본이 도포, 건조되고, 박판 구리가 밀봉되도록 한 쌍의 절연 필름이 상호 접착, 형성한다.
상기 카본 박막층(20)은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하며, 양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의 카본 연결층(21)을 형성한다.
상기 구리 박판(30)은 상기 카본 박막층(20)의 상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하며, 구리 박판(30)의 표면은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카본 박막층(20)과의 접속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은 도금층(31)을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전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선(1)을 통해, 상기 구리 박판(3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구리 박판(30)에 도금된 은 도금층(31)로 통하여, 상기 카본 박막층(20)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카본 박막층(20)은 상기 카본 연결층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저항으로 상기 발열 박막층(20)에서 열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리 박판(30)의 은 도금층(31)으로 인하여, 구리 박판(30)에서 카본 박막층(20)의 접속 효과가 향상되고, 상기 카본 연결층(21)으로 카본 박막층(20)이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카본 박막층(20)의 국부적인 과열을 방지하고 전체적으로 가열되어, 카본 난방필름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연 필름(10)이 상호 접착되어, 박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카본 난방필름의 시공이나 설치가 간편하고, 절연 필름(10)의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구리 박판(30)과 카본 박막층(20)이 밀봉되어, 방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리 박판의 표면에 은 도금층을 형성하고, 카본 박막층의 양단 부위에 카본 연결층을 형성함으로써, 구리 박판과 카본 박막층의 접속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발열부의 국부적인 과열 등으로 카본 발열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카본 발열체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고, 누설 전류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본 연결층으로 카본 박막층을 상호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 효율을 향상시키고, 카본 난방필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카본 박막(20)을 도포하고, 구리 박판(30)을 형성하고, 절연 필름(10)으로 밀봉하여, 전류를 통해 발열되도록 한 카본 난방필름에 있어서,
    카본 박막층(20)을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하며, 양단 부분을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의 카본 연결층(21)을 형성하고;
    구리 박판(30)의 표면을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카본 박막층(20)과의 접속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은 도금층(3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난방필름.
KR20-2004-0001747U 2004-01-26 2004-01-26 카본 난방필름 KR200347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47U KR200347748Y1 (ko) 2004-01-26 2004-01-26 카본 난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747U KR200347748Y1 (ko) 2004-01-26 2004-01-26 카본 난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48Y1 true KR200347748Y1 (ko) 2004-04-17

Family

ID=4942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747U KR200347748Y1 (ko) 2004-01-26 2004-01-26 카본 난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43U (ko) * 2020-06-23 2021-12-30 권혜경 안전 고정핀을 구비한 난방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43U (ko) * 2020-06-23 2021-12-30 권혜경 안전 고정핀을 구비한 난방필름
KR200496994Y1 (ko) * 2020-06-23 2023-06-30 권혜경 안전 고정핀을 구비한 난방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8992A (en) Heaters using conductive woven tapes
JP4493339B2 (ja) 加熱層を備えるパネル要素
CN103202093B (zh) 面状发热体及其制造方法
KR20100042760A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ATE461601T1 (de) Flächenheizsystem
KR101510744B1 (ko) 전열 히터 장치
CN108271280B (zh) 一种石墨烯变流电热膜
CN101438618A (zh) 电加热元件
KR101231918B1 (ko) 전열시트 제조방법
KR200347748Y1 (ko) 카본 난방필름
TW201902294A (zh) 加熱套及製造加熱套的方法
KR200241444Y1 (ko) 카본 발열체
KR101428035B1 (ko) 면상 발열체
KR200444679Y1 (ko) 접지가 형성된 면상발열체
KR20110039957A (ko) 난방필름
CN108966381A (zh) 陶瓷加热片结构
US20090223946A1 (en) Comb powering conductors based flexible thermal radiator
WO2008118937A2 (en) Thermoelectr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372489Y1 (ko) 면상발열체
KR200350487Y1 (ko) 면상 발열체
KR20070028489A (ko) 다중구조의 면상발열체
JP2015109274A (ja) 電気ヒータ
JP2015076322A (ja) ウインドウ用面状発熱体および車両用窓
KR20060081486A (ko) 면상발열체
KR200390221Y1 (ko) 평면 형상의 발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